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746A -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746A
KR20140134746A KR1020130049854A KR20130049854A KR20140134746A KR 20140134746 A KR20140134746 A KR 20140134746A KR 1020130049854 A KR1020130049854 A KR 1020130049854A KR 20130049854 A KR20130049854 A KR 20130049854A KR 20140134746 A KR20140134746 A KR 20140134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mtor
ap4ah
rti
ap4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호
곽동오
권오만
하상훈
서판길
전현아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746A/ko
Publication of KR2014013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21/00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mononucleotide units having separate phosphate or polyphosphate groups linked by saccharide radicals of nucleoside groups, e.g. nucleic acids

Abstract

본 발명은 mTOR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한 항암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Compsition for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 activity inhibitor comprising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
본 발명은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 활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 활성 억제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mTOR 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은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로 알려져 있으며, mTOR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신호기작과 관련되어 있어, 이를 표적으로 하는 노화(Hasty P., J. Mol. Cell Biol., 2 (1): 17-9, 2010), 치매(Chano T, et al., Brain Res., 1168 (1168): 97-105, 2007; Oddo S., Front. Biosci., 4 (4): 941-52, 2012), 암(Easton JB, et al., Oncogene, 25 (48): 6436-46, 2006; Faivre S., et al., Nat. Rev. Drug. Discov., 5 (8): 671-88,, 2006), 당뇨(한국 공개특허 제2007-0012486호), 대사질환(Cota D, et al., Science, 312 (5775): 927-930, 2006), 면역질환(한국 공개특허 제2008-0012917호, T. Weichhart, et al., Ann. Rheum., 67:iii70-iii74, 2008) 등의 치료제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상기 경로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상위 신호(upstream signals)에 의한 그 조절 기작은 여전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mTOR의 활성을 조절하는 상위 단계의 신규 조절자를 규명한 것으로, mTOR 발현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mTOR 매개 질환을 치료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 활성 억제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Ap4AH(diadenosine tetraphosphate hydrolase)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mTOR 매개 질환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mTOR 매개 질환은 암, 당뇨병, 면역 질환, 비만, 과오종 증후군 및 조직/장기 비대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암은 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위암, 전립선암, 유방암, 뇌종양, 폐암, 자궁암, 결장암, 방광암, 혈액암 또는 췌장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역 질환은 자가면역질환, 조직 이식 거부반응 또는 면역결핍장애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Ap4AH(diadenosine tetraphosphate hydrolase)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나,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p4A를 가수분해한다고 알려진 Bis(5'-nucleosyl)-tetraphosphatase [asymmetrical] 효소를 암호화하는 NUDT2(Nudix (nucleoside diphosphate linked moiety X)-type motif 2), 또는 APAH1 유전자의 발현 또는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Bessman MJ, et al., J. Biol. Chem., 271 (41):25059-62, 1996; McLennan AG. et al, Genomics., 15;47(2):307-9, 1998), 비대칭적 Ap4A 가수분해효소와 59%의 동질성을 보이며, Ap4A를 가수분해하는 FHIT(fragile histidine triad)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Huang Y, et al., Biochem. J., 312:925-32, 199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 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경구용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비롯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약상 허용된 담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의약 조성물의 활성 물질을 제외한 성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충진제, 활택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 및 염이 포함된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인 제약 조제 기술에 따른 제약 담체와 조합될 수 있다. 