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525A -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525A
KR20140132525A KR1020130051788A KR20130051788A KR20140132525A KR 20140132525 A KR20140132525 A KR 20140132525A KR 1020130051788 A KR1020130051788 A KR 1020130051788A KR 20130051788 A KR20130051788 A KR 20130051788A KR 20140132525 A KR20140132525 A KR 2014013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epth
determining
acupoint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인
김정대
Original Assignee
(주)약침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약침학회 filed Critical (주)약침학회
Priority to KR102013005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525A/ko
Publication of KR2014013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22Stereoscopic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7Emission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으로서,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의 전신이나 부분 영역에 대한 3차원 영상자료를 확보하는 단계(S100)와, 획득된 3차원 영상자료를 2차원 영상의 모임으로 영상처리하여 뼈의 골격 표면과 피부 표면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200)와,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3차원 좌표를 지정하여 기준점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으로 다른 경혈점을 결정하는 단계(S300) 및 결정된 기준점과 다른 경혈점을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ACUPUNCTURE POINTS AND THEIR DEPTHS OF NEEDLE USING 3-DIMENSIONS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공간상에서 표준이 되는 기준점을 정하고 비례식과 형태론적인 몰핑(morphing) 기법을 통하여 주어진 생체의 대응되는 경혈점을 결정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혈(經穴)이란 인체 내부 장기에 병적 변화가 일어났을 때 그 장기에 해당하는 일정한 경락(經絡) 계통에 병리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며, 동양의학에서는 벌써 2천년 전부터 내장 장기와 경맥의 일정한 연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고 5장 6부에 해당하는 그 반응 계통이 종횡으로 그물처럼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이 계통을 경락이라고 하였다.
그 경락선에서 반응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을 경혈(經穴)이라고 한다. 한의학에서 경락(經絡)은 본래 기혈을 운행하며 음양을 조절하며 영양을 공급하는 등의 생리, 병리 진단뿐만 아니라 모든 병적 관계까지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내장 장기에 병이 있을 때 해당되는 어떤 경혈을 눌러 보면 그 경혈은 손끝에 만져지는 감각이 다르며 환자는 압통을 느끼는 것이 많고 건강 부위와 달리 핵이 있는 것 같은 감촉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경혈은 맥 기운이 모이는 부위이며 침과 뜸을 실시하는 부위이다. 이는 인체의 내장 장기 기운이 통하는, 즉 경락의 기운이 모이며 체표에 수송되고 주입하는 곳이다.
이상과 같은 사람의 경락은 3양과 3음으로 온몸에 분포되어 있는데 태양경과 소음경은 몸 뒤에 있고 양명경과 태음경은 몸 앞에 있으며, 소양경과 궐음경은 몸 의 옆에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경혈은 일정한 경락이 들어가는 통로선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작용은 경락의 기능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침구 요법은 이 특징에 기초하여 경락과 장부의 기능을 조절하여 치료와 예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경혈은 고전에 의하면 절(節)이 교차되는 것이 365절이 되는데 절이란 것은 신기(神氣)가 돌아가고 출입하는 곳을 말한 것이고 가죽, 살, 힘줄, 뼈를 말한 것은 아니다 라고 하였다, 이것은 경혈이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그의 특수한 활동 기능을 가진 즉 신기(神氣)라는 것을 말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혈(經穴)의 혈 위치를 얼마나 정확히 잡는가 하는 데서 치료 효과도 이에 직접 좌우된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혈을 잡는 방법을 알아야만 하는데, 옛사람들은 1개 혈을 잡는데 5형을 대조해 보아야 바로 잡을 수 있으며, 1개 경을 잡는데 3개 경을 같이 잡아야 정확하게 된다고 말한다.
