KR20140137251A -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51A
KR20140137251A KR1020130057957A KR20130057957A KR20140137251A KR 20140137251 A KR20140137251 A KR 20140137251A KR 1020130057957 A KR1020130057957 A KR 1020130057957A KR 20130057957 A KR20130057957 A KR 20130057957A KR 20140137251 A KR20140137251 A KR 20140137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rtp packet
media server
client
time st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077B1 (ko
Inventor
김희경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077B1/ko
Priority to CN201410172125.2A priority patent/CN104185081B/zh
Publication of KR2014013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TP 패킷을 이용하여 재생 영상에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은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써,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서버로 영상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와 미디어 서버 간에 RTPS 패킷을 교환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가 제1 타임스탬프에 제1 영상프레임의 제1시간을 기록한 제1 RTP 패킷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제1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1시간을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제1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가 제2 타임스탬프에 제2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제1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나타내는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가 제2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2시간 및 제1시간의 합산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 time in the image being played using RTP packet}
본 발명은 RTP 패킷을 이용하여 재생 영상에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은 빌딩 설비 및 센서 등의 필드 디바이스, 이러한 하드웨어와 연결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이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결국엔 빌딩 설비 및 필드 디바이스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빌딩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빌딩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고, 설비 알람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또한 에너지 및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설비 주변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감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의 환경을 모니터링 하기도 하며, 감시 카메라의 영상 재생 시에 시간 표시를 위하여 패킷의 타임스탬프(timestamp)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각 영상 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를 표시해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실시간 미디어 방송 또는 화상 회의 정보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에서 구동하기 위해서, 실시간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네트워크 밴드 대역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RTP(real time transfer protocol)가 소개되었으며, 요즘에는 많은 미디어 장비들이 RTP를 사용하고 있다. RTP 패킷 내에는 32 비트의 타이스탬프가 있는데, 이것은 영상의 정확한 시간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2 개 이상의 영상 스트림 사이에서 샘플링된 상대적인 시간 관계를 알 수 있다. RTCP(real time transfer control protocol)은 RTP 데이터 전송 상태 감시 또는 세선 관련 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되는데, RTCP 패킷에는 NTP(network time protocol) 타임스탬프와 RTP 타임스탬프가 포함되고, NTP 타임스탬프를 통해 절대적인 시간 정보를 알아 낼 수 있다. 만약 클라이언트에서 정확한 시간정보를 표시해야 한다면 RTCP 패킷을 활용해야만 한다. 하지만 많은 미디어 서버들이 대역(bandwidth) 제약 등의 이유로 RTCP 패킷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엔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 만으로 패킷 간의 상대적인 시간차이를 계산하여 미디어가 재생되고 있는 시간의 양을 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미디어가 전체적으로 30분 동안 재생되며 영상의 흐름에 따라 5분, 10분 등의 재생되는 시간의 차이를 표시해 주고 있다.
