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751A -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751A
KR20140131751A KR1020130050746A KR20130050746A KR20140131751A KR 20140131751 A KR20140131751 A KR 20140131751A KR 1020130050746 A KR1020130050746 A KR 1020130050746A KR 20130050746 A KR20130050746 A KR 20130050746A KR 20140131751 A KR20140131751 A KR 2014013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indoor unit
outdoor unit
indoor
uni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347B1 (ko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자신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외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실외기; 실외기로부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내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실외기 제품 정보 및 실내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AN REMOTE CONTROLLER AND AN AIR CONDITIONER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실내기의 제품 정보와 실외기의 제품 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제어장치는 TV, 비디오, 오디오, 공기조화기, 유선 방송 컨버터, 위성 방송 컨버터, 선풍기 등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원격에서 제어 주파수의 무선 송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빌딩 등 다수의 실내기가 필요한 대형 건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모든 실내기를 한번에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기와 각각의 실내기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개별제어기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동작되고 꺼지도록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를 수리하는 수리기사들은 고장난 공기조화기를 수리하러 방문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모델 등에 대한 제품의 정보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확한 수리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기능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공기조화기의 제품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자신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외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실외기; 실외기로부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내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실외기 제품 정보 및 실내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각각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외기 제품 정보와 실내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실외기 제품 정보와 실내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실내기 제품 정보와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내기 제품 정보와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의 제품 정보 및 실외기의 제품 정보를 원격제어기 상에서 확인하도록 하여, 제품에 이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제품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제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수리기사가 좀 더 쉽게 제품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을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의 동작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내기(1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130), 실내기(13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 실외기(12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기(110) 및 실내기(130)를 제어하는 리모컨(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는 공기조화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중앙제어기(110)와 리모컨(140)을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120)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130)로 나뉘어지는데 실외기(120)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내기(130)에는 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는 중앙제어기(11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30) 각각은 개별적으로 리모컨(14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복수의 실내기(130) 및 복수의 실외기(12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제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의 상기 입력 수단에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등 광의의 입력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의 출력수단은 광원(LED : 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빛을 내는 장치)을 포함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와 연동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된 것처럼 중앙제어기(110)는 실내기(130) 및 실외기(120)와 연결될 수 있고, 실내기(130) 및 실외기(12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120)는 실내기(130)로부터 실내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실내기 제품 정보와 함께 실외기 제품 정보를 중앙제어기(11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와 별도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다른 실시예의 경우,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의 하나의 실시예인 중앙제어기(110)는 실내기 제품 정보 및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 또는 실내기(130)와 통신하여,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복수개의 실외기(120) 및 복수개의 실내기(130) 중에서 각각의 실내기(120) 및 실외기(13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개별 실내기(130)의 제어를 통제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연결된 실외기(12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를 열 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 실내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 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실내기(13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리모컨(1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리모컨(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리모컨(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수신완료했음을 리모컨(140)에 알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실내기(130)는 운전상태를 리모컨(14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온/오프 여부 또는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이를 리모컨(14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이벤트 발생시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리모컨(140)과 통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리모컨(1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40)는 각각의 실내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140)는 실내기(130)의 운전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공기청정 또는 난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30)는 실외기(120)로부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실외기 제품 정보와 함께 실내기 제품 정보를 리모컨(140)에 송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의 하나의 실시예인 리모컨(140)은 실내기 제품 정보 및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 또는 실내기(130)와 통신하여,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원격제어기(130)는 각종 신호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부(210),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220),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0) 및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원격제어기(130))를 제어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22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230)에 공기조화기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장치(240)에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장치(240)가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장치(240)로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230)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통신장치(2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원격제어기가 실내기 또는 실외기 중에서 어떤 것과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제품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제품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의 통신 상태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파악하였거나,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제품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실내기 제품정보는 실내기의 공기조화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 용량은 실내기가 공기를 조화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의 범위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디스플레이(230)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230)의 각종 온도를 표시하는 7 세그먼트 부분을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메모리(220)에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각각의 모델에 대응하는 숫자로 매칭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모델에 대응하는 숫자를 디스플레이(230)에 표시할 수 있다.
통신장치(240)는 제어부(210)로부터 명령을 받아, 실내기 등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240)는 제어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장치(240)는 제어부(210)가 송신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통신장치(240)는 제어부(210)가 발생시킨 신호를 실내기에 송신하거나,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통신하는 상대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통신장치(240)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제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240)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제품정보를 제어부(21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실외기(120)는 제품정보를 실내기(130)에 송신할 수 있다.
실외기(120)와 실내기(130)는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120) 또는 실내기(130)는 상호간에 주고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실내기(130)는 실외기(120)로부터 실외기 제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실외기(120)로부터 수신한 실외기 제품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실외기(120)로부터 수신한 실외기의 제품정보 및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실내기 제품정보를 리모컨(140)에 송신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수신한 실외기 제품정보 또는 실내기 제품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수신한 실외기 제품정보 또는 실내기 제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경우, 실외기는 실내기로부터 실내기 제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 제품정보는 실내기의 공기조화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제품정보는 실내기의 제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는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실내기 제품정보 및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중앙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 제품정보 및 실외기 제품정보를 수신한 중앙제어기는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개의 실시예의 원격제어기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중앙제어기 또는 실내기와 연결된 리모컨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인 실내기와 연결된 리모컨(140)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디스플레이(142)로 실내공기의 온도 또는 설정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로부터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설정온도 또는 실내온도 등을 표시하는 7 세그먼트가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는 제한된 몇 가지의 모델 중 어느 하나의 제원 또는 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는 제한된 몇 가지의 모델을 각각 숫자로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는 공냉식, 수냉식, 냉난방 동시형, 또는 절환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특징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모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는 일반 환기장치, 쇼케이스, 직팽식 환기장치, 급탕기 또는 고온 급탕기 등 공기를 조화하는 제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디스플레이(142)로 표시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기존에 정보를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하는 부분을 제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2)는 실내의 공기 또는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7 세그먼트를 실내기 및 실외기의 제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세 개의 7 세그먼트는 십자리가 실외기의 종류, 일자리가 실내기의 종류, 소수점 첫번째 자리가 실내기의 공기조화용량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정보의 순서 또는 종류에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와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제품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수신한 제품정보가 올바른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나, 그 파악방법에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리모컨(140)은 실내기(130)로부터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수신한 제품정보가 올바른 것이 아님을 파악한 경우, 디스플레이(142)가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40)은 제품정보를 표시하였으나, 연결된 실내기가 변경된 등의 사정에 의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정보가 올바른 것이 아닌 경우, 7 세그먼트가 실내온도 또는 설정온도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제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42)에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제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B). 리모컨(140)은 제품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제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는 표시를 지울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원격제어기 제어방법은 제품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510), 제품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20), 수신한 제품정보가 올바른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530) 및 제품정보 확인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510)는 원격제어기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 실내기 제품정보 또는 실외기 제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 연결되는 중앙제어기 또는 리모컨일 수 있으나,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품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20)에서, 리모컨 또는 원격제어기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의 통신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원격제어기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제품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리모컨 또는 원격제어기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실외기 제품정보 또는 실내기 제품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S530),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품정보 확인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540).
리모컨 또는 원격제어기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실외기 제품정보 또는 실내기 제품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제품정보 확인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중앙제어기
120 : 실외기
130 : 실내기
140 : 리모컨

