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489A -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489A
KR20140127489A KR1020130045863A KR20130045863A KR20140127489A KR 20140127489 A KR20140127489 A KR 20140127489A KR 1020130045863 A KR1020130045863 A KR 1020130045863A KR 20130045863 A KR20130045863 A KR 20130045863A KR 20140127489 A KR20140127489 A KR 2014012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microphone
user
headset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래
Original Assignee
박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래 filed Critical 박춘래
Priority to KR102013004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489A/ko
Publication of KR2014012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9Arrangements to adapt hands free headphones for use on both 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에 있어서,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바에 연장 형성되어 마이크를 감싸도록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을 구현하여,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마이크와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된 입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음을 차단시키면서도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MOUTH MASK FOR HEADSET AND HEADSET WITH THE MOUTH MASK}
본 발명은 헤드셋(heads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셋에 있어서,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바에 연장 형성되어 마이크(mic)를 감싸도록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을 구현하여,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마이크와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된 입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음을 차단시키면서도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은 머리의 중앙이나 뒤쪽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수화부와 송화부가 형성된 헤드폰 모양의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헤드폰의 모양으로 양쪽 귀에 접촉되는 수화부와 헤드폰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쪽으로 연장 형성된 마이크 등의 송화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헤드셋은 송화부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가 형성된 헤드폰의 형태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어, 상대방과 통화하는 동안에도 메모 등과 같은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헤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헤드셋은 머리에 지지하는 헤드밴드(head band)(10)의 양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가이드암(12)의 단부에 수화부로 사용되는 스피커부(14)를 갖추고, 이 스피커부(14)의 일측으로부터 연결바(24)로 연결된 마이크(16)를 갖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헤드셋은 전화기의 송화부에 해당하는 마이크가 공간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음성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까지도 통화 상대자에게 전해지므로 통화 상대자가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히 전달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헤드셋의 마이크에서의 문제점은 특히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이 헤드셋을 착용하고 전화를 통해 물건을 판매하거나 상담을 수행하는 장소에서는 주변의 다른 사용자의 음성 등이 잡음으로 작용하여 통화 상대자와 상담을 진행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1-0089026호(공개일자 2011년 08월 04일)에는 얼굴 부착물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바에 연장 형성되어 마이크를 감싸도록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을 구현하여,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마이크와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된 입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음을 차단시키면서도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으로서, 사용자 머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감싸는 밴드의 양단 또는 일단에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입가리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입가리개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으로서, 사용자 머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감싸는 밴드의 양단 또는 일단에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는 마이크와, 일측에 상기 연결바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패턴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입가리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상기 입가리개의 하부에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와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상기 입가리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에 상기 입가리개를 고정 지지대 위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 지지대 위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대는, 책상 또는 칸막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입가리개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삽입패턴을 통해 상기 입가리개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패턴은, 상기 입가리개의 옆면 또는 밑면의 일측에 구멍 형태로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마스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재질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셋용 입가리개로서, 마이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패턴이 형성된 입가리개와, 일측은 상기 입가리개와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입가리개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가리개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패턴은, 상기 입가리개의 옆면 또는 밑면의 일측에 구멍 형태로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입가리개와 탈부착 가능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셋용 입가리개로서, 마이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패턴이 형성된 입가리개와, 일측은 상기 입가리개와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입가리개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입가리개가 상기 고정 지지대 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헤드셋에 있어서,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바에 연장 형성되어 마이크를 감싸도록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을 구현하여,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마이크와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된 입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음을 차단시키면서도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헤드셋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을 장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의 삽입패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드셋은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헤드셋에서와 같이 머리에 지지하는 헤드밴드(10)의 양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가이드암(12)의 단부에 수화부로 사용되는 스피커부(14)와, 이 스피커부(1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24)와 연결바(24)에 연결된 마이크(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헤드셋에서는 마이크(16)가 공간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음성 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음까지도 통화 상대자에게 전해지므로 통화 상대자가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히 전달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셋에서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결바(24)에 마이크(16)를 감싸도록 하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의 입가리개(200)를 형성시킨다.
이때, 위와 같은 연결바(24)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방향과 모양으로 휘어질 수 있고,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기설정된 일정 형태의 고정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입가리개(200)는 연결바(24)에 의해 지지되어 입가리개(200)의 내측 중앙부위에 마이크(16)가 위치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면서 마이크(16)을 감싸도록 하는 반타원형, 반원형, 사각형 형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가리개(200)는 마스크(mask)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재질 또는 종이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가리개(200)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오픈된 개구부가 사용자의 피부 등에 닿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개구부의 표면에 스폰지 등과 같은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헤드셋을 구성하는 요소 중 스피커부(14)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주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머리위에 착용하는 헤드밴드(10)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헤드밴드(10)는 설명을 위한 예로써 도시한 것일 뿐, 헤드밴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머리의 뒤쪽에 착용할 수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헤드셋을 구성하는 요소 중 스피커부(14)는 도 2에서는 헤드밴드(10)의 양단부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스피커는 필요에 따라 헤드밴드(10)의 양단부 중 일단 즉,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이 사람 등의 사용자에 착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바(24)에 연장 형성되는 입가리개(200)가 구현된 헤드셋을 착용하는 경우, 입가리개(200)를 이용하여 마이크(16)와 사용자의 입(202)이 가려지도록 할 수 있어 주변의 소음은 차단시키면서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16)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드셋은 머리에 지지하는 헤드밴드(10)의 양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가이드암(12)의 단부에 수화부로 사용되는 스피커부(14)와, 이 스피커부(1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24), 그리고 연결바(24)에 연결된 마이크(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바(24)에 연결되는 마이크(16)를 감싸도록 하는 입가리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가리개(200)는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마이크(16)를 입가리개(20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가리개(200)의 옆면 또는 밑면에 연결바(2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600, 601) 또는 삽입홈(602) 등과 같은 삽입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입가리개(2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는 달리 연결바(24)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4 또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책상 등과 같은 고정 지지대(450, 452)에 연결되는 연결부(400)에 연결되어 고정 지지대(450, 452)와 연결부(400)를 통해 지지받을 수 있도록 헤드셋과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400)는 책상 등의 고정 지지대(450)를 통해 사용자의 아래쪽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칸막이 등의 고정 지지대(452)를 통해 사용자의 옆쪽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연결부(4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방향과 모양으로 휘어질 수 있고,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기설정된 일정 형태의 고정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400)는 고정 지지대(450, 452)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 지지대(450, 452)의 상부에 연결부(400)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도시하지 않음)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400)는 입가리개(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결부(400)에 입가리개(2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400)는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가리개(200)가 연결되는 반대편 끝쪽에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받침대 등과 같은 거치부(70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700)는 입가리개(200)와 연결된 연결부(400)가 고정 지지대(450)의 상부에서 세워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 지지대(450, 452)에 고정된 형태의 입가리개(200) 또는 고정 지지대(450) 위에 이동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입가리개(200)를 이용하여 입가리개(200)의 삽입패턴을 통해 헤드셋의 마이크(16)를 입가리개(20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시킨 후, 상대방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셋에 있어서, 마이크가 연결되는 연결바에 연장 형성되어 마이크를 감싸도록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을 구현하여,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마이크와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된 입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음을 차단시키면서도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 : 헤드밴드 12 : 가이드암
14 : 스피커부 16 : 마이크
24 : 연결바 200 : 입가리개
400 : 연결부 450, 452 : 고정 지지대
500, 501 : 삽입구 502 : 삽입홈
700 : 거치대

