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40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408A
KR20140133408A KR1020140010872A KR20140010872A KR20140133408A KR 20140133408 A KR20140133408 A KR 20140133408A KR 1020140010872 A KR1020140010872 A KR 1020140010872A KR 20140010872 A KR20140010872 A KR 20140010872A KR 20140133408 A KR20140133408 A KR 2014013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emax
terminal
value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철
안재현
권기범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4003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169B1/ko
Priority to PCT/KR2014/004133 priority patent/WO2014182108A1/ko
Priority to US14/890,409 priority patent/US10652830B2/en
Publication of KR2014013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전송전력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함,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을 재설정함 및 상기 재설정된 최대출력전력 한도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함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값이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의 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출력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AXIMUM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기지국에 이중 연결된 상황에서 최대송신전력(PEMAX)을 설정하고 및 단말에 시그널링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관한 것이다.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하는 기지국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라 한다. 이때,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기지국들 중 하나는 중심기지국(또는 서빙기지국)이라 하고, 다른 하나는 작은기지국(또는 비서빙기지국)이라 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단말의 잉여전력(power headroom)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전력 제어 기술은 무선통신에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간섭요소를 최소화하고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필수 핵심기술이다.
단말이 잉여전력정보를 기지국에 제공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최대출력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기 추정된 상향링크 최대출력전력의 한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송신전력제어, 변조 및 코딩 수준 및 대역폭등과 같은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이 두 개의 기지국을 통하여 동시에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하면서 스케줄러가 개별 기지국에 위치하는 경우에 기지국간의 스케줄링 정보 교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상호간의 스케줄링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이중 연결 설정된 기지국이 최대송신전력(PEMAX)을 설정함에 있어서 단말의 최대 능력 이상의 전송 전력을 넘지 않도록 설정하고 단말에 전용시그널링 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의 최대송신전력(PEMAX)을 단말에 전용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이 단말에 전용으로 설정된 최대송신전력 단말에 전용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형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에 이중 연결된 단말의 최대출력전력(PCMAX)을 전용시그널링을 통하여 수신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PEMAX)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이 능력 이상의 전송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이중 연결된 단말의 최대출력전력(PCMAX) 설정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PEMAX) 값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특정 최대전송전력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최대출력전력 한도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값이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의 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출력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이중 연결되며 최대출력전력을 설정하는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을 재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재설정된 최대출력전력 한도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값이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값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의 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출력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서 매크로 셀 및 소형 셀과 단말간의 이중 연결을 구성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잉여전력보고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최대 능력 이상의 전송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은 이중 연결로 인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으로부터 UL 그랜트를 최대한 할당 받더라도 단말은 최대출력전력의 한도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진행하여 스케일링 다운(scaling down)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이 각각 스케줄러를 관리하는 경우, 단말이 최대전송전력을 과도하게 설정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말 전용(특정)으로 각 기지국에 사용할 송신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중 연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단말에 이중 연결된 두 기지국이 각각 가지는 스케줄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독립적인 스케줄러를 갖는 두 기지국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케일링다운 상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전용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전용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전용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예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예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예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evolved NodeB, eNB)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 UE, 12)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스몰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기지국(11)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11)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하향링크(downlink:DL)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UL)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물리계층에서 다음과 같은 물리 제어채널들이 사용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UL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는 DL-SCH가 맵핑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하향링크 채널로서,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인 HARQ ACK/NACK(Hybrid ARQ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 신호,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나른다.
한편, 단말의 최대출력전력(PCMAX)의 범위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PCMAX _L 및 PCMAX _H의 정의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여기서, PEMAX는 해당 셀에서 허용되는 단말의 최대송신전력이며, 상위 계층(예, RRC신호)에서 시그널링되는 값이다. RRC 계층에서 IE P-Max에 의해 셀마다 특정되는 값이다. PPOWERCLASS는 단말의 클래스에 대한 최대 출력 전력이다. MPR은 단말 내에서 해당 대역과 변조를 고려하여 설정된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설정된 전력 감쇠(power reduction) 값이다. A-MPR은 기지국이 지시한 범위에서 단말이 설정한 값이다. P-MPR은 1xRTT 등 LTE와 다른 시스템이 운용될 경우을 고려하여 허용된 최대 출력 전력 감쇠이다. ΔTC는 고정된 전력 오프셋 값이며,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전송 대역폭(transmission BW)의 함수이다.
