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430A -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430A
KR20140134430A KR1020130054271A KR20130054271A KR20140134430A KR 20140134430 A KR20140134430 A KR 20140134430A KR 1020130054271 A KR1020130054271 A KR 1020130054271A KR 20130054271 A KR20130054271 A KR 20130054271A KR 20140134430 A KR20140134430 A KR 2014013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unit
user
transport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020B1 (ko
Inventor
박영택
박상원
김두형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0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부,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 현재 시간 및 상기 위치 추적부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하는 경로 추천부 및 상기 경로 추천부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경로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LOCATION}
본 발명은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 질의를 통해 길 또는 대중교통을 안내해주는 경로 탐색 애플리케이션은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어 사용자들에게 유익하고 편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로 탐색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및 교통수단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자의 질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질의 시간을 단축시켜 기동력을 높이고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경로를 편리하게 질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8-0040963호(발명의 명칭: 운전자 패턴 추출 조합에 의한 자동 목적지 설정 시스템 및 산출 방법)에는 주행자의 주행 노드 및 시간 및 사람 수에 따른 패턴을 검출하고, 패턴 요소들을 추출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주행노드 패턴 추출에 의해 자동설정의 기본 방향이 정해지고, 다수의 목적지 중 노드 패턴과 타임 패턴의 결과 및 기타 패턴의 값에 따라 목적지별 패턴 일치 점수가 제일 높은 것이 선정되고 정해진 통계학적 정규분포에 의거 최종 목적지를 자동 설정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사용자가 질의한 경로를 로그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질의할 확률이 높은 목적지 및 교통수단을 추출하여 추천하는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부,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 현재 시간 및 상기 위치 추적부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하는 경로 추천부 및 상기 경로 추천부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경로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를 통한 경로 추천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질의 과정에 있어서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맞춤화된 경로 추천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경로를 질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식별부를 통해 이동행위를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데이터 저장 구성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를 통한 경로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100)는 입력부(110), 위치 추적부(120), 교통수단 식별부(130), 로그데이터 저장부(140), 경로 추천부(150) 및 경로 추출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경로 추천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추천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질의하고자 하는 경로에 대하여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위치 추적부(1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 또는 통신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는 사용자가 질의한 경로를 추천할 때 출발지점으로 인지되거나 로그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경로 추천 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교통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즉, 경로 추천 장치(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행위를 “달리기”, “걷기”, “정지”, “지하철 탑승”, “버스 탑승” 및 “승용차 탑승” 중 어느 하나의 이동행위로 구분할 수 있다.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이동행위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행을 실시할 수 있다.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경로 추천 장치(100)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에 대한 특징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 요소를 계층적 트리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가 어떤 이동행위에 해당하는지 구분하되, 계층적 트리 모델은 각 이동행위마다 추출된 특징 요소를 기초로 구성된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동행위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는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질의에 의해 입력된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를 로그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는 경로 추출부(160)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경로 추출부(160)에 의해 경로가 추출되면 해당 경로를 질의할 때 입력된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로그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는 교통수단 식별부(130)에 의해 자동 인식된 교통수단 정보를 교통수단에 의해 발생된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교통수단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해당 경로 정보에서 발생한 교통수단 정보를 교통수단 식별부(130)를 통해 식별하여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경로 추천부(150)는 현재 시간 및 위치 추적부(120)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즉, 로그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로부터 이동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통한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추천부(150)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에서 질의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목적지 정보를 정렬하는 제 1 추천부(151) 및 정렬된 목적지 정보에 대하여 사용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교통수단 정보를 정렬하는 제 2 추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추천부(151)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에서 임의의 목적지를 질의할 확률에 대해 [수학식1]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이때,
Figure pat00002
는 사용자의 현재 시간대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3
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pat00004
는 사용자의 목적지를 나타낸다. 즉,
Figure pat00005
는 사용자의 현재 시간대
Figure pat00006
와 현재 위치
Figure pat00007
일 확률에서 임의의 목적지
Figure pat00008
로 질의할 확률을 나타낸다. 여기서, 현재 시간대
Figure pat00009
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시간 구역 중 사용자의 현재 시각이 포함된 시간 구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현재 시간이 수요일 오전 6시부터 오전 10시 사이일 경우, 현재 시간대
Figure pat00010
는 수요일 아침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추천부(151)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확률에 기반하여 질의할 확률일 높은 순서에 따라 목적지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추천부(152)는 제 1 추천부(151)에 의해 정렬된 목적지 정보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교통수단 정보를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1
이때,
Figure pat00012
는 사용자의 현재 시간대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3
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pat00014
는 사용자의 목적지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5
은 사용자가 사용한 교통수단을 나타낸다. 즉,
Figure pat00016
는 사용자의 현재 시간대
Figure pat00017
와 현재 위치
Figure pat00018
, 목적지
Figure pat00019
일 확률에서 임의의 교통수단
Figure pat00020
을 사용하여 질의할 확률을 나타낸다.