보안 장비로 사용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서의 DVR(digital video recorder)이나 NVR(network video recorder)의 경우, 이벤트 발생 시 감시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녹화하게 되는데, 이 녹화영상을 나중에 재생해 볼 때 녹화 영상의 절대 시간을 알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녹화 영상의 절대 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RTCP 패킷을 사용해야 하지만, 미디어 서버가 RTCP 패킷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 단에서 RTP 만을 이용하여 절대 시간을 알아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9-012673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 및 빌딩 자동화 시스템 서버 사이의 영상 전송 시에, 빌딩 자동화 시스템 서버에서 RTP 패킷을 이용하여 재생 영상의 정확한 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은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 영상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미디어 서버 간에 RTPS 패킷을 교환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1 타임스탬프에 제1 영상프레임의 제1시간을 기록한 제1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1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1시간을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2 타임스탬프에 제2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상기 제1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나타내는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2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2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합산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서버가 상기 제2시간을 주파수(Hz) 단위로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시간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의 감산결과로써의 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를 제1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2 타임스탬프에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를 제2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보다 작아질 때까지, 상기 보정된 제2시간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의 감산을 수행하여 재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헤더 확장 필드에 최종 감산횟수를 기록하는 단계; 및 제2 타임스탬프에 상기 재보정된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1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제1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가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값, 상기 보정된 제2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합산 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재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1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제1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가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RPT 패킷 내의 확장 헤더 필드로부터 최종 감산 횟수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감산 횟수만큼의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값, 상기 재보정된 제2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합산 결과를 현재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미디어 서버 및 빌딩 자동화 시스템 서버 사이의 영상 전송 시에, 빌딩 자동화 시스템 서버에서 수신한 RTP 패킷을 이용하여 단순히 영상 프레임간 시간 차이만 알 수 있었으나, 빌딩 자동화 시스템 서버로 RTCP 패킷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수신한 RTP 패킷만을 이용하여 재생 영상의 정확한 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영상의 시간 표시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RTP 패킷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4는 도 3 중 오버랩이 발생하였을 경우 미디어 서버의 대처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5는 도 3 중 오버랩이 발생하였을 경우 클라이언트의 대처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영상의 시간 표시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영상의 시간 표시 시스템은 적어도 한 대 이상의 감시 카메라(100), 감시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며, 보안 장비로 사용되고 있는 DVR 또는 NVR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로서의 BAS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시 카메라(100), 미디어 서버(200) 및 BAS 서버(300)는 각각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감시 카메라(100)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설비 주변에 설치되어,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 BAS 서버(300)는 미디어 서버(200)에 영상 재생을 요청하여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감시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서버(200)와 BAS 서버(300)는 RTP 통신규약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미디어 서버(200)가 BAS 서버(300)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전송 시에 RTP를 사용하는 이유는,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미디어 서버(200)가 클라이언트로써의 BAS 서버(300)와 RTP 패킷을 전송하기 이전에, 미디어 서버(200) 및 BAS 서버(300)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패킷을 서로 교환하게 된다. 여기서, RTST 패킷은 RTP 통신의 초기화를 위해 미디어 서버(200)와 BAS 서버(300) 간에 교환하는 제어 정보(describe, septup, play 등)를 나타낸다. 