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088A -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088A
KR20140130088A KR1020140138171A KR20140138171A KR20140130088A KR 20140130088 A KR20140130088 A KR 20140130088A KR 1020140138171 A KR1020140138171 A KR 1020140138171A KR 20140138171 A KR20140138171 A KR 20140138171A KR 20140130088 A KR20140130088 A KR 2014013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display
parameter
image
templat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426B1 (ko
Inventor
이경승
유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42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상기 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저장한 저장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태표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태표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표시 이미지 생성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image displaying status of on-line contents}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와 함께 게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이고 쉽게 알려줄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온·오프라인을 통해 항시 수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축적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사람들은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고 활발하게 참여가 이루어지는 “현재 살아있는” 정보가 무엇인지와 같은 상태정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현재 이러한 상태 정보는 예컨대 온라인 게시글에 대한 추천이나 댓글을 표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표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은 온라인 콘텐츠를 게시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화면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온라인 콘텐츠별로 해당 콘텐츠를 포스팅(또는 업로드)한 유저의 이름(11), 게시한 시각(12), 게시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13) 등의 소정 항목들이 해당 콘텐츠(14)와 함께 게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해 콘텐츠의 상태 정보를 어느정도 알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텐츠의 인기나 평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콘텐츠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상태정보 표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콘텐츠의 상태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상태표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웹사이트, 웹서비스, 포탈, 커뮤니티 등에 콘텐츠의 상태를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상태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상태표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이하, “상태표시 이미지”라 함)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상기 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저장한 저장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태표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태표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이하 “상태표시 이미지”라 함)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이하 “상태표시 파라미터”라 함)가 저장된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상태표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적용부; 및 상기 생성된 상태표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콘텐츠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콘텐츠의 상태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웹사이트, 웹서비스, 포탈, 커뮤니티 등에 콘텐츠의 상태를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상태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온라인 콘텐츠를 게시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화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를 게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a 및 도4b는 도3의 이미지 템플릿을 사용하여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적 개념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적 개념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1은 도10의 이미지 생성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이미지로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를 게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온라인 콘텐츠를 게시한 게시판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콘텐츠(24)와 함께 이 콘텐츠를 업로드한 유저의 이름(21), 업로드 시각(22), 및 제1 콘텐츠에 대한 평가(23)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콘텐츠(28)는 이 콘텐츠를 업로드한 유저의 이름(25), 업로드 시각(26), 및 제2 콘텐츠에 대한 평가(27)와 함께 게시될 수 있다.
게시되는 제1 및 제2 콘텐츠(24, 28)는 단순한 텍스트 문장이 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문서파일,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24,28)와 함께 게시되는 항목(유저 이름, 게시된 시각, 및 평가)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실시 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항목이 생략되거나 다른 항목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항목들이 배치되는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이하, “상태표시 이미지”라고도 함)(30)가 콘텐츠와 함께 게시된다. 상태표시 이미지(30)는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콘텐츠의 “상태”란, 이 콘텐츠가 얼마나 많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받는지, 즉 이 콘텐츠가 얼마나 활동적(active)인가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이하 “상태표시 파라미터”라고도 함)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 콘텐츠의 조회수
- 콘텐츠에 대한 댓글수;
- 콘텐츠에 대한 추천수, 찬성수, 및/또는 반대수;
- 콘텐츠 자체 또는 콘텐츠가 포함된 사이트의 링크수;
- RSS 피드(feed) 구독자수;
- 구글 플러스원 버튼 또는 페이스북(Facebook)의 Like 버튼의 클릭 횟수;
- 트위터(Twitter)의 리트윗(Retwitt)된 수;
-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구매 횟수;
- 상기 파라미터들의 각 수치가 카운트되는 빈도(frequency).
