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840A -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840A
KR20140133840A KR1020147024730A KR20147024730A KR20140133840A KR 20140133840 A KR20140133840 A KR 20140133840A KR 1020147024730 A KR1020147024730 A KR 1020147024730A KR 20147024730 A KR20147024730 A KR 20147024730A KR 20140133840 A KR20140133840 A KR 2014013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dry filter
orifice plate
gas m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757B1 (ko
Inventor
대니얼 프레이즈
랄프 오벤랜드
볼프강 티쉬
한스 마팅슈테그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3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04Pressur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53/685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by treating the gases with soli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04Pressure suppression
    • G21C9/008Pressure suppression by rupture-discs or -diaphrag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6Molecular sieves other than 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2Single element halog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Organic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8Iod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내압성 원자로 케이싱(12)으로 기밀하게 에워싸인 내부 공간(14); 상기 원자로 케이싱(12)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방출 개구(16); 상기 내부 공간(14) 안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상기 압력 방출 개구(16)로부터 나가는 가스 질량 유동(20, 46, 48)을 위한 건식 필터(18); 및 상기 압력 방출 개구(16)와 건식 필터(18)를 연결하기 위한 유동 채널(22, 44)을 포함하고, 여과 효율은 상기 건식 필터(18)에서의 가스 질량 유동(20, 46, 48)의 평균 주재 시간 및 가스 질량 유동(20, 46, 48)과 각각의 이슬점 사이의 온도차에 달려 있고, 수동적인(passive) 오리피스(24, 42)가 상기 유동 채널(22, 44)에서 상기 건식 필터(18)의 상류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리피스(24, 42) 및 건식 필터(18)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REACTOR PRESSURE RELIEF FILTER SYSTEM}
본 발명은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내압성 원자로 케이싱으로 기밀하게 에워싸인 내부 공간, 상기 원자로 케이싱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방출 개구, 상기 내부 공간 안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상기 압력 방출 개구로부터 나가는 가스 질량 유동을 위한 건식 필터, 및 상기 압력 방출 개구와 건식 필터를 연결하기 위한 유동 채널을 포함하고, 여과 효율은 상기 건식 필터에서의 가스 질량 유동의 평균 주재 시간 및 가스 질량 유동과 각각의 이슬점 사이의 온도차에 달려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건식 필터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핵 발전소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기밀한 강재 쉘(구속부)을 갖지만 대개는 내압성의 기밀한 원자로 격납 용기(격납부), 즉 원자로 압력 용기와 함께 주 회로를 에워싸는 원자로 케이싱을 갖는다. 원자로 케이싱 또는 원자로 격납 용기(RCV) 또는 격납부는 에어로졸 및 가스의 형태로 된 방사능 물질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하며, 작동 중에 그리고 설계 관련 사고 중에 그 물질이 주변 환경에 들어가는 것을 신뢰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발전소 설계 외에 기반한 사고, 예컨대 여열(afterheat) 제거를 위한 모든 시스템의 장기간 고장의 경우에, RCV 내의 압력이 허용 불가능하게 심지어는 파손될 정도로 증가할 수도 있다. 그러한 파손 및 그에 따른 다량의 방사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핵 발전소에는 제어되는 여과식 압력 방출을 위한 시스템이 있다.
여과식 압력 방출을 위한 공지된 방법은 건식 필터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RCV로부터의 가스 질량 유동은 핵 발전소 주변의 환경으로 방출되기 전에 먼저, 에어로졸 형태의 핵분열 생성물의 분리를 위한 금속 섬유 필터(에어로졸 필터라고도 함)을 통과하고 이어서 가스 형태의 요오드(원소 형태 또는 유기물 형태)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자체(molecular sieve)로 알려져 있는 것을 통과하게 된다. 여과는 핵분열 생성물의 대부분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리하여, 오염으로 인한 인구의 단기간 및 장기간 철수 및 땅의 손실을 최대한 피할 수 있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자체는 은으로 도핑된 구형 제올라이트가 패킹되어 있는 많은 필터 베드를 갖는다. 제올라이트는 높은 내부 미세 다공성을 가지며 그래서 매우 큰 비표면적을 갖는다. 필터 효과는 전체 유효 제올라이트 표면 위에 가해져 있는 은과 가스 질량 유동에 존재하는 기체 요오드 간의 반응에 기초한다. 이 과정은 화학적 수착(sorption)으로 알려져 있다.
