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638A - 진동 칫솔 - Google Patents

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638A
KR20140132638A KR1020130052146A KR20130052146A KR20140132638A KR 20140132638 A KR20140132638 A KR 20140132638A KR 1020130052146 A KR1020130052146 A KR 1020130052146A KR 20130052146 A KR20130052146 A KR 20130052146A KR 20140132638 A KR20140132638 A KR 20140132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toothbrush
groove
battery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527B1 (ko
Inventor
김성진
박미정
하원호
이인호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5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5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4Electrical re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칫솔 헤드부와; 연결 부재 본체,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에 힘에 의한 피로 파단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칫솔{Vibrating toothbrush}
본 발명은 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 헤드부와 진동 칫솔 본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진동 칫솔 본체에서 형성된 진동을 칫솔 헤드부로 전달하면서도 결합을 견고히 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칫솔은 그 내부에 구비된 진동모터가 진동함에 따라 진동력을 전달받은 강모가 함께 진동하여 치아를 세정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진동 칫솔은 강모가 식재된 칫솔 헤드부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칫솔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칫솔 본체에는 진동모터 및 배터리가 장착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진동 칫솔의 경우 진동모터와 배터리의 용이한 수납을 위하여 칫솔 본체에 수납부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원형 또는 실린더형이기 때문에 상기 칫솔 본체는 그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시키기 위해 상기 배터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칫솔 본체에는 상기 진동모터에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조작되는 스위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비용 절감을 위하여 진동 칫솔은 상술 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부 및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추구하며 발전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868호인 '진동 칫솔'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진동 칫솔은 케이스(10)와 칫솔대(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0)와 칫솔대(20) 간의 결합의 경우 걸림홈(11)과 걸림턱(21)을 이용한 구조로 체결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0)와 마개(30)의 경우에도 결합턱(31)을 이용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는 케이스(10), 칫솔대(20) 및 마개(30)의 제작시 결합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여러 번의 제작 공정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제조 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 시간에 따라 걸림턱(21) 및 결합턱(31)을 이용한 결합 구조는 피로 파단(fatigue rupture) 즉, 재료 내의 균열이 조금씩 성장하여 최종적으로 반복 횟수가 어느 한계를 넘으면 재료가 파단되는 상태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진동 칫솔에는 내구성 문제 또한 항상 잠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칫솔 헤드부와 칫솔 본체 간의 결합을 공고히 하면서도, 경방향의 충격에 의한 피로 누적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단의 가능성을 최소화한 삽입형 체결 구조를 구비하는 진동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의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강모가 식재된 칫솔 헤드부의 결합 후 칫솔 헤드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칫솔 헤드부와; 연결 부재 본체,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칫솔 헤드부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결합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부의 결합시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 각각은 타고 넘기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지지함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는 환형(環形)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 헤드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 중 결합 방향의 어느 하나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칫솔 헤드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끝단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게 제1 중공홈을 구비하는 하부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 중공홈과 연통되게 내부에 제2 중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홈과 상기 제2 중공홈에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모터가 장착되는 캐리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게 배터리 장착홈이 형성된 배터리 고정부와; 상기 진동모터가 장착되게 진동모터 장착홈이 형성된 진동모터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PCB가 설치되는 PCB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 고정부는 상기 칫솔 헤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진동모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는 상기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중공홈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이중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캡과 마찰 계수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과 상기 연결 부재의 결합시, 가압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마찰력의 수직항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은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 