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722A - 일체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722A
KR20140133722A KR20130053118A KR20130053118A KR20140133722A KR 20140133722 A KR20140133722 A KR 20140133722A KR 20130053118 A KR20130053118 A KR 20130053118A KR 20130053118 A KR20130053118 A KR 20130053118A KR 20140133722 A KR20140133722 A KR 2014013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denser
suction port
refrigerant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872B1 (ko
Inventor
길용현
김중호
윤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7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722A/ko
Priority to KR1020200138652A priority patent/KR102407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상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소형화가 가능하며 휴대용으로서의 편리함을 갖춘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일체로 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라도 벽이나 창문을 사이에 두고 실내기 부분은 실내를 향해, 실외기 부분은 실외를 향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경우 부피가 커지고, 일체형 공기조화기라도 벽과 창문등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의 변경 및 이동이 가능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내와 구획되는 실외와 연통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제공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 1 흡입구와, 제 1 토출구; 외부의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 2 흡입구와,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상에서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 및 상기 응축기로 상기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마련되는 저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 트레이는 저수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수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는 제 1 저수영역; 상기 응축기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저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 2 저수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각각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가 마련되는 좌측면 패널; 상기 제 2 토출구가 마련되는 우측면 패널; 상기 제 1 토출구가 마련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상에는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상부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는 이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에서 상기 상부 송풍팬이 마련되는 위치는 하측이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 2 유로상에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 2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팽창장치는 모세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상에 마련되는 제 1 송풍팬과,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유로상에 마련되는 제 2 송풍팬;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구획하는 구획판; 외면이 상기 구획판의 하측면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배면이 상기 구획판의 상측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풍팬은 상기 오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송풍팬은 상기 볼록부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유로상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가 마련되는 좌측면 패널; 상기 제 2 토출구가 마련되는 우측면 패널; 상기 제 1 토출구가 마련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팬은 원심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팬은 축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 및 상기 응축기로 상기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마련되는 저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수 트레이는 저수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수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는 제 1 저수영역; 상기 응축기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저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 2 저수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모세관; 상기 제 2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모세관에서 팽창된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와, 내부의 냉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1 흡입구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2 흡입구와, 내부의 온기가 유출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가 마련되는 좌측면 패널; 상기 좌측면 패널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마련되는 우측면 패널; 상기 좌측면 패널과 상기 우측면 패널사이에 마련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는 전면패널상에, 상기 제 2 토출구는 우측면 패널상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각각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하우징내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하우징내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하여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저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위치의 변경 및 이동이 가능하여, 휴대용으로서의 편리함을 갖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저수트레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트레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유동에 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저수트레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트레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유동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하우징(10)은 좌우측면을 이루는 좌측면 패널(11a), 우측면 패널(11b)과 전면 패널(12), 후면 패널(13), 상부 패널(14), 하부 패널(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측의 제 1 하우징(30)과 하측의 제 2 하우징(70)으로 구성되며,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 사이에는 구획판(100)이 구비되어,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 사이에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30)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기의 실내기 기능을 하며, 증발기(26), 제 1 송풍팬(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70)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기의 실외기 기능을 하며, 응축기(22), 제 2 송풍팬(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하우징(30)이 난방기의 실외기 기능을 하고, 제 2 하우징(70)이 난방기의 실내기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3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32)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34)가 마련되고, 제 2 하우징(7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흡입구(72)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7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면 패널(11a)에 상하로 구비되어 있으나, 내부 구성의 배치에 따라 이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제 1 토출구(34)와 제 2 토출구(7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전면 패널(12)과 우측면 패널(11b)에 구비되나, 내부 구성의 배치에 따라 이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압축기(20)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2)로 유입된다. 