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280A -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 Google Patents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280A
KR20140128280A KR20140109558A KR20140109558A KR20140128280A KR 20140128280 A KR20140128280 A KR 20140128280A KR 20140109558 A KR20140109558 A KR 20140109558A KR 20140109558 A KR20140109558 A KR 20140109558A KR 20140128280 A KR20140128280 A KR 2014012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locking member
roller
blocking
roll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376B1 (ko
Inventor
나복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의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샤프트와,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롤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소화약제가 수용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공부에 연통되도록 샤프트에 결합된 노즐부재와, 샤프트에 구비되어 중공부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노즐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부재가 파손되면 소화약제가 노즐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과열이나 화재시 소화약제가 분사되어, 과열이 방지되고 초기 소화가 가능하며,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자가 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A Conveyor Roller Having Spraying Function}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피이송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캐리어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는 하나의 단위 유닛으로서의 복수의 컨베이어용 롤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컨베이어용 롤러(10)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 컨베이어용 롤러(10)는 샤프트(12)의 양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환상홈에 스토퍼링(12b)이 구비되어 있고, 스토퍼링(12b)의 외측으로 베어링(13)이 구비되며, 베어링(13)의 외측에는 롤러 본체부(11)와 일체로 엔트캡(14)이 결합된다. 그리고, 롤러 본체부(11)의 양단은 내측으로 만곡 절곡되어 내향플랜지(11a)가 형성되고, 롤러 본체부(11)의 양단에 형성된 내향플랜지(11a)의 내측으로 엔드캡(14)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엔트캡(14)은 내향플랜지(11a)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5는 샤프트(12)와 엔드캡(14)의 중심선이 상호 일치하지 않거나 서로 경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베어링(13)에 미스얼라이언트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하우징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18은 베어링(13) 내륜을 외측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커버를 도시한 것이며, 19는 상기 커버(18)의 축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여 커버(18)와 래비린스 씰을 형성하는 실부재(19)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롤러 본체부(11)는 중공형 파이프이며, 엔드캡(14)과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 본체부(11)와 앤드캡(14)은 롤러 본체를 이루어 샤프트(12)에 대하여 베어링(13)으로 지지되어, 샤프트(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공개실용신안 20-2010-0000112에는 다른 형태의 컨베이어용 롤러가 기재되어 있다.
컨베이어용 롤러는 도 1 및 공개실용신안 20-2010-0000112의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롤러 본체(11)와, 상기 롤러 본체(11)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구비되는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와 롤러 본체(11)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12)에 대하여 롤러 본체(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과, 상기 베어링(13)의 축 방향 외측으로 구비되는 씰링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별도의 씰링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씰 일체형 베어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용 롤러는 샤프트(12)가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설치되어 피이송물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적재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이송될 때 컨베이어 벨트를 상방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컨베이어 벨트로 피이송물이 이송될 때,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컨베이어용 롤러(10)는 샤프트(12)가 지지된 상태로 롤러 본체(11)가 샤프트(12)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한다. 사용 중 베어링(13)이 손상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롤러 본체(11)가 샤프트(12)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롤러 본체(11)와 컨베이어 벨트에 마찰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화재 등의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과열 등을 감지하는 것이 어려워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으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하여 소화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컨베이어용 롤러(10)의 설치 위치가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인 경우 초기 진화를 하지 못하여 대형 화재로 확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7877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과열이나 화재 발생시 분사약제가 분사되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으며, 화재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한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중공의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샤프트와,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롤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분사약제와, 상기 분사약제가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배출공을 통하여 분사약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롤러 본체에 형성된 배출공은 샤프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낭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배출공을 차단하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며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샤프트에는 축 방향으로 배출공 외측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부재가 