현대에서 경혈을 등분하는 방법은 뼈 길이를 치수로 등분하는 법 골도법(骨度法)과 동신 촌법(同身寸法), 인체의 자연 표식에 의하여 혈을 잡는 법 등으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혈의 잡는 방법에서 뼈 길이를 치수로 등분하는 골도법(骨度法)은 인체의 각 부분에 일정한 표준 치수를 정한 다음 그 치수를 등분하여 혈을 잡는 방법으로서 정확하며 간편하므로 현재 많이 쓰고 있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뼈의 길이를 치수로 등분하여 경혈을 잡는 방법은 피부상의 특정 위치와 뼈의 촉지를 통한 기준점의 결정과 그 비례식에 따르지만, 시술자가 눈으로 보고 등분해야만 하기 때문에 정확한 등분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체(또는 동물)의 경혈에 관한 위치 지정은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피부 위의 특징적인 점, 예를 들어, 배꼽, 유두 등을 기준으로 비례에 따라 위치하는 점과, 둘째, 뼈의 구조와 관련되어 피부상에 위치한 점에 따라 분류되나, 한의학에서 경혈도는 주로 2차원적 평면상에 표현되어 3차원적인 입체감이나 정확한 위치의 표현에 한계를 갖는다. 또한 동인으로 표현되는 경혈의 위치도 피부상의 위치관계만을 보여 줄 뿐이고, 뼈의 구조와 개체 차이에 의한 경혈점의 위치 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골도취혈기, 영상을 투영하여 경혈을 찾는 장치, 신체의 경혈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모듈, 경혈표시장치 등의 발명의 명칭을 가지는 다수의 특허문헌들이 선행기술로서 개시되어 있으나, 3차원 상에서 골도법에 따른 정확한 경혈의 위치와 자침의 깊이를 정하기가 곤란하였고, 개체 차이에 따른 경혈 위치의 차이를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자동화된 경혈 지정 장치에 부합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4의 경혈표시장치의 경우, 3차원 스캐너로 인체의 체표면을 얻어서 경혈점을 설정하는 방법이지만, 이는 뼈의 구조를 배제한 방법이고, 또한 자침의 깊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414029호(2004.01.07 공고)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0051호(2009.02.26 공개)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5876호(2009.05.08 공개)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157212호(2012.06.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상에서 골도법에 따른 정확한 경혈 위치와 자침의 깊이를 정할 수 있고, 개체 차이에 따른 경혈 위치의 차이를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자동화된 경혈 지정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은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의 전신이나 부분 영역에 대한 3차원 영상자료를 확보하는 단계(S100)와, 획득된 3차원 영상자료를 2차원 영상의 모임으로 영상처리하여 뼈의 골격 표면과 피부 표면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200)와,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3차원 좌표를 지정하여 기준점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으로 다른 경혈점을 결정하는 단계(S300) 및 결정된 기준점과 다른 경혈점을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재구성 단계(S200)는 적절한 임계치를 잡아서 뼈와 피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이진화 영상을 만드는 단계(S210)와, 상기 이진화 영상 중 불필요한 영역들을 제거하여 영상처리(dilaton, erosion)하는 단계(S220)와, 뼈와 피부 경계의 표면을 구하는 단계(S230)와, 뼈와 피부 이외의 영역은 제거하여, 연결된 영역을 구획화하는 단계(S240)와, 뼈와 피부의 표면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표면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뼈와 피부의 표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50) 및 추출한 표면 정보를 이용하여 재구성된 뼈와 피부의 표면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혈점 결정 단계(S300)에서의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지정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결정된 기준점은 피부와 뼈의 구조와 위치를 고려하되, 상기 구해진 기준점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다른 경혈 위치는 비례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좌표의 x-, y-, z-축의 방향은 관상면(coronal plane)이 y-축과 z-축을 포함하고, 정중면(median plane)의 한 축이 x-축이 되는 3차원 직교좌표계이며, 좌표계의 원점은 주어진 구획 내의 질량중심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혈점 표시단계(S400)에 있어서, 결정된 경혈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피부에 표시하는 방법은 피부에서 외관상 구분이 되는 기준점을 취하여 알고자 하는 경혈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혈점 표시단계(S400)에 있어서, 알고자 하는 경혈점 부근에 적당한 크기와 모양의 불투명한 부재를 미리 부착하여 CT를 촬영함으로서, 알고자 하는 경혈점의 3차원 좌표를 알아낸 다음, 피부에 미리 부착된 부재와의 거리 좌표를 고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각 경혈점에 대한 자침 깊이는 한의학에서 쓰이는 방법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면, 그 깊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3차원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는 