이러한 RTSP 패킷의 교환을 통하여 BAS 서버(300)는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인증 과정을 거치고,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받기 이전에 필요한 정보들을 RTSP 패킷을 통하여 교환하게 된다. BAS 서버(300)가 RTP 패킷을 수신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하는 PLAY 커맨드가 있는데, BAS 서버(300)는 PLAY 커맨드를 통해 미디어 서버(200)에게 영상 요청 시간을 전송하게 된다. 미디어 서버(200)는 BAS 서버(300)가 요청한 시간의 영상 데이터를 RTP 패킷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요청한 시간 이후로 가장 근접한 시간의 영상 데이터를 RTP 패킷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BAS 서버(300)는 요청한 시간의 영상 데이터를 반드시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RTP 패킷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TP 패킷 내에는 32 비트의 타임스탬프(timestamp)(21)가 존재하는데, RTP 데이터 옥텟이 샘플링된 순간을 반영한다. 미디어 서버(20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전송할 때마다 이전(제1) 프레임과 현재(제2) 프레임의 시간차이를 계산하고, 이 시간차이를 주파수(Hz)로 환산하여 각 RTP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하여 BAS 서버(300)로 전송한다. BAS 서버(300)는 각 RTP 패킷을 수신하여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며 각 영상 프레임 단위로,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타임스탬프 차이를 계산하고, 주파수(Hz)를 다시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 협정세계시간으로 절대시간 또는 현재시간을 나타냄)로 환산하여 재생 영상 내에서 시간의 경과 값을 표시하게 된다. 즉,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를 이용하는 경우, RTP 패킷 사이 또는 여러 RTP 패킷으로 구성된 영상 프레임 사이에서 시간의 경과를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BAS 서버(300)가 정확한 영상 프레임의 시간 값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RTCP(real time transfer control packet)을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해야 한다. RTCP는 RTP 영상 스트림에 관한 외부 정보의 송수신이나 제어를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RTCP의 기능을 좀 더 자세히 기술하면, 첫째 송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RTP 타임스탬프와 절대시간(UTP) 정보나, 송신한 영상 패킷의 총 수를 알려준다. 둘째, 수신한 영상 스트림의 지터, 패킷 손실이나 왕복 지연의 추정값을 송신측에 전송한다. 셋째, 영상 스트림 송신자의 이름,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통지한다. 넷째, 미디어 소스가 세션으로부터 이탈할 때에 그 사실을 상대측에 통지해 준다. 다섯째, 확장 RTCP 패킷을 제공한다. RTCP는 실제 영상 정보는 아니며, RTP 데이터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부가적인 정보이고 또한 RTP 패킷 자체가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RTCP는 고작 전체 전송 데이터 량의 0.5%에 해당되도록 전송하고 있다. 이 퍼센티지는 상황 마다 다를 수 있으며 서버에서 이 RTCP 전송률을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TCP는 RTP 타임스탬프와 절대시간(UTP)을 송신하고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주기적으로 절대시간을 수신하게 되면, 현재 클라이언트에서 재생중인 영상 프레임의 정확한 시간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많은 미디어 서버들(200 포함)은 대역폭 제약 등의 이유로 RTCP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100 포함)에서 영상 프레임의 정확한 시간을 알아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 영상 전송을 요청할 때, 미디어 서버(200)는 첫 번째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현재시간을 초 값으로 변환시켜 기입한 후 BAS 서버(300)로 전송한다. RTP 스팩에 의하면, 첫 번째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는 랜덤 값을 넣어주게 되어 있다. 랜덤값 대신 현재시간 값을 기입하여 전송하므로 RTP 스팩에 위반하지 않는다. BAS 서버(300)는 가장 처음 수신한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 값을 통해 현재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둘째, 미디어 서버(200)는 그 다음 RTP 패킷을 전송할 때 첫 번째 전송한 타임스탬프(21)를 기준으로 하여, 다음 영상 프레임의 타임스탬프(21)에는 이전 영상 프레임과의 시간차이를 주파수(Hz)로 변환하여 기록한 후 BAS 서버(300)로 전송한다.
BAS 서버(300)는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RTP 패킷을 수신할 때 마다 각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된 주파수를 현재시간으로 환산하고,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한 다음, 첫 번째 수신한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된 현재시간에 계속 가산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현재시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RTP 스팩에 의하면, 타임스탬프(21)는 설정된 용량이 32 비트(4294967295:232-1)라서, 시간표현의 제약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즉,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타임스탬프(21) 값에 오버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 값이 계속 증가하다가 갑자기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BAS 서버(300)는 타임스탬프(21)에 오버랩이 발생하는 경우 자체 알고리즘에 의해 각 영상 프레임 간의 증가된 시간 값을 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한가지 문제점은 미디어 서버(200)가 상시 녹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녹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녹화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녹화가 수행되지 않는 시간 간격이 47721초 이상일 경우에는 오버랩이 발생하게 되며, 또는 95443초 이상일 경우에도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타임스탬프(21)의 설정 용량이 32 비트인 것에서 기인된 결과이다. BAS 서버(300)는 오버랩이 발생한 이유가 녹화가 수행되지 않았던 시간 간격이 몇 초 이상이었기 때문인지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미디어 서버(200)가 녹화 간격의 정확성을 BAS 서버(300)에 알려주어, BAS 서버(300)에서 영상 재생 시간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 영상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 영상 재생을 요청하면, 미디어 서버(200)와 BAS 서버(300) 간에 RTP 통신의 초기화를 위해 제어 정보로써의 RTPS 패킷을 교환하는 단계(S110, S120)를 수행한다.