한편, 기지국은 커버리지(coverage)에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으로 피코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에 비하여 넓은 커버리지는 갖는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강한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피코 기지국은 핫스팟(hotspot) 또는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위해 설치되는 기지국이며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피코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매크로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을 매크로 셀이라고 하며, 매크로 셀을 지원하는 주파수를 매크로 셀 계층(layer)이라고 한다. 매크로 셀은 피코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보다 상대적으로 의존적인(reliable) 연결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피코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을 피코 셀이라고 하며, 피코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의 커버리지가 작다는 의미에서 스몰 셀이라고 한다. 또한, 피코 기지국을 스몰 기지국 또는 스몰 셀 기지국이라고도 부른다. 스몰 셀은 매크로 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의존적인(non-reliable) 연결을 단말에 제공한다.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이 혼재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은 트래픽을 분산하거나 서로 다른 QoS의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무선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연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중 연결은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이 서로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 셀 및 스몰 셀을 단말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이중 연결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지점(network points)들과 RRC 연결 상태(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state)로 설정되어 있는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지점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소비하는 동작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지점들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기지국들일 수 있다. 이중연결에 따르면, 효율적인 네트웍크 구성과 단말 송수신이 가능하며, 트래픽의 분산과 전송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M)과 스몰 기지국(S)으로부터 동시 UL 전송 또는 동시 DL 수신이 가능하다. 매크로 기지국(M)과 스몰 기지국(S)은 백홀 연결되어 있으나, 비이상적인 백홀의 경우 25 내지 65 ms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각의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서빙셀을 가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M)에서 2개의 서빙셀을 구성하고, 스몰 기지국(S)에서 3개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매크로 기지국(M)과 스몰 기지국(S)이 단말에 대해 이중 연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해당 구조에서 각 기지국의 서빙셀들을 그룹을 지어 셀그룹이라고 명칭하도록 한다. 여기서, 매크로 기지국(M)을 마스터 역할을 하는 기지국이라 하여 마스터 기지국(Master eNB, MeNB)이라고 명칭하고, 마스터 기지국이 단말에 제공하는 서빙셀의 그룹을 마스터 셀그룹(Master Cell Group : MCG)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몰 기지국(S)을 서브 역할을 하는 기지국이라 하여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eNB, SeNB)이라고 명칭하고, 세컨더리 기지국이 단말에 제공하는 서빙셀의 그룹을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 SCG)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에 이중 연결된 두 기지국이 각각 가지는 스케줄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및 스몰 기지국은 개별적으로 스케줄러를 가지며, 각 기지국을 위한 UL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개별적으로 관리된다.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은 적어도 PHY 계층과 MAC 계층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또는 PDCP 계층 및 RLC 계층은 각 기지국에 위치하거나 매크로 기지국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 간의 비이상적인 백홀 연결의 지연시간으로 인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은 자신의 스케줄러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없다. 이때,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은 상대방의 UL 그랜트 정보를 알 수 없다.
기지국은 전송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UL 그랜트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이 전송한 모든 기지국에 대한 잉여전력정보의 합(즉, 총 잉여전력정보)를 고려하여 기지국은 UL 그랜트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은 최대출력전력 이상의 크기의 UL 그랜트가 할당되면, 단말의 UL 전송 전력의 스케일링 다운(scaling down)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독립적인 스케줄러를 갖는 두 기지국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케일링다운 상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단말이 각 기지국에 대하여 잉여전력보고(Power Headroom Report:PHR)를 하는 경우이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전송전력값(TX1) 및 스몰 기지국에 대한 전송전력값(TX2)과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잉여전력(PH1) 및 스몰 기지국에 대한 잉여전력(PH2) 정보를 기초로 각 기지국으로 잉여전력보고(PHR)를 전송한다.
상기 PHR은 잉여전력(PH) 또는 최대출력전력(PCMAX)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전송전력값 (TX)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에 상기 PH1 및 상기 PH2를 모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단말은 스몰 기지국에도 상기 PH1 및 상기 PH2를 모두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에 "매크로 기지국 전송 전력 정보"와 "스몰 기지국 전송 전력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효과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단말은 스몰 기지국에 "매크로 기지국 전송 전력 정보"와 "스몰 기지국 전송 전력 정보"를 동시에 전송한 효과를 가진다.
매크로 기지국 잉여전력(PH1)은 "PH1=PCMAX-TX1"를 만족하고, 스몰 기지국 잉여전력(PH2)는 "PH2=PCMAX-TX2"를 만족한다. 만약, UE 파워클래스(powerclass) 3이라면, 단말최대전송전력은 23dBm이다.
단말의 전송전력(TX)은 매크로 기지국의 전송전력(TX1) 및 스몰 기지국의 전송전력(TX2)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TX=TX1+TX2"이다.
단말의 잉여전력(PH)는 단말의 최대출력전력(PCMAX)과 단말의 전송전력(TX)의 차이로 표현할 수 있다. 즉, "PH=PCMAX-TX"이다.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은 상기 PH1 및 PH2, 상기 TX1 및 TX2의 값을 모두 수신하며, 각 기지국은 단말의 PH 및 TX를 모두 파악할 수 있다.
(b)는 스케줄러를 가지는 기지국에서 각 스케줄러에 의한 UL 그랜트(예, 허락된 전송전력 및 잉여전력 예상 값)를 단말에 할당하기 위하여 예측하는 과정이다.