컴퓨터단층촬영기(Computed Tomography : CT), 자기공명 영상장치(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및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장치(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PE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뼈의 영상화에 중점을 두면서도, 일반적인 뼈와 피부의 3차원 재구성이 동시에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침구 자극을 위한 반복적이고 정확한 경혈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자침의 정확한 깊이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잘못된 자침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별 특성이 고려되어 여러 위치의 신속한 결정이 가능하고, 뼈의 구조가 파악이 된 상태에서 정확한 경혈점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경혈점의 위치 결정 방법이므로, 침의 치료, 경혈점에 약물을 주입하는 약침 요법과 같은 임상적인 경우 뿐만 아니라 침 치료의 기전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로 획득된 영상자료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를 결정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머리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머리부분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머리부분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몸통부분 배쪽면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머리부분 등쪽면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손부분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의해 결정된 경혈점이 표시된 다리부분의 도면이고,
도 9는 배와 등에 있는 경혈점을 구하는 비례식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머리 위에 있는 경혈점을 구하는 비례식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로 획득된 영상자료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를 결정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은 먼저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영역, 예컨대, 인체의 전신이나, 또는 머리, 손, 발, 몸통과 같은 인체의 부분에 대한 3차원 영상자료를 확보한다.(S100)
본 발명에 있어서,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는 컴퓨터단층촬영기(Computed Tomography : CT), 자기공명 영상장치(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및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장치(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획득된 3차원 영상자료를 2차원 영상의 모임으로 영상처리하여 뼈의 골격 표면과 피부 표면을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S200)
이어서,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3차원 좌표를 지정하여 기준점을 결정하고, 기준점으로 다른 경혈점을 결정한다.(S300)
결정된 기준점과 다른 경혈점을 표시한다.(S400)
3차원 재구성 단계(S200)에서는 적절한 임계치를 잡아서 뼈와 피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이진화 영상을 만든다.(S210)
이어서, 구멍과 같은 불필요한 영역들을 제거하여 영상처리(dilaton, erosion)한다.(S220)
다음으로, 뼈와 피부의 경계, 즉 표면을 구한다.(S230)
이어서, 뼈와 피부 이외의 영역은 제거하여, 연결된 영역을 구획화한다.(S240)
구획화(S240)에 이어, 뼈와 피부의 표면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표면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뼈와 피부의 표면 정보를 추출한다.(S250) 이때 이용한 표면정보 추출 알고리즘으로는 마칭 큐브 알고리즘(Marching Cube Algolithm)이 바람직하다.
추출한 표면 정보를 이용하여 재구성된 뼈와 피부의 표면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컴퓨터 상에서 회전, 축소, 확대,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S260)
한편, 경혈점 결정 단계(S300)에 있어서,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지정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결정된 기준점은 피부와 뼈의 골격 구조와 위치를 고려하여 경혈점을 결정한다.
구해진 기준점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다른 경혈 위치는 비례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비례식에 따라 결정되는 각각의 경혈점을 CV1, CV2,…라 할 때, 3차원 좌표로 표기되어 좌표 간의 관계는 간단한 수식의 형태로 쓸 수 있으며, 이러한 좌표와 수식은 경혈점 간의 관계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입한 것이다.
이때 실제적인 계산을 위해 3차원 공간의 좌표계의 도입이 필요하지만 비례식에 대한 계산식은 좌표계와 무관하게 표현할 수 있다.
좌표값 계산을 위해 도입되는 좌표계는 그 구획에 따라 다르지만 x-, y-, z-축의 방향은 관상면(coronal plane)이 y-축과 z-축을 포함하고, 정중면(median plane)의 한 축이 x-축이 되는 3차원 직교좌표계이다.
좌표계의 원점은 주어진 구획 내의 질량중심점을 선택하였다. 일반적으로 3개의 좌표성분 중에서 2개의 좌표성분 만이 비례식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때 나머지 한 개의 좌표성분은 경혈점이 피부상에 위치한다는 조건을 부가하여 3 개의 좌표성분이 모두 결정된다.