미디어 서버(200)와 BAS 서버(300) 간에 RTPS 패킷 교환이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200)는 제1 타임스탬프에 제1 영상프레임의 제1시간을 기록한 제1 RTP 패킷을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130)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RTP 패킷은 미디어 서버(200)가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첫 번째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미디어 서버(200)는 제1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하여 첫 번째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한다. 또한 제1 RTP 패킷은 미디어 서버(200)가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현재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시간은 현재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이전 영상프레임 시간 사이의 시간차이일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200)는 제1시간을 주파수(Hz) 단위로 환산하여 제1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제1 RTP 패킷을 수신한 BAS 서버(300)는 제1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1시간을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제1 영상 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RTP 패킷은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첫 번째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BAS 서버(300)는 첫 번째 타임스탬프에 초단위로 저장된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첫 번째 영상프레임에 표시한다. 또한 제1 RTP 패킷은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 중 현재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시간은 주파수(Hz) 단위로 환산된 현재 영상프레임과 이전 영상프레임의 시간차이일 수 있으며, BAS 서버(300)는 제1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하고, 이전 시간과 합산하여 현재시간으로 설정한 후 제1 영상프레임에 표시할 수 있다.
BAS 서버(300)가 제1 영상프레임에 제1시간을 표시하면, 미디어 서버(200)는 제2 타임스탬프에 제2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제1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나타내는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 RTP 패킷은 미디어 서버(200)가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두 번째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미디어 서버(200)는 두 번째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첫 번째 영상프레임의 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나타내는 제2시간을 주파수 단위로 환산하여 두 번째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한다. 또한 제2 RTP 패킷은 미디어 서버(200)가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현재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시간은 현재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이전 영상프레임 시간 사이의 시간차이일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200)는 제2시간을 주파수(Hz) 단위로 환산하여 제2 RTP 패킷의 타임스탬프(21)에 기록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제2 RTP 패킷을 수신한 BAS 서버(300)는 제2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2시간 및 제1시간의 합산 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제2 영상 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 RTP 패킷은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두 번째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BAS 서버(300)는 두 번째 타임스탬프에 주파수 단위로 저장된 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한 후, 첫 번째 시간과 합산한 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두 번째 영상프레임에 표시한다. 또한 제2 RTP 패킷은 BAS 서버(300)가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프레임 중 현재 영상프레임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시간은 주파수(Hz) 단위로 환산된 현재 영상프레임과 이전 영상프레임의 시간차이일 수 있으며, BAS 서버(300)는 제2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하고, 이전 시간과 합산하여 현재시간으로 설정한 후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 중 오버랩이 발생하였을 경우 미디어 서버(200)의 대처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디어 서버(200)는 제2 RTP 패킷의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할 제2시간이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여기서, RTP 스팩에는 타임스탬프(21)의 설정 용량이 32 비트(4294967295:232-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시간이라 함은, 현재(제2)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이전(제1) 영상프레임의 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나타낸다.
제2시간이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보다 큰 경우, 미디어 서버(200)는 오버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S170)를 수행한다.
이후 미디어 서버(200)는 제2시간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용량(4294967295:232-1)을 감산한 결과로써의 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하는 단계(S180) 수행한다.
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이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200)는 보정된 제2시간이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S190)를 수행한다.
보정된 제2시간이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보다 작은 경우, 미디어 서버(200)는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X) 필드를 제1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RTP 패킷의 구조에는 익스텐션(X) 필드(22)가 존재하는데, 익스텐션 필드(22)가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확장 헤더(header extension) 필드(23)에 추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X) 필드(22)를 제1값으로 설정한 후, 미디어 서버(200)는 제2 타임스탬프에 보정된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210)를 수행한다.
그러나, 보정된 제2시간이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보다 여전히 큰 경우, 미디어 서버(200)는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X) 필드를 제2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여기서, 익스텐션 필드(22)가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확장 헤더(header extension) 필드(23)에 추가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서 미디어 서버(200)는 보정된 제2시간이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보다 작아질 때까지, 보정된 제2시간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용량(4294967295:232-1)을 감산을 수행하여 재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하는 단계(S230)를 수행한다. 여기서 보정된 제2시간이라 함은, 제2시간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용량 감산을 1회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재보정된 제2시간이라 함은, 제2시간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용량 감산을 2회 이상 한 결과를 나타낸다.
