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81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818A
KR20150089818A KR1020140010860A KR20140010860A KR20150089818A KR 20150089818 A KR20150089818 A KR 20150089818A KR 1020140010860 A KR1020140010860 A KR 1020140010860A KR 20140010860 A KR20140010860 A KR 20140010860A KR 20150089818 A KR20150089818 A KR 2015008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denser
condensed water
evaporat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길용현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818A/ko
Publication of KR2015008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냉방모드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수가 저수되는 워터탱크로 배출하는 제습모드를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습기능을 갖고,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라도 벽이나 창문을 사이에 두고 실내기 부분은 실내를 향해, 실외기 부분은 실외를 향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경우 부피가 커지고, 일체형 공기조화기라도 벽과 창문등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습기능을 갖고, 또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마련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냉방모드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수가 저수되는 워터탱크로 배출하는 제습모드를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제 1 트레이;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며, 상기 응축기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방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공급공간; 상기 제습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를 우회하여 상기 워터탱크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우회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타단에 마련되어 각각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배출부와 제 2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수호스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 1 배출부와 상기 제 2 배출부 중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환유닛은, 3웨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상기 공급공간 또는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타단에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상기 배출부를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공급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하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중첩되어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냉방모드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기로 떨어지도록 응축수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는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모드에서는 상기 이동경로를 가로막는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마련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냉방모드와 제습모드를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냉방모드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모드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배출하는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워터탱크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우회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마련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수되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된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응축기의 표면으로 배출하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로의 응축수공급을 제어하는 연결유닛을 갖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방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공급공간; 상기 제습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를 우회하여 상기 워터탱크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우회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타단에 마련되어 각각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배출부와 제 2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수호스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 1 배출부와 상기 제 2 배출부 중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상기 공급공간 또는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타단에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상기 배출부를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능과 더불어 제습기능을 갖는다.
또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배출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연결유닛을 확대한 도면.
도 13,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6,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9,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하우징(10)은 좌우측면을 이루는 좌측면 패널(11a), 우측면 패널(11b)과 전면 패널(12), 후면 패널(13), 상부 패널(14), 하부 패널(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측의 제 1 하우징(30)과 하측의 제 2 하우징(70)으로 구성되며,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 사이에는 구획판(100)이 구비되어,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 사이에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30)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기의 실내기 기능을 하며, 증발기(26), 제 1 송풍팬(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70)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기의 실외기 기능을 하며, 응축기(22), 제 2 송풍팬(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하우징(30)이 난방기의 실외기 기능을 하고, 제 2 하우징(70)이 난방기의 실내기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3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32)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34)가 마련되고, 제 2 하우징(7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흡입구(72)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7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면 패널(11a)에 상하로 구비되어 있으나, 내부 구성의 배치에 따라 이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제 1 토출구(34)와 제 2 토출구(7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전면 패널(12)과 우측면 패널(11b)에 구비되나, 내부 구성의 배치에 따라 이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압축기(20)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2)로 유입된다. 