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945A -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945A
KR20140127945A KR20130046157A KR20130046157A KR20140127945A KR 20140127945 A KR20140127945 A KR 20140127945A KR 20130046157 A KR20130046157 A KR 20130046157A KR 20130046157 A KR20130046157 A KR 20130046157A KR 20140127945 A KR20140127945 A KR 20140127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duct
advertisemen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웅
변지원
Original Assignee
그린베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베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베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945A/ko
Publication of KR2014012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신청한 사용자들의 보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배포할 사용자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사용자에게 광고 상품을 배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은 회원 데이터베이스부, 상품 데이터베이스부, 선정부 및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Advertisement product based on user request}
본 발명은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신청한 사용자들의 보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배포할 사용자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사용자에게 광고 상품을 배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동시에 다수의 소비대중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의 존재를 알려 판매를 촉진하는 일종의 설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즉, 광고는 글/그림/사진/도안/영상/소리 등의 표현메시지를 신문/잡지 등의 인쇄매체, 라디오/TV 등의 전파매체, 그 외에 각종 전시회(exhibition), 옥외광고, 교통광고, POP광고, 영화 슬라이드, 직접우편(direct mail; DM), 노블티, 신문삽입광고, 카탈로그 등 다양한 전달매체를 이용하여 광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IT 기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시간과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홍보할 수 있는 모바일 광고 방법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 제2012-0109952호 "모바일 컨텐츠 광고 시스템 및 모바일 컨텐츠 광고 방법"은 제공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유 컨텐츠 정보 및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수단과, 상기 컨텐츠 및 상기 고유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수단 및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코드에 상응하는 고유 컨텐츠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고유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수단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함으로써 광고 및 홍보 컨텐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광고 및 홍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제시한다.
하지만 위 선행기술은 분산환경에 있는 장치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광고 및 홍보 컨텐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컨텐츠 수신의 실시간 성능이 향상되어 광고 및 홍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므로 광고 공간의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모바일 기기에 능숙하지 않은 고령층보다는 모바일 기기에 능숙한 젊은층에게 편중되어 광고 효과를 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인 소비자가 입고 다니는 상품에 광고를 접목시켜 상품을 광고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공간에 제약 받지 않으면서 광고 홍보를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광고 활동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인 광고 홍보를 유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 제2012-0109952호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입고 다니는 상품을 광고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제약 받지 않으면서 실생활에서 광고 노출을 극대화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입고 돌아다님으로써 쉽게 광고를 노출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레이티브한 광고 티셔츠를 제작함으로써 한번의 광고 노출로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광고 활동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인 광고 홍보를 유도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고를 하고 싶어하는 광고주들에게 직접 제안을 받는 것 뿐만 아니라 광고주에게 직접 디자인한 브랜드 광고를 제안함으로써 역경매를 통한 광고주 영입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SNS를 통해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언론홍보 효과를 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은 회원 데이터베이스부, 상품 데이터베이스부, 선정부 및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부는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는 판매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선정부는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신청 가능한 상품 중 상기 상품을 선택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선정부에서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상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제공된 보상 점수 또는 추첨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방법은 회원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선정단계 및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판매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선정단계는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신청 가능한 상품 중 상기 상품을 선택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상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정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제공된 보상 점수 또는 추첨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입고 다니는 상품을 광고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제약 받지 않으면서 실생활에서 광고 노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입고 돌아다님으로써 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이티브한 광고 티셔츠를 제작함으로써 한번의 광고 노출로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광고 활동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인 광고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광고를 하고 싶어하는 광고주들에게 직접 제안을 받는 것 뿐만 아니라 광고주에게 직접 디자인한 브랜드 광고를 제안함으로써 역경매를 통해 광고주를 영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SNS를 통해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언론홍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도1의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노출 영상을 기반으로 한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도1의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노출 영상(포토존)을 기반으로 한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사진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는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7은 사진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 추출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1 내지 도4는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의 광고 활동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1의 시스템에서 설명한 보상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보상 받은 회원의 보상점수를 이용함으로써 회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회원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도1의 시스템은 상품을 신청한 사용자에게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품을 전달하고, 상기 상품을 수령한 사용자의 활동 사항(상품의 노출)에 따라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른 도5의 시스템(본 발명)은 도1에서 사용자의 활동 사항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상이 지급되면, 상품 신청 시 상기 지급된 보상(점수 또는 적립금)을 이용함으로써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1의 시스템을 도5에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광고가 부착된 상품은 옷, 바지 외에도 가방, 모자, 악세서리 등 신체에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모든 물건에 대해 적용 가능하며, 의식주 등에 관련된 상품 등 사용자에게 공급 가능한 상품이라면 그 종류를 가리지 않고, 어떤 형태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광고가 부착된 상품은 상기 상품에 광고가 표현될 수 있도록 인쇄, 자수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광고를 새긴 상품을 뜻한다.
