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486A - 다중 흐름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흐름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486A
KR20140136486A KR1020147027967A KR20147027967A KR20140136486A KR 20140136486 A KR20140136486 A KR 20140136486A KR 1020147027967 A KR1020147027967 A KR 1020147027967A KR 20147027967 A KR20147027967 A KR 20147027967A KR 20140136486 A KR20140136486 A KR 2014013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cell
primary
quality
primary ser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732B1 (ko
Inventor
웨이얀 게
로히트 카푸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04W36/0235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by transmitting sequence numbers, e.g. SN status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Abstract

다운링크 반송파 집적이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이벤트들 동안의 감소된 데이터 손실을 위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서빙 셀 변경 이전과 이후 모두에 노드 B가 동일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하는 경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노드 B의 적어도 하나의 버퍼에 유지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이 제공된다. 서빙 셀 변경 전에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하는 노드 B로부터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하는 노드 B로 전달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 흐름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DPA COMMUNICATION NETWORK}
본 출원은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PDA Communication Network"라는 명칭으로 미국 특허상표청에 2012년 3월 8일자 출원된 가특허출원 제61/608,433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이 가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위해 다운링크에 대해 구성된 시스템에서의 서빙 셀 변경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대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로서 정의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이다.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술들에 대한 계승자인 UMTS는 현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 High Speed Packet Access)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고 있는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모바일 통신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발전 및 향상시키도록 UMTS 기술들을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일례로, (단일 기지국 또는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셀들이 이동국에 고속 다운링크 통신을 제공할 수 있어, 이동국이 이러한 셀들로부터의 송신들을 동일한 주파수 반송파 내에 집적할 수 있는 다중 흐름 HSDPA가 최근에 소개되었다. 비교적 새로운 시스템으로서, DC-HSDPA와 같은 다른 다운링크 반송파 집적 시스템들에서 해결되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들이 이 시스템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시스템 레벨 아키텍처, 패킷 흐름 제어, 이동성 등에 관련된 문제들을 확인하여 해결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다음은 본 개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양상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본 개시의 예측되는 모든 특징들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본 개시의 모든 양상들의 주요 또는 핵심 엘리먼트들을 식별하지도, 본 개시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의 범위를 기술하지도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 유일한 목적은 본 개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뒤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다중 흐름 HSPD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이 감소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RNC로부터 UE로 다운링크 흐름이 전송된다.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다음에, RNC에 의해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계속해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한다.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제 1 서빙 셀과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이 가장 강한 셀 품질에서부터 가장 약한 셀 품질까지로 랭크되어, 동작중인 서빙 셀이 선택된다.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이다.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전에, 제 1 서빙 셀과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UE로부터의 보고가 수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되고, 여기서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이다. 추가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서빙 셀들의 셀 품질들이 랭크될 수 있다.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 또는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이웃 서빙 셀이 추가될 수 있다. 서빙 변경이 있을 때,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이 전송될 수 있다.
이동성 이벤트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며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특정 서빙 셀에 대한 Ec/I0의 UE 측정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않으며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특정 서빙 셀에 대한 Ec/I0의 측정일 수 있다.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 또는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서빙 셀들로부터의 이웃 서빙 셀이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추가된다.
한 양상에 따르면,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1차 서빙 셀을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된다. 추가로,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2차 셀을 1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1차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된다.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되고,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2차 서빙 셀의 큐로부터 플러싱(flush)된다.
한 양상에 따르면,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1차 서빙 셀을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된다. 추가로,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2차 셀을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된다.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되고,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2차 서빙 셀의 큐로부터 플러싱된다.
한 양상에 따르면,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1차 서빙 셀을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된다.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되고,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1차 서빙 셀의 큐로부터 플러싱된다.
한 양상에 따르면,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2차 서빙 셀이 제거된다.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2차 서빙 셀의 큐로부터 플러싱된다.
한 양상에 따르면,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1차 서빙 셀을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된다. 다음에,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1차 서빙 셀이 제거된다.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1차 서빙 셀의 큐로부터 플러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여기서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계속해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및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전에, 이 장치는 제 1 서빙 셀과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UE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되고, 여기서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이다. 보고는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셀들의 셀 품질들의 랭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 또는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이웃 셀이 추가된다.
추가로, 이 장치는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다중 흐름 HSPD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여기서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계속해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및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여기서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계속해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및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다중 흐름 HSPD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고;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여기서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계속해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그리고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서빙 셀과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여,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갖는 동작중인 서빙 셀을 선택하고 ― 여기서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임 ―; 이동성 이벤트에 관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서빙 셀들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 또는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서빙 셀들로부터의 이웃 서빙 셀을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추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1은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이벤트 1A 프로시저를 나타내는 호 흐름도이다.
도 6은 이벤트 1B 프로시저를 나타내는 호 흐름도이다.
도 7은 이벤트 1D 프로시저를 나타내는 호 흐름도이다.
도 8은 종래의 HSDPA 또는 DC-HSDPA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B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B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도 18은 다중 흐름 HSPD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떤 경우들에는, 이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처리 시스템(114)을 이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엘리먼트나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104)을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114)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4)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gated)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당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처리 시스템(114)은 일반적으로 버스(102)로 제시된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2)는 처리 시스템(1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많은 수의 상호 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04)로 제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 메모리(105) 및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로 제시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서로 링크한다. 버스(102)는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그리고 이에 따라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 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와 트랜시버(1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4)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여, 버스(102)의 관리 및 일반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시스템(114)이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 실행시 프로세서(1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처리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104)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식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 파일(executable)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PROM: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한 PROM(EPROM: erasable 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착탈식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반송파, 전송 라인,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는 처리 시스템(114) 내에 상주하거나, 처리 시스템(114) 외부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처리 시스템(114)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6)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설명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방식을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 전반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광범위한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한정 없이 실례가 되는 예로서,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 시스템(200)을 참조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 작용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20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예를 들어,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202)) 및 사용자 장비(UE)(210)를 포함한다. UTRAN(202)에 이용 가능한 여러 가지 옵션들 중에서, 이 예에서는, 예시된 UTRAN(202)이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UTRAN(202)은 RNS(207)와 같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RNC(206)와 같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UTRAN(202)은 예시된 RNC들(206)과 RNS들(207) 외에도, 많은 수의 RNC들(206) 및 RNS들(207)을 포함할 수 있다. RNC(206)는 무엇보다도, RNS(207) 내에서 무선 자원들의 할당, 재구성 및 해제를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206)는 임의의 적당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202) 내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RNC들에 상호 접속될 수 있다.
RNS(207)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은 각각의 셀을 서빙하는 무선 트랜시버 장치를 갖는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노드 B로 지칭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기지국(BS: base station), 기지국 트랜시버(BTS: 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 extended service set),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각각의 RNS(207)에 3개의 노드 B들(208)이 도시되지만, RNS들(207)은 많은 수의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드 B들(208)은 많은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코어 네트워크(204)에 대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동국(MS: mobile station),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AT: access terminal),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도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210)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211)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 목적으로, 하나의 UE(210)가 다수의 노드 B들(2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다운링크(DL)는 노드 B(208)로부터 UE(210)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업링크(UL)는 UE(210)로부터 노드 B(208)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코어 네트워크(204)는 UTRAN(202)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204)는 UMTS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UMTS 네트워크들 이외의 다른 타입들의 코어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는 UE들을 제공하도록, RAN 또는 다른 적당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된 UMTS 코어 네트워크(204)는 회선 교환(CS: circuit-switched) 도메인 및 패킷 교환(PS: packet-switched)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 교환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 센터(MSC: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re),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게이트웨이 MSC(GMSC: Gateway MSC)이다. 패킷 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 교환 도메인과 패킷 교환 도메인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204)는 MSC(212) 및 GMSC(214)와의 회선 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2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로 지칭될 수 있다. RNC(206)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RNC들(206)은 MSC(212)에 접속될 수 있다. MSC(212)는 호 셋업, 호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212)는 또한, UE가 MSC(21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기간 동안 가입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를 포함한다. GMSC(214)는 UE가 회선 교환 네트워크(216)에 액세스하도록 MSC(212)를 통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214)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사항들을 반영한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215)를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 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 authentication center)와 연관된다. 특정 UE에 대해 호가 수신되면, GMSC(214)는 HLR(215)을 조회하여 UE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 MSC로 호를 전달한다.