각각은 타고 넘기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지지하며, 상기 칫솔 헤드부는 절곡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결합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에 힘에 의한 피로 파단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를 이용하여 칫솔 헤드부의 결합 후 칫솔 헤드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 칫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을 나타내는 축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1)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1)은 하부캡(100), 하부캡(100)에 결합된 연결 부재(300), 하부캡(100)과 연결 부재(300)의 내부에 삽입된 캐리어(500), 연결 부재(300)에 결합되게 삽입홈(710)이 형성된 칫솔 헤드부(700) 및 칫솔 헤드부(700)를 덮는 상부캡(8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캡(100)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즉, 연결 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입구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구조인 제1 중공홈(110)과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2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며, 연결 부재(300)의 일측 단부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연결 부재(300)는 제2 중공홈(310), 연결 부재 본체(320), 제1 삽입부(330), 제2 삽입부(340), 탄성 부재(350), 관통공(360), 돌기라인(370) 및 돌출덮개(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300)의 제2 중공홈(310)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서, 제1 중공홈(110)과 연통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100)과 연결 부재(300)가 결합된 경우에 제1 중공홈(110)에는 캐리어(500)의 일부가 삽입되고 제2 중공홈(310)에는 캐리어(500)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삽입부(330)와 제2 삽입부(340) 각각은 연결 부재 본체(320)의 축방향 양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 삽입부(330)는 칫솔 헤드부(700)의 삽입홈(710)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제2 삽입부(340)는 결합부(120)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제1 삽입부(330)는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3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부(330)와 결합하는 칫솔 헤드부(700)는 제1 삽입부(330)가 삽입되는 삽입홈(710)과 삽입홈(710)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결합 돌기(331)는 제1 삽입부(33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칫솔 헤드부(700)의 삽입홈(710)에 제1 삽입부(330)의 삽입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331)는 삽입홈(710)의 걸림 돌기(720)와 타고 넘기 방식으로 결합한다.
그에 따라, 결합 돌기(331)와 걸림 돌기(720)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상호 지지하여 연결 부재(300)와 칫솔 헤드부(700)가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결합 돌기(331)와 걸림 돌기(720)의 상호 지지하는 힘보다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되면 연결 부재(300)와 칫솔 헤드부(700)가 결합 해제된다.
여기서, 결합 돌기(331)와 걸림 돌기(720)은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環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 본체(320) 또는 칫솔 헤드부(700) 중 결합 방향의 어느 하나의 일측 끝단에는 가이드 홈(321)(7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 본체(320) 또는 칫솔 헤드부(7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끝단에는 가이드 홈(321)(730)과 결합되게 가이드 돌기(322)(7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연결 부재 본체(320)의 삽입 방향의 일측 끝단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결 부재 본체(320)로부터 돌출되게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322)가 배치됨에 따라 가이드 돌기(322) 사이에는 가이드 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칫솔 헤드부(700)의 삽입 방향의 일측 끝단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칫솔 헤드부(700)로부터 돌출되게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7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740)가 배치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740) 사이에는 가이드 홈(7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 헤드부(700)의 가이드 돌기(740)는 연결 부재 본체(320)의 가이드 홈(321)에 결합하고, 연결 부재 본체(320)의 가이드 돌기(322)는 칫솔 헤드부(700)의 가이드 홈(730)에 체결된다. 그에 따라, 가이드 홈(321)(730)과 가이드 돌기(322)(740)의 결합은 칫솔 헤드부(700)와 연결 부재(300)의 결합을 안내하며, 또한 연결 부재(300)에 대하여 칫솔 헤드부(7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 삽입부(3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330)의 대향측에 연결 부재 본체(3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삽입부(340)는 하부캡(100)의 결합부(120)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된다.
또한, 제2 삽입부(340)의 외주면에 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 부재(3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350)는 실리콘 재질이나 합성고무 등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부재(350)는 탄성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캡(100) 또는 칫솔 헤드부(700)와 연결 부재(300)의 결합시,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가압된 탄성 부재(350)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한 수직 방향의 반력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부재(350)와 하부캡(100)의 결합부(110) 내주면 또는 칫솔 헤드부(700)의 삽입홈(710)의 내주면 간에는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한 수직항력이 발생하고, 상기 수직 항력은 마찰력의 주요인이 된다.
따라서, 하부캡(100)과 연결 부재(300)의 결합은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임의적 방향에 대한 회전이나 상기 결합의 해제를 방지한다.