우선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개인정보 수신부(110), 식별정보 생성부(120), 데이터베이스(130),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 판단부(150) 및 추출부(160)를 포함한다.
개인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이름, 나이, 주소 및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한하여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신청할 자격이 주어지며, 신청자에 한하여 상품이 보급된다. 차후에 사용자들이 상품을 입고 광고를 홍보한 활동사항 등을 점수제로 구성하여 일정 점수 이상의 회원에 대해서는 상품 배포 시 우선권 부여의 혜택이 주어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우선권은 소액결제를 통해 회비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활동사항에 따른 혜택은 점수제 또는 우선권 부여 혜택 외에도 제휴 매장의 할인, 일정 금액 적립 또는 쿠폰 지급 등의 혜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쿠폰은 커피숍, 식당, 카페 등과 제휴를 통해 포인트 소멸 및 적립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품을 얼마나 입고 돌아다녔는지 또는 외부에 노출을 얼마나 했는지와 같은 사용자들의 광고 활동 정도는 제휴 매장에서 찍힌 바코드 정보를 이용해 위치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알 수도 있고, 또는 SNS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상품을 입고 찍은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을 게시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등록한 주소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활동에 의해 수신된 바코드 정보 또는 영상 정보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활동 거리를 추출함으로써 점수제 등과 같은 혜택을 줄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활동한 경우, 그만큼 먼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본 발명의 상품을 외부에 많이 노출했다고 보기 때문에다.
식별정보 생성부(120)는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상품의 식별정보는 배포된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현황 또는 상품을 이용한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식별정보의 구성은 광고코드, 제작일, 배포일, 관리번호 등의 구분자를 가지며, 상기 구분자는 관리번호 정책에 따라 유일하게 구성된다. 예로 구분자는 K20013100320GV1001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정보는 광고가 부착된 상품에 바코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 생성부(120)는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데이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품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특정 이미지(예를들면 로고)를 식별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벤트(상품 신청)를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로 감지된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생성된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한 광고사의 티셔츠가 50개의 수량이 있을 경우,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로부터 선착순 50명을 신청받는다. 그리고 식별정보 생성부(120)은 티셔츠 50개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생성된 50개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처음부터 순서대로 선착순 50명을 매칭시킨 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매칭된 정보에 맞게 본 발명의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포하며, 사용자의 활동사항에 따른 보상 여부는 사용자의 노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판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30)는 노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포토존의 이미지 및 위치정보를 저장해둔다. 이는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한 노출 영상이 포토존에서 찍은 영상일 경우, 상기 영상으로부터 포토존의 이미지 추출만으로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다.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사항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부착된 광고의 노출을 입증할 수 있는 노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는 상기 사용자가 타 사업자와 제휴된 매장을 방문함으로써 상품에서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노출 데이터로써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SNS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노출한 영상(사진 또는 동영상)을 노출 데이터로써 수신한다.
이러한 노출 데이터는 사용자가 상품을 입고 외부 활동을 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가장 큰 장점인 상품에 광고를 접목시켜 상품을 광고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실생활에서 광고 홍보가 쉽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판단부(150)는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한 노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50)는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한 노출 데이터가 제휴 매장으로부터 수신한 바코드 정보일 경우, 상기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보상 여부를 판단하고, 추후에 데이터베이스(130)에 일치하는 정보가 확인되면, 제휴 매장에서 즉시 할인 또는 사용자에게 적립금 지급과 같은 혜택을 줄 수 있다.
또한, 판단부(150)은 추출부(160)를 포함하며, 추출부(160)는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한 노출 데이터가 영상(사진 또는 동영상)일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이미지(로고 또는 포토존)를 추출한다. 판단부(150)는 추출부(160)에서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보상 여부(적립금 또는 할인 등)를 판단한다.