예시된 코어 네트워크(204)는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2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220)와의 패킷 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표준 회선 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에 이용 가능한 것들보다 더 높은 속도들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220)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222)에 UTRAN(20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 기반 네트워크(222)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패킷 기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GSN(220) 주요 기능은 UE들(210)에 패킷 기반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SGSN(218)을 통해 GGSN(220)과 UE들(210) 사이로 전달될 수 있으며, SGSN(218)은 주로, MSC(212)가 회선 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 기반 도메인에서 수행한다.
UTRAN 에어 인터페이스는 W-CDMA 표준들을 이용하는 시스템과 같은 확산 스펙트럼 직접 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DS-CDMA: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일 수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들로 지칭되는 의사 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와의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UTRAN(202)에 대한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DS-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또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을 필요로 한다. FDD는 노드 B(408)와 UE(210) 사이의 업링크(UL)와 다운링크(DL)에 대해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이용하며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을 사용하는 UMTS에 대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참조할 수도 있지만, 기본 원리들은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나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에어 인터페이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고 인식할 것이다.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에어 인터페이스는 UE(210)와 UTRAN(202) 간의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확장들을 포함하여, 사용자들에 대해 더 큰 스루풋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전 표준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 중에서, HSPA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공유 채널 전송 그리고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을 이용한다. HSPA를 규정하는 표준들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확장된 업링크 또는 EUL(enhanced uplink)로도 또한 지칭되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포함한다.
무선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UMTS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프로토콜 스택은 비액세스층(NAS: Non-Access Stratum)과 액세스층(AS: Access Stratum)으로 분할된다. NAS는 UE(210)와 코어 네트워크(204) 간의 시그널링(도 2 참조)을 위한 상위 계층들을 제공하고, 회선 교환 프로토콜과 패킷 교환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AS는 UTRAN(202)과 UE(210)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하위 계층들을 제공하고,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평면이나 데이터 평면은 사용자 트래픽을 전달하는 한편, 제어 평면은 제어 정보(즉, 시그널링)을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S가 3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으로 도시된다. 계층 1은 최하위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은 본 명세서에서 물리 계층(306)으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L2 계층)(308)로 지칭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306)보다 위에 있고 물리 계층(306) 위에서 UE와 노드 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계층 3에서, RRC 계층(316)은 UE와 RNC 간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RRC 계층(316)은 상위 계층 메시지들의 라우팅,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기능들의 처리,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 및 구성 등을 위한 다수의 기능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예시된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L2 계층(308)은 부계층들로 분할된다. 제어 평면에서, L2 계층(308)은 2개의 부계층들: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부계층(310) 및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부계층(312)을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308)은 추가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부계층(314)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의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결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그리고 접속의 다른 종단(예를 들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결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L2 계층(308) 위의 여러 상위 계층들을 가질 수 있다.
PDCP 부계층(314)은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PDCP 부계층(314)은 또한, 무선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의 암호화에 의한 보안, 그리고 노드 B들 사이의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부계층(312)은 일반적으로, 확인 응답, 비확인(unacknowledged) 및 투명 모드 데이터 전송들을 지원하며,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분할 및 리어셈블리, 상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전송,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으로 인한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정렬을 제공한다. 즉, RLC 부계층(312)은 실패한 패킷들의 재전송들을 요청할 수 있는 재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여기서, RLC 부계층(312)이 어떤 최대 개수의 재전송들 또는 송신 시간의 만료 이후에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다면, 상위 계층들에 이러한 상태가 통보되고, RLC SDU가 폐기될 수 있다.
또한, RNC(206)(도 2 참조)에서의 RLC 부계층은 RL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들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C는 노드 B에 전송할 데이터의 양의 결정할 수 있고, 다운링크 집적의 경우에, 예를 들어 DC-HSDPA 시스템 또는 다중 포인트 HSDPA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묶음(batch)들로 분할하고 이러한 묶음들 또는 패킷들을 다수의 노드 B들 사이에 분산시키는 것을 비롯한 그 할당의 세부사항들을 관리할 수 있다.
MAC 부계층(310)은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MAC 부계층(310)은 또한 HARQ 동작들뿐만 아니라, 하나의 셀에서의 다양한 무선 자원들(예를 들어, 자원 블록들)을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부계층(310)은 MAC-d 엔티티 및 MAC-hs/ehs 엔티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다양한 MAC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UTRAN(202)은 본 개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RAN의 일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로서 그리고 한정 없이, UTRAN 아키텍처의 RAN(400)의 단순화된 개략도가 예시된다. 이 시스템은 셀들(402, 404, 4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셀들"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UE들과 노드 B들 사이의 통신 채널들을 의미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섹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셀들은 지리적으로,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파수, 스크램블링 코드 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즉, 예시된 지리적으로 정의된 셀들(402, 404, 406)은 각각,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셀들로 더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404a)은 제 1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셀(404b)은 동일한 지리적 영역에 있으면서 동일한 노드 B(444)에 의해 서빙되는 동안, 제 2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섹터들로 분할된 셀에서, 셀 내의 다수의 섹터들은, 셀의 일부에서 UE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각각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402)에서, 안테나 그룹들(412, 414, 416)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404)에서, 안테나 그룹들(418, 420, 422)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406)에서, 안테나 그룹들(424, 426, 428)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들(402, 404, 406)은 각각의 셀(402, 404 또는 406)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터들과 통신할 수도 있는 여러 개의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430, 432)은 노드 B(442)와 통신할 수도 있고, UE들(434, 436)은 노드 B(444)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UE들(438, 440)은 노드 B(446)와 통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442, 444, 446)는 각각의 셀들(402, 404, 406) 내의 모든 UE들(430, 432, 434, 436, 438, 440)에 코어 네트워크(204)(도 2 참조)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소스 셀(404a)에 의한 호 도중, 또는 임의의 다른 시점에, UE(436)는 소스 셀(404a)의 다양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셀들(404b, 406, 402)과 같은 이웃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 또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따라, UE(436)는 이웃 셀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셀과 어떤 레벨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UE(436)는 액티브 세트, 즉 UE(436)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이나 프랙셔널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F-DPCH: fractional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UE(436)에 현재 할당하고 있는 UTRA 셀들이 액티브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세트 내의 셀들은 UE로의 소프트 핸드오버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UE는 추가로, UE가 측정할 수 있지만 그들의 신호 세기가 액티브 세트에 포함되기에는 충분히 높지 않은 셀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이웃 세트 또는 모니터링되는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세트의 관리는 RNC와 UE 사이의 특정한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들의 사용을 통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세트에 포함할 셀들의 선택은 특정한 UE 측정들에 좌우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UE의 모니터링되는 세트 내의 각각의 셀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예를 들어,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common pilot channel))의 신호 세기와 잡음 플로어 간의 비(Ec/I0)를 측정할 수 있다. 즉, UE는 근처의 셀들에 대한 Ec/I0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들에 기초하여 셀들을 랭크할 수 있다.
셀의 랭크가 변화할 때, 또는 (뒤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임의의 다른 보고 트리거 또는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UE는 특정한 RRC 메시지들을 RNC에 전송하여 이러한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RNC는 UE에 대한 액티브 세트를 변경하기로 결정하고, 액티브 세트의 변경을 지시하는 RRC 메시지(즉,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RNC는 UE와의 통신을 위한 셀들을 구성하기 위해 노드 B 애플리케이션부(NBAP: Node B Application Part)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노드 B 또는 노드 B들과 통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RNC는 물리 채널 재구성(PCR: Physical Channel Reconfiguration) 메시지와 같은 추가 RRC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으며, PCR 완료에 대한 UE로부터의 RRC 응답이 재구성의 성공을 나타낼 수 있다.
