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231A -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231A
KR20140134231A KR1020140057009A KR20140057009A KR20140134231A KR 20140134231 A KR20140134231 A KR 20140134231A KR 1020140057009 A KR1020140057009 A KR 1020140057009A KR 20140057009 A KR20140057009 A KR 20140057009A KR 20140134231 A KR20140134231 A KR 2014013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element
assembly
wiper blade
connection interface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라르 까오
미하엘 쇼이블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14013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4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arranged in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3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 B60S1/3805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2Transport of liquid there th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7Liquid supply therefor the liquid being heated
    • B60S1/488Liquid supply therefor the liquid being heated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5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separate locking element, e.g. in addition to an intermediat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핑 시스템(1)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로서, 와이퍼 블레이드(2)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와이퍼 아암(3)의 터미널 부분(4), 및 액체를 와이퍼 블레이드(2)로 이송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5)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터미널 부분(4)상에 와이퍼 블레이드(2)의 연결 장치를 로킹하기 위한 제1 위치와 그리고 터미널 부분(4) 및 연결 장치가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제2 위치를 갖는 하나의 슬라이딩 요소(6)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5)를 제1 위치의 연결 장치상에 또는 제2 위치의 터미널 부분(4)상에 추가로 현수할 수 있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연결 조립체{CONNECTING ASSEMBLY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본 발명의 분야는 차량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와이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일반적으로 윈드스크린(windscreen)를 세척하고 또한 운전자가 자신의 주변상황(environment)을 갖는 시야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이 장착된다. 이들 윈드스크린 와이퍼는 통상적으로 전후 각운동량(angular movement)을 형성하며 또한 탄성 물질로 제조된 스크레이퍼(scraper) 블레이드를 자체적으로 지지하는 가늘고 긴(elongated) 와이퍼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와이퍼 아암에 의해 구동된다. 이들 블레이드는 윈드스크린을 와이핑하고 또한 운전자의 관측 시야 외측으로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물을 제거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종래의 버전(version)으로 여러곳의 분리된 위치에 스크레이퍼 블레이드를 유지시키는 관절형 아암 또는 "평탄형 블레이드"로 지칭되는 더욱 최근의 버전으로 그 전체 길이에 대해 스크레이퍼 블레이드를 유지시키는 반경식(semi-rigid) 조립체의 형태로 제조된다. 아암은 자동차의 분야에서는 보우(bow) 또는 레버(lever)로도 지칭된다. 두 해결책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기계적 커넥터 및 어댑터로 구성된 조립체에 의해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회전하는 와이퍼 아암에 부착된다. 기계적 커넥터는 관절형 아암상에 또는 직접적으로 평탄형 블레이드상에 로킹되는 부분인 반면에, 어댑터는 커넥터가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중간 부분이다. 이들 두 부분은 와이퍼 아암을 통과하는 윈드스크린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그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횡단하는 스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차량에 위치된 탱크로부터 제공되며 또한 액체의 더 좋은 분배를 위해 윈드스크린 둘레에 또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자체상에 위치된 노즐에 의해 윈드스크린을 향해 분사되는 윈드스크린-세척액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상에 위치된 노즐의 경우에 있어서, 윈드스크린-세척액은 이것들 사이로 분배되기 전에,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며 또한 유압 커넥터로 지칭되는 단단한 부분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배 시스템에 연결되는 배관(piping) 요소에 의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가요성이며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깥쪽 및 뒤쪽 방향 모두에서의 세척을 보장하기 위해 개수가 2개인 이들 배관 요소는, 적절한 피팅(fitting)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에 고정되며 또한 이것으로 필요한 밀봉을 보장하는 유압 커넥터로 이어진다. 따라서, 기계적 커넥터는 밀봉된 연결에 의해 유압 커넥터의 상기 피팅을 수용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특수한 차량 모델에는 매서운 추위의 경우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성에를 제거하고(defrost) 또한 성에의 작용으로 이것이 윈드스크린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윈드스크린 와이퍼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도 있다. 가열 기능은 세척액을 위한 채널을 해동(defreeze)시키는 데도 사용된다. 평탄형 블레이드에 더욱 특정하게 적응되는 이들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크레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또한 전기 레지스터가 위치되는 조립체에 통합된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것들은 차량으로부터 나오는 전류를 가열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기계적 커넥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전기 연결 장치를 요구한다. 전기 커넥터는 그 위에 동시에 부착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압 커넥터가 기계적 커넥터상에 설치되기 전에 유압 커넥터에 부착된다. 그 후, 급속 연결 장치가 전기 커넥터의 핀들과 기계적 커넥터의 핀들 사이의 접촉을 보장하며, 또한 스크레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조립체의 가열 레지스터와 최종적으로 접촉한다.