분자체의 여과 효율은 실질적으로 필터 베드에서 여과될 가스의 주재 시간 및 은의 원자로 덮혀 있는 이용가능한 제올라이트 표면에 달려 있다. 이 유효 은 표면은 대부분 제올라이트 세공 내에 있다. 가스의 습기 함량이 증가하면, 이들 세공은 부분적으로 물로 채워지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가스에서 운반되는 요오드의 반응에 이용가능한 표면과 은은 더 적게 된다. 그러므로, 습기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이슬점과의 온도차가 낮아짐에 따라 필터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원자로 케이싱으로부터 압력 방출을 개시한 후에, 그 케이싱으로 에워싸인 공간 내의 내부 압력 및 초기 가스 질량 유동이 압력 방출 도중에 감소된다. 그러므로 분자체 또는 건식 필터에서의 가스 질량 유동의 주재 시간은 압력 방출의 시작시에 특히 낮은데, 그에 따라 건식 필터는 크게 설계되어야 하고 또한 그래서 압력 방출이 끝나감에 따라 더 적어지는 질량 유동을 위해 크기가 상당히 과도하게 된다.
건식 필터의 더 나은 이용을 위해, 가스 질량 유동은 직원에 의한 행위로 적극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특히, 완전한 정전이 일어나거나 직원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는 이는 불리하며, 또한 시스템이 필요한 경우 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거나 또는 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개입 없이 또한 외부에서 에너지 또는 매체를 공급함이 없이 전체 압력 방출 작용 중에 특정 압력 방출 및 이 경우의 높은 여과 효율을 보장하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으로 달성된다. 이 시스템은, 수동적인(passive) 오리피스 플레이트가 상기 유동 채널에서 상기 건식 필터의 상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건식 필터 전에 가스 질량 유동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동적인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에 실질적으로 기초하고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원자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규정된 압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압력 방출이 개시될 때 원하는 압력 방출 질량 유동이 일어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시스템에서 압력 손실의 대부분은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건식 필터 전의 정압은 거의 대기압으로 된다. 원자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과 여과된 가스 질량 유동이 압력 방출 중에 방출되는 주변 대기 사이의 큰 압력차 때문에 오리피스 플레이트 내부에는 임계 유동 상태가 일어나게 된다. 이 감압 작용은 가스 질량 유동 또는 전형적으로는 증기/가스 혼합물을 과열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의 임계 유동 상태 때문에, 압력 방출 중에 가스 질량 유동은 사실상 원자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 내의 압력에 비례하게 된다. 압력 방출의 시작시, 내부 압력이 높으면, 질량 유동은 상대적으로 높게 되고, 압력 방출이 끝나감에 따라, 내부 압력이 낮을 때는 질량 유동은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다른 한편, 압력 방출의 시작시에 얻어질 수 있는 이슬점과의 차는 가스 질량 유동의 과열로 인해 크게 되고, 압력 방출이 끝나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건식 필터의 여과 효율에 대하여, 두 효과는 상반되는데, 즉 유리하게도 서로에 반대로 작용하고 이상적으로 서로를 상쇄시킨다. 따라서, 한편, 그러므로 건식 필터에서의 특히 짧은 주재 시간은 높은 가스 질량 유동의 결과로 압력 방출의 시작시에 얻어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필터는 가스 질량 유동의 높은 온도 및 이슬점과의 큰 차이 때문에 특히 높은 효율을 갖는다.
이는 유리하게도, 사람의 개입 없이 또한 외부에서 에너지 또는 매체를 공급함이 없이 전체 압력 방출 작용 중에 특정 압력 방출 및 높은 여과 효율을 보장하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의 구성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동적인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상기 건식 필터의 바로 상류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된 가스 질량 유동이 건식 필터에 들어가기 전에 그 가스 질량 유동이 냉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오리피스 플레이트(여기서 가스 질량 유동이 압력 감소로 인해 일어나게 됨)와 건식 필터 사이의 거리는 작게 유지되어야 한다. 예컨대 수 미터 또는 사실 심지어는 그 이상의 유동 거리가 이를 위해 전적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여과 효율이 유리한 방식으로 증가하게 된다.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동 채널의 입구 영역에는 파열 디스크가 제공되어 있고, 이 디스크는 유동 채널을 기밀하게 시일링하고 또한 어떤 파열 압력이 초과되면 파열되도록 되어 있다.