한 가지 보고 트리거는 1차 CPICH가 UE에 대한 보고 범위에 들어갈 때 발생할 수 있다. 즉, 특정 셀에 대한 Ec/I0가 특정한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1차 서빙 셀의 Ec/I0 미만의 일정 수의 ㏈)에 도달하고 그 레벨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액티브 세트에 셀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경우에, 이벤트 1A로 지칭되는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이벤트 1A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이러한 호 흐름도 및 다음의 호 흐름도들에서, 시간은 일반적으로 도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되지만, 많은 경우들에 신호들의 예시된 시퀀스는 단지 가능한 시퀀스인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다른 시퀀스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호 흐름도들의 우측의 시퀀스 번호들은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치되며, 각각의 시간 번호는 순간에서부터 몇 초까지의 임의의 타당한 기간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UE(502)가 셀 2의 측정이 임계치를 초과하게 증가하여 보고 범위에 들어갔다고 결정하였고, 따라서 UE(502)는 이벤트 1A를 포함하며 셀 2(506)를 식별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2)에서 RNC(508)가 UE(502)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2(506)와 통신할 수 있다. 시점(3)에서, RNC(508)는 UE(502)에 RRC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UE(502)의 액티브 세트에 셀 2(506)를 추가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UE(502)는 시점(4)에서 RNC(508)에 RRC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로 응답하여,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를 완료할 수 있다.
1차 CPICH가 보고 범위를 벗어날 때 다른 보고 트리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특정 셀에 대한 Ec/I0가 특정한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1차 서빙 셀의 Ec/I0 미만의 일정 수의 ㏈)에 미치지 않고 그 레벨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액티브 세트로부터 셀을 제거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경우에, 이벤트 1B로 지칭되는 보고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이벤트 1B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2(506)가 보고 범위를 벗어났다고 UE(502)가 결정하였다. 따라서 UE(502)는 이벤트 1B를 포함하며 셀 2(506)를 식별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2)에서 RNC(508)가 UE(502)에 RRC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액티브 세트로부터 셀 2(506)를 제거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시점(3)에서, UE(502)는 RNC(508)에 RRC 액티브 세트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로 응답하여, 액티브 세트가 업데이트된다고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 시점(4)에서 RNC(508)가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2(506)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셀 2(506)와 UE(502) 사이의 무선 링크를 삭제할 수 있다.
액티브 세트가 가득 차 있고 액티브 세트 밖의 후보 셀의 1차 CPICH가 액티브 세트 내의 가장 약한 셀의 1차 CPICH를 초과하여 액티브 세트 내의 가장 약한 셀을 후보 셀로 대체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경우에, 다른 보고 트리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1C로 지칭되는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여, 결합된 무선 링크 추가 및 제거를 야기할 수 있다. 이벤트 1C는 실질적으로 이벤트 1A와 이벤트 1B의 결합이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지 않는다.
3GPP 표준군의 릴리스(Release) 5에서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가 소개되었다. HSDPA는 그 자신의 전송 채널로서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하는데, HS-DSCH는 여러 개의 UE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HS-DSCH는 3개의 물리 채널들: 고속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 high-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및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HS-DPCCH: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에 의해 구현된다.
HS-DSCH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HS-SCCH와 연관될 수 있다. HS-SCCH는 HS-DSCH의 전송과 관련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물리 채널이다. UE는 HS-SCCH를 끊임없이 모니터링하여, HS-DSCH로부터 언제 자신의 데이터를 판독할지, 그리고 할당된 물리 채널에 사용되는 변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HS-PDSCH는 여러 개의 UE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물리 채널이다. HS-PDSCH는 직각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및 16-직각 진폭 변조(16-QAM: 1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그리고 다중 코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HS-DPCCH는 노드 B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 노드 B를 보조하도록 UE로부터의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는 업링크 물리 채널이다. 피드백은 이전 HS-DSCH 전송의 채널 품질 표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긍정 또는 부정 확인 응답(ACK/NAK)을 포함할 수 있다.
HSDPA와 이전에 표준화된 회선 교환 에어 인터페이스 사이의 다운링크에 대한 한 가지 차이점은 HSDPA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의 부재이다. 이것은 HSDPA 서빙 셀로 지칭되는 단일 셀로부터 UE로 HSDPA 채널들이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이동할 때, 또는 하나의 셀이 다른 셀보다 더 바람직해질 때, HSDPA 서빙 셀이 변경될 수 있다. 또, UE는 연관된 DPCH 상에서 소프트 핸드오버하고 있어, 복수의 셀들로부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Rel. 5 HSDPA에서, 임의의 경우에 UE는 Ec/I0 UE 측정들에 따라 액티브 세트 내의 가장 강한 셀인 하나의 서빙 셀을 갖는다. 3GPP TS 25.331의 Rel. 5에 정의된 이동성 프로시저들에 따라, HSDPA 서빙 셀을 변경하기 위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UE가 더 강한 셀(즉, 타깃 셀)인 것으로 보고하는 셀이 아니라 현재의 HSDPA 서빙 셀(즉, 소스 셀)로부터 전송된다.
즉, HSDPA에 대해 앞서 설명한 이벤트 1A 및 이벤트 1B를 다루는 보고 트리거들 외에도, (액티브 세트 내에 있을 수도 아니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이웃 셀이 Ec/I0의 UE 측정들에 따라 서빙 HS-DSCH 셀의 품질을 초과할 때 다른 보고 트리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HS-DSCH 셀을 재선택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도 7은 최선의 서빙 HS-DSCH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504)이 서빙 HS-DSCH 셀로서 시작한다. 시점(2)에서, UE(502)는 자신의 CPICH Ec/I0에 관하여 셀 2(506)가 셀 1(504)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502)는 이벤트 1D를 포함하며 셀 2(506)를 식별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508)는 UE(502)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2(506)에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시점(4)에서, RNC(508)는 셀 2(506)가 새로운 서빙 HS-DSCH 셀이 될 것이라는 서빙 셀 변경을 지시하는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요청을 UE(5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UE(502)는 시점(5)에서 RNC(508)에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시점(6)에서, RNC는 셀 1(504)에서 무선 링크 설정을 삭제하도록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7)에서는, 새로운 서빙 HS-DSCH 셀, 즉 셀 2(506)로 HSDPA 서비스가 시작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주파수 간 핸드오버들에 대해 몇 가지 차이점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그것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며 본 명세서에서는 논의되지 않는다.
도 8은 HSDPA 네트워크에서 노드 B(804)를 통과하는 RNC(802)와 UE(806) 간 다운링크 경로의 개략적인 예로, 각각의 노드들에서 부계층들의 일부를 보여준다. 여기서, RNC(802)는 도 2에 예시된 RNC(206)와 동일할 수 있고, 노드 B(804)는 도 2에 예시된 노드 B(208)와 동일할 수 있고, UE(806)는 도 2에 예시된 UE(210)와 동일할 수 있다. RNC(802)는 MAC-d 그리고 그 위, 예를 들면 RLC 부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부터의 프로토콜 계층들을 수용한다. 고속 채널들의 경우, MAC-hs/ehs 계층이 노드 B(804)에 수용된다. 또한, 노드 B(804)의 PHY 계층은 예를 들어, HS-DSCH를 통해 UE(806)의 PHY 계층과 통신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E(806) 측면에서, MAC-d 엔티티는 모든 전용 전송 채널들에 대한, MAC-c/sh/m 엔티티에 대한, 그리고 MAC-hs/ehs 엔티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UE(806) 측면에서, MAC-hs/ehs 엔티티는 HSDPA 특정 기능들을 취급하고 HS-DSCH 전송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위 계층들은 2개의 엔티티들, 즉 MAC-hs 또는 MAC-ehs 중 어느 것이 HS-DSCH 기능을 다루도록 적용될지를 구성한다.