구비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분사약제는 반사부재에 충돌되어 축 방향 내측으로 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배출공을 차단하는 릴리즈 밸브이며; 상기 분사약제는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며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출공에는 관체인 노즐부재가 연결되어,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분사약제는 노즐부재를 통하여 안내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중공의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로 삽입되어 구비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롤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분사약제와, 상기 분사약제가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배출공을 통하여 분사약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낭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배출공을 차단하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배출공에 설치된 배출공을 차단하는 릴리즈 밸브이며; 상기 분사약제는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샤프트에는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며 차단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출공에는 관체인 노즐부재가 연결되어,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분사약제는 노즐부재를 통하여 안내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샤프트에는 배출공보다 축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부재가 구비되어,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분사약제는 반사부재에 충돌되어 축방향 내측으로 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분사약제는 소화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분사약제는 염료나 형광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사약제는 소화약제와 염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배출공에는 휘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에 의하면, 과열이나 화재시 분사약제가 분사되는 효과가 있으며, 분사약제는 소화약제로 이루어져 분사시 소화 기능을 하므로 과열이 방지되고 초기 소화가 가능하며,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자가 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약제에 형광물질이 혼합되므로 분사시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의 파열시 발생하는 파열음이나 휘슬부재에 의하여 청각적으로 이상이 알려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컨베이어용 롤러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의 다른 변형 도시한 종방향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샤프트(105)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하며, 축 방향으로 샤프트(105)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축 방향 내측이라고 하고, 샤프트(105)의 축 방향 양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축 방향 외측이라고 한다. 그리고 롤러 본체부(101)로부터 샤프트(105)를 향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내측이라고 하고, 샤프트(105)로부터 롤러 본체부(101)를 향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외측이라고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100)는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샤프트(105)와, 상기 샤프트(105)에 대하여 롤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0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107)은 반경 방향으로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구비되며, 샤프트(10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107)은 전동체를 가지는 구름 베어링으로 할 수도 있고, 미끄럼 베어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롤러 본체는 중공체인 롤러 본체부(101)와, 상기 롤러 본체부(101)의 축 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캡부재(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 본체부(101)는 양측으로 개구된 단면이 원형인 중공체로서, 설치시 컨베이어 벨트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상기 롤러 본체부(101)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03)는 롤러 본체부(101)의 양단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외경면은 롤러 본체부(101)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캡부재(103)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롤러 본체부(101)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고, 캡부재(103)의 외경측이 용접 연결되어 롤러 본체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 본체부(101)와 캡부재(10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부재(103)의 내경과 샤프트(105) 외경 사이에는 반경 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며, 캡부재(103)와 샤프트(105) 사이에 베어링(107)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107)의 외륜은 캡부재(103)의 내경면으로 삽입되어 내경면과 접하며, 내륜으로 샤프트(105)가 삽입되어 내륜은 샤프트(105)의 외경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107)의 내륜으로 샤프트(105)는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삽입된다. 베어링(107)이 축 방향으로 고정되는 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787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베어링(107)이 구비됨으로써, 롤러 본체는 샤프트(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109는 축 방향으로 베어링(107) 외측에 구비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씰링부재(109)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씰링부재(109)는 캡부재(103)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샤프트(105)는 씰링부재(109)로 삽입된다. 상기 씰링부재(109)는 함께 미로(Labyrinth)를 형성하는 제1 씰링부재(109a)와 제2 씰링부재(109b)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씰링부재(109)를 이루며 미로를 형성하는 제1 씰링부재(109a)와 제2 씰링부재(109b) 중 어느 하나는 캡부재(103)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구비되며, 나머지 하나로 샤프트(105)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105)의 양측 단부는 축 방향으로 씰링부재(109)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샤프트(10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공(105a)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05a)의 일측 단부는 중공부로 연통되며, 타측 단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중공부에 분사약제가 수용된다.