응축기(22)에서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한다.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장치(24)는 응축기(22)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고, 증발기(26)는 팽창장치(24)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면서 증발하여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20)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송풍팬은 제 1 하우징(30)의 제 1 유로(37)상에 마련되는 제 1 송풍팬(40)과 제 2 하우징(70)의 제 2 유로(76)상에 마련되는 제 2 송풍팬(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흡입구(32)와 제 1 토출구(34)가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므로, 원심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서, 외부로부터 좌측면 패널(11a)에 형성된 제 1 흡입구(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26)를 지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제 1 송풍팬(40)을 통해 전면 패널(12)에 형성된 제 1 토출구(34)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에 의해 발생되는 토출공기는 제 1 송풍팬(40)을 감싸는 제 1 송풍팬 가이드(42)에 의해 안내되어 제 1 토출구(34)로 배출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은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제 1 모터(44)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제 1 토출구(34)상에는 토출되는 내부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송풍팬(9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흡입구(72)와 제 2 토출구(74)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서, 외부로부터 좌측면 패널(11a)에 형성된 제 2 흡입구(72)로 유입되는 공기는 응축기(22)를 지나면서 온도가 높아지고 제 2 송풍팬(90)을 통해 우측면 패널(11b)에 형성된 제 2 토출구(74)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송풍팬(90)에 의해 발생되는 토출공기는 제 2 송풍팬(90)을 감싸는 벨마우스(92)에 의해 안내되어 제 2 토출구(74)로 배출될 수 있다. 제 2 송풍팬(90)은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제 2 모터(96)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벨마우스(92)의 외측에는 팬가드(94)가 구비되어 제 2 송풍팬(90)을 보호하고, 제 2 송풍팬(90)으로부터의 토출공기를 외부로 가이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송풍팬으로 원심팬과 축류팬이 사용되나,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은 각각의 토출구 방향에 따라 팬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토출구(34)가 우측면 패널(11b)에 마련되고 제 1 송풍팬(40)이 축류팬이 되고, 제 2 토출구(74)가 전면 패널(12)에 마련되고 제 2 송풍팬(90)이 원심팬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에는 이를 구획하는 구획판(100)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판(100)은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 간에 내부공기가 교류되지 않도록 제 1 하우징(30)의 하부와 제 2 하우징(7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획판(100)상에는 제 1 하우징(30)내의 제 1 송풍팬(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70)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제 1 하우징(30)측면에서는 볼록하게, 제 2 하우징(70)에서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하우징(30)내의 제 1 송풍팬(40)이 차지하는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일체형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안착부(102)는 외면이 구획판(100)의 하측면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102a)와, 볼록부(102a)의 배면이 구획판(100)의 상측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풍팬(40)은 오목부(102b)에 안착되고, 제 2 송풍팬(90)은 볼록부(102a) 측면에 마련되어,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이 상하로 배치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의 송풍날개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 상호간에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소형화 시킬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1)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제 1 송풍팬(40)의 후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을 제 1 기준면(P1)이라고 할 때, 제 2 송풍팬(90)의 전면은 제 1 기준면(P1)과 동일하거나 그 후방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송풍팬(90)의 전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을 제 2 기준면(P2)이라고 할 때, 제 1 송풍팬(40)의 후면은 제 2 기준면(P2)과 동일하거나 그 전방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기준면(P1)은 제 2 기준면(P2)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 1 송풍팬(40)과 제 2 송풍팬(90)이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20)는 하우징(10)에 마련되면 만족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유로(76)상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유로(76)상에서 응축기(22)와 제 2 송풍팬(90) 사이에 마련되어, 압축기(20)에서의 발열을 제 2 송풍팬(90)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팽창장치(2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22)와 증발기(26) 사이에서 응축기(22)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30)과 제 2 하우징(70)을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72)와 제 2 토출구(74) 사이에는 제 2 하우징(70)을 지나가는 공기의 유로인 제 2 유로(76)가 마련되고, 응축기(22)는 제 2 유로(76) 상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응축기(22)는 제 2 유로(76) 상에서 제 2 흡입구(72)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2)와 제 1 토출구(34) 사이에는 제 1 하우징(30)을 지나가는 공기의 유로인 제 1 유로(37)가 마련되고, 증발기(26)는 제 1 유로(37) 상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증발기(26)는 제 1 유로(37) 상에서 제 1 흡입구(32)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는 각각 증발기(26)와 응축기(2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면 패널(11a)에 인접하여 증발기(26)와 응축기(22)가 배치되므로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도 좌측면 패널(11a)상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발기(26)와 응축기(22)가 다른 측면에 대해 연장형성되는 경우 제 1 흡입구(32)와 제 2 흡입구(72)도 이에 대응하여 다른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26)와 응축기(22)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내 공기가 증발기(26)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26) 표면에서 응축수가 생기게 된다. 