3GPP 표준들의 릴리스 8은 UE가 듀얼 인접 5-MHz 다운링크 반송파들을 집적할 수 있게 하는 듀얼 셀 HSDPA(DC-HSDPA: dual cell HSDPA)를 제시하였다. 듀얼 반송파 접근 방식은 다중 반송파 위치들에서 더 높은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들 및 더 양호한 효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DC-HSDPA는 1차(앵커) 반송파 및 2차 반송파를 이용하며, 여기서 1차 반송파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채널들 및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채널들을 제공하고, 2차 반송파는 다운링크 통신을 위한 제 2 세트의 HS-PDSCH들 및 HS-SCCH들을 제공한다.
DC-HSDPA에서, 다운링크 반송파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셀에 의해 제공되고, 이동성은 1차 반송파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성 프로시저들은 단일 반송파 HSDPA에 이용되는 것들과 대부분 동일하다. 그러나 모든 셀들이 DC-HSDPA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RRC 핸드오버 메시징에 추가 정보가 포함되어, 타깃 셀로의 핸드오버 후에 단일 반송파를 사용할지 아니면 듀얼 반송파들을 사용할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DC-HSDPA 가능 노드 B로의 핸드오버에 대한 RRC 메시지 내의 정보 엘리먼트(IE: information element)는 타깃 셀의 2차 반송파에 대한 주파수 또는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소프트 집적으로 지칭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반송파 집적은 다운링크 반송파 집적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다운링크 반송파들은 동일한 주파수 반송파를 이용한다. 소프트 집적은 단일 반송파 네트워크에서 DC-HSDPA에 대해 비슷한 이득들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 따른 소프트 집적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9에서, 둘 또는 그보다 많은 셀들(914, 916) 사이에 지리적 중첩이 존재할 수 있어, UE(910)는 적어도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다수의 셀들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전기 통신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셀들로부터 HSDPA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UE가 집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UE는 1차 서빙 셀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다운링크들을 집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또는 그보다 많은 셀들을 이용하는 설정은 다중 흐름 HSDPA(MF-HSDPA: Multi-Flow HSDPA), 협력형 다중 포인트 HSDPA(CoMP HSDPA: coordinated multi-point HSDPA), 또는 단순히 다중 포인트 HSDPA로 지칭될 수 있다. 동일한 주파수의 반송파 상에서 HSDPA 데이터를 각각 제공하는 2개의 셀들을 이용하는 한 가지 특정 구성은 간혹 단일 주파수 듀얼 셀 HSDPA(SF-DC-HSDPA: single frequency dual cell HSDPA)로 지칭된다. 그러나 다른 용어가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전체 시스템뿐만 아니라 셀 경계들에 있는 사용자들 또한 높은 스루풋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는, 동일한 노드 B에 의해 서로 다른 셀들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노드 B들에 의해 서로 다른 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셀들은 1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1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방식으로, 2개의 노드 B들(902, 904)은 각각 다운링크 셀(906, 908)을 각각 제공하며, 여기서 다운링크 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이다. 물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예에서는 두 다운링크 셀들(906, 908) 모두가 동일한 노드 B의 서로 다른 섹터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UE(910)는 다운링크 셀들을 수신하여 집적하고, 하나의 또는 두 노드 B들(902, 90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업링크 채널(912)을 제공한다. UE(910)로부터의 업링크 채널(912)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다운링크 셀들(906, 908)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종래의 HSDPA 가능 UE(806)와 비교하여, DC-HSDPA 가능 UE는 2개의 수신 체인들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반송파로부터의 HS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중 흐름 HSDPA 가능 UE에서, 복수의 수신 체인들이 서로 다른 셀들로부터의 HS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면, 단일 반송파 네트워크에서 집적으로부터의 적어도 일부 이익들이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집적되는 셀들은 UE의 액티브 세트 내의 셀들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셀들은 다운링크 채널 품질에 따라 결정된, 액티브 세트 내의 가장 강한 셀들일 수 있다. 가장 강한 셀들이 서로 다른 노드 B 위치들에 있다면, 이 방식은 '소프트 집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집적될 가장 강한 셀들이 동일한 노드 B 사이트에 있다면, 이 방식은 '소프터 집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소프터 집적은 평가 및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소프터 핸드오버에서의 UE들의 비율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소프터 집적으로부터의 이득 역시 그에 대응하여 제한될 수 있다. 소프터 집적과 비교하면, 소프트 집적은 더 큰 이익을 제공할 잠재력을 갖는다. 그러나 업링크 오버헤드 채널 성능 및 비순차적 전달에 관련된 다양한 우려들이 있다.
두 셀들 모두 단일 노드 B에 의해 제공되는(즉, 소프터 집적) 종래의 DC-HSDPA 또는 다중 흐름 HSDPA 시스템에서는, 도 8에 예시된 종래의 HSDPA 시스템과 대체로 동일하게 2개의 셀들이 동일한 MAC-ehs 엔티티를 공유할 수 있다. 그 구성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일 노드 B 위치로부터 UE(806)로 가기 때문에, UE(806)의 RLC 엔티티는 일반적으로, 패킷들이 이들 각자의 RLC 시퀀스 번호들에 따라 순서대로 전송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패킷들의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임의의 갭은 패킷 실패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RNC의 RLC 엔티티는 단순히, 누락된 시퀀스 번호들에 대응하는 모든 패킷들을 재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양상에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RNC(1002)는 복수의 노드 B들(1004, 1006)에 패킷들을 제공하는 다중 링크 RLC 부계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복수의 노드 B들(1004, 1006)은 각각 UE(1008)에 다운링크 HS 송신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UE는 다운링크 집적, 예를 들어 다중 흐름 HSDPA이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UE(1008)는 복수의 MAC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MAC 엔티티들 각각은 대응하는 노드 B 위치들로부터의 서로 다른 서빙 셀(예를 들어,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UE(1008) 내의 하나의 MAC 엔티티는 1차 서빙 셀을 제공하는 제 1 노드 B(1004)에 대응할 수 있고, UE(1008) 내의 제 2 MAC 엔티티는 2차 서빙 셀을 제공하는 제 2 노드 B(1006)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이유들로, 특정 MAC 엔티티와 특정 노드 B의 페어링이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시는 단지 가능한 일례일 뿐이다.
따라서 RNC(1002)는 다중 링크 RLC 부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흐름 제어 알고리즘이 복수의 RLC 링크들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Iub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예를 들어, 노드 B들(1004, 1006)의) 복수의 셀들 사이에 UE(1008)에 대한 패킷들을 할당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 따른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UE(1110)의 컴포넌트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예시에서, UE(1110)는 SF-DC 또는 DF-DC HSDPA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각각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2 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UE(1110)는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또는 임의의 적당한 수의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들에서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많은 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UE(1110)는 단일 대역 네트워크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UE가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대역들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반송파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UE가 다이플렉서와 같은 블록들을 더 포함할 것이다.