공지된 구성의 경우와는 달리,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에서의 압력 방출은, 코어 쉬라우드의 내부 공간에 규정된 압력이 있으면 파열 디스크가 파열됨으로써 완전히 수동적으로 개시된다. 따라서, 능동적인 부품들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와 건식 필터 사이에 있는 유동 채널의 영역은 그의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절연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가열된 가스 질량 유동의 냉각이 감소되고 여과 효율이 유리하게 증가된다. 이 변형예는, 예컨대 구조적인 이유로 오리피스 플레이트와 건식 필터가 바로 가까이 있을 수 없고 예컨대 수십 미터의 거리가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 채널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상류에는 수동적인 압력 방출 밸브가 제공되고, 이 밸브는 압력이 어떤 최대 압력을 초과하면 열리고 압력이 어떤 최소 압력 아래로 내려가면 닫히게 된다.
압력 방출 밸브는 예컨대 스프링 요소로, 즉 절환 에너지의 공급 없이 전적으로 수동적으로 작동하며 또한 히스테리시스 거동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최소 압력이 원자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도달되면 압력 방출 작용이 끝나는 것이 완전히 수동적으로 보장된다. 이렇게 해서, 원자로 케이싱은 있을 수 있는 아대기압(subatmospheric pressure)의 형성으로부터 보호되는데, 이 아대기압은 원자로 케이싱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건식 필터는 가스 형태의 요오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자체(molecular sieve)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필터는 기존의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의 여과 효율은 상기 필터에서의 가스 질량 유동의 평균 주재 시간 및 가스 질량 유동과 각각의 이슬점 사이의 온도차에 달려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대략 일정한 여과 효율이 보장되도록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건식 필터는 각각의 가스 질량 유동을 고려하여 서로에 맞도록 되어 있다. 가스 질량 유동의 평균 주재 시간 및 가스 질량 유동과 각각의 이슬점 사이의 온도차의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대략 서로를 보상한다. 그래서 건식 필터는 압력 방출 작용 중에 생기는 모든 압력 조건 하에서 최적의 범위에서 작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필터가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상류에 제공된다. 에어로졸 필터는 에어로졸 형태의 핵분열 생성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금속 섬유 필터인데, 기존의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을 위한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건식 필터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달성되는 바,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 내부 공간 내의 특정 압력에서 압력 방출이 시작될 때 원하는 가스 질량 유동이 얻어지도록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 주어진 오리피스 플레이트로 상기 내부 공간 내의 다른 압력 조건에 대해 가스 질량 유동 및 얻을 수 있는 이슬점 차를 결정하는 단계;
● 각각의 여과 효율을 고려하여 다른 압력 조건에 대해 각 경우 건식 필터에서의 필요한 최소 주재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 모든 다른 압력 조건에 대해 상기 필요한 최소 주재 시간이 얻어지도록 상기 건식 필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원자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규정된 압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압력 방출이 개시될 때 원하는 압력 방출 질량 유동이 일어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먼저 가스 질량 유동 및 얻을 수 있는 이슬점 차가 원자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 내의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제올라이트의 여과 효율 곡선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압력 방출의 전체 과정에 대한 가스 질량 유동의 필요한 주재 시간이 이들 두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다. 이어서, 분자체의 필터 베드의 예컨대 깊이 및 면적이, 전체 압력 방출 작용 중에 필요한 주재 시간이 얻어지도록 결정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다른 유리한 구성의 가능성은 다른 종속 청구항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 형태 및 다른 이점들을 도면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예시적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유동 채널을 나타낸다.
도 3 은 압력 방출 작용 중에 주재 시간, 이슬점 차 및 여과 효율의 개략적인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1 은 일 예시적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내부 공간(14)은 원자로 케이싱(12)에 의해 기밀하게 에워싸여 있다. 내부 공간(14) 안에는 원자로(34)가 있는데, 사고 발생시 그 원자로는 특히 물을 수증기로 증발시켜 과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분석 및 시험에 의하면, 심각한 사고 중에 원자로에는 수증기 분압의 포화 온도에 상당하는 온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 방출 작용은 파열 디스크(26)의 파열로 개시되는데, 그 디스크는 내부 공간(14)에 대해 유동 채널(22)을 처음에 기밀하게 시일링한다. 파열 디스크(26)는 완전 수동적인 요소인데, 이는 특정 파열 압력에서 파열되고 그에 따라 유동 채널(22)을 개봉한다. 결과적으로, 유동 채널(22)이 개봉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14)과 주변 환경에서 상이한 압력 조건 때문에 가스 질량 유동(20)이 개시된다. 압력 방출시, 가스 질량 유동(20)은 에어로졸 필터(30)를 통해 배출 채널에 들어가고 원자로 케이싱(12)의 압력 방출 개구(16)를 통해 유동 채널(22) 안으로 들어가서 외부로 나가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스 질량 유동(20)은 처음에, 동력식 또는 수동식 관통 격리 밸브(32)를 지나는데, 그러나 이 밸브는 보통 열려 있고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 다음에, 예컨대 수십 미터의 유동 채널 길이를 지난 후에, 가스 질량 유동(20)은 수동적인 압력 방출 밸브(28) 안으로 들어가고, 이 밸브는 압력이 어떤 최대 압력을 초과하면 열리고 압력이 어떤 최소 압력 아래로 내려가면 닫히게 된다. 파열 디스크(26)의 파열 압력은 어떤 경우에도 압력 방출 밸브(28)의 최대 압력 보다 높게 설계되어야 하며, 그래서 파열 디스크(26)가 파열될 때 압력 균형화의 경우에 압력 방출 밸브(28)는 즉시 열리게 된다.