상기 샤프트(105)에는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공(105a)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05a)은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 양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중공부의 축방향 일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공(105a)의 단면적은 중공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중공부에 수용된 분사약제가 배출될 때, 고속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05a)은 중공부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샤프트(105) 단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05a)은 중공부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축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축방향 외측으로 샤프트(105) 단부까지 연장되는 경우 분사약제는 축방향 외측 방향으로 배출 분사되며, 배출공(105a) 단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 배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12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재(128)는 원형 판상으로 설치 후 가장자리로 갈수록 축방향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재(128)는 롤러 본체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샤프트(105)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롤러 본체에 고정되는 경우 롤러 본체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반사부재(128)는 배출공(105a)의 외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며 배출공(105a)의 외측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28a는 판상의 반사부재(128)를 고정시키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28a)는 일단은 롤러 본체나 샤프트(105)에 연결되고 타단은 반사부재(128)에 연결되어 반사부재(128)가 롤러 본체나 샤프트(105)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105a)은 중공부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샤프트(105) 단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반사부재(128)가 배출공(105a)의 외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출공(105a)에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면, 배출공(105a)을 통하여 분사 배출되는 분사약제는 반사부재(128)에 충돌한 후 운동 방향이 축방향 내측으로 전환되어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로 분사된다. 상기 반사부재(128)의 형태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축방향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분사약제는 반사부재(128)에 충돌한 후 축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운동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샤프트(105)에는 중공부에 수용된 분사약제가 배출공(105a)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111)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5)의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밀폐된 낭(囊)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111)에 수용된다. 차단부재(111)는 폐쇄된 공간이 형성된 낭 형태로 이루어지고, 분사약제는 차단부재(111)의 폐쇄된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05a)을 차단하는 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샤프트(105)의 중공부와 배출공(105a)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에 부착되어 배출공(105a)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단턱부에 가장자리가 접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샤프트(105)의 축방향 단부에 부착되어 배출공(105a)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약제는 차단부재(111)에 의하여 배출공(105a)이 차단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차단된 공간부로 되는 중공부에 수용된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의 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재(111)에는 파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미리 노치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105)에는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며 차단부재(111)를 향하여 연장된 침부재(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침부재(124)는 차단부재(111)를 향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설치 상태에서 침부재(124)의 단부는 차단부재(111)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침부재(124)는 중공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111)는 배출공(105a)에 설치되어 배출공을 차단하는 릴리즈 밸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릴리즈 밸브로 차단부재(111)를 형성할 때, 중공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릴리즈 밸브가 열리게 되어 분사약제는 배출공(105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5)는 중공체 파이프로 하고, 양단에 제1 폐쇄부(130)와 제2 폐쇄부(120)를 구비하도록 하여, 제1 폐쇄부(130)와 제2 폐쇄부(120) 사이에서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사약제는 차단부재(111), 제1 폐쇄부(130), 제2 폐쇄부(120) 그리고 중공체 파이프인 샤프트(105)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105)를 일측이 막혀서 타측으로만 개구된 형태로 형성하고, 일측으로 개구된 부분만 제1 폐쇄부(130) 또는 제2 폐쇄부(120)로 막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과 같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밀폐된 낭(囊) 형태로 형성되고, 분사약제는 차단부재(111) 내로 수용되며, 분사약제가 수용된 차단부재(111)는 제1 폐쇄부(130)와 제2 폐쇄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105)를 이루는 중공 파이프에 삽입된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축 방향으로 제1 폐쇄부(130)와 제2 폐쇄부(130)로부터 간격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차단부재(111) 설치시 축 방향 일측은 제1 폐쇄부(130)에 접하고 타측은 제2 폐쇄부(130)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일측은 제1 폐쇄부(130)로부터 이격되며 타측은 제2 폐쇄부(130)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양측 모두 제1 폐쇄부(130)와 제2 폐쇄부(130)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중공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폐쇄하는 제1 폐쇄부(130)는 샤프트(105)를 이루는 중공체 파이프의 일단에 삽입되며 축 방향 외측에 나사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폐쇄부재(131)와, 상기 제1 폐쇄부재(131)의 축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중공 파이프에 삽입되며 나사공이 관통 형성된 제2 폐쇄부재(133)와, 상기 제2 폐쇄부재(133)의 나사공을 관통하여 축 방향 내향 연장되며 제1 폐쇄부재(131)의 나사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체결나사(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체결나사(135)의 머리부가 제2 폐쇄부재(133)를 축 방향 내향 가압한다.