또한 여기서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란, 콘텐츠의 상태를 아이콘, 도형, 그림, 그래프 등 다양한 심볼 중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2의 실시예는 이러한 상태표시 이미지(30)로서 심전도 그래프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즉, 원래 심전도 그래프는 심장의 활동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인데, 이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하나로서 차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상태표시 이미지(30)를 해당 콘텐츠(24,28)와 함께 게시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해당 콘텐츠의 상태가 어떠한지를 직관적이고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다운로드 횟수, 또는 구매 횟수가 많은지 여부를 상태표시 이미지(30)로부터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콘텐츠에 대한 추천과 반대의 분포도 상태표시 이미지로부터 즉각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태표시 이미지(30)만으로부터 현재 이 콘텐츠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지, 유용한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태표시 이미지로서 심전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일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소정 형상으로 미리 설정된 이미지의 기본 틀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정 형상으로 미리 설정된 이미지의 기본 틀”은 예를 들어 임의의 이미지의 템플릿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3의 실시예는 심전도 그래프의 템플릿(31)을 이용하여 상태표시 이미지(30)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3에 도시한 소정 형태의 심전도 그래프가 템플릿(31)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템플릿(31)은 P, Q, R, S, T로 표시한 5개의 입력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각각의 입력 포인트에 콘텐츠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들 중 일부를 각각 일대일 대응시켜 수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포인트”는, 상기 이미지의 기본 틀(예를 들어, 템플릿)에 상기 콘텐츠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의 기본 틀에 파라미터 수치를 대응시킬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임의의 위치를 의미한다. 입력 포인트는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의 기본 틀의 물리적 위치로서의 점, 영역, 또는 두 개 이상의 점이나 영역간 간격 등이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점이나 영역의 색(color) 또는 움직임(예컨대 애니메이션 효과)과 같이 비물리적인 대상도 입력 포인트의 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의 기본 틀의 임의의 입력 포인트에 콘텐츠의 상태표시 파라미터가 대응하면, 해당 파라미터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포인트의 크기, 길이, 간격, 색, 또는 움직임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고유의 상태표시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다.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입력 포인트(이하에서 간단히 “포인트”라고도 함)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방법에는, 예컨대 (i) 가장 높은 수치를 갖는 것으로 예상되는 파라미터부터 차례로 심전도 그래프 템플릿(31)에서 가장 눈에 띄기 쉬운 특징적인 포인트에 각각 대응시키는 방법(이하 “내림차순 방법”이라고도 함), 또는 그 반대로, (ii) 가장 낮은 수치를 갖는 것으로 예상되는 파라미터부터 차례로 템플릿(31)에서 가장 눈에 띄는 포인트에 각각 대응시키는 방법(이하 “오름차순 방법”이라고도 함)이 사용될 수 있다.
내림차순 방법에 의할 경우, 예를 들어 템플릿(31)에서 R, S, Q, T, P 포인트의 순서로 눈에 띄기 쉽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경우 이 콘텐츠에 대한 조회, 추천, 링크, RSS 피드, 댓글 순서로 수치가 낮아진다고 가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R 포인트에 조회수, S 포인트에 추천수, Q 포인트에 링크수, T 포인트에 RSS 피드수, 그리고 P 포인트에 댓글수를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내림차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서, 템플릿(31)의 기본 형태(즉 일반적으로 R 값이 가장 큰 심전도 그래프 형태)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각 파라미터의 수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오름차순 방법에 의할 경우, 예를 들어 위와 마찬가지로 템플릿(31)에서 R, S, Q, T, P 포인트의 순서로 눈에 띄기 쉽고 또한 조회, 추천, 링크, RSS 피드, 댓글 순서로 수치가 낮아진다고 가정하면, P, T, Q, S, R 포인트에 각각 조회수, 추천수, 링크수, RSS 피드수, 및 댓글수가 대응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오름차순의 실시예에서 수치가 가장 낮은 파라미터(상기 예에서는 댓글수)를 R 포인트에 대응시키고 수치가 가장 높은 파라미터(상기 예에서는 조회수)를 P 포인트에 각각 대응시키게 되면, 도3의 템플릿(31)의 기본 형태가 유지되지 못한다. 