WO 2012/072748호의 문헌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환했을 때 인터페이스가 로킹될 수 있는 중간 부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와이핑(wiping)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는 다른 부품을 통해, 더 정확히는 어댑터에 링크되는 가요성 플랩(flap)을 통해 아암상에 로킹된다.
따라서, 덜 복잡한 해결책으로 아암상에 어댑터를 로킹 및 언로킹할 동안 기계적 커넥터로부터 유압 커넥터를 적절히 삽입 및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사항이 전기 커넥터의 핀들과 기계적 커넥터의 핀들 사이에 제공된 전기 인터페이스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 커넥터가 기계적 커넥터 내로 삽입될 때 유압 커넥터를 안내하고 또한 블레이드가 제거될 때 이것을 아암상의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안하면서, 이들 단점들을 치유하는 것이다. 이 안내 기능은 전기 커넥터가 유압 커넥터상에 먼저 장착될 때 전기 커넥터의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와이퍼 아암의 터미널 부분, 및 액체를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송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이며, 상기 조립체는 터미널 부분상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 장치를 로킹하기 위한 제1 위치와 그리고 터미널 부분 및 연결 장치가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제2 위치를 갖는 하나의 슬라이딩(sliding)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1 위치의 연결 장치상에 또는 제2 위치의 터미널 부분상에 추가로 현수(hang)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일 부품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아암상에 로킹하고 또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와이퍼 블레이드상에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뢰할 수 없는 가요성 플랩을 사용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플랩 파손의 경우 블레이드 손실을 방지하는 고정 수단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슬라이딩 요소는 플랩 또는 다른 장치 보다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더 직관적(intuitive)이다.
함께 또는 분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 상기 제1 및 제2 위치는 슬라이딩 요소의 2개의 단부 위치이며,
- 상기 터미널 부분은 상기 연결 장치의 돌출부(excrescence)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롯을 포함하며,
- 슬라이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은 슬라이딩 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 장치의 돌출부를 상기 제1 슬롯에 로킹할 수 있으며,
- 터미널 부분은 슬라이딩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연결 인터페이스를 현수할 수 있는 후크(hook)를 포함하며,
- 연결 인터페이스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이송하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의 히치(hitch) 플랩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슬롯을 포함하며,
- 슬라이딩 요소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이송하기 위해 연결 인터페이스의 개구를 후킹(hooking)할 수 있는 핀을 포함하며,
-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이송되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의 개구를 후킹할 수 있는 핀을 포함하며,
- 터미널 부분은 상기 핀이 이것을 통해 연장하며 또한 이것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길이방향 슬릿(slit)을 가지며,
- 상기 슬릿은 상기 터미널 부분의 횡방향 측부상에 제공된 틈새(aperture)로서 구성되며,
- 상기 틈새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핀에 의해 이어지는 거리 내내 상기 터미널 부분의 하부 엣지상으로 개방되며,
- 상기 틈새는 L 형상이며 또한 상기 핀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터미널 부분의 하부 엣지상으로 개방되며,
- 슬라이딩 요소는 터미널 부분을 덮는 캡(cap)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서술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 및 조립체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함께 또는 분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링크된 기계적 커넥터 및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적 커넥터는 터미널 부분과 함께 상기 어댑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은 와이퍼 아암과 비교해서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까지 발생하며,
- 연결 장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유지시키기 위한 노치를 포함하며,
- 조립체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길이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히치 플랩이 상기 제2 슬롯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 조립체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길이방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핀이 상기 개구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또한 그 다른 목적, 상세한 내용, 특징, 및 장점은 전적으로 예시적이며 그리고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적인 서술 중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와이퍼 아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가 분리되어 있을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와이퍼 아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가 함께 링크될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그 슬라이딩 요소가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슬라이딩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와이퍼 아암이 와이퍼 블레이드와 관련된 경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상기 슬라이딩 요소가 어댑터에 링크될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아래로부터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요소가 어댑터에 링크될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아래로부터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요소가 어댑터에 링크될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뒤로부터 도시한 부분적으로 전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부분적으로 전개된 사시도.