상기 제1 폐쇄부재(131)는 중공체 파이프에 억지 끼워 맞춤 삽입되고, 상기 제2 폐쇄부재(133)는 제1 체결나사(135)의 나사 체결로 제1 폐쇄부재(131)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폐쇄부재(133)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제1 플랜지부(133a)를 가지며, 상기 제1 플랜지부(133a)의 외경은 중공체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베어링(107)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씰링부재(109)를 축 방향 가압하여 지지한다.
중공 파이프의 타측 단부를 폐쇄하는 제2 폐쇄부(120)는 샤프트(105)를 이루는 중공체 파이프의 타단에 삽입되며 축 방향 외측에 나사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3 폐쇄부재(121)와, 상기 제3 폐쇄부재(121)의 축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중공 파이프에 삽입되며 나사공이 관통 형성된 제4 폐쇄부재(123)와, 상기 제4 폐쇄부재(123)의 나사공을 관통하여 축 방향 내향 연장되며 제3 폐쇄부재(121)의 나사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체결나사(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체결나사(125)의 머리부가 제4 폐쇄부재(123)를 축 방향 내향 가압한다.
상기 제3 폐쇄부재(121)는 중공체 파이프에 억지 끼워 맞춤 삽입되고, 상기 제4 폐쇄부재(123)는 제2 체결나사(125)의 나사 체결로 제3 폐쇄부재(121)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4 폐쇄부재(123)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제2 플랜지부(123a)를 가지며, 상기 제2 플랜지부(123a)의 외경은 중공체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베어링(107)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씰링부재(109)를 축 방향 가압하여 지지한다. 상기 제3 폐쇄부재(121)에는 나사 체결홈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내향 관통 연장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나사(125)를 축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 나사로 한다. 상기 침부재(123)는 제3 폐쇄부재(121)의 내측 단부에 축방향 내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105)의 중공부는 제1 폐쇄부(130)와 제2 폐쇄부(120) 사이에서 형성되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공은 제3 폐쇄부재(121)에 형성된 관통공과 제2 체결나사(125)에 형성된 관통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차단부재(111)는 판상의 막형태로 이루어져 제3 폐쇄부재(121)의 축방향 내측 단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배출공을 폐쇄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샤프트(105)의 양측을 제2 폐쇄부(120)와 같은 구조로 하여, 중공부의 양측으로 배출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출공이 형성된 측으로 반사부재(128)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재(128)는 배출공의 외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출공에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반사부재(128)는 바 형태의 복수의 연결부재(128a)에 의하여 샤프트(105)의 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28a)는 일단에 샤프트(105)에 고정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반사부재(128)에 고정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본체의 내측과 샤프트(105) 사이에는 대략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분사약제는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폐쇄된 공간부를 가지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111)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분사약제는 차단부재(111)에 형성된 공간부에 구비된다. 차단부재(111)의 축방향 양측으로 베어링(107)과 씰링부재(109)가 구비된다. 낭 형태의 차단부재(111)는 샤프트(105)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차단부재(111)를 대략 원통형의 폐쇄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형태로 하고, 차단부재(111)에 샤프트(105)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1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샤프트(105)가 삽입되어, 내측에서 차단부재(111)와 샤프트(105)가 서로 접하여 차단부재(111)가 샤프트(105)에 고정된다.