즉, 탄성 부재(350)는 상기와 같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캡(100)과 연결 부재(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350)는 하부캡(100) 및 연결 부재(300) 각각과 다른 마찰 계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하부캡(100)과 연결 부재(300)의 결합을 견고할 뿐만 아니라 임의로 회전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300)와 탄성 부재(350)는 두 종류의 재료를 금형내에서 순차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방식인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금형 내에서 재료의 조합이 이뤄지기 때문에 연결 부재(300)를 제조하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어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 부재(350)는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연결 부재(30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틈새가 없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율성이 높다.
즉, 연결 부재(300)의 탄성 부재(350)는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제2 삽입부(340)와 탄성 부재(350) 사이에 틈새를 제거하여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가 되며, 또한 표면 부품수의 감소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물과 같은 액체류의 물질이 틈새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탄성 부재(350)는 제2 삽입부(340)의 삽입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는 완벽한 이물질 유입 방지 및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제2 삽입부(340)의 양측 끝단에 이중으로 탄성 부재(35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관통공(360)은 스위치(400)를 가압하기 위하여, 연결 부재 본체(310)의 외주면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질(軟質)의 돌출덮개(380)는 관통공(360)을 덮도록 설치되면서도 하부면은 스위치(400)와 접촉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돌출덮개(380)가 가압되면 스위치(400)가 가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1)은 on/off된다.
한편, 돌기라인(3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 본체(3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라인(370)은 상부캡(8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요홈과 끼워맞춤 결합하여 상부캡(800)과 연결부재(300)를 결합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캐리어(500)는 제1, 2 중공홈(110)(31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캐리어(500)는 배터리 고정부(510), PCB 장착부(520) 및 진동모터 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고정부(510)는 배터리(2)를 고정하기 위해서 배터리(2)의 외부 형상과 형합하는 배터리 장착홈(511)을 구비한다. 그리고, 배터리 장착홈(5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배터리(2)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PCB 장착부(520)에 설치되는 PCB(600)를 경유하여 진동모터(3)에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전원은 스위치(400)에 의해 on/off 된다.
여기서, 배터리(2)의 전원을 진동모터(3)까지 공급하기 위한 배선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배선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PCB 장착부(520)에는 PCB(600)가 설치되며, PCB(600)는 배터리(2)의 전원을 진동모터(3)의 구동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스위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위치(400)의 상단이 돌출 덮개(380)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스위치(400)가 on/off 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2)의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된다.
그리고, 진동모터 고정부(530)는 진동모터(3)를 고정한다. 진동모터 고정부(530)에는 진동모터(3)를 고정하기 위해 진동모터(3)의 외부 형상과 형합하는 진동모터 장착홈(5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진동모터 장착홈(531)이 진동모터(3)의 외부 형상과 형합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모터(3)의 진동을 손실없이 칫솔 헤드부(700)에 전달되게 한다.
그리고, 진동모터(3)의 진동이 칫솔 헤드부(7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진동모터 고정부(530)는 칫솔 헤드부(70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 헤드부(700)는 연결부재(3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칫솔 헤드부(700)는 치아를 세정하는 칫솔모를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칫솔 헤드부(700)는 후단에 형성된 삽입홈(710)을 구비하며, 삽입홈(7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의 제1 삽입부(330)가 끼워 맞춤식으로 체결된다.
상부캡(800)은 칫솔 헤드부(700)를 덮는다. 또한, 상부캡(800)의 개구부측 내주면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요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은 연결 부재 본체(310)의 돌기라인(370)과 끼워 맞춤 방식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부캡(800)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칫솔
2 : 배터리 3 : 진동모터
100 : 하부캡 110 : 제1 중공홈
300 : 연결 부재 400 : 스위치
500 : 캐리어 600 : PCB
700 : 칫솔헤드부 800 : 상부캡

Claims (8)

  1.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칫솔 헤드부와;
    연결 부재 본체,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부의 결합시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 각각은 타고 넘기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지지함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 중 결합 방향의 어느 하나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칫솔 헤드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끝단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게 제1 중공홈을 구비하는 하부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 중공홈과 연통되게 내부에 제2 중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홈과 상기 제2 중공홈에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모터가 장착되는 캐리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게 배터리 장착홈이 형성된 배터리 고정부와;
    상기 진동모터가 장착되게 진동모터 장착홈이 형성된 진동모터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PCB가 설치되는 PCB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 고정부는 상기 칫솔 헤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진동모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는 상기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길이 방향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중공홈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이중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칫솔.