발생하는 응축수는 응축기(22)의 표면에 떨어지도록 하여 응축기(22)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증발기(26)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별도로 배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증발기(26)의 하부에는 이러한 응축수를 수집함과 함께 응축기(22)로 응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저수 트레이(5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방모드와, 제습모드를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냉방모드에서는 냉매가 압축기(20), 응축기(22), 팽창장치(24), 증발기(26)를 지나면서 순환하게 되고, 증발기(26)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냉방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제습모드에서는 외부공기의 유출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함으로서, 전체적으로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트레이어셈블리(200)는 냉방모드와 제습모드를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냉방모드는 증발기(26)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기(22)로 배출하여 응축기(22)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제습모드에서는 증발기(26)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수가 저수되는 워터탱크(240)로 배출시키게 되어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워터탱크(240)는 제습모드에서 증발기(26)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모이도록 마련된다. 워터탱크(240)의 배치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세트의 형상으로 하우징(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트레이어셈블리(200)는 제 1 트레이(210)와 제 2 트레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210)는 증발기(26)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210a)을 구비하도록 마련되며, 제 2 트레이(220)는 제 1 트레이(210)로부터 응축수를 공급받아 응축기(22)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제 1 트레이(210)는 증발기(26)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증발기(26)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증발기(26)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트레이(210)는, 증발기(26)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 1 트레이하부면(212)과, 제 1 트레이하부면(212)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1 트레이플랜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하부면(212)에는 제 2 트레이(220)로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배수홀(212c)이 마련된다. 배수홀(212c)은 이후 설명하는 배수호스(252)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배수홀(212c)을 통해 유출되는 응축수는 작동모드에 따라 제 2 트레이(220)로 배출되거나, 워터탱크(240)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트레이하부면(212)은, 제 1 바닥면(212a)과, 제 1 바닥면(212a)을 따라 그 주위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 1 경사면(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26)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제 1 경사면(212b)을 따라 제 1 바닥면(212a)으로 흐르게 되고, 제 1 바닥면(212a)에 고이는 응축수는 배수홀(212c)을 통해 제 2 트레이(220)나 워터탱크(240)로 배출되게 된다.
제 2 트레이(220)는 제 1 트레이(210)로부터 응축수를 공급받아 응축기(22)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제 2 트레이(220)는 응축기(2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응축기(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응축기(22)에 대해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트레이(220)는 공급공간(226)과, 우회공간(228)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공간(226)은 응축기(22)의 상부에 배치되어, 냉방모드시에 응축기(22)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공간이다. 공급공간(226)은 제 1 트레이(2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응축기(22)로 공급하여 응축기(22)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공간이며, 우회공간(228)은 워터탱크(240)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제 1 트레이(2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워터탱크(240)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다.
우회공간(228)은 제습모드시에 응축기(22)를 우회하여 워터탱크(240)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공간이다.
공급공간(226)과 우회공간(228)은 구획패널(230)에 의해 구획되며, 이후 설명하는 연결유닛(2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응축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우회공간(228)에는 워터탱크(240)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우회홀(228a)이 마련될 수 있다. 우회홀(228a)과 워터탱크(240)는 우회파이프(2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자세하게는 우회파이프(232)의 일단이 우회공간(228)과 연통되도록 우회홀(228a)과 결합하고, 타단이 워터탱크(2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트레이(220)는, 응축기(22)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트레이하부면(222)과, 제 2 트레이하부면(222)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제 2 트레이플랜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레이하부면(222)에는 응축기(22)의 상부형상과 대응되도록 공급홀(222c)이 마련된다. 응축수는 공급홀(222c)을 통해 응축기(22)로 공급되어 응축기(22)의 표면을 적심으로서, 응축기(22)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트레이하부면(222)은, 제 2 바닥면(222a)과, 제 2 바닥면(222a)을 따라 그 주위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 2 경사면(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210)로부터 제 2 트레이(220)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제 2 경사면(222b)을 따라 제 2 바닥면(222a)으로 흐르게 되고, 제 2 바닥면(222a)에 고이는 응축수는 공급홀(222c)을 통해 응축기(22)로 배출되게 한다.
제 2 바닥면(222a)은 응축기(22)의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공급홀(222c)은 제 2 바닥면(222a)에서 응축기(22)의 배열과 나란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급홀(222c)은 제 2 바닥면(222a)을 따라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응축기(22)로 응축수를 공급한다.