또한, 제 2 추천부(152)는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확률에 기반하여 질의할 확률일 높은 순서에 따라 교통수단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경로 추출부(160)는 경로 추천부(150)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즉, 경로 추출부(160)는 경로 추천부(150)의 제 1 추천부(151) 및 제 2 추천부(152)에 의해 정렬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경로를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경로 추출부(160)에 의해 발생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로그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경로 추출부(160)에 의해 경로가 추출되면 해당 경로를 질의할 때 입력된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로그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식별부를 통해 이동행위를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경로 추천 장치(100)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고(①), 수집된 가속도 데이터를 각 이동행위 별로 구분한다(②). 다음으로,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사용자의 이동행위마다의 특징 요소를 추출하고(③), 추출된 특징 요소를 계층적 트리 모델로 구성한다(④). 이와 같이 구성된 계층적 트리 모델은 경로 추천 장치(100) 내에 미리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가 어떤 이동행위에 해당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수단 식별부(130)는 “버스 탑승”을 포함한 각 교통수단의 특징 요소로 기구축된 계층적 트리 모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이동행위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의 특징 요소가 계층적 트리 모델 내의 “버스 탑승”의 특징 요소와 일치할 경우 해당 교통수단을 “버스 탑승”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데이터 저장 구성의 일례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데이터는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요일 오전 9시에 출발지를 강남으로 설정하고 목적지를 학교로 입력한 후 교통수단을 버스를 이용하여 질의한다면, 로그데이터 저장부(140)는 위치 추적부(1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인 “현재 위치 - 강남”,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정보인 “출발지 - 강남”, “목적지 - 학교”, “교통수단 - 버스” 및 현재 시간대인 “시간대 - 수 아침”을 포함한 정보를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한 후 교통수단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해당 경로의 이동 행위를 교통수단 식별부(130)에 의해 식별하여 교통수단 정보를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요일 오전 10시에 출발지를 집으로 설정하고 목적지를 학교로 입력한 후 교통수단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교통수단 식별부(130)에 의해 식별된 교통수단 정보인 “교통수단 - 버스 및 지하철”이 로그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로그데이터는 목요일 오전 10시에 질의된 정보에 대해 “시간대 - 목 아침”, “현재 위치 - 집”, “출발지 - 집”, “목적지 - 학교”, “교통수단 - 버스 및 지하철”로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추천 장치를 통한 경로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는,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사용자의 수동 입력 또는 경로 추천에 의해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GPS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경로 추천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행위를 구분하는 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교통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장치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에 대한 특징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 요소를 계층적 트리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가 어떤 이동행위에 해당하는지 구분하되, 각 이동행위마다 추출된 특징 요소를 기초로 구성된 계층적 트리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추출 단계(S160) 및 상기 교통수단 식별 단계(S130)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0)에서는, 교통수단 식별단계(S130)에 의해 자동 인식된 교통수단 정보를 상기 교통수단에 의해 발생된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로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시간 및 현재 장소에서 질의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목적지 정보를 정렬하는 제 1 추출 단계(S151) 및 상기 정렬된 목적지 정보에 대하여 사용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교통수단 정보를 정렬하는 제 2 추출 단계(S15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는, 경로 추천 단계(S150)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경로 추천 장치 110: 입력부
120: 위치 추적부 130: 교통수단 식별부
140: 로그데이터 저장부 150: 경로 추천부
151: 제 1 추천부 152: 제 2 추천부
160: 경로 추출부

Claims (8)

  1. 경로 추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추적부,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
    현재 시간 및 상기 위치 추적부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하는 경로 추천부 및
    상기 경로 추천부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경로 추출부를 포함하는 경로 추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추천부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에서 질의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목적지 정보를 정렬하는 제 1 추천부 및
    상기 정렬된 목적지 정보에 대하여 사용할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교통수단 정보를 정렬하는 제 2 추천부를 포함하는 경로 추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의해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경로 추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경로 추천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교통수단을 식별하는 교통수단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경로 추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교통수단 식별부에 의해 자동 인식된 교통수단 정보를 상기 교통수단에 의해 발생된 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로그데이터로 저장하는 경로 추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 식별부는,
    장치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에 대한 특징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 요소를 계층적 트리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특정 이동행위가 어떤 이동행위에 해당하는지 구분하되,
    상기 계층적 트리 모델은 각 이동행위마다 추출된 특징 요소를 기초로 구성되는 경로 추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경로 추출부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경로 추천 장치.