이때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한 영상이 포토존에서 찍은 영상일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30)에는 상기 포토존의 특정 이미지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영상으로부터 포토존의 이미지 추출만으로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고 서비스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우선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수령한 사용자에 대하여 타겟 이벤트를 시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명이 모여 사진을 찍은 경우,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영상에서는 특정 이미지(로고)가 3개 추출되며, 4명이 모여 사진을 찍은 경우, 상기 영상에서는 특정 이미지(로고)가 4개 추출된다. 이 때 추출 개수에 따라 혜택의 차별화를 두어 1개 보다는 3개가, 3개 보다는 4개가 추출되었을 때 더 좋은 혜택을 줄 수 있다. 또한 2명이 모이면 20%적립, 3명이 모이면 30% 적립 등으로 이벤트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수령한 사용자가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었을 경우, 포토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인근 지역에 위치한 제휴점의 할인 쿠폰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리가 흔히 일상에서 접하는 상품에 광고를 접목시키기 때문에 평범한 디자인 보다는 머릿속에 한번에 각인될 수 있는 개성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따라서 광고 디자인 경영대회를 개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다양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공모 받을 수 있다. 이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투표권을 발행하여 투표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일정 혜택을 주도록 하고, 또한 투표에서 1등으로 선정된 디자인은 해당 공모자에게 일정 광고 수수료를 지급하도록 한다. 이처럼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기존 고객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야별(통신사, 금융사, 보험사 등) 광고 마켓 서비스를 진행함으로써 광고주를 영입할 수 있다. 이는 광고주에게 광고시안을 제안받는 것이 아니라 기업체들의 광고 담당자에게 직접 제작한 광고시안 및 아이디어를 보여줌으로써 광고 가격을 경매를 통해 결정할 수 있도록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업체 선정도 광고 마켓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차후 자체 브랜드화를 구상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1을 기반으로 한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에 따른 보상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S210은 개인정보 수신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름, 나이, 주소 및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한하여 광고가 부착된 상품의 신청 자격이 주어지고, 신청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보급한다. 또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의 보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단계S220은 식별정보 생성부(120)에서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상품의 식별정보는 배포된 상품을 수신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현황 또는 상품을 이용한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식별정보의 구성은 광고코드, 제작일, 배포일, 관리번호 등의 구분자를 가지며, 상기 구분자는 관리번호 정책에 따라 유일하게 구성된다. 예로 구분자는 K20013100320GV1001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정보는 광고가 부착된 상품에 바코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 생성부(120)는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데이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품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특정 이미지(예를들면 로고)를 식별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고가 부착된 상품은 옷 외에도 바지, 가방, 악세서리 등의 패션잡화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단계S230은 사용자로부터 이벤트(상품 신청)를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로 감지된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에게 보급할 상품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한 광고사의 티셔츠가 50개의 수량이 있을 경우,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로부터 선착순 50명을 신청받는다. 그리고 식별정보 생성부(120)은 티셔츠 50개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생성된 50개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처음부터 순서대로 선착순 50명을 매칭시킨 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매칭된 정보에 맞게 본 발명의 상품을 사용자에게 배포하며, 사용자의 활동사항에 따른 보상 여부는 사용자의 노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판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제휴 매장의 위치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단계S240은 사용자가 제휴 매장을 방문함으로써 상품에서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240은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상기 바코드 정보를 노출 데이터로써 수신하며, 이를 이용해 사용자가 상품을 이용해 외부 활동을 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식별정보가 담긴 바코드 정보 외에 제휴 매장의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단계S250은 단계S240에서 수신한 바코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할인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60은 바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제휴 매장의 할인을 제공하거나 또는 일정 금액을 적립해 준다. 그 외 다른 보상으로는 상품 배포 시 우선권 부여 또는 쿠폰 지급 등의 보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정보로 제공한 위치정보(주소)와 상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 제휴 매장의 위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거리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보상을 줄 수 있다. 이는 측정된 거리가 멀수록 외부에 광고를 노출한 시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10km당 포인트 10점 지급"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먼 거리를 이동한 사용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
도3은 도1의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노출 영상을 기반으로 한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3의 단계S230까지는 도2의 단계S210 내지 단계S230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310은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노출한 영상(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영상은 노출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하며, SNS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상품을 입고 찍은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학 동호회 또는 카페 동아리 모임에서 찍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개인 블로그나 SNS를 통해 게시함으로써 노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320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이미지를 추출한다.
