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671A -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 Google Patents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671A
KR20140132671A KR20140042121A KR20140042121A KR20140132671A KR 20140132671 A KR20140132671 A KR 20140132671A KR 20140042121 A KR20140042121 A KR 20140042121A KR 20140042121 A KR20140042121 A KR 20140042121A KR 20140132671 A KR20140132671 A KR 2014013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arcoal
ignition
powder
carbon mon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538B1 (ko
Inventor
이승제
이석운
Original Assignee
이승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제 filed Critical 이승제
Publication of KR2014013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6Firelighters or wicks, as additive to a solid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1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dditive or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특히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에 관한 것으로, 연소체를 상, 하로 나누어, 상부(20)는 무해성 연소재로 조성하여 점화 및 착화부로 구성하고, 하부(30)는 활성촉매제를 사용하여 상부(20)에서 점화 및 연소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하부에서 흡입하여 제거하는 활성부로 구성하며, 성형 목탄(10) 전체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부(20) 75~85중량%, 하부(30) 15~25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Agglomerated wood charcoal without harmful elements}
본 발명은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특히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 식당, 야외, 선박 등에서 고기구이 등 음식조리용 연료로 착화탄(일명 번개탄)을 사용하였는데, 착화탄은 전체 연소체 중량의 30~40%를 연소재(Combustion material)로 질산바륨[Ba(NO3)2], 습기방지제로 질산칼슘[Ca(NO3)2], 점화제로 질산나트륨(NaNO3), 점결제로 소맥을 사용하여 그 발열량과 견고성은 우수하지만 연소 초기에 불완전 연소로 다량의 유해 가스{일산화탄소(CO), 산화바륨(BaO) 등}가 발생한다.
착화탄은 음식조리용 연료로 사용할 때 유해 가스가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착화탄을 피워 일산화탄소를 발생시켜 자살 도구로 이용하는 사건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일산화탄소는 탄소를 함유한 유기물이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제철, 도시가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며 자동차 배기가스에도 포함되어 있고, 가정 등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도 생긴다. 일산화탄소를 흡입하면 폐에서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이 상실되어 질식 상태에 빠지게 된다. 사람에 따라 일산화탄소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지만, 공기 속에 0.001%(10ppm)만 들어 있어도 중독을 일으킨다. 또 0.06%(600ppm)에서는 1시간만 흡입하면 두통을 일으키고 2시간이면 실신한다. 또 0.1%(1,000ppm)의 경우는 1시간 이내에 실신하고 4시간이면 사망한다(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또한, 착화탄의 습기방지제로 사용되는 질산칼슘은 강한 흡습성을 가지고 있는데 코팅 같은 전처리 공정 없이 다른 재료와 혼합시켜 착화탄을 제조함으로써 착화탄이 외부의 습기를 그대로 흡수하게 되는 등 착화탄의 건조화를 저해하여 착화탄의 착화가 불량하게 되고 불완전 연소를 초래하여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착화탄의 연소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연소재 개발을 한 바 있으나 연료로서의 효과를 살리지 못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415444호 "착화탄" (2004. 1. 24. 공고) 등록특허 제0583937호 "고체연료조성물" (2006. 5. 26. 공고)
본 발명은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켜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착화탄을 이용한 자살 사건에 대한 대응책으로 연소 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면서도 종래의 착화탄에 비하여 발열량 및 점화성, 보존성 등의 성능이 우수한,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성 없는 성형목탄(10)은, 연소체를 상, 하로 나누어, 상부(20)는 무해성 연소재로 조성하여 점화 및 착화부로 구성하고, 하부(30)는 활성촉매제를 사용하여 상부(20)에서 점화 및 연소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하부에서 흡입하여 제거하는 활성부로 구성하며, 성형 목탄(10) 전체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부(20) 75~85중량%, 하부(30) 15~25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20)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기 상부(20)는 연소재로 목분 40~45중량%, 숯분말 8~12중량%, 연소조제로 활성숯가루 15~20중량%, 산화제로 질산스트론튬[Sr(NO3)2] 4~6중량%, 습기 방지제로 마이크로 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Ca(NO3)2] 8~12중량%, 점화제로 질산칼륨(KNO3) 4~6중량%, 점결제로 셀룰로우스 2~4중량%와 소맥 4~8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되고, 