응축기(22)에서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한다.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장치(24)는 응축기(22)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고, 증발기(26)는 팽창장치(24)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면서 증발하여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20)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송풍팬은 제 1 하우징(30)의 제 1 유로(37)상에 마련되는 제 1 송풍팬(40)과 제 2 하우징(70)의 제 2 유로(76)상에 마련되는 제 2 송풍팬(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흡입구(32)와 제 1 토출구(34)가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므로, 원심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서, 외부로부터 좌측면 패널(11a)에 형성된 제 1 흡입구(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26)를 지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제 1 송풍팬(40)을 통해 전면 패널(12)에 형성된 제 1 토출구(34)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에 의해 발생되는 토출공기는 제 1 송풍팬(40)을 감싸는 제 1 송풍팬 가이드(42)에 의해 안내되어 제 1 토출구(34)로 배출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은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제 1 모터(44)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제 1 토출구(34)상에는 토출되는 내부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송풍팬(9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흡입구(72)와 제 2 토출구(74)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서, 외부로부터 좌측면 패널(11a)에 형성된 제 2 흡입구(72)로 유입되는 공기는 응축기(22)를 지나면서 온도가 높아지고 제 2 송풍팬(90)을 통해 우측면 패널(11b)에 형성된 제 2 토출구(74)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송풍팬(90)에 의해 발생되는 토출공기는 제 2 송풍팬(90)을 감싸는 벨마우스(92)에 의해 안내되어 제 2 토출구(74)로 배출될 수 있다. 제 2 송풍팬(90)은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제 2 모터(96)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벨마우스(92)의 외측에는 팬가드(94)가 구비되어 제 2 송풍팬(90)을 보호하고, 제 2 송풍팬(90)으로부터의 토출공기를 외부로 가이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송풍팬으로 원심팬과 축류팬이 사용되나,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은 각각의 토출구 방향에 따라 팬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토출구(34)가 우측면 패널(11b)에 마련되고 제 1 송풍팬(40)이 축류팬이 되고, 제 2 토출구(74)가 전면 패널(12)에 마련되고 제 2 송풍팬(90)이 원심팬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에는 이를 구획하는 구획판(100)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판(100)은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 간에 내부공기가 교류되지 않도록 제 1 하우징(30)의 하부와 제 2 하우징(7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획판(100)상에는 제 1 하우징(30)내의 제 1 송풍팬(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70)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제 1 하우징(30)측면에서는 볼록하게, 제 2 하우징(70)에서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하우징(30)내의 제 1 송풍팬(40)이 차지하는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일체형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안착부(102)는 외면이 구획판(100)의 하측면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102a)와, 볼록부(102a)의 배면이 구획판(100)의 상측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은 오목부(102b)에 안착되고, 제 2 송풍팬(90)은 볼록부(102a) 측면에 마련되어,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이 상하로 배치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의 송풍날개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 상호간에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소형화 시킬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1)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제 1 송풍팬(40)의 후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을 제 1 기준면(P1)이라고 할 때, 제 2 송풍팬(90)의 전면은 제 1 기준면(P1)과 동일하거나 그 후방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송풍팬(90)의 전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을 제 2 기준면(P2)이라고 할 때, 제 1 송풍팬(40)의 후면은 제 2 기준면(P2)과 동일하거나 그 전방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기준면(P1)은 제 2 기준면(P2)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이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20)는 하우징(10)에 마련되면 만족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유로(76)상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유로(76)상에서 응축기(22)와 제 2 송풍팬(90) 사이에 마련되어, 압축기(20)에서의 발열을 제 2 송풍팬(90)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팽창장치(2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22)와 증발기(26) 사이에서 응축기(22)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을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72)와 제 2 토출구(74) 사이에는 제 2 하우징(70)을 지나가는 공기의 유로인 제 2 유로(76)가 마련되고, 응축기(22)는 제 2 유로(76) 상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응축기(22)는 제 2 유로(76) 상에서 제 2 흡입구(72)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2)와 제 1 토출구(34) 사이에는 제 1 하우징(30)을 지나가는 공기의 유로인 제 1 유로(37)가 마련되고, 증발기(26)는 제 1 유로(37) 상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증발기(26)는 제 1 유로(37) 상에서 제 1 흡입구(32)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는 각각 증발기(26)와 응축기(2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면 패널(11a)에 인접하여 증발기(26)와 응축기(22)가 배치되므로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도 좌측면 패널(11a)상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발기(26)와 응축기(22)가 다른 측면에 대해 연장형성되는 경우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도 이에 대응하여 다른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26)와 응축기(22)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내 공기가 증발기(26)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26) 표면에서 응축수가 생기게 된다. 발생하는 응축수는 응축기(22)의 표면에 떨어지도록 하여 응축기(22)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증발기(26)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별도로 배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증발기(26)의 하부에는 이러한 응축수를 수집함과 함께 응축기(22)로 응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저수 트레이(5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저수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트레이의 사시도이다.