따라서, 오름차순 방법에서, 이러한 템플릿(31)의 기본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각 수치에 가중치를 부여하되, 수치가 작은 값일수록 높은 가중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는, 예컨대 파라미터의 수치는 작지만 해당 파라미터의 중요도를 부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보다 댓글수가 작은 것이 일반적인데, 때로는 댓글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질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댓글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파라미터들을 오름차순 방법으로 입력함으로써, 댓글수를 심전도 그래프 템플릿(31)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R 포인트에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내림차순 및 오름차순 방법은 복수개의 파라미터를 복수개의 포인트에 각각 대응시키는 예시적 방법에 불과하고,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대응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템플릿(31)에 5개 보다 많거나 작은 수의 포인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31)의 포인트 중 3개(예컨대 Q, R, S 포인트)에만 파라미터를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3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복수개의 심전도 그래프의 템플릿(31)을 좌우로 연속으로 연결하여 실제로 시간에 따라 심장 박동이 뛰는 것처럼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심전도 주기의 R 포인트와 그 다음 주기의 R 포인트 사이의 간격(이하 “R-R 간격”라고도 함)은 상기 파라미터들의 수치가 카운트되는 빈도(frequency)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조회, 추천, 링크, RSS 피드, 및 댓글에 대해 수치가 증가하는 빈도수가 높을수록 R-R 간격을 좁게 하고 상기 빈도수가 낮을수록 R-R 간격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 방문자들은 R-R 간격으로부터 해당 콘텐츠가 사람들로부터 얼마나 관심을 받고 있는지, 즉 얼마나 활동적(active)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템플릿(31)의 임의의 포인트와 포인트 사이의 간격에도 콘텐츠의 상태 표시를 위한 임의의 파라미터를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P-R 간격, Q-R-S 간격, S-T 간격 등에도 각각 임의의 파라미터를 대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심전도 그래프가 여러 다양한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내포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태표시 이미지로부터 이 콘텐츠에 관한 다양한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형태에 따라, 심전도 그래프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파라미터에 임계값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수치가 급등할 경우 템플릿(31)의 형태가 심하게 변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각 파라미터마다 소정 임계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임계값을 점근선으로 갖는 로그함수를 적용함으로써, 특정 수치가 아무리 급등하더라도 해당 임계값을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심전도 그래프를 다양한 색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각 색깔에 콘텐츠의 소정 상태를 대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가 활동적일 때에는 심전도 그래프가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이후 시간이 활동성이 점차 줄어들수록 녹색,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 순서로 그래프의 색이 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콘텐츠에 대한 추천수와 반대수의 비율에 따라 그래프 색을 대응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추천이 많으면 심전도 그래프가 녹색으로 표시되고 반대가 많으면 그래프가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도3의 심전도 템플릿(31)을 이용하여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a 및 도4b는 도3의 이미지 템플릿을 사용하여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 및 도4b의 실시예에서, 심전도 그래프의 P, Q, R, S, T 포인트는 임의의 온라인 사이트에 포스팅된 글에 대해 내림차순으로 댓글, 링크, 조회, 추천, 및 RSS 피드의 파라미터 수치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R-R 간격은 현재 시간과 가장 최근의 활성화된 시간의 차이이다. 즉 상기 파라미터들의 수치가 카운트되는 빈도에 비례하여 R-R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도4a를 참조하면, 도4a의 포스팅된 글은 조회수와 추천수가 많고, 상대적으로 댓글, 링크, RSS 피드의 수는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R-R 간격이 짧으므로, 상기 포스팅된 글이 최근에도 많은 방문자들로부터 계속 조회, 추천 등이 되어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도4b의 포스팅된 글은 조회수는 어느 정도 있지만 추천수가 적고, 댓글수가 링크수 및 RSS 피드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R 간격이 넓으므로 최근 이 글은 활성화 상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추천과 반대의 수에 따라서 심전도 그래프의 색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4a의 포스팅된 글이 추천이 더 많다면 도4a의 그래프가 녹색으로 표시되고, 도4b의 포팅된 글에 반대가 많다면 도4b의 그래프는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의 실시예는, 예컨대 온라인 사이트의 포스팅된 글에 일정 시간동안 댓글이나 추천 등 활동성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R-R 간격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심전도 그래프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도록 설정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도5a가 일반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도5b는 소정 시간동안 활동성이 없음으로 인해 R-R 간격이 5a에 비해 넓어졌을 뿐만 아니라 그래프의 크기도 감소한 상태이다.