도 9는 도 8과 동일한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부분적으로 전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부분적으로 전개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과 동일한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한 부분적으로 전개된 사시도.
하기의 서술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서술의 나머지에 있어서, "길이방향"이라는 용어는 와이퍼 아암상에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방향을 지칭한다. 길이방향은 이것이 연장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 축선(axis)에 대응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연결 장치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2),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와이퍼 아암(3), 및 연결 장치를 와이퍼 아암(3)상에 연결할 수 있는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3)의 터미널 부분(4), 연결 인터페이스(5), 및 슬라이딩 요소(6)를 포함한다. 연결 인터페이스(5)는 와이퍼 아암(3)의 터미널 부분(4)의 내측에 배치되며, 또한 터미널 부분(4)은 이것들이 함께 형성될 때 연결 장치의 일부를 덮는다.
연결 인터페이스(5)는 액체를 와이퍼 블레이드(2)로 이송하기 위한 유압 커넥터, 및/또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유압 커넥터는 상기 유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배관 요소를 가지며, 전기 커넥터는 결빙(freezing)의 경우에 상기 유체 및 그에 따른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요소에 전력을 전도할 수 있다.
연결 장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일부인 기계적 커넥터(7) 및 제거 가능한 방법으로 터미널 부분(4)에 링크된 어댑터(8)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 장치는 기계적 커넥터(7)와 비교해서 어댑터(8)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횡단하는 스핀들을 포함한다. 횡단하는 스핀들은 어댑터 또는 상기 기계적 커넥터의 일부일 수 있으며 또는 어댑터 또는 상기 기계적 커넥터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핀들은 와이퍼 블레이드(2)의 길이방향을 횡단하여 기계적 커넥터(7) 및 어댑터(8)를 통과하며, 또한 2개의 부재들 사이에 링크를 형성한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2)는 이것들이 함께 링크될 때 터미널 부분(4)과 함께 상기 어댑터(8)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은 아암(3)과 비교해서 도 4에 도시된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까지 실시될 수 있다.
정확한 길이방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 장치는 기계적 커넥터(7)상에 적어도 제1 핀(9) 및 어댑터(8)상에 적어도 제1 노치(10)를 갖는다. 제1 핀(9)은 어댑터(8)가 길이방향 위치를 지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한 아암(2)으로부터 블레이드(2) 조립 또는 분해에 안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노치(10)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은 터미널 부분(4) 및 어댑터(8)가 분리될 때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터미널 부분(4) 및 어댑터(8)가 함께 링크될 때 와이핑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터미널 부분(4) 및 어댑터(8)는 각각의 부분의 상방 및/또는 하방 운동 작용으로 링크되거나 또는 분리되며, 어댑터(8)는 터미널 부분(4)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이로부터 나온다.
함께 피팅을 위해, 어댑터(8)는 그 길이방향 측부상에 적어도 돌출부(11)를 가지며, 또한 터미널 부분(4)은 적어도 대응하는 제1 슬롯(12)을 갖는다. 돌출부(11)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요소의 도움으로 터미널 부분(4)상에 어댑터(8)를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 부분(4)의 제1 슬롯(12)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요소(6)는 이것이 터미널 부분(4)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방식으로 터미널 부분(4)을 덮는 캡이다. 슬라이딩 요소(6)는 2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로, 즉 어댑터(8)상에 터미널 부분(4)을 로킹하기 위한 제1 위치와 터미널 부분(4) 및 연결 장치가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제2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슬라이딩 요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와이핑 시스템(1)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터미널 부분(4)의 길이방향 단부에 있다. 도 3은 슬라이딩 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와이핑 시스템(1)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터미널 부분(4)의 중심 부분에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슬라이딩 요소(6)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13)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13)은 터미널 부분(4)의 상기 제1 슬롯(12)에서 상기 연결 장치의 돌출부(11)를 로킹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슬라이딩 요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랩(13)은 그 하부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1 슬롯(12)의 간극(gap)을 폐쇄하며 또한 어댑터(8)를 터미널 부분(4)에 로킹한다.
그렇지 않다면, 슬라이딩 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플랩(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 간극의 전방에 있지 않다. 그 후, 돌출부(11)가 더 이상 로킹되지 않으며, 또한 터미널 부분(4)이 연결 장치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슬라이딩 요소(6)는 와이핑 시스템(1)이 취급될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2)상에 연결 인터페이스(5)를 추가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실제로, 터미널 부분(4) 및 연결 장치가 분리될 때, 연결 인터페이스(5)가 터미널 부분(4)상에 유지된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 부분(4) 및 연결 장치가 링크될 때, 연결 인터페이스(5)는 아암(3)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동안 액체 및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연결 장치에 연결된다.