차단부재(111)의 반경 방향 외측면과 롤러 본체부(101)의 반경 방향 내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컨베이어용 롤러(100)가 작동될 때, 차단부재(111)와 롤러 본체부(101)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차단부재(111)의 반경 방향 외측면이 롤러 본체부(101)의 반경 방향 내면에 접하며, 상기 차단부재(111)의 반경 방향 내측과 샤프트(105)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컨베이어용 롤러(100)가 작동될 때, 차단부재(111)가 롤러 본체부(10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차단부재(111)가 롤러 본체부(101)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차단부재(111) 내에 수용된 분사약제가 혼합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폐쇄된 공간부를 가지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111)가 구비되고, 분사약제는 차단부재(111)에 형성된 공간부에 구비되는 구조에서, 배출공은 축 방향을 향하도록 롤러 본체부(101)에 형성되거나, 캡부재(103)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03a는 배출공을 예시한 것으로, 캡부재(103)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배출되는 분사약제가 샤프트(105)를 향하도록 반경 방향 내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출공과 마주하도록 반사부재(128)가 구비되며, 반사부재(128)는 원추형 환형판으로 이루어져, 샤프트(105)가 삽입되어 샤프트(10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128)는 지름이 증가할수록 롤러 본체에 가까워지게 경사되는 구조로 하며, 배출공과 마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재(111)가 파열 손상되면서 분사약제가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될 때, 반사부재(128)에 접하여 운동 방향이 전환되면서 축방향 및 반경 방향 내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침부재는 롤러 본체부(101)나 캡부재(103)에 구비되어 차단부재(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배출공은 차단부재(111)가 위치한 공간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샤프트(10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에 연결되어 중공부에 연통되도록 노즐부재(127)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노즐부재(127)는 샤프트(105)에 형성되는 배출공과 롤러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공에 구비된다. 노즐부재(127)는 양단으로 개구된 중공의 관체로서, 노즐부재(127)의 일측 단부가 배출공이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2 폐쇄부(120)로 샤프트(105)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경우, 노즐부재(127)의 단부는 제2 체결나사(125)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중공부에 수용된 분사약제는 노즐부재(127)를 통하여 안내되면서 외부로 누출된다. 상기 노즐부재(127)는 샤프트(105)에 나사 결합이나 용접 결합에 의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재(1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하여, 배출되는 분사약제가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노즐부재(127)는 일부는 샤프트(105)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축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샤프트(105)의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제1 연장부(127a)와,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며 축 방향으로 내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제2 연장부(127b)를 구비한다. 축 방향에 대하여 제2 연장부(127b)의 경사 각도(θ)는 70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127b)의 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롤러 본체부(101)의 외경보다 내측으로 위치하고, 제2 연장부(127b)는 제2 연장부(127b)의 연장선이 롤러 본체부(101)의 외경 단부보다 축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연장부(127b)를 통하여 누출되는 분사약제는 롤러 본체부(101)의 상부로 뿌려지게 된다.
상기 노즐부재(127)는 제1 연장부(127a)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제2 연장부(127b)를 구비하고, 제2 연장부(127b)는 원주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각도로 분사약제가 뿌려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배출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각 배출공에 노즐부재(127)가 연결되어 복수의 노즐부재(127)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침부재(124)는 제3 폐쇄부재(121)의 축 방향 내측에서 내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침부재(124)의 단부는 차단부재(11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침부재(124)를 구비하지 않고, 노즐부재(127)의 축 방향 내측 단부를 첨예하고 형성하고, 노즐부재(127)가 제3 폐쇄부재(121)의 축 방향 내측 단부를 지나 차단부재(111)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공에는 기체의 유동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되는 휘슬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공에 노즐부재(127)가 연결된 경우, 노즐부재(127)에 휘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약제는 소화약제로 이루어질 수 있어 분사시 소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이나 염료가 포함될 수 있으며, 형광물질의 예로, 규산아연, 규산카트뮴, 할로인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분사약제는 소화약제와 형광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약제에 염료나 형광물질이 혼합됨으로써 분사시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염료는 천연 염료가 합성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염료는 고형 분말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소화약제로는 수산화나트륨(2NaHCO3)과 황산(+H2SO4)이 혼합된 산알칼리 소화약제, 탄산칼륨(K2CO3)과 황산(+H2SO4)이 혼합된 소화약제, 탄산나트륨(6NaHCO4)과 유수 황산알루미늄(Al2(SO4)3 18H2O)이 혼합된 소화약제, 할론1301, 할론1211, 할론2402, 할론104과 같은 소화약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의 중공부에 온도 상승에 따라 팽창하는 축압부재(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분사약제가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구비되는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축압부재는 롤러 본체와 샤프트(10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구비된다.