각 기지국(예.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은 수신한 잉여전력보고를 기초로 단말에게 허락될 것으로 예측되는 전송전력(anticipated granted Power: aTX)값을 할당한다.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에 전송 시 예측(anticipated)되는 전송전력을 aTX1라하고, 단말이 스몰 기지국에 전송 시 예측(anticipate)되는 전송전력을 aTX2라한다.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에 전송 시 예측되는 단말의 잉여전력 PH("aPH1"라 한다) 및 스몰 기지국에 전송 시 예측되는 단말의 잉여전력 PH("aPH2"라 한다)는 PH보다 작거나 같다.
매크로 기지국 및 스물 기지국이 상호간의 스케줄링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aPH와 aTX 값은 예상되기 어렵다.
매크로 기지국 및 스몰 기지국이 서로 간의 정보 교환 없이 개별적으로 스케줄링하고 개별적으로 예측하는 단말 전송전력이 할당됨으로 인하여, 단말은 실제 단말에게 허락되는 전송전력(TX) 및 잉여전력(PH)를 어떻게 예측하여 전송전력 (aTX) 및 잉여전력(PH)을 설정해야 하는지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aTX1, aTX2을 고려하여 aTX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PH 값을 결정한다. aTX1 과 aTX2는 각 기지국에 대하여 최대한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스케줄링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단말의 전송효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매크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 가능한 최대전력을 사용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은 aTX1와 aTX2의 합에 해당하는 수준의 전송전력 (aTX = aTX1+aTX2) 을 할당할 수도 있다. 만약, 매크로와 스몰 기지국이 서로 스케줄링 정보를 유용한 시간 내에 교환할 수 있다면 어느 한 기지국에서 최대한의 전송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 한다면 다른 기지국은 전송전력을 최대한 줄여 스케줄링 함으로서 단말이 자신의 전력사용 한도를 넘치도록 전송전력을 할당하지 않도록 하게 될 것이다.
(c)는 단말의 UL 전송의 경우이며, 단말에서 매크로 및 스몰 기지국에서 허락된 상향 전송전력 TX1, TX2 를 통하여 단말의 상향 전송전력을 할당하는 경우이다.
단말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에서 허락된 전송전력을 기준으로 상향 전송전력을 할당할 경우 단말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전송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TX는 단말의 실제 상향 전송전력이고, PH는 단말의 잉여전송전력이다. TX가 PCMAX 보다 크다는 의미는 단말이 실제 할당할 수 있는 한계전력 (최대출력전력) 보다 많은 전송전력을 할당하게 되는 경우이다.
각 기지국이 독립적으로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 최대한 단말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기지국은 단말에게 최대의 전력을 허락할 수 있다.
이때, 매크로 기지국 및 스몰 기지국 모두 단말에 최대전력을 허락한다면, 단말은 자신이 전송할 수 있는 최대출력전력(PCMAX)보다 큰 전송전력을 할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할당되는 전송전력을 스케일링 다운(scaling down)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복수의 셀로 UL 전송이 가능한 경우(예, CA 상황), 복수의 셀을 고려한 최대출력전력(PCMAX)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PCMAX _L_ CA 및 PCMAX _H_ CA의 정의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여기서, pEMAX ,c는 PEMAX ,c의 선형 값이며, 서빙셀 c에 대하여 P-Max에 의하여 주어진다. P-Max(PEMAX) 값은 서빙 셀 별로 고정된 값이며, RRC 시그널링에 의하여 단말에 전송된다. ΔTC ,c는 고정된 전력 오프셋 값이며, 요소 반송파(또는 서빙셀) c에 대한 전송 대역폭의 함수이다. ΔTC는 서빙셀 c에 대한 ΔTC ,c 값들 중 가장 높은 값이다. PEMAX ,c는 서빙셀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단말에게 전송되는 값이며, 셀특정 값이다. PEMAX,c는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PEMAX ,c는 단말이 해당 셀에 전송할 수 있도록 허락된 최대전력에 해당한다.
일 예로, PEMAX ,c는 시스템정보블록타입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중 연결된 두 기지국에 존재하는 독립적인(independent) 두 스케줄러로 인하여 스케일링 다운(scaling down)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일정한 전송 효율의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단말의 최대송신전력(즉, 각 기지국에 대한 PEMAX,c의 합)이 단말의 PPOWERCLASS 값 또는 PCMAX 값을 넘지 않는 정도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의 최대송신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섬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연결시 단말에 할당되는 최대송신전력(PEMAX ,C)에는 매크로 기지국을 위한 최대송신전력(mPEMAX ,c) 및 스몰 기지국을 위한 최대송신전력(sPEMAX,c)이 있다. 상기 mPEMAX ,C 및 sPEMAX ,C는 특정 단말을 위해 정해진 단말 전용(특정)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이중 연결된 단말에 대하여 mPEMAX ,C 및 sPEMAX ,C는 다음 수학식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즉, 매크로 기지국을 위한 최대전송전력과 스몰 기지국을 위한 최대전송전력의 합은 PCMAX보다 작거나 같고 PPOWERCLASS보다 작거나 같다. 특히, PPOWERCLASS는 단말의 제조 스펙 상 최대전력(예, 23dBm)이므로 단말의 성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일 예로, 상기 mPEMAX ,C 및 sPEMAX ,C는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RRC 전용 시그널링(예, RRC 메시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mPEMAX ,C 및 sPEMAX ,C는 하나의 기지국(예,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에서 한꺼번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각 기지국에 RRC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mPEMAX ,C는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전송되고, 상기 sPEMAX ,C는 스몰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3개 이상의 기지국을 통하여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다음과 수학식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여기서, kPEMAX ,c는 단말의 서빙셀 또는 기지국 별로 RRC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된 값이다(단, 1≤k≤n 이며, n은 서빙 기지국의 개수이다).