도6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콘텐츠의 상태표시 이미지(30)가 3개의 심전도 그래프(35,36,37)로 구성된다. 여기서 심전도 그래프(35)는 최근 1일 동안의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고, 그래프(36)는 최근 1주일 동안의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고, 그래프(37)는 최근 1개월 동안의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의 실시예에서 그래프(37)에서 그래프(35)로 갈수록 그래프의 크기가 줄어들고 있으므로 최근 1개월에 비해 최근 1일의 활동성이 적다. 즉 도6의 상태표시 이미지(30)로부터, 이 콘텐츠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활동성이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기간별로 파라미터 수치를 산정하여 이미지 템플릿(31)에 각각 적용하고 이렇게 적용된 기간별 템플릿(31)을 일렬로 배열함으로써, 해당 콘텐츠가 시간이 지날수록 활동성이 더 커지는지 작아지는지에 대한 추세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심전도 그래프가 아닌 다른 그래프 또는 그림을 사용하여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본 발명적 개념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콘텐츠의 상태표시 이미지(40)가 복수개의 주기를 갖는 삼각함수 그래프의 템플릿으로 구성되고, 삼각함수의 최대점과 최소점에 각각 P, Q, R, S, T의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포인트에 파라미터를 각각 대응시키기 위해, 도3을 참조하여 심전도 그래프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7의 상태표시 이미지(4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콘텐츠의 상태표시 이미지(50)가 별 형상의 템플릿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별은 5개의 꼭지점을 포함하고, 각 꼭지점은 조회수, 댓글수, 링크된수, 추천수, 및 RSS 피드수 등과 같은 각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파라미터의 수치는 별 형상의 중심에서부터 각 꼭지점의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링크된 수와 RSS 피드수가 작음을 알 수 있다.
별 형상이 갖는 꼭지점의 개수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파라미터를 표시하고자 하면 n개의 꼭지점을 갖는 별 형상의 템플릿을 미리 설정해놓으면 된다.
이러한 별 형상의 이미지(50)의 실시예에서, 시간에 따른 콘텐츠의 활동성을 나타내기 위해, 예컨대 별 형상이 변화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별 형상의 크기의 증감, 회전, 상하좌우로의 이동, 깜빡임 등과 같이 상태표시 이미지(50)의 모습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이 변화하는 주기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활동성을 표현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적 개념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콘텐츠의 상태표시 이미지(60)가 태양계 형상의 템플릿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템플릿은 5개의 개체(태양 및 4개의 행성)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개체의 각각은 조회수, 댓글수, 링크된 수, 추천수, 및 RSS 피드수 등과 같은 각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파라미터의 수치는 예를 들어 각 개체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는 상대적으로 조회수와 링크된 수가 많고 RSS 피드수는 작음을 알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개체간의 위치는 관리자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값(예컨대, 내림차순시 가장 높은 값, 오름차순시 가장 낮은 값)이 가장 가시성이 높은 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에 도시된 실시예는 중앙에 위치한 조회수가 가장 중요한 값으로 지정된 경우이다.
이러한 태양계 형상의 상태표시 이미지(90)의 실시예에서, 시간에 따른 콘텐츠의 활동성은 예를 들어 각 개체가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콘텐츠의 활동성이 클수록 각 행성의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 파라미터 별로 활동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각 개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의 수치에 비례하여 해당 개체가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RSS 피드수에 대응하는 개체는 속도가 느리게 움직이고 링크된 수에 대응하는 개체는 빠른 속도로 움직일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조회수에 대응하는 태양은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없으므로, 예컨대 깜빡임의 주기로서 해당 파라미터의 수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3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심전도 그래프, 삼각함수 그래프, 별 형상, 및 태양계 형상을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로서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는 다른 다양한 그래프나 형상이 상태표시 이미지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상태표시 이미지에 복수개의 파라미터를 대응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10 및 도12를 참조하여, 상태표시 이미지를 구현하는 장치구성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90)가 네트워크(95)를 통해 이미지 생성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고,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DB 장치(105)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90)는 온라인 콘텐츠를 게시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들로, 예컨대 온라인 콘텐츠를 포스팅(또는 업로드)하거나, 포스팅된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콘텐츠를 보고 댓글, 추천, 링크 등의 반응을 남기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장치이다. 단말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95)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이 될 수 있고, 실시 형태에 따라 광대역망(WAN), 근거리통신망(LAN),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도2에서와 같이 콘텐츠와 함께 상태표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도3 내지 도9에서 예시한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웹서버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콘텐츠를 게시하는 웹서버 장치(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웹서버)와 별도로 존재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이 웹서버 장치와 일체로 된 장치일 수도 있다.
