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379A - 스트립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379A
KR20140127379A KR1020130029873A KR20130029873A KR20140127379A KR 20140127379 A KR20140127379 A KR 20140127379A KR 1020130029873 A KR1020130029873 A KR 1020130029873A KR 20130029873 A KR20130029873 A KR 20130029873A KR 20140127379 A KR20140127379 A KR 2014012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ip
mounting space
fram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851B1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2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철소에서 압연공정 등의 연속라인 공정에 사용되는 기술로 롤교환, 설비수리 및 기타 작업 등으로 스트립 절단 후 스트립 통판, 이동 조깅(Jogging) 작업시 스트립 엔드부의 연결을 위한 스트립 연결 장치에 있어서, 이격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주보고 위치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스트립을 고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STRIP}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압연공정 등의 연속라인 공정에 사용되는 기술로 롤교환, 설비수리 및 기타 작업 등으로 스트립 절단 후 스트립 통판, 이동 조깅(Jogging) 작업시 스트립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롤에 감겨있는 판 형태의 스트립을 롤 교환이나 경로 변경을 하기 위하여 절단한 후 통판, 스트립 이동 작업을 위해 연결시켜 연속적으로 감기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트립 엔드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냉연공정에는 도금공정의 전기도금을 하기 위한 설비가 마련되어 있는바, 그 중에서 주로 롤 교환, 공정 내의 판파단 및 경로변경에 의한 통판 작업이 많은 곳에서 스트립을 절단한 후 롤 교환이나 경로변경과 같은 해당 작업이 끝나면 다시 스트립을 연결하여 통판, 스트립 이동 조깅(Jogging) 작업을 하기 위해 스트립과 와이어 연결 작업을 실시하나 통판 작업시 연결부 두께가 너무 두꺼워 통판시 걸림, 롤 및 설비 손상과 판 터짐 등의 장애 문제와 스트립 엔드부 연결 작업 시간 과다에 따른 작업지연으로 정상적인 라인 작업 지연에 따른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71628호 2011.6.29.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에 스트립 엔드부를 연결하여 통판 조깅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통판시 걸림, 롤 및 설비 손상과 판 터짐 등의 장애 발생을 방지 및 스트립 엔드부 연결작업 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립 연결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주보고 위치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스트립을 고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는 스트립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롤러축이 위치하며, 스트립 삽입시 상기 롤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되어 롤러축을 따라 연속적인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연결 장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연결 장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함께 승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부푸슁축; 상기 상부프레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푸슁축이 삽입되는 상부축구멍;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구멍과 연통되는 상부실장공간; 상기 상부실장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실장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상부고정리미터링; 상기 상부실장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실장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고정리미터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탄성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함께 승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하부푸슁축; 상기 하부프레임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하부푸슁축이 삽입되는 하부축구멍;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축구멍과 연통되는 하부실장공간; 상기 하부실장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실장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하부고정리미터링; 상기 하부실장공간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실장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고정리미터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푸슁축은 복수개이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부푸슁축은 복수개이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연결 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스트립 삽입방향과 나란한 한 측면을 연결해주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고정되어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연결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연결 장치는 스트립 인출시에 연결하우징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의 진행방향에 따라 스트립 엔드부를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교환, 설비수리 및 기타 작업 등으로 스트립 절단 후 스트립 통판, 이동 조깅(Jogging) 작업시 본 발명장치를 이용해 스트립 엔드부 가로방향으로 본 발명장치를 작업자가 인입 전진시켜 스트립 엔드부를 고정시켜 스트립을 통판 조깅(Jogging) 작업 가능하다. 이로써 단시간에 스트립 엔드부를 연결 통판 조깅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통판시 걸림, 롤 및 설비 손상과 판 터짐 등의 장애 발생을 방지하며 스트립 엔드부 연결작업 시간 단축에 따른 정상 라인 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스트립(1) 절단 작업 후 스트립(1) 엔드부를 연결하는 작업에서 발생되는 문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4는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에 폭방향으로 인입 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는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에 폭방향으로 인입 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6은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에 폭방향으로 인입 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에 폭방향으로 인입 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8은 스트립(1) 엔드부가 본 발명장치 내 롤러(50)에 인입된 상태에서 와이어(9)가 인입된 방향의 수직방향인 연결하우징(20)이 위치한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1 내지 도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스트립 통판 외에 다양한 스트립 엔드부에도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로서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부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하부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의 구조는 상부의 구조와 마주보고 대칭되게 구성가능하며, 상부의 구조의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 스트립(1) 절단 작업 후 스트립(1) 엔드부를 연결하는 작업에서 발생되는 문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서와 같이, 종래 이 연결작업은 대체로 방향전환롤(3) 등에서 작업하며 스트립(1) 엔드부를 스트립겹침판(6) 제작 후 스틸밴드플래트(10)를 삽입하게된다. 스틸밴드플래트(10) 중간부에 스트립통판구멍(4)를 용접기 제작하여 스틸밴드(5), 스틸클립(7)를 용접 연결 후 그 후단에 슬링연결대(8), 와이어(9)를 연결하여 작업한다. 이에 따라 통판 작업하는데 있어 연결부 두께가 너무 두꺼워 통판시 걸림, 롤 및 설비 손상과 판 터짐 등의 장애 문제가 생기고, 엔드부 연결 작업 시간 과다에 따른 작업지연으로 정상적인 라인 작업 지연에 따른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2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 연결장치의 상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부의 플레이트(40)의 하부의 중간부 2개소에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반원형 공간(42), 롤러플레이트(56)가 삽입되는 공간 및 롤러축플레이트(54)가 삽입되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반원형 공간(42)에 롤러(50)가 안착될 경우 롤러(50)의 일 부분이 상부의 플레이트(50)하단의 외부로 노출된다. 롤러(50)는 반원형 공간(42)에 삽입되고, 롤러(50)의 중심에는 롤러축(52)이 관통하여 삽입된다.