상기 하부(30)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기 하부(30)는 연소재로 목분 24~36중량%, 야자숯가루 8~12중량%, 연소조제로 활성탄(야자 열매씨앗 탄소제) 35~40중량%, 점결제로 셀루로우스 2~4중량%, 소맥 4~8중량%, 활성촉매제로 염화아연 10~15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20), 하부(30)를 구성하는 조성물을 소정의 성형기에 먼저 하부(30) 조성물을 투입하고 그 위에 상부(20) 조성물을 투입하여 360kg/㎠의 압력으로 가압 성형한 다음 80~90℃의 건조실에서 2~3일간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은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착화탄을 이용한 자살 사건에 대한 대응책으로 연소 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면서도 종래의 착화탄에 비하여 발열량 및 점화성, 보존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일반용 착화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본 발명의 성형목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용 착화탄에 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
도 3은 본 발명의 성형목탄에 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목탄에 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수분 시험결과,
도 5는 본 발명의 성형목탄에 대한 한국임산물연료협회의 일산화탄소 발생량 시험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성형목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10)은 연소체를 상, 하로 나누어 상부(20)는 무해성 연소재로 조성하여 점화 및 착화부로 구성하고, 하부(30)는 활성촉매제를 사용하여 상부(20)에서 점화 및 연소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하부에서 흡입하여 제거하는 활성부로 구성한다.
종래의 착화탄이 하나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10)은 그 전체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부(점화 및 착화부, 20) 75~85중량%, 하부(활성부, 30) 15~25중량%로 조성한다.
상기 상부(20)의 조성비가 7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성형 목탄(10)의 발열량이 낮아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8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열량은 충분하지만 하부(30)의 조성비가 줄어들어 상부(20)에서 점화 및 연소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의 흡입, 제거가 미흡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상기 상부(20)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20)를 구성하는 각 원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20)는 연소재로서 목분 40~45중량%, 숯분말 8~12중량%, 연소조제로서 활성숯가루 15~20중량%, 산화제로서 질산스트론튬[Sr(NO3)2] 4~6중량%, 습기 방지제로서 마이크로 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Ca(NO3)2] 8~12중량%, 점화제로서 질산칼륨(KNO3) 4~6중량%, 점결제로서 셀룰로우스 2~4중량%와 소맥 4~8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한다.
상기 상부(20)는 연소재로서 목분 40~45중량%, 숯분말 8~12중량%를 포함한다. 이는 숯분말은 목분보다 고가이며 목분보다 빨리 연소되므로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목분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분, 숯분말은 식물성의 셀룰로우스(Cellulose)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연소 후 약간의 회분만을 남기고 거의 산화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목분, 숯분말의 조성비가 목분 40~45중량%, 숯분말 8~1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발열량이 낮아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목분 40~45중량%, 숯분말 8~1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열량은 충분하지만 다른 원료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상부(20)는 연소조제로서 활성숯가루 15~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숯가루는 목재나 갈탄 등을 건조시켜 제조한 제품으로 목분, 숯분말의 연소 속도를 조정한다. 상기 활성숯가루의 조성비가 1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목분, 숯분말의 연소속도가 느려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목분, 숯분말의 연소속도가 빨라져 단시간에 연소를 마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상부(20)는 산화제로서 질산스트론튬[Sr(NO3)2] 4~6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질산스트론튬은 인체에 무해하고 휘발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질산스트론튬의 조성비가 4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산화제로서의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반면에, 6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량에 비하여 산화제로서의 효율이 높아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상부(20)는 습기 방지제로서 마이크로 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Ca(NO3)2] 8~12중량%를 포함한다. 통상의 질산칼슘은 인체에 무해하지만, 물에 용해되기 쉽고 흡습성이 매우 강한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질산칼슘을 사용하되, 이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 왁스로 코팅한 것을 사용한다.
