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132A -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 Google Patents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132A
KR20140137132A KR1020130057629A KR20130057629A KR20140137132A KR 20140137132 A KR20140137132 A KR 20140137132A KR 1020130057629 A KR1020130057629 A KR 1020130057629A KR 20130057629 A KR20130057629 A KR 20130057629A KR 20140137132 A KR20140137132 A KR 2014013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timulation
unit
auditory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144B1 (ko
Inventor
박정재
Original Assignee
박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재 filed Critical 박정재
Priority to KR102013005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1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6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착용자의 두뇌피질부 영역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두뇌피질부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자기자극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뇌로 청음자극을 인가하는 청음자극부와; 상기 자기자극부로 인가하는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부로 인가하는 청음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담당하는 목표위치로 시간적으로 가중되어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자극부와 상기 청음자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TRANSCRANIAL COMPLEX STIMULATION APPARATUS TO CONTROL NEUROTRANSMITTER SECRETION}
본 발명은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뇌의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자기자극과 청음자극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인가하여 자극을 가중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활성화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과도한 정보들과 복잡한 생활패턴은 뇌의 부하를 가중시키며 이에따른 스트레스 및 뇌 생리적기능 불균형은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등체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생리의학적 불균형은 복잡한 뇌의 신경 정신과적 기전(機轉)을 통하여 발생되고 이를 밝히기 위한 노력이 많은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신경과학계는 신경정신학적 뇌기능 메카니즘 규명을 위하여 생리 물리 화학적 방법 및 도구를 통한 연구에 매진해 왔다
MRI EEG를 통한 뇌지도 작성 및 해석 치료방법 개발 및 진단 치료, PET f-MRI을 통한 신경심리학적 기능 연구등 많은부문에서 뇌를 알기위한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들중 일부는 자기장의 생리적변화 및 치료효과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치료효과가 확인된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경두개 자기자극기는 정신과적 치료기로서 FDA승인을 얻어 우울증등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경두개 자기 자극기는 특허공개번호 제2008-0015923호 "중추 신경계를 위한 자기자극장치, 회로 및 그 이용 그리고 그 장치의 이용 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경두개 자기자극기는 뇌의 국소적인 부분으로 자기자극만을 인가하므로 실제 신경전달물질 분비의 자극효과가 크지 않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자극 뿐만 아니라 청음자극을 일정 시간차를 두고 뇌의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인가하여 신경의 자극의 가중을 통해 신경전달물질 분비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기기를 통해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는,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착용자의 두뇌피질부 영역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두뇌피질부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자기자극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뇌로 청음자극을 인가하는 청음자극부와; 상기 자기자극부로 인가하는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부로 인가하는 청음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담당하는 목표위치로 시간적으로 가중되어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자극부와 상기 청음자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뇌피질부 영역은 서로 이격된 위치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자극부는 상기 복수개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자기자극부는 일정 시간차를 두고 상기 각 두뇌피질부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뇌 피질부 영역은 수프라파리에탈 루블(supraparietal lobule), 파라센트럴 루블(paracentral lobule), 미들 프론탈 지러스(middle frontal gyrus) 및 프론탈 폴(frontal pole)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음자극과 상기 자기자극을 위한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생성부와; 상기 자기자극부와 상기 청음자극부로 상기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을 송출하는 복수개의 송출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채널로 송출되는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의 송출시간을 시간차를 두고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간차는 -300mS ~ +300mS 범위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은, 착용자의 이마를 중심으로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청음자극부를 지지하는 가로밴드와; 상기 가로밴드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착용자의 머리 중심 영역에 결합되는 수직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는 자기자극과 청음자극을 일정 시간차를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기기관으로 인가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과부족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질병과 증후를 개선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의 자기자극부가 위치하는 뇌피질부의 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가 인가하는 자기자극과 청음자극의 신호파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가 뇌에 가하는 자극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는 뇌 피질부로 자기자극을 인가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자기자극이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귀를 통해 청음자극을 인가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청음자극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 때,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전달되는 자기자극과 청음자극은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도달하여 자극이 시간적으로 가중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는 국소자기자극을 뇌국소감각공진법을 통해 뇌의 국소기능부를 자극 활성화시켜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제어한다. 여기서, 뇌국소감각공진법은 뇌의 특정기능부위에 정위적 청각인지상태에서 시간차도달로 동일형상 웨이브를 갖는 자기자극을 가중하여 인가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청각자극과 자기자극의 두 개의 자극효과가 합성되어 자극이 단독으로 인가될 때와 비교하여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자극의 합성에 의해 하나하나의 자극이 역치 이하인데도 이것을 여러 번 합치면 유효해져서 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를 통해 자극이 도달되는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은 뇌의 솔기핵, 청반핵 등을 포함한 감각 정서, 감성, 욕구, 불안, 공포 등을 관장하는 limbic system 중추핵과 편도핵복합체 다중감각연합영역(multisensory association area MA), 파페츠회로(Papez circuit), 해마 시상 흑질 미상(caudate nucleus), 피각(putamen), 편도체(amygdala), 해마(hippocampal formation), 시상하부(hypothalamus) 등이다.