임맥의 경우, CV1, CV23, CV24 이외의 점 들은 기준점 CV2, CV8, CV16, CV22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비례식에 의해 계산된다.
예를 들어, 기준점으로 배꼽(umbilicus, CV8)과 두덩뼈 결합(pubic symphsyis, CV2)이 피부와 뼈의 구조를 기반으로 결정되면, CV3 ~CV7, CV9 ~ CV15, CV17 ~ CV21이 다음 비례식으로 결정된다.
CV3 = (4*CV2 + CV8)/5
CV4 = (3*CV2 + 2*CV8)/5
CV5 = (2*CV2 + 3*CV8)/5
CV6 = (1.5*CV2 +3.5*CV8/5
CV7 = (CV2 + 4*CV8)/5
CV9=(7*CV8+CV16)/8
CV10=(6*CV8+2*CV16)/8
CV11=(5*CV8+3*CV16)/8
CV12=(4*CV8+4*CV16)/8
CV13=(3*CV8+5*CV16)/8
CV14=(2*CV8+6*CV16)/8
CV15=(CV8+7*CV16)/8
CV17=(7*CV16+2*CV22)/9
CV18=(5*CV16+4*CV22)/9
CV19=(3*CV16+6*CV22)/9
CV20=(2*CV16+7*CV22)/9
CV21=(CV16+8*CV22)/9
또한, 위경의 경우 경혈점이 위경 상에 있는 기준점 뿐 만 아니라 임맥 상에 있는 경혈점과도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 계산표현이 약간 복잡해진다.
도 9는 배와 등에 있는 경혈점을 구하는 비례식을 표시하며, 배인 경우 젖꼭지(ST17)와 배꼽(CV8)이고, 등인 경우는 해당되는 척추돌기를 기준으로 그 주위의 다른 경혈점을 정할 수 있으며, 해당되는 경혈점 좌표의 y-성분이나 z-성분을 아래 첨자로 표기하였다.
왼쪽 ST17과 오른쪽 ST17의 중간지점의 y-성분이 0(zero)일 때, 아래 식이 성립하고, 만약 인체의 위치가 약간 틀어져 있을 때는 선형적인 보정이 가능하다.
ST19=(ST17y/2,CV14z)
ST20=( ST17y/2,CV13z)
ST21=( ST17y/2,CV12z)
ST22=( ST17y/2,CV11z)
ST23= (ST17y/2,CV10z)
ST24=( ST17y/2,CV9z)
ST25=( ST17y/2,CV8z)
ST26=( ST17y/2,CV7z)
ST27=( ST17y/2,CV5z)
ST28=( ST17y/2,CV4z)
ST29=( ST17y/2,CV3z)
ST30=( ST17y/2,CV2z)
ST36=(13*ST35+3*ST41)/16
ST37=(10*ST35+6*ST41)/16
ST38=(8*ST35+8*ST41)/16
ST39=(7*ST35+9*ST41)/16
ST40=(8*ST35+8*ST41)/16
한편, 아래 신경 경혈점을 지정하기 위해 도입된 Bcun은 Body cun(촌)의 준말로 가슴 양쪽에 있는 두 젖꼭지 사이가 8Bcun으로 기준삼는다.