안테나들 각각에는 각각의 RF 프론트엔드(1102, 1104)가 연결될 수 있다. RF 프론트엔드는 RF 하향 변환, 저역 통과 필터링 등과 같은 그러한 기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RF 프론트엔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6, 1108)에 들어가고(feed),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6, 1108)는 수신된 다운링크 채널들을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또는 BBU(1110)에 의해 추가 처리되도록 디지털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BBU(1110)는 수신된 전송 블록들을 수신된 정보에 따라 추가 처리되게 프로세서(1112)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반송파/안테나 분리, 기저대역 검출기 및 기저대역 디코더와 같은 그러한 기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서(1112)는 도 1에 예시된 처리 시스템(114)과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2)는 추가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기들(11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송신기들(1114)은 적당한 듀플렉서에 의해 관리되는 바와 같이 UE의 안테나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2)는 정보의 처리에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18)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중 흐름 HSDPA 시스템에 대한 이동성은 HSDPA 또는 DC-HSDPA 시스템에 대한 이동성보다 다소 더 복잡해질 수 있는데, 이는 그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노드 B 위치로부터의 각각의 HS 다운링크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는데 반해, 다중 흐름 HSDPA의 경우에는 복수의 노드 B 위치들과의 액티브 링크가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HSDPA 또는 DC-HSDPA 네트워크에서는, (서빙 HS-DSCH 셀로 지칭되는) 단일 서빙 셀에 의해 UE에 고속 다운링크가 제공된다. 핸드오버 또는 서빙 셀 변경 이전에, 서빙 HS-DSCH 셀은 소스 셀로 지칭될 수 있다. 서빙 셀 변경 이후, (예를 들어, 이벤트 1D를 통해) 서빙 HS-DSCH 셀이 타깃 셀로 지칭될 수 있는 다른 셀로 대체되면, 네트워크와 UE 모두 일반적으로, 흐름에 대응하는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한다. 예를 들어, MAC 계층의 HARQ 버퍼 내의 데이터가 플러싱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손실로 이어지고,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들(예를 들어, RLC 또는 TCP)에 의한 손실된 데이터의 추가 재전송을 야기한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노드 B 간 SF-DC HSDPA에서는, 앵커 스위칭이 발생할 때(예를 들어, 1차 서빙 셀과 2차 서빙 셀이 교환될 때), 네트워크 측과 UE 측의 HARQ 버퍼가 플러싱되어, RLC/TCP 재전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서빙 셀 변경 프로시저 동안의 앞서 설명한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다운링크 반송파 집적을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서빙 셀 프로시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는,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에서 앵커 스위칭이 발생할 때, 네트워크와 UE는 HARQ 버퍼에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플러싱되는 종래의 네트워크들과는 대조적이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는,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들에 대해, HARQ ID 및 TSN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런 식으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HARQ 버퍼 내의 모든 데이터가 앵커 스위칭 이후 새로운 서빙 셀들로부터 UE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셀 변경과 연관된 데이터 손실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앵커 스위칭 시나리오와 관련된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는, 앵커 스위칭시 각각의 버퍼들 내에 데이터를 유지하기보다는, 소스 셀 및 타깃 셀의 각각의 버퍼들 내의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즉, 소스 셀에 버퍼링된 데이터는 타깃 셀에 전송될 수 있고, 타깃 셀에 버퍼링된 데이터는 소스 셀에 전송될 수 있다. 실례가 되는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노드 B(902)는 자신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Iub 인터페이스(920)를 통해 RNC(918)에 전송할 수 있고, RNC(918)는 이에 따라 Iub 인터페이스(922)를 통해 타깃 노드 B(904)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타깃 노드 B(904)는 자신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Iub 인터페이스(922)를 통해 RNC(918)에 전송할 수 있고, RNC(918)는 이에 따라 Iub 인터페이스(920)를 통해 소스 노드 B(902)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앵커 스위칭 이후에, 노드 B들(902, 904)은 앵커 반송파 및 2차 반송파에 대응하는 흐름을 유지하는 식으로, 그에 따라 데이터를 UE(9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다운링크 반송파 집적을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 예를 들어 다중 흐름 HSDPA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이동성 이벤트들을 적용하도록 일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 변경을 위한 패러다임이 설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서빙 셀 변경 이후의 서빙 HS-DSCH 셀로서 노드 B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노드 B에 그리고 UE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플러싱되기보다는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서빙 셀 변경 프로시저의 과정 동안 서빙 HS-DSCH 셀로서 노드 B가 제거된다면, 버퍼링된 데이터가 플러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백홀 접속들을 이용하여 노드 B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노드 B는 서빙 셀 변경 이후의 서빙 HS-DSCH 셀로서 작동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서빙 셀들의 세트로부터의 1차 서빙 HS-DSCH 셀 또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제거시, 또는 서빙 셀들의 세트로부터의 1차 서빙 HS-DSCH 셀 또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추가시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예들에서는 많은 수의 서빙 HS-DSCH 셀들이 존재하여, UE 및 네트워크의 성능들에 따라 임의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반송파 주파수들로 UE에 다운링크 반송파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예시적인 SF-DC HSDPA 네트워크에 대한 한 세트의 이동성 이벤트들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는 2개의 상이한 노드 B들에 의해 2개의 다운링크 반송파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서빙 셀들은 1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1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표에서, 3개의 서로 다른 노드 B들은 각각 X, Y 그리고 Z로 표기된다. 좌측을 향하는 열들에서, X와 Y로 라벨링된 노드 B들이 이동성 이벤트 또는 서빙 셀 변경 이전의 서빙 셀들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열들의 바로 우측에는 이동성 이벤트 또는 서빙 셀 변경 이후 어느 노드 B들이 서빙 셀들로서 동작하는지가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표의 우측에는 흐름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버퍼들을 플러싱한 노드 B들을 나타내는 셀 지시자들이 예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드 B가 서빙 셀 변경 이전의 서빙 셀로서 동작했고, 또한 서빙 셀 변경 이후의 서빙 셀로서 동작한다면, 그 노드 B의 버퍼들, 예를 들어 HARQ 버퍼는 플러싱되지 않는다.
표 1: SF - DC 에서의 이동성 이벤트들
이동성 이벤트 이동성 이벤트 전의 서빙 셀들 이동성 이벤트 이후의 서빙 셀들 셀이 플러싱함 셀이 플러싱하지 않음
1차 셀 2차 셀 1차 셀 2차 셀
앵커 스위칭(1D) X Y Y X X, Y
2차 셀 변경(E1D') X Y X Z Y X
1차 셀 변경(E1D) X Y Z X Y X
1차 셀 변경(E1D) X Y Y Z X Y
1차 셀 변경(E1D) X Y Z Y X Y
서빙 셀 제거(E1B) X Y X Y X
서빙 셀 제거(E1B) X Y Y X Y
2차 셀 변경(이벤트 1 D' )
도 12는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1204)이 제 1 또는 1차 서빙 셀로서 시작되고 셀 2(1206)가 제 2 또는 2차 서빙 셀로서 시작된다. 셀 3(1208)은 UE가 모니터링하여 그 셀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웃 셀이다. 이웃 셀들은 액티브 세트 내에 있을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시점(2)에서, UE(1202)는 셀 3(1208)이 그 셀 품질(또는 CPICH Ec/I0) 면에서 셀 2(1206)를 초과하지만 그 셀 품질 면에서 셀 1(1202)을 초과하는 데는 실패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202)는 이벤트 1D'를 포함하며 셀 3(1208)을 식별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1210)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평가하여 UE(1202)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3(1208)에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시점(4)에서 RNC(1210)가 셀 2(1206)와 UE(1202) 사이의 무선 링크를 삭제하고 흐름에 대응하는 셀 2(1206) 내의 큐에서의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2(1206)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시점(5)에서, RNC(1210)는 셀 3(1208)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1(1204)은 그대로 1차 서빙 셀로 유지될 것이라는 서빙 셀 변경을 지시하는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요청을 UE(12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UE(1202)는 시점(6)에서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로 RNC(1210)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7)에서는, 새로운 2차 서빙 셀인 셀 3(1208)으로 HSDPA 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다.