DB 장치(105)는 콘텐츠의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콘텐츠에 대한 사람들의 조회, 댓글, 추천, 링크 등 콘텐츠의 활동성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DB 장치(105)는 각 파라미터의 수치 등의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B 장치(105)는 이미지 생성장치(100)나 콘텐츠 제공 웹서버 장치와 별개로 존재하는 DB 서버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이미지 생성장치(100) 또는 콘텐츠 제공 웹서버 장치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식은 반드시 DB 형식이 아니어도 되고, 일반적인 자료구조 형태로 데이터들이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당업자는 도10에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가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구성의 일 실시예에 불과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11은 도10의 이미지 생성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데이터 추출부(110), 이미지 생성부(120), 및 렌더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10)는 DB 장치(105)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 중에서 이미지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추출부(110)는 유형별 적용부(111) 및 파라미터 추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별 적용부(111)는, 상태표시 이미지가 적용되는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또는 이 콘텐츠가 게시되는 사이트의 유형에 따라, 추출해야 할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다르게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온라인 쇼핑몰에 게시되는 상품이라면, 각 상품에 대한 댓글수와 추천수가 상태표시 파라미터가 될 수 있고, 콘텐츠가 인터넷 동호회 사이트에 포스팅된 글이라면, 해당 글에 대한 조회수, 댓글수, 추천수 등이 상태표시 파라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가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해 토론하거나 투표가 진행되는 사이트에 적용이 된다면, 토론글이나 투표 안건에 대한 추천수 및 반대수가 파라미터로서 설정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태표시 이미지가 트위터에 적용된다면, 트위터 유저의 팔로잉(following), 팔로워(follower), 리트윗 등이 파라미터로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파라미터 추출부(113)는 상기 유형별 적용부(111)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를 DB 장치(105)로부터 검색하고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생성장치가 특정 콘텐츠나 특정 사이트에 적용되도록 설정되면, 상기 특정 콘텐츠나 사이트에서 추출해야 할 파라미터들이 유형별 적용부(111)에 의해 설정되고, 파라미터 추출부(113)는 이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DB 장치(105)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파라미터 추출부(113)는 DB 장치(105)가 아닌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추출부(113)는 DB 장치(105) 및/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부(120)는 템플릿 관리부(121) 및 파라미터 적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관리부(121)는 도3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상태표시 이미지에 대한 템플릿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심전도 그래프, 삼각함수 그래프, 별 형상, 태양계 형상 등의 다양한 이미지의 템플릿을 미리 설정해놓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의 템플릿을 생성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템플릿 관리부(121)는 상태표시 이미지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 즉 시간에 따른 크기의 증감, 회전, 상하좌우의 이동, 깜빡임 등의 변화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적용부(123)는 파라미터 추출부(113)에 의해 추출되거나 생성한 하나 이상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상태표시 이미지의 템플릿에 적용함으로써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를 생성한다. 즉 도3을 참조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심전도 그래프의 템플릿의 P, Q, R, S, T 포인트의 각각에 파라미터들을 입력하여 상태표시 이미지(30)를 생성할 수 있다.
각 파라미터의 수치를 템플릿의 각 포인트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파라미터 수치의 절대값을 그대로 입력하거나, 파라미터 수치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입력하거나, 소정 기간동안 파라미터 수치를 평균한 값을 입력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적용부(123)에 의해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가 생성되면 렌더링부(130)는 이 상태표시 이미지를 렌더링하고 기존의 콘텐츠 게시물에 결합하여 예컨대 도2에서와 같이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구성요소들(즉, 데이터 추출부(110), 이미지 생성부(120), 및 렌더링부(13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상기 구성요소들(110,120,130)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이미지 생성장치(100) 내의 메모리에 로딩되고, 이미지 생성장치(100)의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해석되고 처리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존의 웹서버에 애드온 방식으로 추가될 수 있고, 기존의 콘텐츠 제공 웹서버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1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이미지로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우선 단계(S1201)에서, 콘텐츠의 활동성에 관한 이벤트 발생시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조회, 댓글, 추천, 링크 등과 같이 콘텐츠의 활동성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에 관한 데이터가 DB 장치(105)로 전송되고, DB 장치(105)는 해당 파라미터의 수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1203)에서, 이미지 생성장치(100)가 DB 장치(105)로부터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이 때, 이미지 생성장치(100)내의 유형별 적용부(111)가 특정 콘텐츠나 특정 사이트에 대해 추출해야 할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해 놓았다면,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이 설정된 파라미터를 DB 장치(105)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이미지 생성장치(100)가 기존의 데이터들로부터 새로운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05)에서,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추출된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상태표시 이미지의 템플릿에 적용한다. 즉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포인트에 상기 추출된 상태표시 파라미터의 각각을 대응시킴으로써 상태표시 이미지(30,40,50,6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생성장치(100) 내의 템플릿 관리부(121)에서 어느 특정 상태표시 이미지의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해 놓았다면,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이 설정된 템플릿에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적용하게 된다.