만약, 단말이 3개 이상의 셀을 통하여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상황인 경우, 2 개의 그룹을 기준으로 mPEMAX 와 sPEMAX 값이 정해지고 서빙셀 또는 기지국별로 RRC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에 해당하는 마스터 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들에는 mPEMAX가 전달되고, 스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세컨더리 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들에는 sPEMAX가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PEMAX를 기준으로 정해진 PEMAX ,c 값이 마스터 셀 그룹에 속한 각 셀 별로 정해져서 전달되고, sPEMAX 를 기준으로 PEMAX ,c 값이 세컨더리 셀 그룹에 속한 각 셀 별로 정해져서 전달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셀 그룹 내에서 셀 별로 해당 PEMAX ,c 값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기존의 PEMAX 값은 기지국 내 특정 셀마다 설정되는 값이며, 하나의 셀 내에서는 동일한 값으로 결정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mPEMAX 와 sPEMAX는 특정 단말마다 전용(특정)으로 설정되는 값이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된다. 특정 단말에 할당되는 mPEMAX와 sPEMAX를 dPEMAX(dedicated PEMAX)라고도 한다.
이제, 이중 연결된 단말에 대한 PCMAX 설정을 설명한다.
일 예로, 이중 연결된 단말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PCMAX를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PCMAX _L _ DU 및 PCMAX _H_ DU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여기서, kpEMAX ,c는 kPEMAX ,c의 선형 값이다. dP-Max는 단말에 할당된 값이며, 셀마다 RRC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값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전용 최대전송전력(PEMAX ,C)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mPEMAX ,c 및 sPEMAX,c가 전송되는 방법이다.
PCMAX _L_ DU 는 이중 연결시에 PCMAX 설정 범위의 하한 값에 해당한다.
PCMAX _H_ DU 는 이중 연결시에 PCMAX 설정 범위의 상한 값에 해당한다.
도 5는 매크로 기지국에서 mPEMAX, sPEMAX 설정을 시그널링하는 예이다. 매크로 기지국은 단말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미리 알고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은 스몰 기지국의 구성(configuration)을 통해 mPEMAX 와 sPEMAX을 설정하되(S500), mPEMAX 및 sPEMAX의 합이 PPOWERCLASS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한다.
매크로 기지국은 설정한 mPEMAX 와 sPEMAX을 단말에게 전달한다(S505).
이때, 상기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단말 전용(특정)(UE specific) 으로 설정한 값이므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예, RRC 시그널링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달된다. RRC 연결 재구성 메시는 하나의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타의 다른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mPEMAX와 sPEMAX 가 전송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셀그룹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셀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은 수신된 mPEMAX 와 sPEMAX 값을 기초로 PCMAX를 설정한다(S510).
단말은 수신한 UL 그랜트를 기초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으로 UL 동시 전송을 수행한다(S515).
도 6은 매크로 기지국 및 스몰 기지국에서 mPEMAX, sPEMAX 설정을 시그널링하는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정 단말에 이중 연결이 요구되면,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은 단말에게 설정될 mPEMAX, sPEMAX에 대하여 협의한다(S600). 이때, 각 기지국은 mPEMAX 및 sPEMAX의 합이 PPOWERCLASS 보다 크지 않은 값을 갖도록 협의한다.
매크로 기지국은 mPEMAX를 설정하고, 스몰 기지국은 sPEMAX를 설정한다(S605). 각 기지국은 mPEMAX 및 sPEMAX의 합이 PPOWERCLASS 보다 크지 않은 값을 갖도록 설정한다.
설정된 mPEMAX 값은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고(S610), sPEMAX 값은 스몰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된다(S615). 일례로 상기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셀그룹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셀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mPEMAX, sPEMAX 값을 기초로 단말은 PCMAX를 설정한다(S620).
단말은 수신한 UL 그랜트를 기초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으로 UL 동시 전송을 수행한다(S625).
도 7 및 도 8은 이중 연결을 위하여 단말 별로 mPEMAX, sPEMAX 값을 설정하는 예이다.
도 7은 이중 연결 적용 이전에 mPEMAX, sPEMAX를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mPEMAX, sPEMAX는 각 기지국에서 설정되어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된다(S700). 이중 연결 시작 이전에, 단말은 mPEMAX, sPEMAX 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였으나, 단말은 기존의 PEMAX(예, IE P-Max)를 기준으로 PCMAX를 계산한다. 단말이 수신한 mPEMAX, sPEMAX 값은 이중 연결을 고려한 단말 전용(특정) 값으로 이중 연결 이전에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단말이 전용시그널링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mPEMAX, sPEMAX 값은 이중 연결이 시작되는 시점에 단말이 사용하도록 하며, 이때 단말은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mPEMAX, sPEMAX 값을 이용하여 최대출력전력 PCMAX 를 계산한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에 이중 연결을 시작한다(S705).