상기 특정 이미지는 식별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로는 디자인 형상 또는 기업 로고가 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식별정보 생성부(120)에서 광고사 동서식품, 제조일 20130105, 배포일 2013.0326, 로고이미지 등의 정보를 배포된 상품의 식별정보로 생성한 후 사용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있고, 상품을 수령한 사용자가 상기 상품을 입고 찍은 사진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을 경우, 추출부(160)는 상기 사진에서 해당 로고 이미지를 특정 이미지로 추출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 추출을 위해서는 영상 분석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영상 분석 방법에 따라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분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단계S330은 판단부(150)에서 추출한 특정 이미지 및 사진을 게시할 때 등록된 사용자 정보 등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추출한 정보에 따라 보상을 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주는 보상은 노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등급별로 다른 혜택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출 데이터가 사진인지 동영상인지, 개인 블로그에 올린 것인지 특정 카페에 올린 것인지, 또는 영상에서 추출된 특정 이미지(로고)가 몇 개인지, 즉 광고가 부착된 상품을 몇 명이 모여 함께 찍었는지에 따라 등급을 매김으로써 그에 따라 적립금 또는 쿠폰 등의 보상 혜택을 줄 수 있다.
도4는 도1의 일 실시예로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노출 영상(포토존)을 기반으로 한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4의 단계S230까지는 도2의 단계S210 내지 단계S230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410은 특정 지역에 설치된 포토존에서 찍은 노출 영상(사진 또는 동영상)을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다.
단계S410은 단계S310에서 상품을 노출한 영상을 수신한다는 점이 같지만, 단계S410는 상품을 입고 포토존에서 찍은 영상일 경우로 예를 든다.
단계S420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이미지(로고 또는 포토존) 추출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다. 이는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상기 포토존의 식별 이미지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포토존의 이미지 식별만으로도 위치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단계S430은 단계S420에서 추출한 정보에 따라 보상을 해주는 단계로, 사용자가 개인정보로 제공한 위치정보(주소)와 상기 포토존의 이미지 추출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거리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보상을 해줄 수 있다. 이는 측정된 거리가 멀수록 외부에 광고를 노출한 시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10km당 포인트 10점 지급"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먼 거리를 이동한 사용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
또는, 포토존에서 찍은 영상을 노출 데이터로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포토존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인근 지역에 위치한 할인 쿠폰 등을 지급할 수도 있다.
도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도6의 사진으로부터 에버랜드 로고(포토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bwin" 로고를 3개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에버랜드 로고 이미지와 에버랜드가 위치한 주소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310"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식별정보로써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도6의 사진에서 추출한 에버랜드 로고(포토존)만으로 사진 속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에버랜드 포토존에서 상품 로고를 3개 추출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인근 지역의 제휴 음식점의 할인 쿠폰 등을 지급할 수 있다.
이상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사용자의 활동 사항에 따른 보상 방법을 기반으로 이하 본 발명의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은 회원 데이터베이스부(170),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 선정부(190) 및 제공부(200)를 포함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부(170)은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개인정보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이름, 나이, 주소 및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가 광고 홍보 활동을 한 경우에는 그에 따라 보상받은 정보(점수, 적립금 등)도 함께 저장한다.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는 판매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되는 상품은 사용자가 신청 가능한 상품이어야 하며,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된 상품정보는 사용자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제공한다. 상기 리스트는 상품 종류별, 브랜드별, 날짜순 등으로 정렬될 수 있다.
선정부(19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된 신청 가능한 상품 중 상기 상품을 신청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즉, 사용자가 상품 리스트를 보고 상품을 신청하면, 선정부(190)는 상기 상품을 신청한 사용자들을 기반으로 상품을 제공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이때 사용자를 선정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사용자가 과거에 다른 상품을 입고 활동한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제공된 보상 점수 또는 적립금 등을 이용하여 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품을 선택한 다수의 신청자 중에서 보상 점수를 많이 소지한 사용자(광고 활동을 많이 한 사람)가 선정될 확률이 높은 것이다. 또한, 보상 점수가 없는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무작위 추첨을 통하여 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활동 사항에 따른 보상 제공 방법은 위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공부(200)는 선정부(190)에서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상품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수령한 상품을 이용해 광고활동(SNS에 게시, 매장 방문 등)을 함으로써, 활동 사항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810은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개인정보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이름, 나이, 주소 및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가 광고 홍보 활동을 한 경우에는 그에 따라 보상받은 정보(점수, 적립금 등)도 함께 저장한다.