즉, 이동성 이벤트 1D'가 발생했을 때,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X인) 셀 1(1204)이 액티브 세트 내의 가장 강한 셀이기 때문에 셀 1(1204)이 계속해서 1차 서빙 셀의 역할을 하고, (이웃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Z인) 셀 3(1208)은 셀 2(1206)(원래의 2차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Y)보다 더 강한 서빙 셀이지만 원래의 1차 서빙 셀인 셀 1(1204)보다는 더 약하므로, 셀 3(1208)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된다. 셀 3(1208)이 셀 2(1206)보다 더 강한 셀이므로, 셀 3(1208)이 2차 서빙 셀로서 셀 2(1206)를 대신할 수 있다. 셀 1(1204)은 2차 서빙 셀 변경 이후에 그대로 1차 서빙 셀로서 유지되므로, 셀 1(1204)에 그리고 UE에 버퍼링된 데이터는 플러싱되기보다는 유지될 수 있다. 셀 2(1206)가 제 2 서빙 셀로서 셀 3(1208)으로 대체되었고 더 이상 서빙 셀로서 동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셀 2(1206)에 저장된 버퍼링된 데이터는 플러싱된다.
1차 셀 변경(이벤트 1D) - 제 1 예
도 13은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1304)이 1차 서빙 셀로서 시작되고 셀 2(1306)가 2차 서빙 셀로서 시작된다. 셀 3(1308)은 UE가 모니터링하여 그 셀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웃 셀이다. 이웃 셀들은 액티브 세트 내에 있을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시점(2)에서, UE(1302)는 셀 3(1308)이 그 셀 품질(또는 CPICH Ec/I0) 면에서 셀 1(1304)과 셀 2(1306)를 초과하지만 셀 1(1304)이 여전히 셀 2(1306)의 셀 품질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302)는 이벤트 1D를 포함하며 셀 3(1308)의 셀 품질이 셀 1(1304) 및 셀 2(1306)의 셀 품질을 초과하지만 셀 1(1304)의 셀 품질이 여전히 셀 2(1306)의 셀 품질을 초과함을 확인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1310)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평가하여 UE(1302)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3(1308)에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시점(4)에서 RNC(1310)가 셀 2(1306)와 UE(1302) 사이의 무선 링크를 삭제하고 흐름에 대응하는 셀 2(1306)에서의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2(1306)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시점(5)에서, RNC(1310)는 셀 3(1308)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1(1304)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될 것이라는 서빙 셀 변경을 지시하는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요청을 UE(13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UE(1302)는 시점(6)에서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로 RNC(1310)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7)에서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인 셀 3(1308) 그리고 새로운 2차 서빙 셀인 셀 1(1304)로 HSDPA 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다. 셀 1(1304)이 그대로 서빙 셀로서 유지되기 때문에, 셀 1(1304)에서 그리고 UE에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는데, 즉 플러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성 이벤트 1D가 발생했을 때,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X인) 셀 1(1304)과 (원래의 2차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Y인) 셀 2(1306)가 교체된다. 셀 1(1304)은 (이웃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Z인) 셀 3(1308)으로 교체되고, 이제 두 번째로 가장 강한 셀인 셀 1(1304)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되어 셀 2(1306)를 대신한다. 즉, 셀 3(1308)이 셀 1(1304)을 대신하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1(1304)이 셀 2(1306)를 대신하는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된다. 셀 1(1304)이 2차 서빙 셀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셀 1(1304)에 그리고 UE에 버퍼링된 데이터는 플러싱되기보다는 유지될 수 있고, 셀 2(1306)가 제 2 서빙 셀로서 셀 1(1304)로 대체되었고 더 이상 서빙 셀로서 동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셀 2(1306)에 저장된 버퍼링된 데이터는 플러싱된다.
1차 셀 변경(이벤트 1D) - 제 2 예
도 14는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1404)이 1차 서빙 셀로서 시작되고 셀 2(1406)가 2차 서빙 셀로서 시작된다. 셀 3(1408)은 UE가 모니터링하여 그 셀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웃 셀이다. 이웃 셀들은 액티브 세트 내에 있을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시점(2)에서, UE(1402)는 셀 3(1408)이 그 셀 품질(또는 CPICH Ec/I0) 면에서 셀 1(1404)을 초과하지만 셀 2(1406)가 여전히 셀 3(1408)의 셀 품질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402)는 이벤트 1D를 포함하며 셀 3(1408)의 셀 품질이 셀 1(1404)의 셀 품질을 초과하지만 셀 2(1406)의 셀 품질이 여전히 셀 3(1408)의 셀 품질을 초과함을 확인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1410)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평가하여 UE(1402)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3(1408)에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시점(4)에서는, 셀 1(1404)이 더 이상 서빙 셀로서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RNC(1410)가 셀 1(1406)과 UE(1402) 사이의 무선 링크를 삭제하고 흐름에 대응하는 셀 1(1406)에서의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1(1404)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시점(5)에서, RNC(1410)는 셀 2(1406)가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3(1408)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될 것이라는 서빙 셀 변경을 지시하는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요청을 UE(14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UE(1402)는 시점(6)에서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로 RNC(1410)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7)에서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인 셀 2(1406) 그리고 새로운 2차 서빙 셀인 셀 3(1408)으로 HSDPA 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다. 셀 2(1406)가 그대로 서빙 셀로서 유지되기 때문에, 셀 2(1406)에서 그리고 UE에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는데, 즉 플러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성 이벤트 1D가 발생했을 때,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X인) 셀 1(1404)과 (원래의 2차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Y인) 셀 2(1406)가 교체된다. 셀 1(1404)은 셀 2(1406)로 교체되고, 이제 두 번째로 가장 강한 셀인 (이웃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Z인) 셀 3(1408)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되어 셀 2(1406)를 대신한다. 즉, 셀 2(1406)가 셀 1(1404)을 대신하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3(1408)이 셀 2(1406)를 대신하는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된다. 셀 1(1404)이 더 이상 UE를 서빙하고 있지 않으므로, 셀 1(1404)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플러싱되는 한편, 셀 2(1406)에 저장된 그리고 UE에서의 버퍼링된 데이터는 유지될 수 있다.
1차 셀 변경(이벤트 1D) - 제 3 예
도 15는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 및 2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D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1504)이 1차 서빙 셀로서 시작되고 셀 2(1506)가 2차 서빙 셀로서 시작된다. 셀 3(1508)은 UE가 모니터링하여 그 셀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웃 셀이다. 이웃 셀들은 액티브 세트 내에 있을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시점(2)에서, UE(1502)는 셀 3(1508)이 그 셀 품질(또는 CPICH Ec/I0) 면에서 셀 1(1504)과 셀 2(1506)를 초과하지만 셀 2(1506)가 이제 셀 1(1502)의 셀 품질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502)는 이벤트 1D를 포함하며 셀 3(1508)의 셀 품질이 셀 1(1504) 및 셀 2(1506)의 셀 품질을 초과하지만 셀 2(1506)의 셀 품질이 이제 셀 1(1508)의 셀 품질을 초과함을 확인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1510)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평가하여 UE(1502)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NBAP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3(1508)에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시점(4)에서는, 셀 1(1502)이 더 이상 서빙 셀로서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RNC(1510)가 셀 1(1504)과 UE(1502) 사이의 무선 링크를 삭제하고 흐름에 대응하는 셀 1(1502)에서의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1(1504)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시점(5)에서, RNC(1510)는 셀 셀 3(1508)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2(1506)는 그대로 2차 서빙 셀로서 유지될 것이라는 서빙 셀 변경을 지시하는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요청을 UE(15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UE(1502)는 시점(6)에서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로 RNC(1510)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7)에서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인 셀 3(1508) 그리고 2차 서빙 셀로서 그대로 유지되는 셀 2(1506)로 HSDPA 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다. 셀 2(1506)가 그대로 서빙 셀로서 유지되기 때문에, 셀 2(1506)에서 그리고 UE에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는데, 즉 플러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성 이벤트 1D가 발생했을 때,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X인) 셀 1(1504)이 교체되고, (원래의 2차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Y인) 셀 2(1506)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셀 1(1504)은 이제 가장 강한 셀인 (이웃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Z인) 셀 3(1508)으로 교체되는 한편, 셀 2(1506)는 2차 서빙 셀로서 그대로 유지된다. 즉, 셀 3(1508)이 셀 1(1504)을 대신하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는 한편, 셀 2(1506)는 2차 서빙 셀로서 그대로 유지된다. 셀 1(1504)이 더 이상 UE를 서빙하고 있지 않으므로, 셀 1(1504)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플러싱되는 한편, 셀 2(1506)에 저장된 그리고 UE에서의 버퍼링된 데이터는 유지될 수 있다.