재보정된 제2시간 생성이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200)는 제2 PRT 패킷 내의 헤더 확장 필드(23)에 보정된 제2시간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용량의 최종 감산 횟수를 기록하는 단계(S240)를 수행한다.
헤더 확장 필드(23)에 최종 감산 횟수를 기록이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200)는 제2 타임스탬프에 재보정된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BAS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250)를 수행한다.
도 5는 도 3 중 오버랩이 발생하였을 경우 클라이언트로써의 BAS 서버(300)의 대처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BAS 서버(300)는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2 RTP 패킷의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보정된 제2시간 또는 재보정된 제2시간이 제1시간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보정된 제2시간 또는 재보정된 제2시간이 제1시간보다 작은 경우, BAS 서버(300)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270)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BAS 서버(300)는 수신한 현재(제2) 영상프레임의 시간이 이전(제1) 영상프레임의 시간 보다 작은 경우 오버랩 발생을 판단한다.
오버랩이 발생한 경우, BAS 서버(300)는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X) 필드(22)값을 확인하여, 익스텐션(X) 필드(22)가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280)를 수행한다.
익스텐션(X) 필드(22)가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BAS 서버(300)는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값(4294967295:232-1), 보정된 제2시간 및 제1시간의 합산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S290)를 수행한다.
그러나 익스텐션(X) 필드(22)가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BAS 서버(300)는 제2 RTP 패킷 내의 확장 헤더(header extension) 필드(23)로부터 최종 감산 횟수를 독출하는 단계(S230)를 수행한다.
이후 BAS 서버(300)는 최종 감산 횟수만큼의 제2 타임스탬프의 설정 용량값((4294967295:232-1)×최종 감산 횟수), 보정된 제2시간 및 제1시간의 합산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S29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200)와 BAS 서버(300) 사이의 영상 전송 시에, 미디어 서버(200)에서 BAS 서버(300)로 RTCP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영상프레임간의 시간 차이만을 알 수 있는 RTP 패킷을 이용하여 BAS 서버(300)에서 영상의 정확한 재생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100: 감시 카메라
200: 미디어 서버
300: BAS 서버

Claims (6)

  1.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 영상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미디어 서버 간에 RTPS 패킷을 교환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1 타임스탬프에 제1 영상프레임의 제1시간을 기록한 제1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1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1시간을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2 타임스탬프에 제2 영상프레임의 시간 및 상기 제1시간 사이의 시간차이를 나타내는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2 타임스탬프로부터 독출한 제2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합산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서버가 상기 제2시간을 주파수(Hz) 단위로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시간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의 감산결과로써의 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를 제1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2 타임스탬프에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를 제2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보다 작아질 때까지, 상기 보정된 제2시간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의 감산을 수행하여 재보정된 제2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헤더 확장 필드에 최종 감산횟수를 기록하는 단계; 및
    제2 타임스탬프에 상기 재보정된 제2시간을 기록한 제2 RTP 패킷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1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제1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가 제1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값, 상기 보정된 제2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합산 결과를 현재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영상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재보정된 제2시간이 상기 제1 타임스탬프에 기록된 제1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오버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RTP 패킷 내의 익스텐션 필드가 제2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RPT 패킷 내의 확장 헤더 필드로부터 최종 감산 횟수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감산 횟수만큼의 상기 제2 타임스탬프에 설정된 용량값, 상기 재보정된 제2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합산 결과를 현재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영상 프레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KR1020130057957A 2013-05-22 2013-05-22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KR10197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57A KR101974077B1 (ko) 2013-05-22 2013-05-22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CN201410172125.2A CN104185081B (zh) 2013-05-22 2014-04-25 在使用实时传输协议包播放的图像中显示时间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57A KR101974077B1 (ko) 2013-05-22 2013-05-22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51A true KR20140137251A (ko) 2014-12-02
KR101974077B1 KR101974077B1 (ko) 2019-08-23

Family

ID=5196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957A KR101974077B1 (ko) 2013-05-22 2013-05-22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4077B1 (ko)