저수 트레이(50)는 증발기(26)측 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열교환기에 대응되는 트레이 하부면(52)과 트레이 하부면(52)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트레이 플랜지(5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하부면(52)에는 응축기(22)의 상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배수홀이 마련된다. 응축수는 저수 트레이(50)에 저수되면서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어 응축기(22)의 표면을 적심으로서, 응축기(22)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트레이 하부면(52)은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면을 가지고, 경사면 일측의 낮은 쪽 단부인 제 1 부분(53a)과, 제 1 부분(53a)보다 높게 배치되고 경사면 타측의 높은 쪽 단부인 제 2 부분(53b)을 포함한다. 배수홀(55)은 제 1 부분(53a)에 배치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저수되는 응축수가 경사면을 흘러 고이지 않고 배수홀(55)을 통해 배수 될 수 있다.
트레이 하부면(52)은 상측의 증발기(26)의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배수홀(55)은 트레이 하부면(52)에서 응축기(22)의 배열과 나란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22)의 하부에는 저수 트레이(50)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응축기(22) 표면에서 감소되고 남은 응축수가 고일 수 있도록 배수 트레이(98)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유동에 관한 도면이고, 이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하게 되는 경우, 압축기(20), 응축기(22), 팽창장치(24), 증발기(26)를 거치면서 냉매가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증발기(26)의 표면에서는 외부공기가 통과함에 따른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 응축수는 저수 트레이(50)에 저수되고, 배수홀(55)을 통해 배수되어 응축기(22)의 표면에서 기화되어 응축기(22)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공기 조화 측면에서 볼 때, 증발기(26)와 응축기(22)는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에서 일측면에 상하로 배치되므로, 증발기(26)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구(32)와 응축기(22)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구(72)가 하우징(10)에서 같은 측면에 마련된다.
증발기(26)를 거쳐서 외부공기보다 온도가 낮아진 내부공기는 제 1 송풍팬(40)을 거쳐 전면 패널(12)의 제 1 토출구(34)로 배출이되고, 응축기(22)를 거쳐서 외부공기보다 온도가 높아진 내부공기는 제 2 송풍팬(90)을 거쳐 우측면 패널(11b)의 제 2 토출구(74)로 배출이 된다.
제 1 토출구(34)와 제 2 토출구(74)는 서로 좌우로 이격되고, 하우징(10) 상에서 다른 측면에 마련되므로, 서로의 간섭에 의한 냉방효과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냉방효율 또는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저수트레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22)가 제 2 하우징(70)내에서 두 측면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22)가 두 측면에 걸쳐서 마련되었지만, 증발기(26)가 이와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두 구성 모두 이와 같이 형성될 수 도 있다.
응축기(22)가 두 측면에 걸쳐서 마련됨에 따라 제 2 하우징(70)에서 제 2 흡입구(82)도 응축기(22)를 따라 두 측면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82)와 제 2 토출구(84)에는 이를 연결하는 제 2 유로(86)가 형성된다.
저수 트레이(60)는 증발기(26)측 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열교환기에 대응되는 트레이 하부면(62)과 트레이 하부면(62)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트레이 플랜지(6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하부면(62)에는 응축기(22)의 상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배수홀(65)이 마련된다. 응축수는 저수 트레이(60)에 저수되면서 배수홀(65)을 통해 배수되어 응축기(22)의 표면을 적심으로서, 응축기(22)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트레이 하부면(62)은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면을 가지고, 경사면 일측의 낮은 쪽 단부인 제 1 부분(63a)과, 제 1 부분(63a)보다 높게 배치되고 경사면 타측의 높은 쪽 단부인 제 2 부분(63b)을 포함한다. 배수홀(65)은 제 1 부분(63a)에 배치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저수되는 응축수가 경사면을 흘러 고이지 않고 배수홀(65)을 통해 배수 될 수 있다.