그 후 단계(S1207)에서, 이미지 생성장치(100)는 상태표시 이미지를 렌더링하여, 사용자 단말장치(90)의 화면에 보여지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즉 단계(S1205)에서 생성된 상태표시 이미지를 렌더링하고 기존의 콘텐츠 게시물에 결합함으로써,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이미지를 생성하고 렌더링하는 상술한 단계(S1203 내지 S1207)는 소정 시간주기마다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활동성에 관한 이벤트가 계속해서 일어남에 따라 상태표시 이미지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 업데이트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콘텐츠의 현재 상태를 즉각적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당업자는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 생성방법 및 장치가 다양한 콘텐츠나 웹사이트, 온라인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체적 사례들을 가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례1: 사용자는 평소 자주가는 인터넷 커뮤니티에 글을 올렸다. 이후, 자신의 게시글이 얼마나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관심받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본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 글의 상태를 관리한다.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 게시글의 활성화도가 낮아짐을 확인하면 그 온라인 커뮤니티를 방문하여 자신의 게시글을 수정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례2: 사용자는 평소 자신이 자주 가는 게임에서 상태표시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게임의 상대방의 상태표시 이미지의 크기나 색이 변화하는 것을 보면서 좀 더 즉각적으로 상대방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온라인 동호회에서 사용되는 아바타에도 상태표시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전체 동호회 활동 및 글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사례3: 사용자는 음악을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을 하는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음악에 대한 정보를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음악을 다운로드를 하는 도중 갑자기 인터넷이 끊기거나 다운로드에 장애가 발생하여 점차적으로 다운로드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상태표시 이미지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다.
사례4: 사용자는 인터넷 방송을 통한 교육을 시청하고자 할 때 현재 이용하려고 하는 교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사례5: 사용자는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 투표가 이루어지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각 토론글이나 투표안건에 대응하는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서 토론이나 투표의 활성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사례6: 사용자는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면서 특정 상품에 대해 얼마나 사람들이 반응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사례7: 상태표시 이미지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 유저의 활동 상태를 알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가 트위터에 적용될 경우, 트위터 유저가 게시글을 올리는 빈도, 팔로잉, 팔로워, 리트윗 등의 활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0, 40, 50, 60: 상태표시 이미지
31: 템플릿 100: 이미지 생성장치
110: 데이터 추출부 120: 이미지 생성부
130: 렌더링부

Claims (16)

  1.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이하, "상태표시 이미지"라 함)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장치에서 상기 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저장한 저장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입력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미리 설정된 이미지의 기본 틀인 템플릿에 상기 파라미터를 입력함으로써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태표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활동성에 관한 파라미터 또는 이 온라인 콘텐츠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는 관심도에 관한 파라미터이고,
    상기 템플릿의 입력 포인트는, 상기 템플릿에 상기 콘텐츠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의 수치를 상기 템플릿에 입력할 수 있는, 템플릿의 임의의 점, 영역, 둘 이상의 점이나 영역간의 간격, 상기 점이나 영역의 색, 또는 상기 점이나 영역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템플릿의 상기 입력 포인트의 크기, 길이, 간격, 색,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고 이 변경된 템플릿을 상태표시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이미지 생성장치가 임의의 콘텐츠 또는 임의의 사이트에 대해 추출해야 할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이미지 생성장치가 특정 상태표시 이미지의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이 심전도 그래프의 템플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포인트의 각각에 상기 파라미터의 각각을 대응시켜 파라미터의 수치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의 수치를 입력하는 단계는, 각 파라미터의 수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포인트의 색에 상기 파라미터 중 하나의 파라미터를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템플릿의 임의의 포인트와 포인트 사이의 간격에 상기 파라미터 중 하나의 파라미터를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템플릿의 형상이 변화하는 애니메이션 동작에 상기 파라미터 중 하나의 파라미터를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 동작은 상기 템플릿의 형상의 크기의 증감, 회전, 상하좌우로의 이동, 및 깜빡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이하 "상태표시 이미지"라 함)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장치에 있어서,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이하 "상태표시 파라미터"라 함)가 저장된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부;
    하나 이상의 입력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미리 설정된 이미지의 기본 틀인 템플릿에 상기 파라미터를 적용함으로써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적용부; 및