CN (1) CN10418508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5224A (zh) * 2020-11-26 2021-03-26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装置
US11412021B2 (en) 2016-12-22 2022-08-09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dia streaming between server and client using RTP/RTSP standard protoc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0264A (zh) * 2017-08-29 2018-01-1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多媒体资源播放处理方法及装置
CN110971588B (zh) * 2019-10-18 2022-06-03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跨时区会议系统时间处理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5996A (zh) * 2008-12-31 2009-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电视显示时间的方法及设备和系统
KR20090090242A (ko) * 2008-02-20 2009-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상 재생 타임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정보와어드밴스드 오디오 코딩 정보의 동기화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090126734A (ko) 2008-06-05 2009-12-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VoIP 단말을 위한 영상 사서함 서비스 방법
JP2011029969A (ja) * 2009-07-27 2011-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表示装置および映像監視システム
KR2011009059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터 보정 방법 및 장치
CN102355605A (zh) * 2011-11-11 2012-02-15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Iptv机顶盒的直播时移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33B1 (ko) * 2004-06-2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비디오 오디오 동기장치 및 방법
CN101179484A (zh) * 2006-11-09 2008-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不同媒体流间的同步方法及系统
CN101540897B (zh) * 2008-03-21 2013-04-24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用于有线电视网络的交互电视节目流时间戳下发方法
CN102196319A (zh) * 2010-03-17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流媒体直播业务系统及实现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242A (ko) * 2008-02-20 2009-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상 재생 타임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정보와어드밴스드 오디오 코딩 정보의 동기화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090126734A (ko) 2008-06-05 2009-12-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VoIP 단말을 위한 영상 사서함 서비스 방법
CN101465996A (zh) * 2008-12-31 2009-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电视显示时间的方法及设备和系统
JP2011029969A (ja) * 2009-07-27 2011-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表示装置および映像監視システム
KR2011009059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터 보정 방법 및 장치
CN102355605A (zh) * 2011-11-11 2012-02-15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Iptv机顶盒的直播时移处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2021B2 (en) 2016-12-22 2022-08-09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dia streaming between server and client using RTP/RTSP standard protocol
CN112565224A (zh) * 2020-11-26 2021-03-26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装置
CN112565224B (zh) * 2020-11-26 2022-08-19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85081B (zh) 2019-04-19
KR101974077B1 (ko) 2019-08-23
CN104185081A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910B1 (ko)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디오 서버의 제어 방법및 그 기록 매체
CN106686438B (zh) 一种跨设备的音频图像同步播放的方法、装置及系统
JP6662905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品質推定装置、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品質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04493A1 (en) Proactive video frame dropping for hardware and network variance
JP2006500797A (ja) 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時にパケット転送遅延の補償を可能にする方法
US82197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KR20140137251A (ko) Rtp 패킷을 이용한 재생 영상의 시간 표시 방법
US843411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20072461A (ja) 送信装置、サーバ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16204A (ja) データ送信装置と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WO2018224839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reaction video
JP2016015582A (ja) 映像品質制御システム、映像再生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映像品質制御方法
TWI573448B (zh) 串流連線管理方法及串流資料連線系統
JP2010258894A (ja) 映像受信装置、映像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191883A (ja) 配送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方法および媒体
JP200400717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方法、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WO2006103724A1 (ja) パケットの配信帯域制御方法、配信装置及び映像配信システム
JP200421519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24722A (ja) 動画像データ配信装置及び動画像データ通信システム
TWI549496B (zh) 行動電子裝置以及視訊補償方法
JP2005167891A (ja) コンテンツ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349743A (ja) 映像ストリーム切替システム、方法、映像ストリーム切替システムを含む映像監視、映像配信システム
JP5591892B2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78318B2 (ja) ライブビデオストリームのストリーミング
JP2014013974A (ja) ユーザポーズ操作時間推定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