그 목적을 위해, 슬라이딩 요소(6)는 연결 장치상에 또는 터미널 부분(4)상에 연결 인터페이스(5)를 현수할 수 있다.
그 관점에서 횡방향 측부상에 적어도 제2 핀(14)을 가지며 및/또는 상부상에 제2 노치(15)를 갖는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여기에 제공된다. 제2 핀(14)은 슬라이딩 요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연결 인터페이스(5)를 유지시키기 위해 기계적 커넥터(7)의 제3 노치(16)와 함께 끼워진다. 터미널 부분(4)은 슬라이딩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연결 인터페이스(5)를 현수하기 위해 제2 노치(15)와 함께 끼워질 수 있는 후크(17)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후크(17)가 연결 인터페이스(5)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노치(15)가 터미널 부분(4)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 5에 더욱 잘 도시되어 있다. 연결 인터페이스(5)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프팅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6)가 적어도 히치 플랩(18)을 포함하며, 또한 연결 인터페이스(5)가 적어도 제2 슬롯(19)을 포함한다. 히치 플랩(18)은 어댑터 돌출부를 로킹하는 플랩(13)에 대해 슬라이딩 요소(6)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히치 플랩(18)은 연결 인터페이스(5)를 시프팅시키기 위해 제2 슬롯(19)에 수용될 수 있다. 그 후, 슬라이딩 요소(6)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프팅될 때, 연결 인터페이스(5)가 슬라이딩 요소(6)의 운동을 따르며 또한 터미널 부분(4)에 연결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다.
제2 슬롯(19)은 어댑터(8)가 길이방향에 있어야만 히치 플랩을 수용하였다. 와이퍼 아암(3) 및 어댑터(8)가 다른 위치에 있을 때, 히치 플랩(18)은 제2 슬롯(19)에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6)는 연결 장치로부터 연결 인터페이스(5)를 분리할 수 없으며, 또한 기계적 커넥터가 상기 터미널 부분(4)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도 6에 있어서, 히치 플랩(18)이 슬라이딩 요소의 단부에 배치되므로, 히치 플랩(18)은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스토퍼 또는 태핏(tappet) 기능도 갖는다. 스토퍼 또는 태핏은 이것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슬라이딩 요소(6)의 운동을 정지시킨다.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요소(6)는 슬라이딩 요소(6)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터미널 부분(4) 내로 연장하는 제3 핀(20)을 포함하며, 또한 연결 인터페이스(5)는 개구(21)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핀(20)은 연결 인터페이스(5)를 슬라이딩 요소(6)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프팅시키기 위해 개구(21)를 후킹할 수 있다.
제3 핀(20)은 연결 인터페이스(5)의 개구(21)에 도달하기 위해, 터미널 부분(4)의 상부 표면상에 제공된 길이방향 슬릿(22)을 통해 터미널 부분(4)으로 연장한다. 제3 핀(20)은 연결 인터페이스(5)를 터미널 부분(4)으로 시프팅시키기 위해 슬릿(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핀(20)은 어댑터가 길이방향에 있어야만 상기 개구(21)에 수용된다. 와이퍼 아암(3) 및 어댑터가 다른 위치에 있을 때, 제3 핀(20)은 개구(21)에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6)는 연결 장치로부터 연결 인터페이스(5)를 분리할 수 없으며, 또한 기계적 커넥터가 상기 터미널 부분(4)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핀(20)은 연결 인터페이스(5) 및 슬라이딩 요소(6) 내의 개구(21)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연결 인터페이스(5)의 현수 및 변위와 관련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딩 요소(6)는 내부 특징부들의 일부 및 그 아래의 메카니즘을 보기 위해 이들 도면에서 조립체(1)로부터 멀리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5)는 적어도 제2 돌출부(25) 또는 핀을 가지며, 또한 터미널 부분(4)은 그 횡방향 측부상에 제공된 적어도 틈새(24)를 갖는다. 제2 돌출부(25)는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연결 장치에 링크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분리될 동안, 틈새(24)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 돌출부(25)는 터미널 부분(4)으로부터 외향하여 틈새(24)를 지나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요소(6)는 슬라이딩 요소(6)가 작동 사용 시 터미널 부분(4)을 둘러쌀 때 제2 돌출부(25)를 안내하기 위해, 내향하는 측면상에 중공부(hollow)(23) 또는 개구를 갖는다. 상기 제2 돌출부(25)는 중공부(23) 내에 끼워질 수 있다. 중공부(23)는 막혀 있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1 버전은 돌출부(25)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를 따라 내내 아암의 하부 엣지상으로 개방된 틈새(24)로 구성된다. 앞서의 실시예에 대해, 조립체(1)는 이 버전에서 후크(도 1 내지 도 4에서 도면부호 17로 표시된)를 필요로 한다. 후크는 아암(3)으로부터 연결 인터페이스(5)의 낙하(fall)를 피하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연결 인터페이스(5)를 현수한다. 상기 후크는 터미널 부분(4)의 측부에 로킹된 꼭지(teat)(26) 덕분에 터미널 부분(4)에 유지된다. 