일 예로, 매크로 기지국은 "스몰 기지국에 대한 이중 연결이 시작됨" 또는 "스몰 기지국에 대한 이중 연길이 가능함"을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의 접속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스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S700에서 수신한 mPEMAX, sPEMAX를 이용하여 이중 연결에서의 PCMAX를 새롭게 계산할 수 있다(또는 업데이트 할 수 있다)(S710).
이때, mPEMAX, sPEMAX는 단말에 이중 연결이 시작되기 전의 PEMAX 값과 구분되어야 하므로, 단말은 기존의 PEMAX를 mPEMAX, sPEMAX로 대치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관리한다.
도 8은 이중 연결 시작 이후 mPEMAX, sPEMAX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이중 연결을 시작한다(S800)
매크로 기지국이 "스몰 기지국에 대한 이중 연결 시작함" 또는 "스몰 기지국에 대한 이중 연결이 가능함"을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의 접속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스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이중 연결을 알려주면, 단말은 이중 연결 시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중 연결이 시작되는 시점에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은 mPEMAX, sPEMAX값을 단말에게 설정한다(S805). 일례로 상기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셀그룹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셀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은 이중 연결에서 사용하는 mPEMAX, sPEMAX를 통하여 새로운 PCMAX를 재설정한다(S810). 상기 mPEMAX, sPEMAX는 이중 연결 이후에 설정되어 전송되는 값이다.
단말은 기존의 PEMAX에 해당하는 값을 상기 mPEMAX, sPEMAX으로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 연결 시작 이전에 PEMAX,c 에 해당하는 p-Max 값들을 대신 하여 mPEMAX, sPEMAX 에 해당하는 p-Max 값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단말 적용할 수 있다.
다음 표는 mPEMAX, sPEMAX가 설정되는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IE)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전용 정보요소(uplink power control dedicated IE)이다.
UplinkPowerControlDedicated-v12xx ::= SEQUENCE {
m-p-Max-r12 P-Max-r12
s-p-Max-r12 P-Max-r12
}
여기서, "m-p-Max"는 단말에 적용되는 mPEMAX 값을 말하고, "s-p-Max"는 단말에 적용되는 sPEMAX 값을 말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전용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중 연결된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전용(특정) 최대송신전력 값(mPEMAX 및 sPEMAX)을 전용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다(S900). 상기 mPEMAX 및 sPEMAX는 그 합이 PPOWERCLASS(또는 PCMAX)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된 파라미터이며, 셀마다 정해지고 단말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파라미터이다.
일 예로, 단말은 주서빙셀을 통해 접근하다가 "이중연결 ON"의 지시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mPEMAX 및 sPEMAX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mPEMAX 와 sPEMAX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PCMAX)를 설정(또는 재설정)한다(S905).
단말은 수신한 UL 그랜트를 기초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으로 UL 동시 전송을 수행한다(S910).
반면, 단말이 이중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mPEMAX 또는 sPEMAX는 PCMAX와 동일한 값이 초기값(default)으로 설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전용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단말의 성능 정보를 미리 알고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mPEMAX 및 sPEMAX)을 설정한다(S1000).
일 예로, 매크로 기지국은 스몰 기지국의 구성을 통해 mPEMAX 와 sPEMAX을 설정한다. 다른 예로, 스몰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의 구성을 통해 mPEMAX 와 sPEMAX을 설정한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mPEMAX 및 sPEMAX의 합이 PPOWERCLASS(또는 PCMAX)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한다.
매크로 기지국은 설정한 mPEMAX 와 sPEMAX을 단말에게 전달한다(S1005).
이때, 상기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단말 특정 파라미터이므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전용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이 mPEMAX 와 sPEMAX 값을 기초로 설정한 PCMAX에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의 UL 전송을 수신한다(S101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최대송신전력을 설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00)은 수신부(1105), 제어부(1110) 또는 전송부(1115)를 포함한다.
수신부(1105)는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mPEMAX 및 sPEMAX)을 전용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다. 상기 mPEMAX 및 sPEMAX는 그 합이 PPOWERCLASS(또는 PCMAX)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된 파라미터이며, 셀마다 정해지고 단말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파라미터이다.
일 예로, 수신부(1105)는 "이중 연결 ON"의 지시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mPEMAX 및 sPEMAX를 기지국(115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수신된 mPEMAX 와 sPEMAX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PCMAX)를 설정 또는 재설정한다.
전송부(1115)는 수신한 UL 그랜트를 기초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기지국으로 UL 동시 전송을 수행한다.
반면, 단말(1100)이 이중 연결되지 않으면, 제어부(1110)는 상기 mPEMAX 또는 sPEMAX를 PCMAX와 동일한 값을 초기값(default)으로 설정한다.