마이크로 왁스는 석유왁스의 일종으로 내습성, 내수성, 내열성, 가소성 등이 뛰어나며, 녹는 점이 96℃로 건조 시 고온에도 녹지 않는다. 질산칼슘이 성형 목탄 외부에서 내부로 흡습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내습성이 강하고 건조 시 고온에서도 녹지 않아 방습효과가 큰 마이크로 왁스로 질산칼슘[Ca(NO3)2]을 코팅한다.
마이크로 왁스로 코팅된 질산칼슘은 본 발명의 성형목탄에 사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첫째, 성형목탄 외부에서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습기능을 하게 된다. 둘째, 성형목탄 조성물에 섞여있는 질산칼슘이 건조 시 녹아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셋째, 성형 목탄의 내부의 방습을 유지하여 발열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질산칼슘의 조성비가 8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습기방지제로서의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반면에, 1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량에 비하여 습기방지제로서의 효율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상부(20)는 점화제로서 질산칼륨(KNO3) 4~6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질산칼륨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서 흡습성이 없고 산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황 및 유기물과 혼합하여 화약재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질산칼륨을 초기의 점화제로 사용한다. 상기 질산칼륨의 조성비가 4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화제로서의 성능이 약하고, 반면에 6중량%를 초과할 경우, 투입량에 비하여 점화제로서의 효율이 높아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상부(20)는 점결제로서 셀룰로우스 2~4중량%와 소맥 4~8중량%를 포함한다. 이는 셀룰로오스는 고가이므로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저가인 소맥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 하부(30)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30)를 구성하는 각 원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30)는 연소재로서 목분 24~36중량%, 야자숯가루 8~12중량%, 연소조제로서 활성탄(야자열매씨앗 탄소제) 35~40중량%, 점결제로 셀루로우스 2~5중량%, 소맥 5~8중량%, 활성촉매제로 염화아연 10~15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한다.
상기 하부(30)는 연소재로서 목분 24~36중량%, 야자숯가루 8~12중량%를 포함한다. 이는 야자숯가루는 목분보다 고가이며 목분보다 빨리 연소되므로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목분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야자숯가루는 상부(20)에서 사용되는 숯분말에 비하여 활성 작용이 우수하며, 상기 목분, 야자숯가루의 조성비가 목분 24~36중량%, 야자숯가루 8~1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활성 작용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목분 24~36중량%, 야자숯가루 8~1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원료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하부(30)는 연소조제로서 활성탄(야자열매씨앗 탄소제) 35~40중량%를 포함한다. 야자열매씨앗 탄소제는 야자열매씨앗을 탄화시켜 건조시킨 제품[제조원 : ㈜코리아 엘이디컴(02-2653-6481), 상품명 : SPC-10-30]으로 일반 활성탄에 비해 요오드 흡착력이 2배 이상 높다.
상기 하부(30)는 점결제로 셀룰로우스 2~4중량%, 소맥 4~8중량%를 포함한다. 이는 셀룰로오스는 고가이므로 최소한의 양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저가인 소맥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30)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활성촉매제로 염화아연 10~15중량%를 포함한다. 염화아연으로는 열에 가장 강한 제품으로 녹는 점이 350~400℃인 제품(국내 판매사 : 덕산약품공업(주)(031-495-4055), 제품명 : Zinc Chloride)을 사용한다. 열에 강해야 하는 이유는 성형 목탄의 상부(20) 연소 시 쉽게 녹지 않아 지속적으로 활성촉매제 역할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성형 목탄 연소체를 상부(20)와 하부(30)로 분리 구성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활성촉매제인 염화아연은 점화제인 질산칼륨과 혼합 시 열을 가하면 질산칼륨의 강한 폭발성을 촉진시킬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염화아연은 하부(30)에, 질산칼륨은 상부(20)에 사용한다. 둘째, 하부(30)의 조성은 상부(20)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20)처럼 점화 및 착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부(20)와 하부(30)로 분리 구성한다. 셋째, 하부(30)를 15~25중량% 미만으로 조성할 경우에는 상부(20)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약화되며, 15~25중량%를 초과하여 조성할 경우에는 상부(20)가 차지하는 조성비가 감소하여 성형 목탄의 연소시간이 단축되고 원가 상승요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시예 1>
상부(20)에 주 원료로 목분 640g과 숯분말 160g을 준비하고, 부원료로 활성숯가루 320g 질산스트론튬 80g 마이크로 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 160g, 질산칼륨 80g, 명반 16g, 셀루로우스 48g, 소맥 96g을 준비한 후,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 1,600g을 얻었다.