KI7=(13*KI3+2*KI10)/15
KI8=(13*KI3+2*KI10)/15
KI9=(10*KI3+5*KI10)/15
KI11y=CV2y+0.5Bcun, KI11z=CV2z
KI12y=CV3y+0.5Bcun, KI12z=CV3z
KI13y=CV4y+0.5Bcun, KI13z=CV4z
KI14y=CV5y+0.5Bcun, KI14z=CV5z
KI15y=CV7y+0.5Bcun, KI15z=CV7z
KI16y=CV8y+0.5Bcun, KI16z=CV8z
KI17y=CV10y+0.5Bcun, KI17z=CV10z
KI18y=CV11y+0.5Bcun, KI18z=CV11z
KI19y=CV12y+0.5Bcun, KI19z=CV12z
KI20y=CV13y+0.5Bcun, KI20z=CV13z
KI21y=CV14y+0.5Bcun, KI21z=CV14z
KI22y=CV16y+2.0Bcun, KI22z=CV16z
KI23y=CV17y+2.0Bcun,KI23z=CV17z
KI24y=CV18y+2.0Bcun, KI24z=CV18z
KI25y=CV19y+2.0Bcun, KI25z=CV19z
KI26y=CV20y+2.0Bcun, KI26z=CV20z
KI27y=CV21y+2.0Bcun, KI27z=CV21z
이와 달리, SP인 경우 몸통의 중앙선에 많이 벗어난 영역에 있으므로 인체의 굴곡 효과를 잘 고려해야 한다.
SP13y=(0.7*CV8y+4.3*CV2y)/5-4Bcun, SP13z=(0.7*CV8z+4.3*CV2z)/5
SP14y=(3.7*CV8y+1.3*CV2y)/5-4Bcun, SP13z=(3.7*CV8z+1.3*CV2z)/5
SP15y=CV8y-4Bcun, SP15z=CV8z
SP16y=CV11y+4Bcun, SP16z=CV11z
SP17y=CV16y+6Bcun, SP17z=CV16z
SP18y=CV17y+6Bcun, SP18z=CV17z
SP19y=CV18y+6Bcun, SP19z=CV18z
LR7x=SP9x-1Bcun, LR7z=(13*(apex of the patella)z+2*(medial malleolus)z)/15
LR12y=CV2y+2.5Bcun, LR12z=CV2z
LR14y=ST19y+4Bcun, LR14z=ST19z
한편, 도 10은 머리 위에 있는 경혈점을 구하는 비례식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의 경우, 몸의 정중면에 위치하고 GV17과 두 눈 사이(눈썹사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머리 위에 경혈점들 GV18부터 GV24까지를 지정할 수 있으며, 굴곡진 둥근 형태의 머리 표면을 평평한 2차원 평면상에 펼쳤을 때, 경혈점 간의 거리관계를 요약할 수 있다.
WHO가 펴낸 책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PRO Nonserial Publication, WHO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ISBN-13 9789290613831, ISBN-10 9290613831 )에서는 머리카락이 나는 영역을 구분하는 선이 주요기준이 되지만 CT영상으로는 이 기준선을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기준점을 머리카락이 나오는 영역의 구분선이 아니라 두 눈 사이(눈썹과 눈썹 사이)로 정하고, 이 점과 GV17까지의 거리 관계를 주어진 비율로 표시한다.
GV18=(11.0*GV17+1.5*두눈사이)/12.5
GV19=(9.5*GV17+3.0*두눈사이)/12.5
GV20=(7.5*GV17+4.5*두눈사이)/12.5
GV21=(6.0*GV17+6.5*두눈사이)/12.5
GV22=(4.5*GV17+8.0*두눈사이)/12.5
GV23=(3.5*GV17+9.0*두눈사이)/12.5
GV24=(3.0*GV17+9.5*두눈사이)/12.5
또한 머리에 위치한 BL3 ~ BL8까지의 위치는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V점들과 관련이 있다. BL36과 BL40이 결정되면 BL37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 BL41~ BL52까지는 BL12 ~ BL52까지의 경혈점에서 1.5 Bcun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BL11y=GV13y+1.5Bcun, BL11z=GV13z
BL13y=GV12y+1.5Bcun, BL13z=GV12z
BL15y=GV11y+1.5Bcun, BL15z=GV11z
BL16y=GV10y+1.5Bcun, BL16z=GV10z
BL17y=GV9y+1.5Bcun, BL17z=GV9z
BL18y=GV8y+1.5Bcun, BL18z=GV8z
BL19y=GV7y+1.5Bcun, BL19z=GV7z
BL20y=GV6y+1.5Bcun, BL20z=GV6z
BL22y=GV5y+1.5Bcun, BL22z=GV5z
BL23y=GV4y+1.5Bcun, BL23z=GV4z
BL25y=GV3y+1.5Bcun, BL25z=GV3z
BL37=(8*BL36+6*BL40)/14
BL41y=BL12y+1.5Bcun, BL41z=BL12z
BL42y=BL13y+1.5Bcun, BL42z=BL13z
BL43y=BL14y+1.5Bcun, BL43z=BL14z
BL44y=BL15y+1.5Bcun, BL44z=BL15z
BL45y=BL16y+1.5Bcun, BL45z=BL16z
BL46y=BL17y+1.5Bcun, BL46z=BL17z
BL47y=BL18y+1.5Bcun, BL47z=BL18z
BL48y=BL19y+1.5Bcun, BL48z=BL19z
BL49y=BL20y+1.5Bcun, BL49z=BL20z
BL50y=BL21y+1.5Bcun, BL50z=BL21z
BL51y=BL22y+1.5Bcun, BL51z=BL22z
BL52y=BL23y+1.5Bcun, BL52z=BL23z
BL53y=BL28y+1.5Bcun, BL53z=BL28z
BL54y=BL30y+1.5Bcun, BL54z=BL30z
BL55z=(14*BL40z+2*BL60z)/16
BL56z=(11*BL40z+5*BL60z)/16
BL57z=(8*BL40z+8*BL60z)/16
BL58z=(7*BL40z+9*BL60z)/16
BL59z=(3*BL40z+13*BL60z)/16
LU6=(7*LU5+5*LU9)/12