Claims (10)

  1. 자신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외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내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또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 및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품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제품정보는 상기 실내기의 공기조화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실외기 제품정보 및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 및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내기 제품정보를 수신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 및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을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환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7.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부터 각각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인 실외기 제품 정보와 실내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와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와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와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 중 통신을 수행하는 대상과 통신이 제대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통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 및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원격제어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 및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영역을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환하는 원격제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실내기 제품 정보 또는 상기 실외기 제품 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원격제어기.
KR1020130050746A 2013-05-06 2013-05-06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143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46A KR102143347B1 (ko) 2013-05-06 2013-05-06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46A KR102143347B1 (ko) 2013-05-06 2013-05-06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51A true KR20140131751A (ko) 2014-11-14
KR102143347B1 KR102143347B1 (ko) 2020-08-11

Family

ID=5245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46A KR102143347B1 (ko) 2013-05-06 2013-05-06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4485B2 (en) 2017-09-29 2021-0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6781A (ja) * 2007-02-13 2008-08-28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090080745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82728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112729A (ko) * 2007-02-13 2009-10-2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 유닛
JP2013002725A (ja) * 2011-06-16 2013-01-07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6781A (ja) * 2007-02-13 2008-08-28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090112729A (ko) * 2007-02-13 2009-10-2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 유닛
KR20090080745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82728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3002725A (ja) * 2011-06-16 2013-01-07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4485B2 (en) 2017-09-29 2021-0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347B1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12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17084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1400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22255A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203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AU2016392133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1972038B1 (ko)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80072433A (ko) 공기조화기, 공기조화기의 중앙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63615B1 (ko)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US202302660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al representation of setpoint selection via an array of lights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288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1751A (ko)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4367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9874A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1972040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10389B1 (ko) 제어장치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2187A (ko) 제어장치
KR20140115788A (ko) 실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03902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219618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63857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2009027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