담체는, 예를 들어 경구 또는 (정맥내 투여를 비롯한) 비경구 투여에 바람직한 제조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지닐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0.1 mg/kg 내지 1 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5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한편,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및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mTOR 매개 질환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TOR 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Ap4AH(diadenosine tetraphosphate hydrolase)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4AH 단백질 발현 억제제는 APAH1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작은 간섭 RNA(short interfering RNA) 및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p4AH 단백질 발현 억제제는 APAH1 단백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미메틱스, 앱타머 및 항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mTOR 매개 질환은 암, 당뇨병, 면역 질환, 비만, 과오종 증후군 및 조직/장기 비대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암은 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위암, 전립선암, 유방암, 뇌종양, 폐암, 자궁암, 결장암, 방광암, 혈액암 또는 췌장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역 질환은 자가면역질환, 조직 이식 거부반응 또는 면역결핍장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1) 실험군으로서 암 세포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세포주에서 Ap4AH 단백질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Ap4AH 단백질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시키는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TOR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mTOR 매개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 가수분해 효소(Ap4AH)의 발현 억제에 의한 하위 신호전달 단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로서, Ap4A siRNA 처리량에 따른 하위 신호단계 단백질의 활성 변화(도 1a), mTORC1 활성을 조절하는 인슐린(도 1b) 또는 아미노산(1c)과 Ap4AH siRNA 병용 처리시 mTORC1 기질인 p-S6K(T389) 및 p-S6(S240/244)의 활성 감소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 가수분해 효소의 발현 억제에 의해서 mTORC1으로부터 raptor가 분리(dissociation)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에 의하여 mTOR와 raptor 결합(도 3a)과 활성이 억제되는 것(도 3b)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하기와 같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mTOR complex 1”는 포유류 라파마이신의 표적(mammalian target-of-rapamycin, mTOR), 랩터(regulatory-associated protein of mTOR, Raptor), MLST8(mammalian lethal with SEC13 protein 8), PRAS40 및 DEPTOR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D, et al., Cell, 110 (2): 163?75, 2002; Kim D, et al., Mol. Cell., 11 (4): 895?904, 2003). mTOR가 세포 내 신호전달기작에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어, 이를 표적으로 하여 노화(Hasty P., J. Mol. Cell Biol., 2 (1): 17?9, 2010), 치매(Chano T, et al., Brain Res., 1168 (1168): 97-105, 2007; Oddo S., Front. Biosci., 4 (4): 941-52, 2012), 암(Easton JB, et al., Oncogene, 25 (48): 6436-46, 2006; Faivre S., et al., Nat. Rev. Drug. Discov. 5 (8): 671-88,, 2006), 당뇨(한국 공개특허 제2007-0012486호), 대사질환(Cota D, et al., Science, 312 (5775): 927-930, 2006), 면역질환(한국 공개특허 제2008-0012917호, T. Weichhart, et al., Ann. Rheum., 67:iii70-iii74, 2008) 등의 치료제로써 연구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 가수분해 효소(Ap4AH)의 발현 억제에 의한 하위 신호전달 단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로서, Ap4AH siRNA 처리량에 따른 하위 신호단계의 단백질의 활성수준 변화(도 1a), mTORC1의 활성을 유도하는 인슐린(도 1b) 또는 아미노산(1c)과 Ap4A siRNA 병용 처리시 mTORC1 기질인 p-S6K(T389) 및 p-S6(S240/244)의 활성 감소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의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가 mTORC1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결과이며,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 예방 및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 가수분해 효소의 발현 억제에 의해서 mTORC1이 분리(dissociation)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암 세포주에 si-Ap4AH를 처리한 세포 용해물을 raptor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반응(immunoprecipitation, IP)을 수행한 결과, raptor와 결합하는 mTOR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TORC1으로부터 raptor가 분리되었음을 의미하며,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가 mTOR의 단백질 결합체를 붕괴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mTOR 활성을 저해시켜 mTOR 관련 질환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에 의하여 mTOR와 raptor 결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자는 Ap4A에 의해서 mTOR와 raptor 간의 결합이 직접적으로 저해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Ap4A 처리량 의존적으로 mTOR 및 raptor의 결합이 억제되는 것을 IP 및 시험관내 인산화 효소 활성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1-1: MCF7 세포 배양
1×106개의 MCF7(ATCC)를 5% CO2, 37℃로 유지되는 세포 배양기에서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Cambrex)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ambrex)에서 배양하였다.
1-2: MDA-MB-231 세포 배양
1×106개의 MDA-MB-231(ATCC)를 5% CO2, 37℃로 유지되는 세포 배양기에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Cambrex)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ambrex)에서 배양하였다.