상술한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의 자극에 의해 세로토닌, 도파민, 아세틸콜린, 코티졸, NK 셀, T-B 세포 등의 분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울증, 정신분열증, 불안, 강박장대, 울증 만성피로증후군 공황장애, 뚜렛장애, ADHD 등 정신과적 질환 및 섬유근통, 두통, 각성약화, 불면, 스트레스, 기억력장애, 집중력부족, 학습부진, 내분비질환, 면역력 약화 및 위장관 폐기능 등의 질병 및 장애를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는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10) 상에 결합되어 두뇌 피질로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자기자극부(120,125,130,140)와,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귀로 청음자극을 인가하는 청음자극부(150)와, 자기자극과 청음자극이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인가되도록 자기자극부(120,125,130,140)와 청음자극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를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은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다. 지지프레임(110)은 복수개의 자기자극부(120,125,130,140)와 청음자극부(150)가 한 개의 일체화된 구조물로 결합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도록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착용자의 머리에 가로방향으로 착용되는 가로밴드(111)와, 가로밴드(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수직밴드(113) 및 제2수직밴드(115)를 포함한다.
가로밴드(111)는 착용자의 이마와 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가로밴드(111)는 탄성을 갖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게 한다. 가로밴드(111)는 개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밴드(111)는 제1수직밴드(113)와 제2수직밴드(115)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4자기자극부(140)가 뇌피질부와 접촉되며 자기자극은 인가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가로밴드(111)의 양측 하부에는 청음자극부(150)가 결합된다. 청음자극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가로밴드(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수직밴드(113)와 제2수직밴드(115)는 가로밴드(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수직밴드(113)와 제2수직밴드(115)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수직밴드(113)는 제1자기자극부(120)와 제3자기자극부(130)를 지지하고, 제2수직밴드(115)는 제2자기자극부(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수직밴드(113)와 제2수직밴드(115)는 가로밴드(111)를 따라 좌우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시술자 또는 의사가 정확한 자극 포인트에 자기자극부(120,125,130,140)가 위치되도록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자기자극부(120,125,130,140)는 착용자의 두뇌피질로 자기자극을 인가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자극부(120,125,130,140)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영역의 두뇌피질로 자기자극을 인가하고, 이러한 자기자극이 피질신경원을 통하여 변연계와 최종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4는 각 자기자극부(120,125,130,140)가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두뇌피질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제1자기자극부(120)는 도 4의 좌측 상단에 A로 표시한 supraparietal lobule, Right(SPL, R) 부분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제2자기자극부(125)는 도 4의 우측 상단에 B로 표시한 paracentral lobule, anterior part, Left(PCLa,L) 부분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제3자기자극부(130)는 도 4의 좌측 하단에 C로 표시한 middle frontal gyrus, Right(MFG,R) 부분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제4자기자극부(140)는 도 4의 우측 하단에 D로 표시한 frontal pole(FP, L) 부분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각 자기자극부(120,125,130,140)는 자기신호생성부(162)로부터 수신한 자극신호를 마그네틱웨이브로 변환하여 각 두뇌피질 영역으로 인가한다. 자기자극부(120,125,130,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코일(121)과, 마그네틱코일(121)의 외주연에 권취된 코일(123)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각 두뇌피질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자기자극부(120,125,130,140)는 자극신호를 직접 증폭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복수개의 자기자극부(120,125,130,140)는 일정 시간차를 두고 각각 서로 다른 영역의 두뇌피질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최종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시간차를 두고 자기자극이 연속하여 인가되게 된다.