도 8은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연결 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조립체(1)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연결 장치에 링크될 때 조립체(1)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터미널 부분(4) 측부의 하부 엣지상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틈새(24) 및 얇은 얇은 돌출부(25)를 갖는 연결 인터페이스(5)로 구성된 제2 버전을 도시하고 있다. 틈새(24)는 작은 대시(dash)의 단부상으로 개방된 L 형상의 슬릿을 형성한다. 돌출부(25)는 2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L 의 큰 대시를 따라 미끄러지므로,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버전은 후크 없이도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연결 인터페이스(5)는 터미널 부분의 하부 엣지 부분(27)으로 인해 터미널 부분(4)에 유지되며, 엣지 부분(27)은 L 의 큰 대시를 덧댄다. 도 10은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연결 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조립체(1)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연결 인터페이스(5)가 연결 장치에 링크될 때 조립체(1)를 도시하고 있다.
2: 와이퍼 블레이드 3: 와이퍼 아암
4: 터미널 부분 5: 연결 장치
6: 슬라이딩 요소 7: 기계적 커넥터
12: 제1 슬롯 13: 플랩
19: 제2 슬롯

Claims (15)

  1. 와이핑 시스템(1)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로서,
    와이퍼 블레이드(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와이퍼 아암(3)의 터미널 부분(4)과,
    액체를 와이퍼 블레이드(2)로 이송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5)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연결 장치를 상기 터미널 부분(4)에 로킹하기 위한 제1 위치와, 터미널 부분(4)과 연결 장치가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제2 위치를 갖는 하나의 슬라이딩 요소(6)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또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5)를 제1 위치에서 연결 장치에 또는 제2 위치에서 터미널 부분(4)에 현수시킬 수 있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슬라이딩 요소(6)의 2개의 단부 위치인,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부분(4)은 상기 연결 장치의 돌출부(11)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롯(12)을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13)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13)은 슬라이딩 요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 장치의 돌출부(11)를 상기 제1 슬롯(12)에 로킹시킬 수 있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부분(4)은 슬라이딩 요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연결 인터페이스(5)를 현수시킬 수 있는 후크(17)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5)는 연결 인터페이스(5)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프팅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6)의 히치 플랩(18)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슬롯(19)을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연결 인터페이스(5)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프팅시키기 위해 연결 인터페이스(5)의 개구(21)를 후킹할 수 있는 핀(20)을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5)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시프팅되도록 슬라이딩 요소(6)의 개구(23)를 후킹할 수 있는 핀(25)을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부분(4)은, 핀(20, 25)이 따라서 이동되며 관통 연장될 수 있는, 길이방향 슬릿(22, 24)을 갖는,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요소(6)는 터미널 부분(4)을 덮는 캡인, 와이핑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조립체.
  11. 연결 장치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에 링크된 기계적 커넥터(7) 및 어댑터(8)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커넥터(7)는 터미널 부분(4)과 함께 상기 어댑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런 회전은 아암(3)과 비교해서 길이방향 위치에서 경사진 위치로 유발되는 와이핑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연결 인터페이스(5)를 유지시키기 위한 노치(16)를 포함하는 와이핑 시스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항은 상기 제6항과 관련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가 상기 길이방향 위치에 있을 때 히치 플랩(18)이 제2 슬롯(19)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와이핑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항은 상기 제7항과 관련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가 상기 길이방향 위치에 있을 때 핀(20)이 개구(21)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와이핑 시스템.