그 후에, 가스 질량 유동(20)은 오리피스 플레이트(24)를 지나고, 이 플레이트는 유동 채널(22)의 유동 단면을 수축시킨다.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예컨대 무한 조정가능한 밸브 수단 또는 링형 수축 요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공간(14)을 향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일 측에서의 압력은 그 내부 공간에서와 거의 동일하게 되며, 가스 질량 유동(20)의 압력 감소는 오리피스 플레이트(24)에서 일어나며, 이와 동시에 증기가 건조되는데, 즉 이슬점 온도와 가스 질량 유동 온도 간의 온도차가 증가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24)를 관류한 바로 후에, 가열된 가스 질량 유동(20)은 요오드를 여과하기 위한 건식 필터(18)(이 경우, 분자체(molecular sieve))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예컨대 수 미터의 바로 근처에 있음으로 해서, 유리하게도 가스 질량 유동의 상당한 냉각이 회피되며, 그래서 이슬점과의 큰 온도차가 얻어진다. 그리하여 여과 효율이 유리한 방식으로 증가된다. 그 후에, 여과된 가스 질량 유동은 주변 환경에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내부 공간의 압력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압력 방출 밸브(28)는 히스테리시스 거동을 가지며, 압력이 특정가능한 최소 압력 아래로 내려가면 압력 균형화 작용을 끝내게 된다. 압력이 새롭게 최대 압력 이상으로 증가하면, 필요하다면 새로운 압력 균형화 작용이 압력 방출 밸브(28)의 새로운 열림으로 개시된다.
도 2 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유동 채널의 일 부분(40)을 나타낸다. 유동 채널(44)은 벽(50)으로 에워싸여 있다. 도의 중간에는 오리피스 플레이트(42)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플레이트에 의해 유동 채널(44)의 유동 단면이 감소된다. 원자로 측으로부터 들어오는 가스 질량 유동(46)은 비교적 높은 압력을 가지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지나면서 가열됨에 따라 감압되고, 다른 측에서 가스 질량 유동(48)으로서 다시 나타나서 건식 필터(미도시)에 공급된다. 건식 필터로 가는 도중에 상기 가열된 가스 질량 유동의 온도 손실을 피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유동 채널(44)의 열 절연부(52)가 제공된다.
도 3 은 온도 조건(68)을 다르게 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방출 작용 중에 주재 시간(62), 이슬점 차(66) 및 여과 효율(64)의 개략적인 프로파일을 무차원 도(60)로 나타낸 것이다. 압력 방출 작용은 참조 번호(7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압력에서 시작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이 최대 압력에서 원하는 가스 질량 유동이 얻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압력이 낮아지는 상태에서, 가스 질량 유동은 점차적으로 덜 가열되며, 그래서 이슬점 차(66)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건식 필터에서의 주재 시간(62)은 증가하며, 따라서 이들 두 효과는 서로를 보상하며 이상적으로 항상 높은 여과 효율(64)이 얻어지게 된다.