서빙 셀 제거(이벤트 1B) - 제 1 예
도 16은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B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1604)이 1차 서빙 셀로서 시작되고 셀 2(1606)가 2차 서빙 셀로서 시작된다. 시점(2)에서, UE(1602)는 셀 1(1604)이 그 셀 품질(또는 CPICH Ec/I0) 면에서 여전히 다른 모든 셀들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602)는 이벤트 1B를 포함하며 셀 1(1604)의 셀 품질이 여전히 셀 2(1606)의 셀 품질을 초과함을 확인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셀 2(1606)의 셀 품질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않거나 보고 범위를 벗어난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1610)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평가하여 셀 2(1606)와 UE(1602) 간의 무선 링크를 삭제하고 흐름에 대응하는 셀 2(1606)에서의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2(1606)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성 이벤트 1B가 발생했을 때,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X인) 셀 1(1604)은 그대로 1차 서빙 셀로서 유지되고, (원래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Y인) 셀 2(1606)는 제거되는데, 즉, UE와 셀 2의 링크가 삭제된다. 새로운 2차 서빙 셀은 할당되지 않는다. 셀 2(1606)가 더 이상 UE를 서빙하고 있지 않으므로, 셀 2(1606)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플러싱되는 한편, 셀 1(1604)에 저장된 그리고 UE에서의 버퍼링된 데이터는 유지될 수 있다.
서빙 셀 제거(이벤트 1B) - 제 2 예
도 17은 일례에 따라, 최선의 1차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이벤트인 이벤트 1B에 대한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빙 셀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노드 B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로 다른 주파수들/반송파들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는, 시점(1)에서 셀 1(1704)이 1차 서빙 셀로서 시작되고 셀 2(1706)가 2차 서빙 셀로서 시작된다. 시점(2)에서, UE(1702)는 이제 셀 2(1706)가 그 셀 품질(또는 CPICH Ec/I0) 면에서 셀 1(1704) 및 다른 모든 셀들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702)는 이벤트 1B를 포함하며 이제 셀 2(1706)의 셀 품질이 셀 1(1704)의 셀 품질을 초과함을 확인하는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셀 1(1704)의 셀 품질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않거나 보고 범위를 벗어난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응답하여, 시점(3)에서 RNC(1710)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평가하여 셀 1(1704)과 UE(1702) 간의 무선 링크를 삭제하고 흐름에 대응하는 셀 7(1704)에서의 임의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1(1704)에 NBAP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시점(4)에서, RNC(1710)는 셀 2(1706)가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될 것이고 셀 1(1704)과의 링크는 삭제되었다는 서빙 셀 변경을 지시하는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요청을 UE(17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UE(1702)는 시점(5)에서 RRC 전송 채널 재구성 완료 메시지로 RNC(1710)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6)에서는, 새로운 1차 서빙 셀인 셀 2(1706)로 HSDPA 서비스가 시작될 수 있다. 셀 2(1706)가 그대로 서빙 셀로서 유지되므로, 셀 2(1706)에 그리고 UE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는데, 즉 플러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성 이벤트 1B가 발생했을 때,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Y인) 셀 2(1706)가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되고, (원래의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표 1에서 셀 X인) 셀 1(1704)은 제거되는데, 즉, UE와 셀 1의 링크가 삭제된다. 새로운 2차 서빙 셀은 할당되지 않는다. 셀 1(1704)이 더 이상 UE를 서빙하고 있지 않으므로, 셀 1(1704)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플러싱되는 한편, 셀 2(1706)에 저장된 그리고 UE에서의 버퍼링된 데이터는 유지될 수 있다.
도 18은 다중 흐름 HSPD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UTRAN 내의 RNC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흐름이 RNC로부터 UE로 전송될 수 있다(1802). 다음에, RNC가 제 1 서빙 셀과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UE로부터의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1804). 제 1 서빙 셀과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은 UE에 의해 가장 강한 서빙 셀에서부터 가장 약한 서빙 셀까지로 랭크될 수 있다.
다음에, RNC가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이 계속해서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한다(1806).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으며,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일 수 있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일 수 있다.
측정 보고는 또한,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셀들의 셀 품질들의 랭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1차 서빙 셀 또는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이웃 셀이 추가될 수 있다.
다음에,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빙 셀 변경 이후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동작중인 서빙 셀로 RNC에 의해 명령들이 전송될 수 있다(1808).
서빙 셀 변경은 이동성 이벤트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동성 이벤트는 (1) 특정 셀에 대한 Ec/I0의 UE 측정들이 특정 임계치에 도달하고 그 레벨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액티브 세트에 셀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것; (2) 특정 셀에 대한 Ec/I0의 UE 측정들이 특정한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않고 그 레벨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액티브 세트로부터 셀을 제거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것; 그리고 (3) (액티브 세트 내에 있을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이웃 셀이 Ec/I0의 UE 측정들에 따라 서빙 HS-DSCH 셀의 품질을 초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W-CDMA 시스템을 참조로 전기 통신 시스템의 여러 양상들이 제시되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은 TD-SCDMA 및 TD-CDMA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FDD, TDD, 또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의)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FDD, TDD, 또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의) LTE 어드밴스드(LTE-A), CDMA2000, 최적화된 에볼루션 데이터(EV-DO),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당한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이용되는 실제 전기 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좌우될 것이다.
