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913B1 -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913B1
KR101552913B1 KR1020140038450A KR20140038450A KR101552913B1 KR 101552913 B1 KR101552913 B1 KR 101552913B1 KR 1020140038450 A KR1020140038450 A KR 1020140038450A KR 20140038450 A KR20140038450 A KR 20140038450A KR 101552913 B1 KR101552913 B1 KR 101552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adioactive gas
dissolution
removal module
radio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광순
나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04Pressure suppre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는 격납건물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용해모듈; 상기 용해모듈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는 습분제거모듈; 상기 습분제거모듈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에어로졸이 제거되는 에어로졸제거모듈;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에서 이송된 유기요오드가 제거되어 정화 기체가 생성되는 유기요오드제거모듈; 및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에서 이송된 정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용해모듈, 습분제거모듈, 에어로졸제거모듈, 유기요오드제거모듈이 일렬로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Filtration module device of radioactive gas}
본 발명은 원전에 중대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격납건물 내 압력상승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방사성물질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격납건물에 설치되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석탄 및 석유 등과 같은 화석 에너지의 매장량은 점차 고갈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에너지 문제는 원자력 에너지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실제로 원자력 에너지의 사용 비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원자력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는 설비와 부재가 필수적을 확보되어야 한다.
실제로 천재지변 기타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원자력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환경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에서 막대한 손해를 피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원자로 압력 용기를 격납건물 내에 완전 밀폐 설치한다.
또한, 격납건물 내에는 원자로의 중대사고를 대응하기 위한 다양성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안전장치로서, 원자로에 중대사고가 발생하여 방사성 기체가 격납건물 내에 주입되어 격납건물의 내부압력이 상승될 경우, 이러한 압력상승으로 인한 격납건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방사성 기체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사성 기체를 여과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방사성 기체 여과장치가 격납건물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성 기체 여과장치는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방사성 기체 여과장치의 여과 효율은 방사성 기체의 압력 및 유속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KR 1995-0004287은 가압경수로의 콘크리트 격납용기에서 직접증기용축을 통한 피동격납용기 냉각계통에 있어서, 냉각제상실사고시 냉각재계통과 격납용기내의 핵연료교환용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와 격납용기내에 존재하던 공기와 같은 비응축성기체가 압력의 차이에 유입될 수 있는 피동 격납용기냉각계통 입구관과, 냉각재 상실사고시 발생하는 수소를 연소시킬 수 있는 수소 점화기와, 격납용기에 설치되어 풀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를 응축시키고 응축가능한 방사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응축 풀과, 풀 내부의 압력을 낮은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여과배기계통과, 격납용기내의 격납용기내 핵연료교환용수 저장탱크로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는 파이프 및 밸브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 격납용기냉각계통을 제시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대기중보다 압력과 온도가 높은 격납용기 및 응축 풀에 설치됨으로써, 유지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995-0004287 A(1995.02.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다른 구성요소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 여과 장치(1000)는 격납건물(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관(110); 상기 주입관(1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용해모듈(200); 상기 용해모듈(2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는 습분제거모듈(300);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에어로졸이 제거되는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에서 이송된 유기요오드가 제거되어 정화 기체가 생성되는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 및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에서 이송된 정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용해모듈(200), 습분제거모듈(300),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이 일렬로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는 격납건물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용해모듈; 상기 용해모듈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는 습분제거모듈; 상기 습분제거모듈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에어로졸이 제거되는 에어로졸제거모듈;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에서 이송된 유기요오드가 제거되어 정화 기체가 생성되는 유기요오드제거모듈; 상기 용해모듈과 습분제거모듈을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습분제거모듈과 에어로졸제거모듈을 연결하는 제2배관, 및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과 유기요오드제거모듈을 연결하는 제3배관; 및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에서 이송된 정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용해모듈, 습분제거모듈, 에어로졸제거모듈, 유기요오드제거모듈이 일렬로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모든 구성요소들이 다른 구성요소의 외부에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1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2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3에 따른 용해모듈, 보온체, 열차단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3에 따른 보온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3에 따른 열차단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원전에 중대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격납건물 내 압력상승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방사성물질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격납건물에 설치되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는 주입관(110), 용해모듈(200), 습분제거모듈(300),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 배출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110)은 격납건물(10)과 연결되며, 원전에 중대사고가 발생할 경우, 격납건물(10) 내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납건물(10)에서 배출되는 방사성 기체가 주입된다.
이 때, 상기 주입관(110)에는 격납건물(10)에서 주입관(110)으로 이송되는 방사성 기체의 양이 조절되도록 주입솔레노이드밸브(1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해모듈(200)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상기 주입관(1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물에 용해된다.