마그네틱코일(121)은 지름 약 10mm의 직경의 원에 들어갈 수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자기자극부(120,125,130,140)를 통해 인가되는 자기자극은 가정용은 최대 100mG 이내로 구성되며, 병원 치료용은 필요에 따라 수 TESLA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자극부(120,125,130,140)에는 추가로 뇌파검사 피드백이 가능한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청음자극부(150)는 착용자의 귀로 청음자극을 인가한다. 청음자극은 일반적은 음원의 형태로 제공된다. 음원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음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착용자가 즐겨듣는 음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청음자극부(150)는 일반적인 헤드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청음자극부(150)를 통해 귀로 인가된 청음자극은 청각신경원 연수와, 우신경 색시상내측슬상체, 측두엽 청각연합영역 다중감각연합영역(multisensory association area MA), 전전두엽피질(prefrontal cortex, PF) 편도핵복합체(amygdaloid nuclear complex, AMYG) 등을 거쳐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최종 전달된다.
청음자극부(150)는 볼륨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착용자가 청음자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청음자극과 자기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전달되어 자극이 중첩적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연결라인(161)을 통해 전기적으로 자기자극부(120,125,130,140)와 청음자극부(150)와 연결된다. 제어부(160)는 경질 박스 내부에 구동기판과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독립적인 형태로 제작되거나, 일반적인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청음자극과 음원자극을 함께 일정 시간차를 두고 송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60) 내에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신호생성부(162)와, 청음신호를 발생하는 청음신호발생부(163)와, 청음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165)와, 청음신호와 자기신호를 청음자극부(150)와 자기자극부(120,125,130,140)로 송출하는 출력부(166)를 포함한다.
자기신호생성부(162)와 자기자극부(120,125,130,140)로 인가될 자기신호를 생성한다. 자기신호의 웨이브파형을 형성하고, 청음신호발생부(163)로 전송한다. 청음신호발생부(163)는 음원편집부(164)를 통해 편집된 음원을 자기신호와 함께 복호하여 청음신호를 생성한다.
청음신호발생부(163)에서 생성된 자기신호와 청음신호는 저장부(165)에 저장되고, 출력부(166)를 통해 자기자극부(120,125,130,140)와 청음자극부(150)로 전달된다.
이 때, 복수개의 자기자극부(120,125,130,140)로 인가되는 복수개의 자기신호와 청음신호를 각각 일정 시간차를 두고 형성된다. 이 때, 시간차는 -300mS ~ +300mS 범위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착용자는 머리에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100)를 착용한다. 가로밴드(111)를 이마와 양측에 착용하고, 한 쌍의 수직밴드(113,115)가 정수리 영역에 배치되도록 착용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자기자극부(120,125,130,140)가 목표 포인트의 두뇌피질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청음자극부(150)가 귀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저장부(165)에 기저장된 자기신호와 청음신호가 출력부(166)를 통해 자기자극부(120,125,130,140)와 청음자극부(15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파형의 자기자극(S1)과 청음자극(S2)가 일정 위상차를 두고, 즉 일정 시간간격(t))를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전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자극은 각 두뇌피질부를 통해 인가되고, 각 기관들에 유기적인 영향을 주며 최종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으로 전달된다.
네 개의 자기자극부(120,125,130,140)로 일정 시간 차를 두고 인가된 자기자극은 최종 신경전달물질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도달한다. 또한, 청음자극부(150)로 인가된 청음자극도 다른 시간 간격으로 도달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기관을 자극하게 되므로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활성화하게 된다. 따라서, 신경전달물질 과부족으로 야기되는 여러 증상등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우울증, 정신분열병, 불안, 강박장애, 조울증, 만성피로증후군, 공황장애, 뚜렛장애, ADHD 등 정신과적 질환 및 섬유근통, 두통, 각성정도, 수면정도, 스트레스, 기억력, 집중력, 학습증진, 내분비질환, 면역력 강화 및 위장관 폐기능 개선 등 부수적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는 자기자극과 청음자극을 일정 시간차를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기기관으로 인가하여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과부족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질병과 증후를 개선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110 : 지지프레임
111 : 가로밴드 113 : 제1수직밴드
115 : 제2수직밴드 120 : 제1자기자극부
125 : 제2자기자극부 130 : 제3자기자극부
140 : 제4자기자극부 150 : 청음자극부
160 : 제어부 161 : 연결라인
162 : 자기신호생성부 163 : 청음신호발생부
164 : 음원편집부 165 : 저장부
166 : 출력부

Claims (7)

  1.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착용자의 두뇌피질부 영역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두뇌피질부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자기자극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귀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뇌로 청음자극을 인가하는 청음자극부와;
    상기 자기자극부로 인가하는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부로 인가하는 청음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담당하는 목표위치로 시간적으로 가중되어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자극부와 상기 청음자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뇌피질부 영역은 서로 이격된 위치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자극부는 상기 복수개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자기자극부는 일정 시간차를 두고 상기 각 두뇌피질부 영역으로 자기자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 피질부 영역은 수프라파리에탈 루블(supraparietal lobule), 파라센트럴 루블(paracentral lobule), 미들 프론탈 지러스(middle frontal gyrus) 및 프론탈 폴(frontal pole)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음자극과 상기 자기자극을 위한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생성부와;