10 예시적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12 원자로 케이싱
14 내부 공간
16 원자로 케이싱을 통과하는 압력 방출 개구
18 건식 필터
20 가스 질량 유동
22 유동 채널
24 수동적인 오리피스 플레이트
26 파열 디스크
28 수동적인 압력 방출 밸브
30 에어로졸 필터
32 관통 격리 밸브
34 원자로
40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유동 채널
42 예시적인 오리피스 플레이트
44 유동 채널
46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지나기 전의 가스 질량 유동
48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지난 후의 가스 질량 유동
50 유동 채널의 벽
52 유동 채널의 열 절연부
60 압력 방출 작용 중에 주재 시간, 이슬점 차 및 여과 효율의 개략적인 프로파일
62 주재 시간
64 여과 효율
66 이슬점 차
68 건식 필터에서의 다른 온도 조건
70 압력 방출의 시작점

Claims (9)

  1.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10)으로서,
    내압성 원자로 케이싱(12)으로 기밀하게 에워싸인 내부 공간(14);
    상기 원자로 케이싱(12)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방출 개구(16);
    상기 내부 공간(14) 안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상기 압력 방출 개구(16)로부터 나가는 가스 질량 유동(20, 46, 48)을 위한 건식 필터(18); 및
    상기 압력 방출 개구(16)와 건식 필터(18)를 연결하기 위한 유동 채널(22, 44)을 포함하고,
    여과 효율은 상기 건식 필터(18)에서의 가스 질량 유동(20, 46, 48)의 평균 주재 시간 및 가스 질량 유동(20, 46, 48)과 각각의 이슬점 사이의 온도차에 달려 있으며,
    수동적인(passive)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가 상기 유동 채널(22, 44)에서 상기 건식 필터(18)의 상류에 제공되어 있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적인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는 상기 건식 필터(18)의 바로 상류에 제공되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22, 44)의 입구 영역에는 파열 디스크가 제공되어 있고, 이 디스크는 유동 채널을 기밀하게 시일링하고 또한 어떤 파열 압력이 초과되면 파열되도록 되어 있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와 건식 필터(18) 사이에 있는 유동 채널(22, 44)의 영역은 그의 벽(50)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절연되는(52)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22, 44)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의 상류에는 수동적인 압력 방출 밸브(28)가 제공되고, 이 밸브는 압력이 어떤 최대 압력을 초과하면 열리고 압력이 어떤 최소 압력 아래로 내려가면 닫히게 되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필터(18)는 가스 형태의 요오드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자체(molecular sieve)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여과 효율이 보장되도록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 및 건식 필터(18)는 각각의 가스 질량 유동을 고려하여 서로에 맞도록 되어 있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필터(30)가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의 상류에 제공되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10)을 위한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 및 건식 필터(18)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내부 공간(14) 내의 특정 압력에서 압력 방출이 시작될 때 원하는 가스 질량 유동(20, 46, 48)이 얻어지도록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주어진 오리피스 플레이트(24, 42)로 상기 내부 공간(14) 내의 다른 압력 조건에 대해 가스 질량 유동(20, 46, 48) 및 얻을 수 있는 이슬점 차를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여과 효율을 고려하여 다른 압력 조건에 대해 각 경우 건식 필터에서의 필요한 최소 주재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모든 다른 압력 조건에 대해 상기 필요한 최소 주재 시간이 얻어지도록 상기 건식 필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을 위한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건식 필터의0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24730A 2012-03-16 2013-03-13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KR102043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5204.9 2012-03-16
DE102012005204A DE102012005204B3 (de) 2012-03-16 2012-03-16 Reaktordruckentlastungsfiltersystem
PCT/EP2013/000733 WO2013135374A1 (de) 2012-03-16 2013-03-13 Reaktordruckentlastungsfilter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840A true KR20140133840A (ko) 2014-11-20
KR102043757B1 KR102043757B1 (ko) 2019-11-12

Family

ID=4742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730A KR102043757B1 (ko) 2012-03-16 2013-03-13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35718A1 (ko)
EP (1) EP2826038B1 (ko)
JP (1) JP2015514975A (ko)
KR (1) KR102043757B1 (ko)
DE (1) DE102012005204B3 (ko)
WO (1) WO2013135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7595B3 (de) * 2013-04-25 2014-09-25 Areva Gmbh Emissionsüberwachungssystem für ein Ventingsystem eines Kernkraftwerks
KR101552913B1 (ko) 2014-04-01 2015-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EP3023992A1 (en) 2014-11-21 2016-05-25 Westinghouse Electric Germany GmbH Filtered containment vent system for a nuclear power plant
KR20190085911A (ko) * 2016-11-28 2019-07-19 프라마톰 게엠베하 필터식 격납용기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원자력 발전소