롤러플레이트(56)와 롤러축플레이트(54)는 롤러(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라(50)가 안착된 반원형 공간(42)의 하부에 설치되어 반원형 공간(42)을 폐쇄하며, 커버링 접시형 볼트에 의해 상부의 플레이트(40)와 연결된다.
푸슁축(68)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상부의 플레이트(4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네 개소에 각각 고정 연결된다. 상부의 프레임(30)에는 푸슁축(68)이 위치하는 네 개소위치에 실장공간(62)이 각각 형성되어 실장공간(62)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각각의 푸슁축(68)은 프레임(30)에 설치된 실장공간(62)의 하부에 연통된 축구멍(67)을 관통하여 실장공간(62)내부에서 고정리미터링(64)과 고정 연결된다. 고정리미터링(64)은 축구멍보다 큰 반경을 가져 플레이트(40)의 하강을 제한한다.
탄성체(66)(예를 들어 코일스프링)는 푸슁축(68)의 상부에 끼워져 커버(60)와 고정리미터링(6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커버(60)는 실장공간(62)의 상부에는 설치되어 실장공간(62) 상부를 폐쇄하며, 접시형볼트에 의해 프레임(30)과 연결된다.
프레임(30)은 플레이트(40)의 승강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승강공간a(70)가 제작되어 있고 프레임(30) 중간부 하부에는 승강공간b(72)가 제작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30)은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되어 상,하 마주보며 위치하며, 이를 연결부(22)가 상부와 하부의 프레임(30)한 쪽 측면을 각각 볼팅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연결부(22)의 프레임(30) 고정된 위치의 반대 측면의 중간부에는 연결하우징(20)이 볼팅 연결된다. 연결하우징(20)은 와이어가 연결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스트립(1)과 스트립 연결장치가 연결된 후 와이어 연결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9)와 연결 가능하다.
도4와 도5는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에 폭방향으로 인입 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과 정면 단면도이다. 도4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교환, 설비수리 및 기타 작업 등으로 스트립(1) 절단 후 스트립(1) 통판, 이동 조깅(Jogging) 작업시 스트립(1) 엔드부 연결을 위해 작업자가 스트립 연결장치를 스트립(1) 엔드부 가로방향으로 인입 전진시키게 된다.
스트립(1)에 인입 전진시 상부와 하부의 롤러(50)에 스트립(1)이 물리며 롤러(50)의 회전이 스트립 연결장치의 인입을 원활하게 한다.
도6과 도7은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에 폭방향으로 인입 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과 정면 단면도이다. 스트립(1)에 스트립연결장치가 인입되는 동시에 플레이트(40)가 스트립(1) 두께만큼 상부로 밀려 올라가며 여기에 연결된 롤러축플레이트(54), 롤러플레이트(56)와 네 개소의 푸슁축(68)이 상부 이동 작용된다.
상부 이동 작용시 푸슁축(68)과 고정연결된 고정리미터링(64)의 상부 이동으로 커버(60)에 의해 지지된 탄성체(66)(예를 들어 코일스프링)가 압축되며, 압축된 탄성체(66)(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고정리미터링(64)을 하부로 눌러주는 압력이 발생된다. 고정리미터링(64)에 전달된 탄성에 의한 압력은 이와 고정 연결된 푸슁축(68)에 전달되고 이는 푸슁축(68)과 고정 연결된 상부의 플레이트(40)를 하부로 미는 압력으로 작용한다.