    상기 생성된 상태표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활동성에 관한 파라미터 또는 이 온라인 콘텐츠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는 관심도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의 입력 포인트는, 상기 템플릿에 상기 콘텐츠의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의 수치를 상기 템플릿에 입력할 수 있는, 템플릿의 임의의 점, 영역, 둘 이상의 점이나 영역간의 간격, 상기 점이나 영역의 색, 또는 상기 점이나 영역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적용부는, 추출된 상기 상태표시 파라미터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템플릿의 상기 입력 포인트의 크기, 길이, 간격, 색,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고 이 변경된 템플릿을 상태표시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미지 생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장치는,
    상태표시 이미지가 적용되는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또는 상기 콘텐츠가 게시되는 사이트의 유형에 따라, 추출해야 할 상태표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유형별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추출부는,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추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장치는,
    복수개의 상태표시 이미지에 대한 템플릿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적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포인트의 각각에 상기 파라미터의 각각을 대응시켜 파라미터의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상태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생성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138171A 2014-10-14 2014-10-14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171A KR101528426B1 (ko) 2014-10-14 2014-10-14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171A KR101528426B1 (ko) 2014-10-14 2014-10-14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57A Division KR20130105109A (ko) 2012-03-16 2012-03-16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088A true KR20140130088A (ko) 2014-11-07
KR101528426B1 KR101528426B1 (ko) 2015-06-15

Family

ID=5245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171A KR101528426B1 (ko) 2014-10-14 2014-10-14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0269A (zh) * 2019-09-27 2021-03-30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关于核反应堆介质形态的画面在线表现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11B1 (ko) * 2019-12-30 2023-07-24 주식회사 엔비티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046A (ja) * 1999-03-17 2000-09-29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KR101125218B1 (ko) * 2010-05-31 2012-03-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 시각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0269A (zh) * 2019-09-27 2021-03-30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关于核反应堆介质形态的画面在线表现方法及系统
CN112580269B (zh) * 2019-09-27 2024-04-19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关于核反应堆介质形态的画面在线表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426B1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513B2 (en) Optimizing video conferencing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US10712811B2 (en) Providing a digital model of a corresponding product in a camera feed
US110442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US1049164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responses to an event in a social network
US105930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interaction
CN104850370B (zh) 在背景显示区域显示订单信息的方法及装置
US8928810B2 (en) System for combining video data streams into a composite video data stream
US201303263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ocial Network Interactivity with a Media Event
US105218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user interface elements for obtaining feedback within a media content item
US20140208239A1 (en) Graphical aggregation of virtualized network communication
CN113785288A (zh) 用于生成和共享内容的系统和方法
US9942516B1 (en) Optimizing video conferencing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WO2014102785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a social platform that visualizes virtual crowd
CA29969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presentation
US20160035016A1 (en) Method for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1687985B2 (en) Movie or television title rating system
US20140229479A1 (en) Creating personalized collections of objects maintained by a social networking system
CN103873945A (zh) 与视频节目中对象进行社交的系统、方法
US20230028611A1 (en)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a user-associated electronic badge
CN107735760A (zh) 用于查看嵌入式视频的方法和系统
KR101528426B1 (ko) 온라인 콘텐츠의 상태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238884B (zh) 基于数字全景的动态信息呈现与用户交互系统及设备
US20140229330A1 (en) Performing actions based on metadata associated with objects in a set of objects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er
CN107004206A (zh) 基于社交媒体交互的定向数据
US10600062B2 (en) Retail websit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rending looks by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