LU8=(LU5+11*LU9)/12
HT2=(3*HT1+6*HT3)/9
HT4=(1.5*HT3+10.5*HT7)/12
HT5=(HT3+11HT7)/12
HT6=(0.5*HT3+11.5*HT7)/12
PC1=(SP18+ST17)/2
PC4=(5*PC3+7*PC7)/12
PC5=(3*PC3+9*PC7)/12
PC6=(2*PC3+10*PC7)/12
LI6=(9*LI5+3*LI11)/12
LI7=(7*LI5+5*LI11)/12
LI8=(4*LI5+8*LI11)/12
LI9=(3*LI5+9*LI11)/12
LI10=(2*LI5+10*LI11)/12
SI7=(7*SI5+5*SI8)/12
SI15y=2Bcun, SI15z=GV14z
이와 달리, 뼈와 피뼈와 피부의 구조와 거의 무관하게 떨어져 있는 경혈점에 대해서는 기존의 3차원 자료에서 형태론적인 변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경혈점 표시단계(S400)에 있어서, 결정된 경혈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피부에 표시하는 방법은 피부에서 외관상 구분이 되는 기준점을 취하여 알고자 하는 경혈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알고자 하는 경혈점 부근에 적당한 크기와 모양(인체 전신인 경우, 약 1~2mm 디스크 모양이 적절)의 X선(X-ray)에 불투명한 부재를 피부에 미리 부착하여 일종의 기준점으로 사용하여 CT를 촬영함으로서, 알고자 하는 경혈점의 3차원 좌표를 알아낸 다음, 피부에 미리 부착된 부재와의 거리 좌표를 고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불투명한 부재는 CT로 얻어진 정확한 좌표 수치에 따라 구체적으로 피부상에 표시할 때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표시된 각 경혈점에 대한 자침 깊이는 경혈점마다 다르지만, 자침 깊이에 대한 정보가 고전문헌에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한의학에서 쓰이는 방법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면, 그 깊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3차원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에 따르면, 인체의 전신에 대한 경혈점이 표시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손, 발, 몸통과 같은 인체의 각 부분에 대한 경혈점이 표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물의 전신이나 부분적인 영역의 경혈점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에 의하면, CT 등으로 측정된 영상자료와 같이 경혈점 표시 자료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결정된 3차원 경혈점에 대한 3차원 프린트 결과물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의 전신이나 부분 영역에 대한 3차원 영상자료를 확보하는 단계(S100)와,
    획득된 3차원 영상자료를 2차원 영상의 모임으로 영상처리하여 뼈의 골격 표면과 피부 표면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200)와,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3차원 좌표를 지정하여 기준점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으로 다른 경혈점을 결정하는 단계(S300) 및
    결정된 기준점과 다른 경혈점을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재구성 단계(S200)는
    적절한 임계치를 잡아서 뼈와 피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이진화 영상을 만드는 단계(S210)와,
    상기 이진화 영상 중 불필요한 영역들을 제거하여 영상처리(dilaton, erosion)하는 단계(S220)와,
    뼈와 피부 경계의 표면을 구하는 단계(S230)와,
    뼈와 피부 이외의 영역은 제거하여, 연결된 영역을 구획화하는 단계(S240)와,
    뼈와 피부의 표면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표면정보 추출을 이용하여 뼈와 피부의 표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50) 및
    추출한 표면 정보를 이용하여 재구성된 뼈와 피부의 표면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혈점 결정 단계(S300)에서의 재구성된 피부 표면에 지정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결정된 기준점은 피부와 뼈의 구조와 위치를 고려하되, 상기 구해진 기준점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다른 경혈 위치는 비례식으로 결정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의 x-, y-, z-축의 방향은 관상면(coronal plane)이 y-축과 z-축을 포함하고, 정중면(median plane)의 한 축이 x-축이 되는 3차원 직교좌표계이며, 좌표계의 원점은 주어진 구획 내의 질량중심점을 선택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혈점 표시단계(S400)에 있어서, 결정된 경혈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피부에 표시하는 방법은 피부에서 외관상 구분이 되는 기준점을 취하여 알고자 하는 경혈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혈점 표시단계(S400)에 있어서, 알고자 하는 경혈점 부근에 적당한 크기와 모양의 불투명한 부재를 미리 