KR1020130052146A 2013-05-08 2013-05-08 진동 칫솔 KR10203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46A KR102032527B1 (ko) 2013-05-08 2013-05-08 진동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46A KR102032527B1 (ko) 2013-05-08 2013-05-08 진동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638A true KR20140132638A (ko) 2014-11-18
KR102032527B1 KR102032527B1 (ko) 2019-10-15

Family

ID=5245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146A KR102032527B1 (ko) 2013-05-08 2013-05-08 진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63Y1 (ko) * 2015-09-03 2017-02-17 박성수 엘이디를 갖는 칫솔
KR20210041225A (ko) * 2019-10-07 2021-04-15 탈렌티스 주식회사 진동 칫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진동 칫솔 장치 세트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10090452A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에드코스 헤드부의 교체가 가능한 전동 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0099A (ja) * 2006-08-29 2008-04-10 Omron Healthcare Co Ltd 電動歯ブラシ
KR20090012157A (ko) * 2007-07-27 2009-02-02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칫솔
JP2011136146A (ja) * 2010-09-24 2011-07-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動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0099A (ja) * 2006-08-29 2008-04-10 Omron Healthcare Co Ltd 電動歯ブラシ
KR20090012157A (ko) * 2007-07-27 2009-02-02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칫솔
JP2011136146A (ja) * 2010-09-24 2011-07-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動歯ブラシ
JP4873095B2 (ja) * 2010-09-24 2012-0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63Y1 (ko) * 2015-09-03 2017-02-17 박성수 엘이디를 갖는 칫솔
KR20210041225A (ko) * 2019-10-07 2021-04-15 탈렌티스 주식회사 진동 칫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진동 칫솔 장치 세트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10090452A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에드코스 헤드부의 교체가 가능한 전동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527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341B1 (ko) 진동칫솔
US8966697B2 (en) Electric toothbrush with excellent vibration efficiency
US9439742B2 (en) Electric toothbrush
AU2018292255B2 (en) Coupling mechanism for electric toothbrush
JP5336304B2 (ja) プラグ脱離防止構造
KR20120079167A (ko) 전동 칫솔
WO2011078020A1 (ja) 電動歯ブラシ
RU2013156975A (ru) Оптический коннектор с элементом сплайса для оконцовки кабеля с защитной оболочкой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20140132638A (ko) 진동 칫솔
CN101655227A (zh) 一种组合式防水装饰灯
KR200395036Y1 (ko) 이탈방지를 위한 거치대용 브레이크 홀더
US20050138745A1 (en) Massage brush
US7401377B2 (en) Battery-operated toothbrush and related methods
KR102037887B1 (ko) 이중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진동 칫솔
KR102037888B1 (ko) 나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는 진동 칫솔
WO2021003850A1 (zh) 防水智能电动牙刷
US7556520B2 (en) Light bulb socket for holding a bulb
JP6024324B2 (ja) 筆記具
JP4873095B2 (ja) 電動歯ブラシ
CN212165200U (zh) 旅行盒
JP2580435Y2 (ja) ブラシ保持装置
KR200445295Y1 (ko) 칫솔 손잡이의 헤드 연결 장치
CN210056310U (zh) 一种电动牙刷
CN210043914U (zh) 马桶刷及与之配套的马桶刷座
CN219720034U (zh) 一种可拆卸环保化妆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