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060A -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0060A KR20140130060A KR1020140051894A KR20140051894A KR20140130060A KR 20140130060 A KR20140130060 A KR 20140130060A KR 1020140051894 A KR1020140051894 A KR 1020140051894A KR 20140051894 A KR20140051894 A KR 20140051894A KR 20140130060 A KR20140130060 A KR 20140130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mensional
- assembly
- computer
- bounding box
- objec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2—Bounding box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62—Semi-transparenc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16—Exploded view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제 1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제 2 세트를 적어도 결정하는 단계;
제 1 의 3 차원 바운딩 박스 (BB) 에서 제 1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제 2 의 3 차원 바운딩 박스 (BB) 에서 제 2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그룹화하는 단계; 및
바운딩 박스들 (BB) 을 상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어셈블리의 오브젝트들의 세트들을 정의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바운딩 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3 개의 바운딩 박스들을 재정렬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3 개의 바운딩 박스들을 재정렬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3 개의 바운딩 박스들을 재정렬하고 바운딩 박스의 축 위치를 변경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트럭 앞바퀴의 오브젝트들 또는 부분들을 재정렬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a, 도 7b, 및 도 7c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트럭 앞바퀴의 오브젝트들 또는 부분들을 재정렬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도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유사한 디지털 프로세싱 환경을 도시한다.
도 9 는 컴퓨터의 내부 구조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Claims (13)
-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 상기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제 1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제 2 세트를 적어도 결정하는 단계;
- 제 1 의 3 차원 바운딩 박스 (BB) 에서의 상기 제 1 세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제 2 의 3 차원 바운딩 박스 (BB) 에서의 상기 제 2 세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그룹화하는 단계; 및
-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을 상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의 오브젝트들의 세트의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바운딩 박스 (BB) 의 오브젝트들의 세트의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바운딩 박스 (BB) 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콘텐츠 영역 (SCA) 을 사용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바운딩 박스 (BB) 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축 영역 (SAA) 을 사용하여 다른 바운딩 박스 (BB) 의 위치를 상기 축 영역 (SAA) 과 직교하는 축을 따라 변경시키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3 차원 바운딩 박스 (BB) 는 상기 제 1 의 3 차원 바운딩 박스 (BB)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추출로부터 생성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딩 박스 (BB) 는 수동적으로 생성되거나, 파라미터들의 값들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딩 박스 (BB) 는 적어도 그랩 존 (GZ) 에 의해 그랩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딩 박스들 (BB) 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바운딩 박스들 (BB) 의 이동시 링킹을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영역 (SAA, SCA) 은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취하게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3165956.7A EP2800064B1 (en) | 2013-04-30 | 2013-04-30 |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s of an assembly in a three-dimensional scene |
EP13165956.7 | 2013-04-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0060A true KR20140130060A (ko) | 2014-11-07 |
Family
ID=482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1894A Ceased KR20140130060A (ko) | 2013-04-30 | 2014-04-29 |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460558B2 (ko) |
EP (1) | EP2800064B1 (ko) |
JP (1) | JP6510181B2 (ko) |
KR (1) | KR20140130060A (ko) |
CN (1) | CN104133929B (ko) |
CA (1) | CA28508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946B1 (en) * | 2014-12-30 | 2019-11-13 | Dassault Systèmes | Viewpoint selection in the rendering of a set of objects |
EP3040945B1 (en) | 2014-12-30 | 2019-06-19 | Dassault Systèmes | Creation of bounding boxes on a 3d modeled assembly |
EP4052232B1 (en) | 2019-12-31 | 2025-05-28 | Novocure GmbH |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mage segmentation |
WO2022050960A1 (en) * | 2020-09-04 | 2022-03-10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Object packing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83977A (en) * | 1993-10-21 | 1996-12-10 | Taligent, Inc. | Object-oriented curve manipulation system |
US6426745B1 (en) * | 1997-04-28 | 2002-07-30 |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 Manipulating graphic objects in 3D scenes |
US7327368B2 (en) * | 1997-07-10 | 2008-02-05 | Pacework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implementing computer based animation |
JP3513562B2 (ja) * | 2000-04-20 | 2004-03-31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 形状解析システム、3次元形状モデルの差分検出システム、類似形状検索システム、形状解析方法及び記憶媒体 |
JP3651476B2 (ja) * | 2004-01-19 | 2005-05-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分解組立図作成装置および方法 |
US20050248560A1 (en) * | 2004-05-10 | 2005-11-10 | Microsoft Corporation | Interactive exploded views from 2D images |
JP4870581B2 (ja) * | 2007-01-16 | 2012-02-08 | 株式会社リコー | パーツカタログ作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US20090083628A1 (en) * | 2007-09-26 | 2009-03-26 | Autodesk, Inc. | navigation system for a 3d virtual scene |
WO2010108499A2 (en) * | 2009-03-22 | 2010-09-30 | Algreatly Cherif Atia | 3d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
EP2261827B1 (en) * | 2009-06-10 | 2015-04-08 | Dassault Systèmes | Process, progra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ssembly of objects of a PLM database |
-
2013
- 2013-04-30 EP EP13165956.7A patent/EP2800064B1/en active Active
-
2014
- 2014-04-09 US US14/249,344 patent/US9460558B2/en active Active
- 2014-04-28 JP JP2014092800A patent/JP6510181B2/ja active Active
- 2014-04-28 CN CN201410174269.1A patent/CN104133929B/zh active Active
- 2014-04-29 CA CA2850829A patent/CA285082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4-29 KR KR1020140051894A patent/KR20140130060A/ko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50829A1 (en) | 2014-10-30 |
EP2800064A1 (en) | 2014-11-05 |
CN104133929A (zh) | 2014-11-05 |
EP2800064B1 (en) | 2022-04-20 |
JP2014219975A (ja) | 2014-11-20 |
JP6510181B2 (ja) | 2019-05-08 |
US20140320490A1 (en) | 2014-10-30 |
US9460558B2 (en) | 2016-10-04 |
CN104133929B (zh) | 2019-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39240B2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launching an installed application | |
JP6495589B2 (ja) | 三次元モデル化オブジェクトのアセンブリの分解組立図の分解パスを決定する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 |
US20130042259A1 (en) | Drag and drop of objects between applications | |
US9710131B2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s of an assembly in a three-dimensional scene | |
CN103886638A (zh) | 在划分为多个区域的三维场景中对对象的物理行为仿真 | |
EP3935484A1 (en) | Snapping virtual object to target surface | |
KR20140130060A (ko) | 3 차원 장면에서 어셈블리의 3 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 |
CN103049266A (zh) | Delta3D三维场景漫游的鼠标操作方法 | |
CN104750905B (zh) | 用于设计三维建模对象的计算机实现的方法 | |
US9472024B2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esigning a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 | |
US9772770B2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figuring a tool with at least one pointing element on a screen | |
Savoy et al. | Crowd simulation rendering for web | |
CN104133928B (zh) | 用于操纵三维场景中的组件的三维建模对象的计算机实现方法 | |
Baik et al. | Developing Play Cube System for Virtual Content Management | |
Daglas | The Use of Virtual Reality and PLM Technologies to Support Upstream and Downstream Offshore Asset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