부착하여 CT를 촬영함으로서, 알고자 하는 경혈점의 3차원 좌표를 알아낸 다음, 피부에 미리 부착된 부재와의 거리 좌표를 고려하여 표시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각 경혈점에 대한 자침 깊이는 한의학에서 쓰이는 방법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면, 그 깊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3차원 영상에 표시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는 컴퓨터단층촬영기(Computed Tomography : CT), 자기공명 영상장치(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및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장치(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PET)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KR1020130051788A 2013-05-08 2013-05-08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KR20140132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788A KR20140132525A (ko) 2013-05-08 2013-05-08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788A KR20140132525A (ko) 2013-05-08 2013-05-08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25A true KR20140132525A (ko) 2014-11-18

Family

ID=5245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788A KR20140132525A (ko) 2013-05-08 2013-05-08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525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5059A (zh) * 2017-10-12 2018-03-27 北京宇航时代科技发展有限公司 人体经络穴位状态动态标准化数字分析系统和方法
WO2018062722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침술 훈련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8098795A (zh) * 2018-01-26 2018-06-01 宋九成 智能机械人针灸仪
WO2018174419A1 (ko) * 2017-03-21 2018-09-27 임윤경 3차원 경혈 매핑 장치 및 방법
CN109758355A (zh) * 2019-03-07 2019-05-17 西安伊蔓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穴位二维图像处理和三维立体定位方法
JP2019107451A (ja) * 2017-12-19 2019-07-04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Entの骨距離が色符号化された顔のマップ
CN111053530A (zh) * 2018-10-16 2020-04-24 艾特瑞特私人投资有限公司 定位人体内的位置的方法及系统
KR102110442B1 (ko)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0443B1 (ko)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및 주열 시스템
CN111402338A (zh) * 2020-04-15 2020-07-10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穴位定位方法
CN111951326A (zh) * 2019-05-15 2020-11-17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基于多摄像装置的目标对象骨骼关键点定位方法和装置
CN112349382A (zh) * 2020-11-09 2021-02-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可视化简化针刺系统和方法
CN114681309A (zh) * 2020-12-31 2022-07-01 鸿富泰精密电子(烟台)有限公司 按摩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54765B1 (ko) * 2023-12-01 2024-04-03 정수옥 헤어 브러싱 운동 방법을 가이드하는 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722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침술 훈련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18174419A1 (ko) * 2017-03-21 2018-09-27 임윤경 3차원 경혈 매핑 장치 및 방법
JP2019525818A (ja) * 2017-03-21 2019-09-12 ユンキョン イム 3次元経穴マッピング装置および方法
CN107845059A (zh) * 2017-10-12 2018-03-27 北京宇航时代科技发展有限公司 人体经络穴位状态动态标准化数字分析系统和方法
JP2019107451A (ja) * 2017-12-19 2019-07-04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Entの骨距離が色符号化された顔のマップ
CN108098795B (zh) * 2018-01-26 2023-05-09 深圳市人民医院 智能机械人针灸仪
CN108098795A (zh) * 2018-01-26 2018-06-01 宋九成 智能机械人针灸仪
CN111053530A (zh) * 2018-10-16 2020-04-24 艾特瑞特私人投资有限公司 定位人体内的位置的方法及系统
CN111053530B (zh) * 2018-10-16 2024-01-30 艾特瑞特私人投资有限公司 定位人体内的位置的方法及系统