트레이어셈블리(200)는 연결유닛(250)을 포함한다. 연결유닛(250)은 제 1 트레이(210)로부터 제 2 트레이(220)나 워터탱크(240)로 응축수를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연결유닛(250)은 배수호스(25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호스(252)의 일단은 제 1 트레이(210)의 저수공간(210a)과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타단은 공급공간(226)과 우회공간(228)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수호스(252)는, 저수공간(210a)과 연통되는 유입부(253)와, 공급공간(226)과 연통되는 제 1 배출부(254a)와, 우회공간(228)과 연통되는 제 2 배출부(25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250)은 전환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유닛(260)은 배수호스(252)상에 마련되어 유입부(253)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가 제 1 배출부(254a)와 제 2 배출부(254b)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260)은 3웨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모드와 제습모드에 따른 트레이어셈블리(200)의 응축수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 1 트레이(210)에 저수되는 응축수는 제 1 트레이(210)의 배수홀(212c)과 배수호스(252)의 유입부(253)를 통해 배수호스(252)로 유입이 되고, 전환유닛(260)에 의해 제 1 배출부(254a) 또는 제 2 배출부(254b)로 배출된다.
자세하게는 냉방모드인 경우에는 제 1 배출부(254a)를 통해 제 2 트레이(220)의 공급공간(226)으로 배출되고, 제습모드인 경우에는 제 2 배출부(254b)를 통해 제 2 트레이(220)의 우회공간(228)으로 배출된다. 전환유닛(260)에 의해 배수호스(252)의 유입부(253)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제 1 배출부(254a)와 제 2 배출부(254b) 중 어느하나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먼저 냉방모드시 제 2 트레이(220)의 공급공간(226)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제 2 경사면(222b)을 따라 제 2 바닥면(222a)으로 고이게 되고, 제 2 바닥면(222a)에 고이는 응축수는 공급홀(222c)을 통해 응축기(22)의 표면으로 흐르게 된다.
응축기(22)의 표면이 응축수에 의해 적시게 되어, 응축기(22)의 열교환효율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냉매사이클의 열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제습모드시 제 2 트레이(220)의 우회공간(228)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우회공간(228)에 마련되는 우회홀(228a)을 통해 우회파이프(232)로 유입되고, 워터탱크(240)로 배출된다. 증발기(26)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워터탱크(240)에 별도로 저수됨에 따라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제 1 배출부(254a)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응축기(22)의 표면을 적심으로서, 응축기(22)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2 배출부(254b)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우회공간(228)에 저수되어, 응축기(22)를 거치지 않고 우회파이프(232)에 의해 워터탱크(240)로 배출이 되어,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트레이어셈블리(300)의 배치를 변경한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서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증발기(302)와 응축기(304)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302)와 응축기(304)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 1 트레이(310)는 증발기(302)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 2 트레이(320)는 응축기(304)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 1 트레이(310)와 제 2 트레이(320)도 응축기(304)와 증발기(302)의 이격에 대응되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연결유닛(350)은 배수호스(352)와 전환유닛(36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호스(352)는 유입부(353)와, 공급공간(326)과 연통되는 제 1 배출부(354a)와, 우회공간(328)과 연통되는 제 2 배출부(354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호스(352)는 제 1 트레이(310)와 제 2 트레이(320)의 이격거리에 따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트레이(310)로부터 제 2 트레이(320)로 응축수가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우회파이프(370)와 워터탱크(372)는 이전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트레이어셈블리(400)의 배치를 변경한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서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증발기(402)와 응축기(404)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402)와 응축기(404)가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 1 트레이(410)는 증발기(402)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 2 트레이(420)는 응축기(404)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 1 트레이(410)와 제 2 트레이(420)도 응축기(404)와 증발기(402)의 이격에 대응되어 상호간에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유닛(450)은 배수호스(452)와 전환유닛(460)을 포함할 수 잇다.
배수호스(452)는 유입부(453)와, 공급공간(426)과 연통되는 제 1 배출부(454a)와, 우회공간(428)과 연통되는 제 2 배출부(45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450)은 제 1 트레이(410)와 제 2 트레이(420)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제 1 트레이(410)로부터 제 2 트레이(420)로 응축수를 전달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450)은 제 1 트레이(410)와 제 2 트레이(420)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됨에 따라, 응축수가 유동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우회파이프(470)와 워터탱크(472)는 이전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4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연결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트레이어셈블리(500)의 구조를 변경한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서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 트레이(510)는 증발기(502)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 2 트레이(520)는 응축기(504)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유닛(550)은 배수호스(552)와 이동유닛(56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호스(552)는 제 1 트레이(510)의 저수공간과 연통되는 유입부(553)와, 제 2 트레이(520)의 공급공간(526) 또는 우회공간(528)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배출부(554)를 포함한다. 즉 배출부(554)는 냉방모드에서는 공급공간(526)과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제습모드에서는 우회공간(528)과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이후 설명하는 이동유닛(560)에 의해 제어된다.