저수 트레이(60)는 증발기(26) 하부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 1 저수영역(68a)과 응축기(22)의 상부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 2 저수영역(68b)을 포함한다.
증발기(26)와 응축기(2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로 일치하도록 마련되므로, 제 1 저수영역(68a)과 제 2 저수영역(68b)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될 수 있다.
제 2 저수영역(68b)상의 트레이 하부면(62)에는 응축기(22)의 배열을 따라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홀(65)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유동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에 따른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조화기(1)가 작동하게 되는 경우, 압축기(20), 응축기(22), 팽창장치(24), 증발기(26)를 거치면서 냉매가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증발기(26)의 표면에서는 외부공기가 통과함에 따른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 응축수는 저수 트레이(60)에 저수되는 데, 자세하게는 제 1 저수영역(68a)에 저수가 된다. 제 1 저수영역(68a)과 제 2 저수영역(68b)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므로 저수된 응축수는 제 1 저수영역(68a)과 제 2 저수영역(68b)에 균일하게 저수가 된다.
저수된 응축수는 제 2 저수영역(68b)상에 마련되는 배수홀(65)을 통해 응축기(22)의 상부로 배출되어 응축기(22)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1a : 좌측면 패널
11b : 우측면 패널 12 : 전면 패널
13 : 후면 패널 14 : 상부 패널
15 : 하부 패널
20 : 압축기 22 : 응축기
24 : 팽창장치 26 : 증발기
30 : 제 1 하우징 32 : 제 1 흡입구
34 : 제 1 토출구 35 : 블레이드
37 : 제 1 유로 40 : 제 1 송풍팬
42 : 제 1 송풍팬 가이드 44 : 제 1 모터
50,60 : 저수 트레이 52,62 : 트레이 하부면
53a,63a : 제 1 부분 53b,63b : 제 2 부분
54,64 : 트레이 플랜지 55,65 : 배수홀
68a : 제 1 저수영역 68b : 제 2 저수영역
70 : 제 2 하우징 72,82 : 제 2 흡입구
74,84 : 제 2 토출구 76,86 : 제 2 유로
90 : 제 2 송풍팬 92 : 벨마우스
94 : 팬가드 96 : 제 2 모터
98 : 배수 트레이
100 : 구획판 102 : 안착부
102a : 볼록부 102b : 오목부
P1 : 제 1 기준면 P2 : 제 2 기준면

Claims (29)

  1.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 1 흡입구와, 제 1 토출구;
    외부의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 2 흡입구와,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상에서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 및 상기 응축기로 상기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마련되는 저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트레이는 저수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는 제 1 저수영역;
    상기 응축기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저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 2 저수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각각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에서 각각 다른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가 마련되는 좌측면 패널;
    상기 제 2 토출구가 마련되는 우측면 패널;
    상기 제 1 토출구가 마련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상에는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상부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는 이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서 상기 상부 송풍팬이 마련되는 위치는 하측이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 2 유로상에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 2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장치는 모세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4.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유로상에 마련되는 제 1 송풍팬과,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유로상에 마련되는 제 2 송풍팬;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구획하는 구획판;
    외면이 상기 구획판의 하측면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배면이 상기 구획판의 상측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풍팬은 상기 오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송풍팬은 상기 볼록부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유로상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가 마련되는 좌측면 패널;
    상기 제 2 토출구가 마련되는 우측면 패널;
    상기 제 1 토출구가 마련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팬은 원심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풍팬은 축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 및 상기 응축기로 상기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마련되는 저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트레이는 저수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는 제 1 저수영역;
    상기 응축기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저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 2 저수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3. 상측의 제 1 하우징과 하측의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모세관;
    상기 제 2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모세관에서 팽창된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와, 내부의 냉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1 흡입구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2 흡입구와, 내부의 온기가 유출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가 마련되는 좌측면 패널;
    상기 좌측면 패널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마련되는 우측면 패널;