하부(30)에 주원료로 목분 120g, 야자숯가루 40g, 야자열매씨앗 탄소제 160g, 셀룰로우스 20g, 소맥 20g, 염화아연 40g을 준비한 후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 400g을 얻었다.
<실시예 2>
상부(20)에 주원료로 목분 640g, 숯분말160g을 준비하고, 부원료로 활성숯가루 320g, 질산스트론튬 80g, 마이크로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 160g, 질산칼륨 80g, 명반 16g, 셀루로우스 32g, 소맥 112g을 준비한 후,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 1,600g을 얻었다.
하부(30)에 주원료로 목분 120g, 야자숯가루 40g, 야자열매씨앗 탄소제 140g, 셀루로우스 12g, 소맥 28g, 염화아연 60g을 준비한 후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 400g을 얻었다.
<실시예 3>
상부(20)에 주원료로 목분 640g, 숯분말 160g을 준비하고, 부원료로 활성숯가루 240g, 질산스트론튬 80g, 마이크로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 160g, 질산칼륨 80g, 셀루로우스 16g, 명반 16g, 소맥 128g을 준비한 후,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 1,600g을 얻었다.
하부(30)에 주원료로 목분 120g, 야자숯가루 40g, 활성탄 160g, 셀루로우스 8g, 소맥 32g, 염화아연 40g을 준비한 후 이들을 혼합기에 넣고 분당 30회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 400g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원료들의 조성비를 정리하여 보면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 목탄의 상부(20), 하부(30)를 구성하는 최종 조성물을 소정의 성형기에 먼저 하부(30) 조성물을 투입하고 그 위에 상부(20) 조성물을 투입한 후 360kg/㎠로 가압 성형한 다음 80~90℃의 건조실에서 2~3일간 건조하여 원통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육각 또는 팔각형상에 그 내부가 중공형으로 비어있는 형상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과정은 80~90℃의 건조실에서 2~3일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저온 건조 시에는 건조기간이 길어지며, 90℃ 이상의 고온으로 건조 시 건조기간은 단축되지만 경제성이 낮고, 질산칼슘을 코팅한 마이크로 왁스가 녹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2는 일반용 착화탄에 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로서, 시험완료일자는 2014. 2. 20.이고 고위발열량은 18,400J/g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성형목탄(10)에 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로서, 시험완료일자는 2014. 2. 20.이고, 수분은 14.1%, 고위발열량은 18,300J/g로서 일반용 착화탄의 고위발열량 18,400J/g과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목탄(10)에 대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수분 시험결과로서, 시험완료일자는 2014. 3. 5.이고 수분은 7.9%이다. 도 3의 시험완료일자 2014. 2. 20. 수분 14.1%에 비하여 도 4의 시험완료일자는 2014. 3. 5. 이고 수분 7.9%로서 2주일 만에 성형 목탄(10)의 수분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성형목탄(10)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성형목탄(10)에 대한 한국임산물연료협회의 일산화탄소 발생량 시험결과로서, 일반용 착화탄은 시험공간 1㎡에서 1,000ppm, 3㎡에서 500ppm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성형 목탄(10)은 시험공간 1㎡에서 500ppm, 3㎡에서 250ppm으로 일반용 착화탄에 비해 일산화탄소 발생량이 50%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 목탄(10)은 상부(20)에서 점화하여 하향식 연소(일명 아래로 탄)가 이루어 질 때 상부(20)에서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하부(30)에서 강력한 흡입력으로 흡수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인 질산바륨[Ba(NO3)2],과 질산나트륨(NaNO3) 등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착화탄에 비하여 발열량이 낮아지지 않고 점화성, 보존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방지제인 질산칼슘[Ca(NO3)2]에 방습효과가 있는 마이크로 왁스를 코팅하여 사용함으로서 성형 목탄 외부의 습기흡수를 차단하여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소체를 상, 하로 나누어, 상부(20)는 무해성 연소재로 조성하여 점화 및 착화부로 구성하고, 하부(30)는 활성촉매제를 사용하여 상부(20)에서 점화 및 연소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를 하부에서 흡입하여 제거하는 활성부로 구성하며,