    상기 자기자극부와 상기 청음자극부로 상기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을 송출하는 복수개의 송출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채널로 송출되는 자기자극과 상기 청음자극의 송출시간을 시간차를 두고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는 -300mS ~ +300mS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착용자의 이마를 중심으로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청음자극부를 지지하는 가로밴드와;
    상기 가로밴드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착용자의 머리 중심 영역에 결합되는 수직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KR1020130057629A 2013-05-22 2013-05-22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KR10147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629A KR101475144B1 (ko) 2013-05-22 2013-05-22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629A KR101475144B1 (ko) 2013-05-22 2013-05-22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32A true KR20140137132A (ko) 2014-12-02
KR101475144B1 KR101475144B1 (ko) 2014-12-22

Family

ID=524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629A KR101475144B1 (ko) 2013-05-22 2013-05-22 신경전달물질 분비 제어를 위한 경두개 복합 자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880A (zh) * 2020-06-11 2020-11-24 天津工业大学 一种脑力疲劳干预设备及干预方法
WO2020246701A3 (ko) * 2019-06-04 2021-01-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경두개 자기장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876B1 (ko) * 2015-03-09 2015-06-15 주식회사 이베스트 영구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자기자극기 및 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53Y1 (ko) * 2000-06-15 2000-11-15 안일환 헤드셋
US7344509B2 (en) * 2003-04-17 2008-03-18 Kullervo Hynynen Shear mode therapeutic ultrasound
WO2008052166A2 (en) * 2006-10-26 2008-05-02 Wic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brain and body functions an treating conditions and diseases
US8972024B2 (en) * 2008-06-20 2015-03-03 Medrelief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transcranial electrotherap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01A3 (ko) * 2019-06-04 2021-01-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경두개 자기장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973880A (zh) * 2020-06-11 2020-11-24 天津工业大学 一种脑力疲劳干预设备及干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144B1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925B1 (ko) 뇌 자극 장치
US20210228898A1 (en) Magnetic stimulation coils and ferromagnetic components for treatment and diagnostic procedures
CN112236194A (zh) 感觉刺激装置
Monte-Silva et al. Shaping the optimal repetition interval for cath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US69781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brain wave stimulation
US2022016099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dulation of integrated neural networks to influence composite sensory processes
KR101511444B1 (ko) 헤드기어 타입의 tms 치료기
US20170080256A1 (en) Brain to brain interface system applied to single brain
Traikapi et al. Gamma oscillations in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potential therapeutic role
US20070055320A1 (en) Methods for treating temporal lobe epilepsy, associated neurological disorders, and other patient functions
US20110196267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of the occiput
US10722711B2 (en) Device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by means of multichannel bursts
KR20160018660A (ko)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KR20140123044A (ko) 귀 부근 신경 구조의 기능 조절
AU2010215122A1 (en) Sequentially Programmed Magnetic Field therapeutic system (SPMF)
SG191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conditions
Claes et al. Auditory cortex tACS and tRNS for tinnitus: single versus multiple sessions
WO2019184904A1 (zh) 中枢神经磁刺激装置及具有其的保健或医疗器械
Hoare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ear, head, cranial nerve, or cortex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 scoping review
Suk et al. Characteristics of stimulus intensity in transcutaneous vagus nerve stimulation for chronic tinnitus
KR102185269B1 (ko)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1514247A (ja) 治療および診断手順のための磁気刺激コイルおよび強磁性コンポーネント
CN112516457A (zh) 用于深部脑刺激的方法和装置
JP2023507802A (ja) 脳機能に影響を与える、及び/又はウェルネスを改善するための耳介神経刺激、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354385A (zh) 经颅多模态电刺激治疗仪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