상기 축압부재는 팽창하면서 분사약제를 배출공으로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차단부재(111)가 낭 형태로 형성되고, 차단부재(111) 내에 분사약제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축압부재(113)는 배출공의 반대측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11)는 축압부재(113)와 배출공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축압부재(113)는 배출공을 향하여 개구된 지지부재(1131)와, 상기 지지부재(1131) 내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1133)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도면부호 1137은 지지부재(1131)의 내경면과 이동부재(1133)의 내경면 사이에 구비되는 씰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1135는 이동부재(1133)의 반대편으로 지지부재(1131)에 나사 체결된 체결나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131)와 이동부재(11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팽창가스가 충진된다. 충진가스로 질소 가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100)가 장착되어 회전될 때, 베어링(107)의 손상 등으로 인하여 회전하지 않게 되어 컨베이어 벨트와의 사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고 마찰열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어 분사약제가 수용된 수용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온도 상승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여 차단부재(111)가 팽창하게 된다. 축압부재(113)를 구비하는 경우, 지지부재(1131)와 이동부재(11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된 팽창가스도 팽창하여 이동부재(1133)는 지지부재(1131)의 단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분사약제를 가압하다.
그리고 팽창에 의하여 차단부재(111)가 파열되면 분사약제가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반사부재(128)가 구비된 경우,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분사약제는 반사부재(128)에 충돌되어 운동 방향이 전환되어 축방향 내측으로 운동한다. 노즐부재(127)가 구비된 경우, 노즐부재(127)를 통하여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제2 연장부(127b)의 단부로부터 누출되어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100)의 상방으로 뿌려지게 된다. 제2 연장부(127b)가 복수로 분지되어 구비되거나, 노즐부재(127)가 복수로 구비된 경우, 다방향으로 배출된다.
차단부재(111)가 릴리즈 밸브로 이루어진 경우, 압력 상승에 의하여 릴리즈 밸브가 개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분사약제가 소화약제로 이루어진 경우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어 소화 작용이 이루어지며, 형광물질이나 염료가 포함된 경우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침부재(124)를 구비하는 경우 팽창하는 차단부재(111)가 침부재(124)에 접촉하여 파열된다. 한편, 상기 배출공이나 노즐부재(127)에 발생되는 휘슬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소리에 의하여 화재를 경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01: 롤러 본체부
105: 샤프트 111: 차단부재
127: 노즐부재 128: 반사부재

Claims (18)

  1. 외부와 연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중공의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샤프트와,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롤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분사약제와, 상기 분사약제가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배출공을 통하여 분사약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에 형성된 배출공은 샤프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낭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배출공을 차단하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며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축방향으로 배출공 외측에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부재가 구비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분사약제는 반사부재에 충돌되어 축방향 내측으로 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배출공을 차단하는 릴리즈 밸브이며; 상기 분사약제는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며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관체인 노즐부재가 연결되어,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분사약제는 노즐부재를 통하여 안내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8. 중공의 롤러 본체와, 상기 롤러 본체로 삽입되어 구비되며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롤러 본체와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롤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분사약제와, 상기 분사약제가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배출공을 통하여 분사약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낭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낭 형태의 차단부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배출공을 차단하는 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약제는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배출공에 설치되어 배출공을 차단하는 릴리즈 밸브이며; 상기 분사약제는 차단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중공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2.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며 차단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3.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관체인 노즐부재가 연결되어,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분사약제는 노즐부재를 통하여 안내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4.