Claims (20)

  1. 사용자 머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감싸는 밴드의 양단 또는 일단에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입가리개
    를 포함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입가리개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4. 사용자 머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감싸는 밴드의 양단 또는 일단에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는 마이크와,
    일측에 상기 연결바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패턴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와 상기 사용자의 입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입가리개
    를 포함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상기 입가리개의 하부에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와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상기 입가리개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에 상기 입가리개를 고정 지지대 위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 지지대 위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는,
    책상 또는 칸막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입가리개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삽입패턴을 통해 상기 입가리개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패턴은,
    상기 입가리개의 옆면 또는 밑면의 일측에 구멍 형태로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마스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재질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가리개를 가지는 헤드셋.
  16. 마이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패턴이 형성된 입가리개와,
    일측은 상기 입가리개와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입가리개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가리개는,
    사용자의 입 쪽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패턴은,
    상기 입가리개의 옆면 또는 밑면의 일측에 구멍 형태로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입가리개와 탈부착 가능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
  20. 마이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패턴이 형성된 입가리개와,
    일측은 상기 입가리개와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입가리개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입가리개가 상기 고정 지지대 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헤드셋용 입가리개.
KR1020130045863A 2013-04-25 2013-04-25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KR20140127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63A KR20140127489A (ko) 2013-04-25 2013-04-25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63A KR20140127489A (ko) 2013-04-25 2013-04-25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489A true KR20140127489A (ko) 2014-11-04

Family

ID=5245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63A KR20140127489A (ko) 2013-04-25 2013-04-25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4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71Y1 (ko) * 2017-07-25 2018-08-16 (주)케이티씨에스 음성 증폭 수단
WO2019212166A1 (ko) * 2018-04-30 2019-11-07 Lee Sung Soo 방음이 가능한 음향 마이크 장치
US11330353B1 (en) 2021-03-09 2022-05-10 Chris Perkins Enterprises LLC Dual-arm radio heads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71Y1 (ko) * 2017-07-25 2018-08-16 (주)케이티씨에스 음성 증폭 수단
WO2019212166A1 (ko) * 2018-04-30 2019-11-07 Lee Sung Soo 방음이 가능한 음향 마이크 장치
US11330353B1 (en) 2021-03-09 2022-05-10 Chris Perkins Enterprises LLC Dual-arm radio head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3065A (en) Accessory communication device for telephone sets
KR100668033B1 (ko) 헤드셋용 헤드밴드
JP4118934B2 (ja) メガネ型通信装置
KR101853248B1 (ko)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EP1130880A1 (en) Headset and head support for headset.
DE60204872D1 (de) Ohrenschützer mit kopfhörer
JP2010157974A (ja) 骨伝導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セット
EP1472944A3 (en) Ear protector for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id ear protector
JP2001320790A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受話装置
KR20010053399A (ko) 골전도 스피커가 부착된 모바일 통신장치
EP1995988A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bone conduction device on eyeglasses
JP2017502617A (ja) ウェアラブル電子装置
US8611580B2 (en) Cheek stabilizer for audio headset
KR20140127489A (ko) 헤드셋용 입가리개와 헤드셋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KR101693442B1 (ko)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JP2001211491A (ja) イヤホンマイク
JPH1188973A (ja) 骨伝導音声利用の通話装置
KR102661793B1 (ko) 마스크 고정 장치
JP3227461U (ja) フェイスガード
JP7307258B1 (ja) 頭部装着具およびマスク
RU190133U1 (ru) Наушник
KR102302677B1 (ko) 헤드셋
PL218675B1 (pl) Słuchawki nauszne
KR200384767Y1 (ko) 탈부착식 마이크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