JP6670229B2 (ja) * 2016-12-07 2020-03-18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炉格納容器のベント流量計測システム
US10706973B2 (en) 2017-05-02 2020-07-07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Very simplified boiling water reactors for commercial electricity generation
US11380451B2 (en) 2017-08-15 2022-07-05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Depressurization and coolant injection systems for very simplified boiling water reactors
US11227696B2 (en) 2017-11-21 2022-01-18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spent fuel pool filter vent
CN113130100A (zh) * 2021-04-09 2021-07-1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氢气复合器组件单元轴向优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5850A1 (de) * 1988-05-09 1989-11-23 Siemens Ag Kernkraftwerk mit einer sicherheitshuelle und verfahren zu seiner druckentlastung
JPH03235093A (ja) * 1990-02-13 1991-10-21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減圧装置
US5078960A (en) * 1988-03-03 1992-01-07 Rwe Energi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relieving the pressure in the containment of a nuclear power station
US5596613A (en) * 1995-03-10 1997-01-21 General Electric Company Pressure suppression containment system for boiling water rea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2265C2 (de) * 1982-04-02 1984-05-10 Hochtemperatur-Reaktorbau GmbH, 5000 Köl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gezielten Aktivitätsableitung aus dem Reaktorschutzgebäude einer gasgekühlten Kernkraftanlage
DE3729501A1 (de) * 1987-03-23 1988-10-06 Siemen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druckentlastung eines kernkraftwerkes
CA2406331C (en) * 2002-10-01 2009-12-22 Long Manufacturing Ltd. Thermal management system
DE102010035509A1 (de) * 2010-08-25 2012-03-01 Areva Np Gmbh Verfahren zur Druckentlastung eines Kernkraftwerks, Druckentlastungssystem für ein Kernkraftwerk sowie zugehöriges Kernkraftwerk
DE102010035510A1 (de) * 2010-08-25 2012-03-01 Areva Np Gmbh Verfahren zur Druckentlastung eines Kernkraftwerks, Druckentlastungssystem für ein Kernkraftwerk sowie zugehöriges Kernkraftwe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960A (en) * 1988-03-03 1992-01-07 Rwe Energi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relieving the pressure in the containment of a nuclear power station
DE3815850A1 (de) * 1988-05-09 1989-11-23 Siemens Ag Kernkraftwerk mit einer sicherheitshuelle und verfahren zu seiner druckentlastung
JPH03235093A (ja) * 1990-02-13 1991-10-21 Toshiba Corp 原子炉格納容器減圧装置
US5596613A (en) * 1995-03-10 1997-01-21 General Electric Company Pressure suppression containment system for boiling water re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4975A (ja) 2015-05-21
EP2826038A1 (de) 2015-01-21
EP2826038B1 (de) 2017-05-03
WO2013135374A1 (de) 2013-09-19
KR102043757B1 (ko) 2019-11-12
DE102012005204B3 (de) 2013-01-17
US20150235718A1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757B1 (ko) 원자로 압력 방출 필터 시스템
CA2874852C (en) Filter for a nuclear reactor containment ventilation system
JP5235139B2 (ja) 原子力設備並びにその格納容器における閉鎖装置
KR101841617B1 (ko) 격납 용기 및 압력 완화 시스템을 갖는 원자력 발전소
KR101949192B1 (ko) 대류건조 여과식 격납용기 배기시스템
KR20180019240A (ko) 연료 공급 패키지
CN110383393B (zh) 催化复合器和过滤装置
US4698202A (en) Process for installation for the controlled discharge of activity from a reactor containment structure of a gas-cooled nuclear power plant
JP2020098600A (ja) 減圧弁
US3466444A (en) Differentially vented carrying cask for radioactive materials
JP6524429B2 (ja) 放射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5853054B2 (ja) 原子炉格納構造物の冷却システム
JP6754719B2 (ja) 原子炉格納容器ベントシステム
WO2023136358A1 (ja) 消炎装置、水素製造装置、水素製造方法及び光化学反応用反応器
US20160189809A1 (en) Nuclear power plant
JPH03235093A (ja) 原子炉格納容器減圧装置
US11227696B2 (en)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spent fuel pool filter vent
KR101853637B1 (ko) 실내에서의 화재의 결과를 제한하는 개선된 장치
JPS63289488A (ja) 原子炉格納容器の圧力制御装置
KR102295599B1 (ko) 여과배기용기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cfvs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성 기체 제거 장치
JPH0377096A (ja) 原子炉格納容器のベント装置及び内圧低減方法
KR20140148292A (ko) 원자로 격납구조물 장기 냉각 시스템
CN113941177A (zh) 反应堆减压过滤系统
JP3726689B2 (ja) 水素処理設備及び水素処理方法
JPH0693033B2 (ja) 原子炉格納容器冷却スプレイ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