  8. 경로 추천 장치를 통한 경로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와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에 적합한 목적지 및 교통수단 정보를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경로를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로부터 추천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저장된 경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KR1020130054271A 2013-05-14 2013-05-14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53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71A KR101532020B1 (ko) 2013-05-14 2013-05-14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71A KR101532020B1 (ko) 2013-05-14 2013-05-14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30A true KR20140134430A (ko) 2014-11-24
KR101532020B1 KR101532020B1 (ko) 2015-06-29

Family

ID=5245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71A KR101532020B1 (ko) 2013-05-14 2013-05-14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0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37A1 (ko) * 2016-06-01 2017-12-07 한국교통연구원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17866A (ko)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WO2020081576A1 (en) * 2018-10-16 2020-04-23 Evangelos Simoudis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ground transportation
US12002309B2 (en) 2020-08-03 2024-06-04 Synapse Partner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ehicle dat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445B2 (ja) * 1997-11-19 2004-05-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情報装置
JP2002048589A (ja) * 2000-08-03 2002-02-15 Tohoku Denshi Sangyo Kk 移動体の移動経路推定装置
JP2004150853A (ja) * 2002-10-29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装置
JP5543308B2 (ja) * 2010-09-22 2014-07-0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地点履歴検索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地点履歴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37A1 (ko) * 2016-06-01 2017-12-07 한국교통연구원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17866A (ko)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WO2020081576A1 (en) * 2018-10-16 2020-04-23 Evangelos Simoudis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ground transportation
US12002309B2 (en) 2020-08-03 2024-06-04 Synapse Partner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ehicl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020B1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450B2 (en) Inference pipeline system and method
US10204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llection to validate location data
US20160227367A1 (en) Method of providing positioning data to mobile device
US20130210480A1 (en) State detection
CN100432992C (zh) 基于接近度对数据进行排序的方法和设备
US20110087685A1 (en) Location-based service middleware
US201003251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eo-location and social group indexing
CN101743541A (zh) 用于将基于代码的和光学字符识别技术集成到移动可视搜索中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40074871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gnizing Places
US9288650B2 (en)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a for searching target clients
CN103020098A (zh) 提供具有语音识别功能的导航业务的搜索方法
US9372087B2 (en) Method of providing destination information, destinatio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2706496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gnizing places in a text
KR101532020B1 (ko)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JP5271150B2 (ja) ルート統合サーバ、ルート統合システム及びルート統合方法
KR101532022B1 (ko) Poi를 이용한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770795B1 (ko) 분실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7679053A (zh) 地点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70076338A1 (en) Content relevance weighting sysetm
US20220107199A1 (en) Search device, search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30006832A (ko) 맞춤형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CN102589563B (zh) 信息处理的方法和装置
JP5271151B2 (ja) 訪問パターン抽出サーバ、訪問パターン抽出システム及び訪問パターン抽出方法
US20150106266A1 (en) Pl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ystem, and method
US20130110826A1 (en) Method for searching contacts,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ing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