기지국(1150)은 수신부(1155), 제어부(1160) 또는 전송부(1165)를 포함한다.
제어부(1160)는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mPEMAX 및 sPEMAX)을 설정한다.
일 예로, 제어부(1160)는 mPEMAX 및 sPEMAX의 합이 PPOWERCLASS(또는 PCMAX)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한다.
전송부(1165)는 설정한 mPEMAX 와 sPEMAX을 단말(1100)에게 전달한다. 이때, 상기 mPEMAX와 sPEMAX에 대한 정보는 단말 특정 파라미터이므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전용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수신부(1155)는 단말(1100)이 mPEMAX 와 sPEMAX 값을 기초로 설정한 PCMAX에 따라서 단말의 UL 전송을 수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실시예에 따라 mPEMAX, sPEMAX 값이 설정된 경우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방식으로 mPEMAX, sPEMAX 값이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mPEMAX, sPEMAX 값의 변경시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세컨더리 기지국에 관한 PHR을 마스터 기지국(MeNB)로 전송한다(S1200). 여기서, PHR은 잉여전력보고(PHR) 시점에 측정된 상대 기지국(마스터 기지국에 대한 상대 기지국은 세컨더리 기지국이고,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상대 기지국은 마스터 기지국임)의 PCMAX , cg 혹은 PHcg, 및 가상 지시자(virtual indicator)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CMAX , cg라 함은 잉여전력보고 시점에 측정된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 대한 PCMAX의 값이다. 즉, PCMAX , cg는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각각에 대한 PCMAX ,c는 아니며, 해당 서빙셀 전체에 대한 하나의 값을 의미한다.
PHcg라 함은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 대한 잉여전력값을 의미한다. 즉, PHcg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각각에 대한 잉여전력값이 아니라, 서빙셀들 전체에 대한 하나의 값을 의미한다.
PCMAX , cg와 PHcg의 값은 MCG 또는 SCG에서의 PUCCH 전송의 포함여부에 따라 두 가지 타입의 정보가 존재할 수도 있다. PUCCH 전송을 고려한 타입을 타입 1이라 지칭하고, PUCCH 전송을 고려하지 않은 타입을 타입 2라 지칭하기로 한다. 즉 PCMAX , cg는 타입 1의 PCMAX , cg와 타입 2의 PCMAX , cg를 포함하고, PHcg도 타입 1의 PHcg와 타입 2의 PHcg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PHR에 포함되는 정보는 각 타입을 고려하여 보내주기 위해서 하나의 값이 아니라 타입 1 및 타입 2 이렇게 두 개의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상 지시자는 잉여전력보고 시점에 MCG에서의 전송이 있는지를 지시한다. 일예로 가상 지시자는 1 비트로서,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지시할 수 있다.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가상 지시자는 1로 셋팅되고,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전송이 발생하는 경우, 가상 지시자는 0으로 셋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상 지시자는 비트맵으로서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중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서빙셀을 직접 지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상 지시자는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중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서빙셀의 개수를 지시할 수도 있다.
PHR를 수신한 마스터 기지국은 단말의 PEMAX , cg (또는 sPEMAX 또는 mPEMAX)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5), 세컨더리 기지국(SeNB)에 PEMAX의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1210).
상기 변경 요청은 마스터 기지국의 PEMAX , cg의 값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 있다. PEMAX , cg 값의 증가 혹은 감소는 PEMAX , cg 값 자체로 표현될 수도 있고, 현재 값에 대한 변화분 또는 증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의 PEMAX , cg 값을 증가 혹은 감소 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PEMAX , cg 값의 증가 혹은 감소는 PEMAX , cg 값 자체로 표현될 수도 있고, 현재 값에 대한 변화분 또는 증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변경 요청을 수신한 세컨더리 기지국은 PEMAX , cg 값의 변경을 수락할 수 있다(S1215). 그리고 PEMAX , cg 값의 변경을 수락한 경우, PEMAX의 변경 응답을 마스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20). 여기서, 상기 변경 응답은 마스터 기지국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의 PEMAX , cg의 변화를 지시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는 변경 응답이 생략된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변경 응답이 생략된다는 의미는 세컨더리 기지국의 경우는 마스터 기지국이 요청한 것을 무조건 수락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마스터 기지국은 PEMAX , cg의 변화를 단말에게 재구성한다(S1225). 예를 들어, PEMAX,cg의 변화를 단말에 재구성하는 것은, 마스터 기지국이 PEMAX , cg의 변화를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세컨더리 기지국은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전력정보를 마스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300). 여기서,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전력정보는 세컨더리 기지국의 PEMAX , cg 혹은 PHcg, 및 가상 지시자(virtual indicator)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305 내지 단계 S1325는 도 12의 단계 S1205 내지 단계 S1225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실시예에 따라 mPEMAX, sPEMAX 값이 설정된 경우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방식으로 mPEMAX, sPEMAX 값이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mPEMAX, sPEMAX 값의 변경시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마스터 기지국에 관한 PHR을 세컨더리 기지국(SeNB)로 전송한다(S1400). 여기서, PHR은 잉여전력보고(PHR) 시점에 측정된 상대 기지국(마스터 기지국에 대한 상대 기지국은 세컨더리 기지국이고,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상대 기지국은 마스터 기지국임)의 PCMAX , cg 혹은 PHcg, 및 가상 지시자(virtual indicator)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CMAX , cg라 함은 잉여전력보고 시점에 측정된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 대한 PCMAX의 값이다. 즉, PCMAX , cg는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각각에 대한 PCMAX ,c는 아니며, 해당 서빙셀 전체에 대한 하나의 값을 의미한다.