도8은 스트립(1) 엔드부가 본 발명장치 내 롤러(50)에 인입된 상태에서 와이어(9)가 인입된 방향의 수직방향인 연결하우징(20)이 위치한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트립(1)에는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롤러(50)에 의해 롤러(50)의 외권부의 요철 홈줄자국이 생긴다. 스트립(1)에 발생된 홈줄자국에 의해 스트립 연결장치는 스트립(1)에 대하여 도8을 기준으로 좌, 우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전, 후로는 움직이지 않는 클램핑 작용이 발생한다. 클램핑 작용으로 스트립 연결장치가 스트립(1) 엔드부를 연결하여 통판 조깅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스트립 연결장치를 통해 롤교환, 설비수리 및 기타 작업 등으로 스트립(1) 절단 후 스트립(1) 통판, 이동 조깅(Jogging) 작업시 단시간에 스트립(1) 엔드부를 연결하여 통판 조깅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통판시 걸림, 롤 및 설비 손상과 판 터짐 등의 장애 발생을 방지하며 스트립 엔드부 연결작업 시간 단축에 따른 정상 라인 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스트립 9; 와이어 20; 연결하우징
22; 연결부 30; 프레임 40; 플레이트
42; 반원형공간 50; 롤러 52; 롤러축
56; 롤러플레이트 60; 커버 62; 실장공간
64; 고정리미터링 66; 스프링 67; 축구멍
68; 푸슁축 70; 승강공간 a 72; 승강공간 b

Claims (7)

  1. 서로 이격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주보고 위치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스트립을 고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는 스트립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롤러축이 위치하며 상기 스트립 삽입시 상기 롤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인 스트립 연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는 스트립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롤러축이 위치하며 상기 스트립 삽입시 상기 롤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인 스트립 연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함께 승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부푸슁축;
    상기 상부프레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푸슁축이 삽입되는 상부축구멍;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구멍과 연통되는 상부실장공간;
    상기 상부실장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실장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상부고정리미터링;
    상기 상부실장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실장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고정리미터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탄성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함께 승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하부푸슁축;
    상기 하부프레임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하부푸슁축이 삽입되는 하부축구멍;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축구멍과 연통되는 하부실장공간
    상기 하부실장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실장공간을 따라 승강 가능한 하부고정리미터링;
    상기 하부실장공간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실장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고정리미터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푸슁축은 복수개이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부푸슁축은 복수개이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스트립 삽입방향과 나란한 일 측면을 연결해주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고정되어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연결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 장치.
KR20130029873A 2013-03-20 2013-03-20 스트립 연결 장치 KR10149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9873A KR101493851B1 (ko) 2013-03-20 2013-03-20 스트립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9873A KR101493851B1 (ko) 2013-03-20 2013-03-20 스트립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379A true KR20140127379A (ko) 2014-11-04
KR101493851B1 KR101493851B1 (ko) 2015-02-16

Family

ID=5245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9873A KR101493851B1 (ko) 2013-03-20 2013-03-20 스트립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38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23B1 (ko) * 2002-05-29 2008-09-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엔드부 연결장치
KR101171611B1 (ko) * 2010-12-28 2012-08-0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38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연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851B1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2671A (ko) 철판 절단기용 폭 가변 안내장치
KR101493851B1 (ko) 스트립 연결 장치
CN110773618A (zh) 一种用于加工母线槽的冲压机
KR20140109753A (ko) 베어셀의 사이드 테이프 부착 장치
CN204503824U (zh) 一种可减少磨损的热轧卷取机导尺
CN204184993U (zh) 带分条功能的贴合复卷机
CN203900168U (zh) 一种砂光矫直机
CN201120638Y (zh) 薄带料高速冲裁模具防堵料装置
CN106803564B (zh) 一种极片接带工具及极片接带方法
DE202018100420U1 (de)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Kantenstreifen
CN219067497U (zh) 一种防止线路缠绕用电气柜固定支撑架
CN103691830A (zh) 一种冲压成型钢带用活套机构
CN201415222Y (zh) 一种新型气动快速夹紧装置
CN216889349U (zh) 薄膜废边回收装置
CN104400112A (zh) 一种横切双工位快换隔板装置
CN211687592U (zh) 一种收卷机的滑动组件
CN216631682U (zh) 一种直型窄带夹取滑块
CN213880699U (zh) 一种基于机组户外故障实验的实验数据采集装置
KR101722644B1 (ko) 비접촉식 압연유 제거장치
CN205419509U (zh) 智能夹具夹紧保护装置
CN201300148Y (zh) 铜带轧机限位装置
CN212517995U (zh) 一种多功能电气柜
KR20150001092A (ko) 금속 리본 플레이크 처리장치
CN216372549U (zh) 一种锂电池电极材料加工用模切设备
CN214161664U (zh) 一种机床穿孔机打穿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