    상기 좌측면 패널과 상기 우측면 패널사이에 마련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구는 전면패널상에, 상기 제 2 토출구는 우측면 패널상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각각 상기 제 1 흡입구와 상기 제 2 흡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8.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하우징내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9.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제 1 하우징내에서 상기 응축기 상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팽창장치로부터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하여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저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130053118A 2013-05-10 2013-05-10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17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18A KR102171872B1 (ko) 2013-05-10 2013-05-10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200138652A KR102407655B1 (ko) 2013-05-10 2020-10-23 일체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18A KR102171872B1 (ko) 2013-05-10 2013-05-10 일체형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652A Division KR102407655B1 (ko) 2013-05-10 2020-10-23 일체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22A true KR20140133722A (ko) 2014-11-20
KR102171872B1 KR102171872B1 (ko) 2020-10-30

Family

ID=5245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118A KR102171872B1 (ko) 2013-05-10 2013-05-10 일체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7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2307A (zh) * 2016-08-10 2016-11-23 合肥海瑞弗机房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通信呼叫中心机房的窗式空调机组
US20170167737A1 (en) * 2014-06-05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air conditioner
CN108195055A (zh) * 2018-02-08 2018-06-22 四川华盛强环控系统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高效蒸发器的空调机组
KR20190001154U (ko) * 2017-11-07 2019-05-15 대양기전 주식회사 개인용 에어컨
CN110068069A (zh) * 2019-05-17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布水装置和空气处理装置
CN110145810A (zh) * 2019-06-13 2019-08-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结构及空调
KR20190111659A (ko) * 2018-03-23 2019-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트 가능한 공기 배출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11023288A (zh) * 2019-12-13 2020-04-17 青岛海信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一体式空调器
KR102256310B1 (ko) * 2020-11-06 2021-05-25 이준엽 전력 관리형 공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621U (ja) * 1992-09-04 1994-09-30 ウエツトマスター株式会社 スポットクーラー
JPH0861699A (ja) * 1994-06-15 1996-03-08 Nippondenso Co Ltd 一体型冷房機
KR19980028546U (ko) * 1996-11-22 1998-08-05 오상수 포터블 에어컨
KR20020054728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구조
KR20070028884A (ko) * 2005-09-08 2007-03-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일체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621U (ja) * 1992-09-04 1994-09-30 ウエツトマスター株式会社 スポットクーラー
JPH0861699A (ja) * 1994-06-15 1996-03-08 Nippondenso Co Ltd 一体型冷房機
KR19980028546U (ko) * 1996-11-22 1998-08-05 오상수 포터블 에어컨
KR20020054728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구조
KR20070028884A (ko) * 2005-09-08 2007-03-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일체형 에어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7737A1 (en) * 2014-06-05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air conditioner
US11940162B2 (en) 2014-06-05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air conditioner
CN106152307A (zh) * 2016-08-10 2016-11-23 合肥海瑞弗机房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通信呼叫中心机房的窗式空调机组
KR20190001154U (ko) * 2017-11-07 2019-05-15 대양기전 주식회사 개인용 에어컨
CN108195055A (zh) * 2018-02-08 2018-06-22 四川华盛强环控系统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高效蒸发器的空调机组
KR20190111659A (ko) * 2018-03-23 2019-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트 가능한 공기 배출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10068069A (zh) * 2019-05-17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布水装置和空气处理装置
CN110145810A (zh) * 2019-06-13 2019-08-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结构及空调
CN111023288A (zh) * 2019-12-13 2020-04-17 青岛海信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一体式空调器
KR102256310B1 (ko) * 2020-11-06 2021-05-25 이준엽 전력 관리형 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872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180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US11118792B2 (en) Air conditioner
US8069686B2 (en) Refrigerator
KR101861665B1 (ko) 냉장고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US10591170B2 (en) Air conditioner
CN109855179A (zh) 空调
KR102341728B1 (ko) 공기조화기
US10677476B2 (en) Air conditioner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CN112833468B (zh) 空气调节器
KR20150089818A (ko) 공기조화기
KR1024076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20170089593A1 (en) Air conditioner
US11982462B2 (en) Air conditioner
KR20220080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20886B1 (ko)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프레임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77605A (ko) 멀티형 냉장고
KR102372345B1 (ko) 공기조화기
KR102527646B1 (ko) 공기 조화기
KR20210115517A (ko) 공기조화기
KR2016007782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