PHcg라 함은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 대한 잉여전력값을 의미한다. 즉, PHcg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각각에 대한 잉여전력값이 아니라, 서빙셀들 전체에 대한 하나의 값을 의미한다.
PCMAX , cg와 PHcg의 값은 MCG 또는 SCG에서의 PUCCH 전송의 포함여부에 따라 두 가지 타입의 정보가 존재할 수도 있다. PUCCH 전송을 고려한 타입을 타입 1이라 지칭하고, PUCCH 전송을 고려하지 않은 타입을 타입 2라 지칭하기로 한다. 즉 PCMAX , cg는 타입 1의 PCMAX , cg와 타입 2의 PCMAX , cg를 포함하고, PHcg도 타입 1의 PHcg와 타입 2의 PHcg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PHR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나의 타입에 대한 값이 아니라, 타입 1 및 타입 2 이렇게 두 개의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상 지시자는 잉여전력보고 시점에 MCG에서의 전송이 있는지를 지시한다. 일예로 가상 지시자는 1 비트로서,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지시할 수 있다. MCG 또는 SCG에 속한 전체 서빙셀들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가상 지시자는 1로 셋팅되고,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전송이 발생하는 경우, 가상 지시자는 0으로 셋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상 지시자는 비트맵으로서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중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서빙셀을 직접 지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상 지시자는 MCG 또는 SCG에 속한 서빙셀들 중에서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서빙셀의 개수를 지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PHR를 수신한 세컨더리 기지국은 단말의 PEMAX , cg (또는 sPemax 또는 mPemax)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5), 마스터 기지국(MeNB)에 PEMAX의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1410).
상기 변경 요청은 세컨더리 기지국의 PEMAX , cg의 값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 있다. PEMAX , cg 값의 증가 혹은 감소는 PEMAX , cg 값 자체로 표현될 수도 있고, 현재 값에 대한 변화분 또는 증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는 마스터 기지국의 PEMAX , cg 값을 증가 혹은 감소 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PEMAX , cg 값의 증가 혹은 감소는 PEMAX , cg 값 자체로 표현될 수도 있고, 현재 값에 대한 변화분 또는 증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변경 요청을 수신한 마스터 기지국은 PEMAX , cg 값의 변경을 수락할 수 있다(S1415). 그리고 PEMAX , cg 값의 변경을 수락한 경우, PEMAX의 변경 응답을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420). 여기서, 상기 변경 응답은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마스터 기지국의 PEMAX , cg의 변화를 지시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는 변경 응답이 생략된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변경 응답이 생략된다는 의미는 마스터 기지국의 경우는 세컨더리 기지국이 요청한 것을 무조건 수락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마스터 기지국은 PEMAX , cg의 변화를 단말에게 재구성한다(S1425). 예를 들어, PEMAX,cg의 변화를 단말에 재구성하는 것은, 마스터 기지국이 PEMAX , cg의 변화를 지시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mPEMAX, sPEMAX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또는 변경될 때), 변경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지국은 단말의 마스터 기지국에 대한 전력정보를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500). 여기서, 단말의 마스터 기지국에 대한 전력정보는 마스터 기지국의 PEMAX , cg 혹은 PHcg, 및 가상 지시자(virtual indicator)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505 내지 단계 S1525는 도 14의 단계 S1405 내지 단계 S1425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이중 연결된 단말의 최대송신전력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을 재설정하는 단계;및
    상기 재설정된 최대출력전력 한도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값이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의 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출력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셀마다 결정되고 단말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이중 연결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자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를 수신하기 전에는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상기 최대출력전력 값과 동일한 값으로 초기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각각 스케줄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스케줄러는 상기 단말의 송신전력을 스케줄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출력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전력을 기초로 상기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이중 연결되며, 최대출력전력을 설정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설정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기초로 최대출력전력을 재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재설정된 최대출력전력 한도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값이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의 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출력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은 셀마다 결정되고 단말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이 이중 연결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더 수신하고, 상기 지시자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자를 수신하기 전에는 상기 단말 특정 최대송신전력 값을 상기 최대출력전력 값과 동일한 값으로 초기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출력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송전력을 결정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전력을 기초로 상기 상향링크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010872A 2013-05-10 2014-0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20140133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85A KR102178169B1 (ko) 2013-05-10 2014-03-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4133 WO2014182108A1 (ko) 2013-05-10 2014-05-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US14/890,409 US10652830B2 (en) 2013-05-10 2014-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signal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59 2013-05-10
KR20130053459 2013-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08A true KR20140133408A (ko) 2014-11-19

Family

ID=52454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872A KR20140133408A (ko) 2013-05-10 2014-0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1020140037185A KR102178169B1 (ko) 2013-05-10 2014-03-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185A KR102178169B1 (ko) 2013-05-10 2014-03-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52830B2 (ko)
KR (2) KR201401334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473A (ko) * 2013-08-02 2015-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 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상향링크 전송 방법