상기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 문언과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따르는 것이며, 여기서 엘리먼트에 대한 단수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일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그리고 a와 b와 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또는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들에 이러한 개시 내용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중이 사용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엘리먼트가 명백히 "~을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는 엘리먼트가 "~을 위한 단계"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 6항의 조항들 하에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8)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는 단계;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은 계속해서 상기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및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빙 셀과 상기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상기 UE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되고,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인,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셀들의 셀 품질들의 랭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상기 이웃 셀이 추가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1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1차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flush)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2차 서빙 셀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1차 서빙 셀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이벤트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특정 서빙 셀에 대한 Ec/I0의 UE 측정인,
    무선 통신 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이벤트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않으며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특정 서빙 셀에 대한 Ec/I0의 UE 측정인,
    무선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은 계속해서 상기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및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빙 셀과 상기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상기 UE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되고,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셀들의 셀 품질들의 랭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상기 이웃 셀이 추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1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1차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2차 서빙 셀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1차 서빙 셀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은 계속해서 상기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서빙 셀과 상기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상기 UE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되고,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셀들의 셀 품질들의 랭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상기 이웃 셀이 추가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1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1차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컴퓨터로 하여금,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2차 서빙 셀을 제거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1차 서빙 셀을 제거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집적될 제 1 서빙 셀 및 제 2 서빙 셀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흐름을 전송하고;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은 계속해서 상기 UE에 대한 서빙 셀로서 동작함 ―; 그리고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서빙 셀과 상기 제 2 서빙 셀의 셀 품질들을 랭크하는 상기 UE로부터의 보고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랭크된 셀 품질들 중에서 가장 강한 셀 품질을 기초로 선택되고,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은 1차 서빙 셀이고, 선택되지 않은 서빙 셀은 2차 서빙 셀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셀들의 셀 품질들의 랭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이벤트의 발생시 이웃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 또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강한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에 상기 이웃 셀이 추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 변경 이전의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빙 셀 변경 이후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동작중인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동작중인 서빙 셀에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1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1차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차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2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웃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이웃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이웃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2차 서빙 셀을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보다 더 큰 경우, 상기 1차 서빙 셀을 상기 2차 서빙 셀로 대체함으로써 1차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고 ― 상기 2차 서빙 셀이 새로운 1차 서빙 셀이 됨 ―;
    상기 1차 서빙 셀의 셀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UE와 연관된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1차 서빙 셀을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1차 서빙 셀의 큐 내에서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플러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47027967A 2012-03-08 2013-03-07 다중 흐름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87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8433P 2012-03-08 2012-03-08
US61/608,433 2012-03-08
US13/766,946 US9351201B2 (en) 2012-03-08 2013-02-14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DPA communication network
US13/766,946 2013-02-14
PCT/US2013/029568 WO2013134490A1 (en) 2012-03-08 2013-03-07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dpa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486A true KR20140136486A (ko) 2014-11-28
KR102087732B1 KR102087732B1 (ko) 2020-03-11

Family

ID=4911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967A KR102087732B1 (ko) 2012-03-08 2013-03-07 다중 흐름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351201B2 (ko)
EP (1) EP2823575B1 (ko)
JP (2) JP2015511083A (ko)
KR (1) KR102087732B1 (ko)
CN (1) CN104160633B (ko)
IN (1) IN2014MN01874A (ko)
WO (1) WO2013134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146A2 (en) * 2011-08-17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controlling network node in a radio access network
US9351201B2 (en) 2012-03-08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DPA communication network
WO2013177768A1 (zh) * 2012-05-30 2013-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流传输的配置方法、基站、无线网络控制器和用户设备
US9736735B2 (en) * 2013-02-21 2017-08-15 Lg Electronics Inc. Configuration handling-based operat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20140348146A1 (en) * 2013-05-21 2014-11-27 Nokia Corporation Transition period for dual connectivity
JP6374005B2 (ja) 2013-09-20 2018-08-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端末の測定報告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端末
CN104661324B (zh) * 2013-11-22 2019-04-09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以及用在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
US10028132B2 (en) * 2013-12-04 201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clou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635677B1 (en) 2014-03-14 2017-04-25 Apple Inc. Dynamic link adaptation for improved link margin
US10516740B2 (en) * 2014-05-30 2019-12-24 Apple Inc. Dynamic transport switching in inter-device communication
US9942805B2 (en) 2014-11-12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UE handling of stale or incomplete PDUs after cell reselection or reconfiguration
US10721660B2 (en) * 2015-03-20 2020-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specific cluster of access nodes for high frequency wireless access
EP3286955A1 (en) * 2015-04-21 2018-02-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small cell mobility with dual/multi connectivity
US10462834B2 (en) * 2015-05-15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Offloading through simplified multiflow
US10341891B2 (en) * 2015-07-02 2019-07-02 Nokia Technologies Oy User equipment adaptation of reporting triggers based on active set size
CN106535254B (zh) * 2015-09-0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多点传输资源的方法及装置
US10536946B2 (en) * 2015-12-08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network slic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10772101B2 (en) 2015-12-08 2020-09-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ir interface configuration
CN109150451B (zh) * 2017-06-16 2023-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节点和无线接入网系统
BR112020009711A2 (pt) * 2017-11-17 2020-10-13 Nokia Technologies Oy medição para acesso rápido às células
CN114449620B (zh) * 2020-11-02 2023-04-28 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多链路信息传输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4000171A1 (en) * 2022-06-28 2024-01-04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C HANDLING OF mTRPs FOR INTER-DU, INTRA-CU MOBILITY OF U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6122A1 (en) * 2010-06-28 2012-01-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16279A1 (en) 2000-12-27 2002-07-08 Cellglide Technologies Corp. Resource allocation in cellular telephone networks
KR100891785B1 (ko) 2002-04-27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US6901063B2 (en) * 2002-05-13 2005-05-31 Qualcomm, Incorporated Data delivery in conjunction with a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mechanism in CDMA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118946A1 (en) 2003-11-05 2005-06-02 Erik Colban In-band signaling within broadcast stream and support for mixed flows
US7626975B2 (en) 2003-11-05 2009-12-01 Telefonaktiebolaget Lm Ercisson (Publ) Method of synchronizing broadcast streams in multiple soft handoff sectors
US6917598B1 (en) 2003-12-19 2005-07-12 Motorola, Inc. Unschedule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GB2429877B (en) 2005-09-06 2008-02-06 Motorola Inc Radio link handov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4802804B2 (ja) * 2006-03-27 2011-10-2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システム
FI20065467A0 (fi) * 2006-06-30 2006-06-30 Nokia Corp Naapurisolumittaus ja -raportointi useita radioliityntäteknologioita (RAT) käsittävässä ympäristössä
US7949012B2 (en) * 2007-08-01 2011-05-24 Broadcom Corporation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cipher multiplexing engine
EP2082516A4 (en) * 2007-11-15 2013-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NEWS USING HARQ
CN101505212B (zh) * 2008-02-04 2012-11-0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操作harq缓冲器的方法
PL2266238T3 (pl) * 2008-03-24 2015-08-31 Nokia Technologies Oy Konfiguracja pamięci buforowej miękkiej w systemie komunikacji
KR20140062177A (ko) * 2008-04-25 2014-05-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셀 재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WO2010134121A1 (ja) 2009-05-18 2012-11-0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携帯端末
US9179395B2 (en) * 2010-01-18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data loss during autonomous system information reading
JP5456203B2 (ja) * 2010-03-31 2014-03-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輻輳処理
US20120201226A1 (en) 2010-08-16 2012-08-09 Sharad Deepak Sambhwani Switching-based downlink aggregation for multi-point hsdpa
US8867511B2 (en) 2010-12-09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esets during handovers in a single frequency dual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1240501A (en) 2011-03-24 2012-10-01 Wistron Corp Method of handling cell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N102130758B (zh) * 2011-03-29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mimo系统中单双流重传选择的方法及系统
GB2496204A (en) * 2011-11-07 2013-05-08 Renesas Mobile Corp Enabling mobility in a downlink packet access service
US9325594B2 (en) * 2011-11-10 2016-04-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US9351201B2 (en) 2012-03-08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ta loss during a serving cell change in a multi-flow HSDPA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6122A1 (en) * 2010-06-28 2012-01-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732B1 (ko) 2020-03-11
WO2013134490A1 (en) 2013-09-12
EP2823575A1 (en) 2015-01-14
US9351201B2 (en) 2016-05-24
US9648526B2 (en) 2017-05-09
US20130235844A1 (en) 2013-09-12
IN2014MN01874A (ko) 2015-07-03
CN104160633A (zh) 2014-11-19
JP2018033141A (ja) 2018-03-01
EP2823575B1 (en) 2016-04-27
CN104160633B (zh) 2019-05-28
JP2015511083A (ja) 2015-04-13
US20160234737A1 (en)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732B1 (ko) 다중 흐름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빙 셀 변경 동안의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86411B1 (ko) 다중-포인트 hsdpa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KR102158904B1 (ko) 무선 통신에서 동적 디바이스 능력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28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radio link control (RLC) reset in a downlink multipoint system
KR101498963B1 (ko) 멀티-링크 pdcp 서브계층을 이용하는 멀티-포인트 hsdpa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070B1 (ko) 단일 주파수 듀얼 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들 동안 리셋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577468B2 (ja) Dc−hsdpaとsfdc−hsdpaとの動的な切り替え
JP6037407B2 (ja) デュアル周波数デュアルセル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モビリティイベント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I527484B (zh) 用於增強型移動功率管理的裝置和方法
KR20150128829A (ko) 재구성 메시지들의 재송신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537461A (ja) 隣接セルへのサービングセル変更のために事前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86002B1 (ko) 약한 커버리지의 영역 내의 다중 rab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회선 교환 음성 호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5021012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ime-to-trigger timers in measurement report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