KR1020140057009A 2013-05-13 2014-05-13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연결 조립체 KR20140134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305602.8A EP2803540B1 (en) 2013-05-13 2013-05-13 Connecting assembly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EP13305602.8 2013-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231A true KR20140134231A (ko) 2014-11-21

Family

ID=4857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009A KR20140134231A (ko) 2013-05-13 2014-05-13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21773B2 (ko)
EP (1) EP2803540B1 (ko)
JP (1) JP6445783B2 (ko)
KR (1) KR20140134231A (ko)
CN (1) CN104149744B (ko)
BR (1) BR102014011519A2 (ko)
MX (1) MX2014005771A (ko)
PL (1) PL2803540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721A (ko) * 2020-03-27 2021-10-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와이퍼 암 선단부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 노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9805B4 (de) * 2013-11-27 2022-06-15 Mercedes-Benz Group AG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sowie Wischblatt und Wischarm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erbindungsanordnung
EP3124336B1 (en) 2015-07-28 2018-09-12 Valeo Systèmes d'Essuyage Connecting assembly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EP3190013B1 (en) 2016-01-07 2019-07-31 Taizhou Valeo Wenling Automotive Systems Co. Ltd. An adapter, nozzle structure, assembly consisting of the adapter and the nozzle structure and the assemblihng method thereof
JP7284071B2 (ja) * 2019-11-18 2023-05-30 株式会社デンソーワイパシステムズ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の結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4341A (en) * 1956-09-24 1961-03-14 Gen Motors Corp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KR100812773B1 (ko) * 2007-05-04 2008-03-12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장치
FR2933932B1 (fr) * 2008-07-15 2013-08-23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49269B4 (de) * 2008-09-26 2020-08-27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arm/Wischblatt-Verbindung sowie Wischblatt
FR2955546B1 (fr) * 2010-01-25 2012-09-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rrou integre sur connecteur de bras d'essuyage pour rampe de lavage embarquee
GB2479709A (en) * 2010-03-26 2011-10-26 Tzu-Chuan Liu Automatic spray of cleaning liquid by detachable, safety-promotion and environmental-protection vehicle wiper
DE102010052314A1 (de) * 2010-11-16 2012-05-16 Daimler Ag Wischblattanordnung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r Wischblattanordnung und einem Wischarm
DE102010052308A1 (de) * 2010-11-16 2012-05-16 Daimler Ag Wischarm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ES2431615T3 (es) 2010-12-02 2013-11-27 Valeo Systemes D'essuyage Conector hidráulico para una rasqueta de limpiaparabrisas
DE102010056366A1 (de) * 2010-12-29 2012-07-05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nd Wischa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721A (ko) * 2020-03-27 2021-10-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와이퍼 암 선단부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 노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9744B (zh) 2018-04-10
JP2014223909A (ja) 2014-12-04
PL2803540T3 (pl) 2017-12-29
EP2803540A1 (en) 2014-11-19
BR102014011519A2 (pt) 2016-01-05
EP2803540B1 (en) 2017-07-26
US9821773B2 (en) 2017-11-21
US20140331433A1 (en) 2014-11-13
JP6445783B2 (ja) 2018-12-26
MX2014005771A (es) 2014-11-24
CN104149744A (zh)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231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연결 조립체
JP6526390B2 (ja) 風防ワイパーシステムのためのアームヘッドおよびアダプタのアセンブリ、対応するアダプタ、対応するアームヘッド、ならびに、得られるワイパーシステム
JP6445782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拭きシステムを構築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およびこのアセンブリを含む接続デバイス
EP2460700B1 (en) Hydraulic connector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KR101254582B1 (ko) 와이퍼 장치
US899730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211868B2 (en) Hydraulic connector for a windshield wiper blade having guidance by lateral protuberances
US20130291329A1 (en) Hydraulic connector for a windshield wiper blade having guidance by a longitudinal arm
US9566950B2 (en) Hydraulic and/or electrical connection interface for windscreen wiper
CN102596658B (zh) 用于车辆刮水器的多功能适配器
JP2014223907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のための液圧および/または電気接続インタフェース
CN105752034B (zh) 装配有喷洒喷嘴的擦拭器臂
KR101890970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2015098319A (ja) 加熱インジケータの設けられた車両の窓用ワイパーシステム
EP3124336B1 (en) Connecting assembly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JP6403986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拭きシステムを構築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およびこのアセンブリを含む接続デバイス
US9862357B2 (en) Pivot link for a vehicle wiper blade
JP5677567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