이 때, 상기 방사성 기체는 매우 고온이므로, 상기 용해조에서 물에 용해된 후, 증발하여 상승한다.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은 상기 용해모듈(200)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용해모듈(200)에서 증발되어 상승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다.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은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에어로졸을 제거한다.
이 때,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화물인 염을 포함하는 휘발성 방사성 핵종 흡착물질이 흡착된 에어로졸제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은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유기요오드를 제거한다.
이 때,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화물인 염을 포함하는 유기요오드제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화물인 염은 대기 중의 요오드를 선택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증기, 물 에어로졸 등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요오드를 선택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관(120)은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에서 이송된 정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 상기 배출관(120)에는 상기 정화 기체의 이송양이 조절되도록 배출솔레노이드밸브(12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는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해모듈(200), 습분제거모듈(300),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이 일렬로 서로 연결배관들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배관들은 서로 퀵&커플러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서로 배관플랜지에 의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는 격납건물(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관(110); 상기 주입관(1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용해모듈(200); 상기 용해모듈(2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는 습분제거모듈(300);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에어로졸이 제거되는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에서 이송된 유기요오드가 제거되어 정화 기체가 생성되는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 상기 용해모듈(200)과 습분제거모듈(300)을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습분제거모듈(300)과 에어로졸제거모듈(400)을 연결하는 제2배관, 및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과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을 연결하는 제3배관; 및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에서 이송된 정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용해모듈(200), 습분제거모듈(300),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이 일렬로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1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상기 방사성 기체의 압력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레귤레이터(610), 제2레귤레이터(620), 제3레귤레이터(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610)는 상기 용해모듈(200)과 습분제거모듈(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용해모듈(200)에서 습분제거모듈(300)로 이송되는 방사성 기체의 압력 및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2레귤레이터(620)는 상기 습분제거모듈(300)과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에어로졸제거모듈(400)로 이송되는 방사성 기체의 압력 및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3레귤레이터(630)는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과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에서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로 이송되는 방사성 기체의 압력 및 속도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의 실시예 1은 제1레귤레이터(610), 제2레귤레이터(620), 및 제3레귤레이터(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격납건물(10)에서 배출되는 방사성 기체의 압력과 속도를 조절하여 여과하여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의 여과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2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의 실시예 2는 연결관(130) 및 저장통(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130)은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 수용된 물과 격납건물(10)을 연결하며,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용해된 물을 격납건물(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연결관(130)에는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격납건물(10)로 공급되는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용해된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연결솔레노이드밸브(1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700)은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제거된 습기가 이송 및 저장된다.
<실시예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3에 따른 용해모듈, 보온체, 열차단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3에 따른 보온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의 실시예 3에 따른 열차단체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의 실시예 3은 보온체(800) 및 열차단체(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온체(800)는 상기 용해모듈(200)이 보온되도록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을 둘러싼다.
상기 보온체(800)는 내열성의 보온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용해모듈(200)에서 내부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보온체(800)는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고,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에 용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열차단체(900)는 상기 방사성 기체와 상기 용해모듈(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용해모듈(200)의 내면에 직접 접촉되어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용해모듈(200)의 내면을 둘러싼다.
즉, 상기 열차단체(900)는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대기중의 공기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체(800)는 제1보온부재(810), 제2보온부재(820), 제3보온부재(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온부재(810)는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을 둘러싸며 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보온부재(820)는 상기 제1보온부재(810)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변화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변화물질이란, 온도에 따라,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화면서, 열을 저장(잠열)하거나 방출(방열)하는 자동 온도 조절 기능성 물질을 말한다.