단계S820은 사용자가 신청 가능한 상품 리스트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신청)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하기 위해선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에 판매자가 광고하는 상품(신청 가능한 상품)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상품 데이터베이스부(180)에 저장된 상품정보는 사용자에게 리스트로 제공되며, 상기 리스트는 상품 종류별, 브랜드별, 날짜순 등으로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계S830은 상품을 선택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품을 제공할 사용자를 선정한다. 이때, 사용자를 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다른 상품을 입고 활동한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제공된 보상 점수 또는 적립금 등을 이용하여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신규 가입자나 광고 활동을 한적이 없는 회원의 경우에는 보상 점수가 없으므로, 무작위 추첨 방식을 이용하여 선정할 수 있다.
단계S840은 단계S830에서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수령한 상품을 이용해 광고활동(SNS에 게시, 매장 방문 등)을 함으로써, 활동 사항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110: 개인정보 수신부 120: 식별정보 생성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노출 데이터 수신부
150: 판단부 160: 추출부
170: 회원 데이터베이스 180: 상품 데이터베이스
190: 선정부 200: 제공부

Claims (5)

  1. 개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부;
    판매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신청 가능한 상품 중 상기 상품을 선택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선정부에서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상품을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제공된 보상 점수 또는 추첨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3.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를 회원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판매자가 광고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신청 가능한 상품 중 상기 상품을 선택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하는 선정단계; 및
    상기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상품을 제공하는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광고 활동을 기반으로 제공된 보상 점수 또는 추첨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수령할 사용자를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방법.
  5. 상기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46157A 2013-04-25 2013-04-25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157A KR20140127945A (ko) 2013-04-25 2013-04-25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157A KR20140127945A (ko) 2013-04-25 2013-04-25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45A true KR20140127945A (ko) 2014-11-05

Family

ID=5245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157A KR20140127945A (ko) 2013-04-25 2013-04-25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087A (ko) * 2015-01-23 2019-05-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온라인 제품 예약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087A (ko) * 2015-01-23 2019-05-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온라인 제품 예약 시스템
US10621644B2 (en) 2015-01-23 2020-04-14 Nike, Inc. Online product reservation system
KR20200104937A (ko) * 2015-01-23 2020-09-0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온라인 제품 예약 시스템
KR20210091359A (ko) * 2015-01-23 2021-07-2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온라인 제품 예약 시스템
US11087378B2 (en) 2015-01-23 2021-08-10 Nike, Inc. Online product reserv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7950B2 (en) Generation online e-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transform scattered assets data on the internet into centralized assets data and generate my assets ratings for internet users
Clow Integrated advertising, promotion and marketing communications, 4/e
CN105205702A (zh) 基于消费模式推送靶向广告的方法及系统
TW200945232A (en) Ubiquitous intent-based customer incentive scheme
CN102859545A (zh) 能够使相关的产品数据和交易执行相关联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2008415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ntent management for printing on media
US20150142585A1 (en) Internet affiliate network marketing system and method with associated computer program
US20160086221A1 (en) Purchase incentive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140127602A (ko) 모바일 광고 리워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0140A (ko) 스마트폰용 쿠폰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599A (ko) 리워드를 이용한 광고 상품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60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186787A (ja) 再構成可能な個人物品及びターゲットを定めて配信されるモバイル広告を可能にするために用いる加入ベースのシステム
CN108109014B (zh) 一种营销系统
KR100870785B1 (ko) 온라인상에서의 맞춤형 쿠폰 연계 마케팅 방법 및 그시스템
Abd Razak et al. Seven unique differentiation strategies to online businesses: a comprehensive review of Malaysia airline system (MAS)
KR20140127945A (ko) 사용자 신청 기반 광고 상품 배포 시스템 및 방법
Elverina et al. Digitalization of fashion: A case study on digital marketing strategy of modest fashion company during pandemic
US20150126226A1 (en) Wearable articles identification
JP6160230B2 (ja) 広告システム
KR101466216B1 (ko) 광고중개서버 및 광고중개방법
KR101633894B1 (ko) 소셜 커머스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90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Visual Content Delivery
KR20140122313A (ko) 상품 식별정보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944A (ko) Sns 기반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