이동유닛(560)은 배출부(554)가 공급공간(526) 또는 우회공간(528)에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배출부(554)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이동유닛(560)은 본체내부에서 제 2 트레이(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배출부(554)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배출부(554)의 외주면과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이동유닛(560)은 배출부(554)가 공급공간(526)에 배치되는 공급위치(560a)와, 우회공간(528)에 배치되는 우회위치(560b)를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이동유닛(560)은 구동부(562)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구동부(562)는 모터인것을 포함한다.
우회파이프(532)와 워터탱크(540)는 이전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제 4 실시예에서 냉방모드와 제습모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냉방모드에서는 이동유닛(560)이 배출부(554)가 공급공간(526)을 향하도록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유닛(560)은 공급위치(560a)로 이동하게 된다. 배출부(554)가 공급공간(526)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제 1 트레이(510)에서 저수되는 응축수는 제 2 트레이(520)의 공급공간(526)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공급공간(526)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공급홀을 통해 응축기(504)로 공급된다.
제습모드에서는 이동유닛(560)이 배출부(554)가 우회공간(528)을 향하도록 제 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유닛(560)은 우회위치(560b)로 이동하게 된다. 배출부(554)가 우회공간(528)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제 1 트레이(510)에서 저수되는 응축수는 제 2 트레이(520)의 우회공간(528)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우회공간(528)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우회파이프(532)를 통해 워터탱크(540)로 배출된다.
이하는 제 5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6,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제 5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트레이어셈블리(600)의 구조를 변경한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서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트레이어셈블리(600)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602)와 응축기(604)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트레이(610)는 증발기(602)와 응축기(6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610)는 증발기(60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저수공간(610a)을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6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610)는 길이방향의 수직한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트레이(610)는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는 트레이하부면(612)과, 트레이하부면(61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면(614)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어셈블리(600)는 양단이 각각 트레이(610), 워터탱크(622)와 연통되는 우회파이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파이프(620)는 일단은 트레이(610)에 마련되는 배수홀(612a)과, 타단은 워터탱크(622)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트레이(61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냉방모드인 경우 증발기(60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응축기(604)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응축수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는 제 1 위치(610a)와, 제습모드인 경우 증발기(60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하여 워터탱크(622)로 배출하도록 응축수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제 2 위치(610b)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610)는 냉방모드와 제습모드에 따라 제 1 위치(610a)와 제 2 위치(610b)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어셈블리(600)는 핸들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610)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통해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616)를 통해 회동이 제어될 수도 있다.
핸들부(616)는 트레이(610)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트레이(610)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직접 냉방모드와 제습모드를 동작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제 6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9,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구성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제 6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에서 트레이어셈블리의 구조를 변경한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서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트레이어셈블리(700)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71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702)와 응축기(704)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트레이(710)는 증발기(702)와 응축기(7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710)는 증발기(70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저수공간(710a)을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7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710)는 증발기(702)측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트레이(710)는, 증발기(702)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트레이하부면(712)과, 트레이하부면(712)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트레이플랜지(7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어셈블리(700)는 양단이 각각 트레이(710)와, 워터탱크(722)와 연통되는 우회파이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파이프(720)는 일단은 트레이(710)에 마련되는 배수홀(712a)과, 타단은 워터탱크(722)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트레이(710)는 이후 설명하는 트레이레일(716)을 따라 진퇴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냉방모드인 경우 증발기(70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응축기(704)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응축수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는 제 1 위치(710a)와, 제습모드인 경우 증발기(70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하여 워터탱크(722)로 배출하도록 응축수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제 2 위치(710b)를 진퇴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710)는 냉방모드와 제습모드에 따라 제 1 위치(710a)와 제 2 위치(710b)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어셈블리(700)는 트레이(710)가 본체내부에서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트레이레일(716)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레일(716)은 트레이(7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트레이(710)가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트레이레일(716)은 트레이(7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마련되는 이동롤러(미도시)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트레이(710)가 이동가능할 수 있게 마련된다.