    성형 목탄(10) 전체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부(20) 75~85중량%, 하부(30) 15~25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없는 성형목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20)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기 상부(20)는 연소재로 목분 40~45중량%, 숯분말 8~12중량%, 연소조제로 활성숯가루 15~20중량%, 산화제로 질산스트론튬[Sr(NO3)2] 4~6중량%, 습기 방지제로 마이크로 왁스가 코팅된 질산칼슘[Ca(NO3)2] 8~12중량%, 점화제로 질산칼륨(KNO3) 4~6중량%, 점결제로 셀룰로우스 2~4중량%와 소맥 4~8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되고,
    상기 하부(30)의 중량을 100중량%로 할 때, 상기 하부(30)는 연소재로 목분 24~36중량%, 야자숯가루 8~12중량%, 연소조제로 활성탄(야자 열매씨앗 탄소제) 35~40중량%, 점결제로 셀루로우스 2~4중량%, 소맥 4~8중량%, 활성촉매제로 염화아연 10~15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20), 하부(30)를 구성하는 조성물을 소정의 성형기에 먼저 하부(30) 조성물을 투입하고 그 위에 상부(20) 조성물을 투입하여 360kg/㎠의 압력으로 가압 성형한 다음 80~90℃의 건조실에서 2~3일간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성 없는 성형목탄.
KR1020140042121A 2013-05-08 2014-04-09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KR101550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46 2013-05-08
KR20130051646 2013-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671A true KR20140132671A (ko) 2014-11-18
KR101550538B1 KR101550538B1 (ko) 2015-09-04

Family

ID=5245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121A KR101550538B1 (ko) 2013-05-08 2014-04-09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953B1 (ko) * 2020-04-22 2020-09-22 박인숙 젤형 착화제, 이를 포함하는 저바륨 착화 목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529161A (ja) * 2019-04-16 2022-06-17 アルペンコーレ ゲエムベーハー 木炭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72B1 (ko) 2019-02-21 2020-11-18 주식회사 에이치티 반탄화 목분을 이용한 성형목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성형목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791B1 (ko) 1998-04-10 2001-03-02 추연용 고형연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9161A (ja) * 2019-04-16 2022-06-17 アルペンコーレ ゲエムベーハー 木炭の製造方法
KR102158953B1 (ko) * 2020-04-22 2020-09-22 박인숙 젤형 착화제, 이를 포함하는 저바륨 착화 목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538B1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538B1 (ko) 유해성 없는 성형 목탄
US3689234A (en) Instantaneously ignitable solid fuel
KR101477923B1 (ko) 착화탄 제조방법
US3337312A (en) Solid fuel coatings
US3068080A (en) Charcoal brique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ame
CN101531935B (zh) 节能环保蜂窝煤
KR20130016533A (ko) 유해성분이 없는 성형목탄
KR20180087583A (ko) 고체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체연료
KR20090085382A (ko) 커피 부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조성물
KR20200009427A (ko) 숯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JPWO2007089046A1 (ja) 石炭・バイオマス複合燃料
KR0153205B1 (ko) 고체연료의 조성물 및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080107812A (ko) 한약 찌꺼기를 이용한 탄의 제조방법
KR101753893B1 (ko) 팜유와 코코넛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조리용 착화제 및 그 제조 방법
KR960009894B1 (ko) 청정 목탄연료
KR100749321B1 (ko) 피트모스를 이용한 고체연료 조성물
KR860001093B1 (ko) 고형연료
KR19990086570A (ko) 고체연료 조성물
KR0153137B1 (ko) 고체연료 조성물 및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JPS5896696A (ja) 固形燃料の製造法
KR100478876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한 고체연료 유니트 및 그 이용방법
KR0144698B1 (ko) 고체연료 조성물
CN216039338U (zh) 一种耐烧的棱锥形火柴
CN1035330C (zh) 一点燃无害烧烤炭块
KR100415444B1 (ko) 착화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