1-3: HEK293 세포 배양
1×106개의 HEK293(ATCC)를 5% CO2, 37℃로 유지되는 세포 배양기에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Cambrex)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ambrex)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Ap4AH 넉다운에 의한 하위 신호전달의 발현 분석
1-1: Ap4AH(Ap4A hydrolase) 넉다운(knock-d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H(Ap4A hydrolase)의 넉다운(knock-down)에 의한 하위 신호전달 단계의 변화를 암 세포에서 관찰하였다. 이때 세포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배양한 MCF7과 MDA-MB-231 세포를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2가지 종류의 암 세포 1×106에 si-AP4AH(Genepharma) 10 및 20 nM을 각각 처리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si-Control(Genepharma)을 Lipofectamine2000(invitrogene)을 이용하여 세포내로 도입 후 48시간 후, 단백질을 추출하고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이때, Ap4AH의 넉다운 효과가 있는 신호 전달 체계를 도출하기 위해 p-S6K(T389)(Cell Signal Technology), S6K(Cell Signal Technology). p-S6(S240/244)(Cell Signal Technology), S6(Cell Signal Technology), p-Akt(S473)(Cell Signal Technology), p-PRAS240(T246)(Cell Signal Technology), p-TSC2(T1462)(Cell Signal Technology), p-Src(Y416)(Cell Signal Technology), p-Erk(1/2)(Cell Signal Technology), Ap4AH(Santa Cruz Biotechnology), 및 Actin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mTORC 기질 또는 하위신호기작에 해당하는 p-S6K(T389), p-S6(S240/244)이 가장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 참조).
1-2: mTOR 활성 유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H 넉다운에 의하여 mTOR 매개의 신호전달이 억제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TOR의 활성을 유도하는 인슐린 또는 아미노산을 처리한 후, Ap4AH siRNA를 세포에 처리하고 mTOR 하위 신호전달 마커로 p-S6K (T389), p-S6 (S240/244) 수준을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nM의 control si-RNA 또는 si-Ap4AH (Genepharma)를 도입한 실시예 1-2의 MDA-MB-231 암 세포 1×106에 10 nM 인슐린(Sigma, USA)을 0, 10, 또는 20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여 웨스턴 블랏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슐린 처리에 의한 p-S6K의 증가가 Ap4AH siRNA 도입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본 발명자는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MDA-MB-231 세포에 인슐린 대신 아미노산을 0, 5, 10, 15, 30 및 60분 동안 처리한 후, si-Ap4AH를 처리하고 p-S6K, S6K, p-4E-BP1(T37/46) 및 4E-BP1의 수준 변화를 웨스턴 블랏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미노산 처리에 의하여 증가되는 p-S6K 및 p-4E-BP1(T37/46)의 수준이 Ap4AH siRNA 도입에 의한 Ap4AH 넉다운에 의하여 억제되었다.(도 1c 참조).
실험예 2: Ap4AH 넉다운에 의한 mTORC1 복합체의 분해(dissoci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H에 의하여 mTORC1 복합체가 분리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2의 MDA-MB-231 암 세포 1×107에 20nM si-control(Genepharma) 또는 si-Ap4AH(Genepharma)를 lipofectamine2000(invitrogen)으로 도입후 48시간 후, 항-raptor 또는 항-mTOR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immunoprecipit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면역침전물과 상층액에 대하여 mTOR, Raptor 및 Ap4AH에 대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ptor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전물에 있어서, Ap4AH siRNA를 처리한 군에서 mTOR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또한 mTOR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전물에서도 마찬가지로 Ap4AH를 넉다운한 군에서 mTOR에 결합되어 있는 raptor의 수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4AH siRNA에 의하여 mTORC1이 분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3: Ap4A에 의한 mTOR와 raptor의 결합 수준 분석
이어, 본 발명자는 실제로 Ap4A에 의하여 mTORC1를 구성하는 mTOR와 rapator 간의 결합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험관 내 풀-다운(in vitro pull-down)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2의 MDA-MB-231 세포 용해물을 raptor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을 수행 할 때 Ap4A(Sigma)를 0, 1, 10, 100, 500 μM을 시험관 내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raptor에 결합되어 있는 mTOR의 양을 면역침전물에 대한 웨스턴 블랏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Ap4A 처리량 의존적으로 mTOR와 raptor의 결합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a 참조).