EP2854460B1 (en) * 2013-09-27 2017-04-05 Sun Patent Trust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dual connectivity
JP5866420B1 (ja) * 2014-09-25 2016-02-1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上り送信電力報告方法
WO2019013584A1 (en) * 2017-07-13 2019-0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POWER SAFETY MARGIN RATI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OF
EP4373173A3 (en) * 2017-09-14 2024-05-29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headroom report generation
US10873916B2 (en) * 2017-12-29 2020-12-22 Ofinno, Llc Base station power control
WO2019215858A1 (ja) * 2018-05-09 2019-11-14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WO2020046017A1 (en) * 2018-08-29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power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557822A (zh) * 2019-09-19 2019-12-10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上行功率配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643810A (zh) * 2021-08-10 2021-11-12 西北工业大学 一种云边端协同的人机物QoS参数规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192A (ja) * 2000-03-29 2001-10-12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と基地局
KR100985645B1 (ko) * 2004-06-11 2010-10-0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트랜스포트 포맷 콤비네이션 선택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및 이동국
EP1811689A4 (en) * 2004-10-19 2012-05-02 Sharp Kk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RANSMITTING METHOD
JP4592546B2 (ja) 2005-08-24 2010-1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回線制御局
KR20070041214A (ko)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US9338767B2 (en) * 2005-12-22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and/or using a dedicated control channel
US8260340B2 (en) * 2006-02-17 2012-09-04 Alcatel Lucent Methods of reverse link power control
WO2007144956A1 (ja) *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8452317B2 (en) * 2006-09-15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WAN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270908B2 (en) * 2007-01-08 2012-09-18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and channel reuse techniques for wireless relay networks
KR101605346B1 (ko) * 2009-01-23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셀에서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97596B1 (ko) * 2009-01-29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0125737A1 (ja) 2009-04-28 2010-11-04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PL3247159T3 (pl) * 2009-06-26 2019-07-31 Sun Patent Trust Urządzenia radiokomunikacyjne i sposób prowadzenia radiokomunikacji
KR101622224B1 (ko) * 2009-11-06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76853B1 (ko) * 2010-08-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53208A1 (en) * 2010-10-22 2012-04-26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anagement ser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762610B1 (ko) * 2010-11-05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스케줄링 및 그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34362B2 (en) * 2011-01-06 2015-01-13 Mediatek Inc. Power control method to mitigate interference for in-device coexistence
US9107175B2 (en) * 2011-01-1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24550B2 (en) * 2011-02-14 2014-05-13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secondary cell (SCell) reactivation
JP2012169939A (ja) 2011-02-15 2012-09-06 Ntt Docomo Inc 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46991B1 (ko) * 2011-02-15 201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가용 송신 전력 보고 방법 및 장치
JP5368503B2 (ja) * 2011-03-31 2013-12-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方法
US8724492B2 (en) * 2011-04-08 2014-05-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dio coexistence on adjacent frequency bands
KR101731356B1 (ko) * 2011-06-23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WO2013022318A2 (ko) * 2011-08-10 2013-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797253B1 (en) * 2012-01-27 2016-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6610B1 (ko) * 2012-01-29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CN103327590B (zh) * 2012-03-21 2017-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发射功率的方法和设备
US8964593B2 (en) *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EP2693815A1 (en) * 2012-08-03 2014-02-05 Panasonic Corporation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JP5993727B2 (ja) * 2012-11-29 2016-09-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方法
WO2014178690A1 (en) * 2013-05-02 201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54460B1 (en) * 2013-09-27 2017-04-05 Sun Patent Trust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dual connectivity
JP6611723B2 (ja) * 2014-01-22 2019-11-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電力制御実行方法及びユーザ装置
US10356723B2 (en) * 2014-05-13 2019-07-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FDR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169B1 (ko) 2020-11-13
KR20140133420A (ko) 2014-11-19
US20160112966A1 (en) 2016-04-21
US10652830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7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ple element carrier wave system
US11785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procedure for different serving cells
US10299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781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US10165527B2 (en) Method of efficiently reporting user equipment transmission power and apparatus thereof
RU2539329C2 (ru) Поддержка планирования в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несущих
US9629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ime alignment groups
JP6586091B2 (ja) 端末装置および方法
CN106465285B (zh) 无线通信系统中传输功率控制方法及装置
KR10216625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1238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잉여전력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KR102186489B1 (ko)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