KR102110442B1 (ko)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0443B1 (ko) 2018-12-11 2020-06-15 장태은 인체 3차원 모델링에서의 경락 및 경혈 디스플레이 및 주열 시스템
CN109758355A (zh) * 2019-03-07 2019-05-17 西安伊蔓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穴位二维图像处理和三维立体定位方法
CN111951326A (zh) * 2019-05-15 2020-11-17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基于多摄像装置的目标对象骨骼关键点定位方法和装置
CN111402338A (zh) * 2020-04-15 2020-07-10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穴位定位方法
CN112349382A (zh) * 2020-11-09 2021-02-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可视化简化针刺系统和方法
CN114681309A (zh) * 2020-12-31 2022-07-01 鸿富泰精密电子(烟台)有限公司 按摩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54765B1 (ko) * 2023-12-01 2024-04-03 정수옥 헤어 브러싱 운동 방법을 가이드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2525A (ko) 3차원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경혈 위치 및 자침 깊이 결정 방법
US11004271B2 (en) Augmenting real-time views of a patient with three-dimensional data
ES2860714T3 (es) Tratamiento de TTField con optimización de las posiciones de los electrodos en la cabeza en base a las mediciones de conductividad basadas en MRI
Abhari et al. Training for planning tumour resection: augmented reality and human factors
US11710246B2 (en) Skin 3D model for medical procedure
CN107067398B (zh) 用于三维医学模型中缺失血管的补全方法及装置
CN113100935A (zh) 一种肺部穿刺手术术前穿刺路径规划方法及训练系统
Guerroudji et al. Automatic brain tumor segmentation, and 3d reconstruction and visualiz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im et al. Positioning standardized acupuncture points on the whole body based on X-ray computed tomography images
CN105844687B (zh) 用于处理医学影像的装置和方法
Heinonen et al. Applications of MR image segmentation
Kim et al. Partially automated method for localizing standardized acupuncture points on the heads of digital human models
Szczerba et al. Unstructured mesh generation from the Virtual Family models for whole body biomedical simulations
Shin et al. Surface models and gradually stripped volume model to explore the foot muscles
KR20160051601A (ko) 인체 전신의 근육 및 골격 구조 측정 장치
Kim et al. Analysis on postmortem tissues at acupuncture points in the image datasets of visible human project
Kumar et al. 3D reconstruction of facial structures from 2D images for cosmetic surgery
Hu Extraction of any angle virtual slice on 3D CT image
Reynolds et al. Mapping melanoma lymphoscintigraphy data onto a 3D anatomically based model
US20240016386A1 (en) System and Method of High Precision Anatomical Measurements of Features of Living Organisms Including Visible Contoured Shape
Badea et al. Surface visualization of electromagnetic brain activity
Amini USING VISUALIZATION AND MODELLING TO IMPROVE PRE-SURGICAL DECISION-MAKING IN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Kim et al. Research Article Partially Automated Method for Localizing Standardized Acupuncture Points on the Heads of Digital Human Models
Hattori et al. Atlas system of the living human body constructed with 3D and 4D data sets
Romero et al.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visualization of the vascularization of the pelvis under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