이어, 본 발명자는 Ap4A가 직접적으로 mTOR의 활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HA-mTOR를 과발현시킨 HEK293 세포에서 HA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하고 시험관내에서 Ap4A를 1, 10, 100, 500, 1000 μM를 처리한 뒤 mTOR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mTOR의 활성 측정은 특이적 기질인 4E-BP1 (SignalChem) 200ng과 250 μM ATP (sigma)을 섞고 30℃에서 30분 반응한 후 p-4E-BP1의 수준을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HA-mTOR는 lipofectamine2000(invitrogen)을 이용하여 3 μg을 도입하였으며, 도입 후 48시간이 경과한 후 면역침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Ap4A 처리량이 1, 10, 100, 500, 및 1,000 μM로 증가함에 따라 p-4E-BP1의 수준으로 알 수 있는 mTOR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도 3b 참조).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Ap4A가 mTOR의 단백질 복합체를 단백질간 결합을 저해하는 방법으로 mTOR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으로써, mTOR 관련 질환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mTOR(mammalian target-of-rapamycin) 활성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p4AH(diadenosine tetraphosphate hydrolase)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 Ap4A(diadenosine tetraphosphate)를 포함하는, mTOR 매개 질환 치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Ap4AH(diadenosine tetraphosphate hydrolase)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TOR 매개 질환은 암, 당뇨병, 면역 질환, 비만, 과오종 증후군 및 조직/장기 비대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위암, 전립선암, 유방암, 뇌종양, 폐암, 자궁암, 결장암, 방광암, 혈액암 또는 췌장암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mTOR 매개 질환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TOR 매개 질환의 치료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Ap4AH(diadenosine tetraphosphate hydrolase)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TOR 매개 질환은 암, 당뇨병, 면역 질환, 비만, 과오종 증후군 및 조직/장기 비대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위암, 전립선암, 유방암, 뇌종양, 폐암, 자궁암, 결장암, 방광암, 혈액암 또는 췌장암인, 방법.
  11. 1) 실험군으로서 암 세포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세포주에서 Ap4AH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Ap4AH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시키는 피검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30049854A 2013-05-03 2013-05-03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20140134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854A KR20140134746A (ko) 2013-05-03 2013-05-03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854A KR20140134746A (ko) 2013-05-03 2013-05-03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746A true KR20140134746A (ko) 2014-11-25

Family

ID=5245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854A KR20140134746A (ko) 2013-05-03 2013-05-03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7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Transcriptional co-repressor function of the hippo pathway transducers YAP and TAZ
Zhang et al. Lidocaine alleviates morphine tolerance via AMPK-SOCS3-dependent neuroinflammation suppression in the spinal cord
Zhang et al. TRIM11 upregulation contributes to proliferation, invasion, and EM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Xue et al. PADI2‐catalyzed MEK1 citrullination activates ERK1/2 and promotes IGF2BP1‐mediated SOX2 mRNA stability in endometrial cancer
Zhang et al. FOXO3a/p27kip1 expression and essential role after acute spinal cord injury in adult rat
US20150297593A1 (en) Inhibition of viral infection-triggered asthma with c-kit inhibitor
WO2019126524A1 (en) Therapeutic targets for nash-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KR101638156B1 (ko)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Shen et al. Super enhancer‐LncRNA SENCR promoted cisplatin resistance and growth of NSCLC through upregulating FLI1
CN110592222A (zh) Triml1作为肝癌的分子标记物的应用
Tu et al. MicroRNA-22 represses glioma development via activation of macrophage-mediated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JP5397692B2 (ja) 悪性黒色腫抗原の発現上昇剤及びその用途
CN116359502A (zh) Acss2作为治疗神经母细胞瘤的新靶点的应用
Song et al. Cysteine‐rich protein 61 regulates the chemosensitivity of chronic myeloid leukemia to imatinib mesylate through the nuclear factor kappa B/Bcl‐2 pathway
US20220184177A1 (en) Polypeptides for treatment of cancer
KR20140134746A (ko) Ap4A를 포함하는 mTOR 활성 억제용 조성물
JP2021183618A (ja) 細胞増殖抑制剤及びそれを含むがんの治療若しくは予防用医薬組成物
US20170298361A1 (en) Use of agents for treating fat-related disorders
WO2005018675A1 (ja) 自己免疫疾患治療剤
WO2022237621A1 (zh) 诊断和治疗肿瘤的试剂及其用途
KR20210069626A (ko) Etv6 또는 foxo1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간체 비-코딩 rna 조절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25229B1 (ko) Gpr171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N111228289A (zh) Plin2抑制剂的应用和治疗肿瘤药物混合物
CN108203733B (zh) 基因sox10作为靶点在制备延缓黑色素瘤适应性耐药的药物中的应用
Katanasaka et al. Fibroblast-specific PRMT5 deficiency suppresses pressure overload-induced cardiac fibrosis and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