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배출공보다 축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부재가 구비되어, 차단부재의 차단 기능이 상실되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분사약제는 반사부재에 충돌되어 축방향 내측으로 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5. 제1 항, 제2 항, 제8 항, 제9 항, 제10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약제는 소화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6. 제1 항, 제2 항, 제8 항, 제9 항, 제10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약제는 염료나 형광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7. 제1 항, 제2 항, 제8 항, 제9 항, 제10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약제는 소화약제와 염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18. 제1 항, 제2 항, 제8 항, 제9 항, 제10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휘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KR1020140109558A 2014-08-22 2014-08-22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KR10204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58A KR102048376B1 (ko) 2014-08-22 2014-08-22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58A KR102048376B1 (ko) 2014-08-22 2014-08-22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430A Division KR101509217B1 (ko) 2013-04-24 2013-04-24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280A true KR20140128280A (ko) 2014-11-05
KR102048376B1 KR102048376B1 (ko) 2019-11-26

Family

ID=5245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558A KR102048376B1 (ko) 2014-08-22 2014-08-22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517B1 (ko) * 1992-09-18 1994-10-14 조정환 정전력형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KR20060073875A (ko) * 2004-12-24 2006-06-2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이어의 화재 예방 시스템
KR20070008037A (ko) * 2005-07-12 2007-01-1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자동소화 장치
US20070062785A1 (en) * 2005-09-21 2007-03-22 Werner Todd C Method for Cooling Components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KR20110127877A (ko) 2010-05-20 2011-11-28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KR20130034384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하이텍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517B1 (ko) * 1992-09-18 1994-10-14 조정환 정전력형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KR20060073875A (ko) * 2004-12-24 2006-06-2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이어의 화재 예방 시스템
KR20070008037A (ko) * 2005-07-12 2007-01-1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자동소화 장치
US20070062785A1 (en) * 2005-09-21 2007-03-22 Werner Todd C Method for Cooling Components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KR20110127877A (ko) 2010-05-20 2011-11-28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KR20130034384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하이텍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76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0248T3 (es) Instalacion de extincion de incendios, cabezal rociador.
CN101072605B (zh) 用于增加灭火瓶中加压气体的效率的装置
RU24938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енной герметичности для выброса текучей среды
US20170043743A1 (en) Gas generator
US8939225B2 (en) Inflator-based fire suppression
RU2595990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й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4097701B2 (ja) 爆発抑制剤散布ノズル
KR101509217B1 (ko)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US9827943B2 (en) Rupturable plate and inflator using same
KR20140053983A (ko) 전기 자동차의 자동소화장치
KR101719492B1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KR20140128280A (ko)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BR112012008725B1 (pt)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atenuação de chama para sistema de material combustível
JP6350844B2 (ja) 噴射機能を有するコンベア用ローラー
KR101778238B1 (ko) 자립형 소화장치
FR2906007A1 (fr) Systeme de protection pour maitriser les fuites de liquide de brides de tuyauterie
KR20150053867A (ko) 가스계 및 액체계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자동 분사되는 소화기구
KR101126543B1 (ko) 공기의 팽창압력에 의한 분말 소화장치
JP2008051442A (ja) 薬剤散布容器
CN113941112A (zh) 一种非贮压自探测灭火器
KR20180003174A (ko) 압축 가스를 이용하는 방폭 벽
CN216908975U (zh) 一种非贮压自探测灭火器
JP2725232B2 (ja) エアゾール噴出弁の安全弁機構によるエアゾール容器の爆発防止装置
KR200233081Y1 (ko) 소화약제용기용 개폐밸브
KR20100009178U (ko) 노즐 회전형 분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