또한, 상변화물질은 n-paraffin, poly ethylene glycol, Na2S04 10H20, Na2HP04 12H20, Zn(NO3)2 6H2O, Na2S3O3 5H20, NaCH3COO3H2O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중 잠열이 제일 높은 Na2HP04 12H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보온부재(830)는 상기 제2보온부재(820)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단열재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체(900)는 내부에 진공공간(9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901)은 용해모듈(200)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증기의 열이 용해모듈(200)의 내면을 둘러싸는 열차단체(900)에 의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의 실시예 3은 용해모듈(200)이 보온되도록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을 둘러싸는 보온체(800); 및 상기 방사성 기체가 상기 용해모듈(200)의 내면에 접촉되어 열손실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용해모듈(200)의 내면을 둘러싸는 열차단체(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해모듈(200)의 내부온도저하에 의해 방사성 기체의 용해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용해모듈(200)의 주변 대기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접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격납건물
1000 :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110 : 주입관
115 : 주입솔레노이드밸브
120 : 배출관
125 : 배출솔레노이드밸브
130 : 연결관
135 : 연결솔레노이드밸브
200 : 용해모듈
300 : 습분제거모듈
400 : 에어로졸제거모듈
500 : 유기요오드제거모듈
610 : 제1레귤레이터
620 : 제2레귤레이터
630 : 제3레귤레이터
700 : 저장통
800 : 보온체
810 : 제1보온부재
820 : 제2보온부재
830 : 제3보온부재
900 : 열차단체
901 : 진공공간

Claims (6)

  1. 격납건물(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관(110);
    상기 주입관(11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용해모듈(200);
    상기 용해모듈(2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는 습분제거모듈(300);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이송된 방사성 기체에 포함된 에어로졸이 제거되는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에서 이송된 유기요오드가 제거되어 정화 기체가 생성되는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
    상기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에서 이송된 정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0);
    상기 용해모듈(200)이 보온되도록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을 둘러싸는 보온체(800); 및
    상기 방사성 기체가 상기 용해모듈(200)의 내면에 접촉되어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용해모듈(200)의 내면을 둘러싸는 열차단체(900);을 포함하며,
    상기 용해모듈(200), 습분제거모듈(300),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이 일렬로 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온체(800)는 상기 용해모듈(200)의 외면을 둘러싸며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제1보온부재(810), 상기 제1보온부재(810)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변화물질로 이루어지는 제2보온부재(820), 및 상기 제2보온부재(820)의 외면을 둘러싸며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제2보온부재(8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모듈(200)과 습분제거모듈(3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레귤레이터(610);
    상기 습분제거모듈(300)과 에어로졸제거모듈(400) 사이에 설치되는 제2레귤레이터(620); 및
    상기 에어로졸제거모듈(400)과 유기요오드제거모듈(500) 사이에 설치되는 제3레귤레이터(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 수용된 물과 격납건물(10)을 연결하는 연결관(130); 및
    상기 습분제거모듈(300)에서 제거된 습기가 이송 및 저장되는 저장통(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체(900)는
    내부에 진공공간(9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1000).
KR1020140038450A 2014-04-01 2014-04-01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KR101552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50A KR101552913B1 (ko) 2014-04-01 2014-04-01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50A KR101552913B1 (ko) 2014-04-01 2014-04-01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913B1 true KR101552913B1 (ko) 2015-09-15

Family

ID=5424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50A KR101552913B1 (ko) 2014-04-01 2014-04-01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9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5374A1 (de) 2012-03-16 2013-09-19 Westinghouse Electric Germany Gmbh Reaktordruckentlastungsfiltersystem
KR101407921B1 (ko) 2013-11-11 2014-06-17 한국기계연구원 로카테스트 챔버의 열손실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5374A1 (de) 2012-03-16 2013-09-19 Westinghouse Electric Germany Gmbh Reaktordruckentlastungsfiltersystem
KR101407921B1 (ko) 2013-11-11 2014-06-17 한국기계연구원 로카테스트 챔버의 열손실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23B1 (ko) 원자로를 포함하는 원자로 조립체, 원자로용 비상 냉각 시스템, 및 원자로의 비상 냉각 방법
JP3121178B2 (ja) 原子炉の受動式冷却装置
CN103137222B (zh) 带长期水封功能的自启动气体排放装置
US20180261343A1 (en) Passive emergency feedwater system
KR101242743B1 (ko) 일체형 피동안전탱크를 이용한 일체형 원자력 발전 시스템
US9478318B2 (en) Water-spray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ES2730991T3 (es) Planta de energía solar con sistema de conductos
CN205177415U (zh) 核电厂乏燃料水池非能动热管冷却系统
ITRM20120135A1 (it) Dispositivo, impianto e metodo ad alto livello di efficienza energetica per l&#39;accumulo e l&#39;impiego di energia termica di origine solare.
JP2009210283A (ja) 静的冷却減圧系および加圧水型原子力プラント
KR101538932B1 (ko) 방사성 물질 저감 설비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A2907739A1 (en) Venting system for the containment structure of a nuclear plant
KR101999737B1 (ko) 방사성 물질 저감 설비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N203966584U (zh) 地下核电站气载放射性流出物非能动水洗过滤系统
KR101552913B1 (ko) 방사성 기체의 모듈형 여과 장치
KR102286098B1 (ko) 사용후연료저장조 냉각계통
JP6244796B2 (ja) 使用済燃料貯蔵プール
KR101677981B1 (ko) 원전안전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ES2719138T3 (es) Instalación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térmica
JP6670005B2 (ja) ヒートパイプを利用した使用後核燃料受動冷却システム
KR20150069421A (ko) 원자로 냉각재 상실 사고시 증기 폭발 및 수소 폭발 저감을 위한 시스템
KR101490980B1 (ko) 냉각재 탱크에서 열성층화 방지 기구
JP2019095450A (ja) 原子力発電所
RU24080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межоболочеч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KR20050007332A (ko) 원자로의 핵연료 봉에 대한 중간저장설비 및 그러한중간저장설비의 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