트레이어셈블리(700)는 핸들부(718)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710)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통해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718)를 통해 진퇴가 제어될 수 있다.
핸들부(718)는 트레이(710)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트레이(710)를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냉방모드와 제습모드를 동작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우징 20 : 압축기
22 : 응축기 24 : 팽창장치
26 : 증발기 30 : 제 1 하우징
70 : 제 2 하우징
200 : 트레이 어셈블리 210 : 제 1 트레이
210a : 저수공간 212 : 제 1 트레이하부면
212a : 제 1 바닥면 212b : 제 1 경사면
212c : 배수홀 214 : 제 2 트레이플랜지
220 : 제 2 트레이 222 : 제 2 트레이하부면
222a : 제 2 바닥면 222b : 제 2 경사면
222c : 공급홀 224 : 제 2 트레이플랜지
226 : 공급공간 228 : 우회공간
228a : 우회홀 232 : 우회파이프
230 : 구획패널 240 : 워터탱크
250 : 연결유닛 252 : 배수호스
253 : 유입부 254a : 제 1 배출부
254b : 제 2 배출부 260 : 전환유닛

Claims (28)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마련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냉방모드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수가 저수되는 워터탱크로 배출하는 제습모드를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제 1 트레이;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며, 상기 응축기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방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공급공간;
    상기 제습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를 우회하여 상기 워터탱크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우회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타단에 마련되어 각각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배출부와 제 2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수호스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 1 배출부와 상기 제 2 배출부 중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3웨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상기 공급공간 또는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타단에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상기 배출부를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는,
    공급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하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중첩되어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냉방모드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기로 떨어지도록 응축수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는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모드에서는 상기 이동경로를 가로막는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호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마련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냉방모드와 제습모드를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냉방모드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모드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배출하는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워터탱크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우회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트레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4.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냉매를 압축하도록 마련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수되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된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응축기의 표면으로 배출하는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로의 응축수공급을 제어하는 연결유닛을 갖는 트레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방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공급공간;
    상기 제습모드시에 상기 응축기를 우회하여 상기 워터탱크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수되는 우회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타단에 마련되어 각각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배출부와 제 2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수호스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 1 배출부와 상기 제 2 배출부 중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마련되는 유입부와, 상기 공급공간 또는 상기 우회공간을 향하도록 타단에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어셈블리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우회공간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상기 배출부를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010860A 2014-01-28 2014-01-28 공기조화기 KR20150089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860A KR20150089818A (ko) 2014-01-28 2014-01-2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860A KR20150089818A (ko) 2014-01-28 2014-01-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818A true KR20150089818A (ko) 2015-08-05

Family

ID=5388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860A KR20150089818A (ko) 2014-01-28 2014-01-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8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114A (zh) * 2016-06-22 2016-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WO2021054249A1 (ja) * 2019-09-17 2021-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EP3779318A4 (en) * 2018-04-11 2021-03-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CN116086005A (zh) * 2023-03-24 2023-05-09 创维空调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可利用冷凝水散热的移动空调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114A (zh) * 2016-06-22 2016-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6091114B (zh) * 2016-06-22 2022-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EP3779318A4 (en) * 2018-04-11 2021-03-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WO2021054249A1 (ja) * 2019-09-17 2021-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14341560A (zh) * 2019-09-17 2022-04-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带有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CN114341560B (zh) * 2019-09-17 2024-03-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带有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CN116086005A (zh) * 2023-03-24 2023-05-09 创维空调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可利用冷凝水散热的移动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US10914488B2 (en)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504098B1 (ko) 공기 조화기
EP2597383A2 (en) Air conditioner
US11708979B2 (en) Air conditioner
EP3631307B1 (en) Air conditioner
KR102341728B1 (ko) 공기조화기
KR101542121B1 (ko) 공기조화기
KR20150089818A (ko) 공기조화기
KR20150017069A (ko) 공기 조화기
US20170089593A1 (en) Air conditioner
KR102493913B1 (ko) 공기조화기
KR1024076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49549B1 (ko) 공기 조화 장치
US11982462B2 (en) Air conditioner
KR100600070B1 (ko) 공기조화기
KR10136266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5992735B2 (ja) 空気調和機
KR100885574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889128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220080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685313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191522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일체형 케이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