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876A -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 Google Patents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876A
KR20140124876A KR1020100103230A KR20100103230A KR20140124876A KR 20140124876 A KR20140124876 A KR 20140124876A KR 1020100103230 A KR1020100103230 A KR 1020100103230A KR 20100103230 A KR20100103230 A KR 20100103230A KR 20140124876 A KR20140124876 A KR 2014012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rescue
hatch
accident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찬
Original Assignee
남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찬 filed Critical 남호찬
Priority to KR102010010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876A/ko
Publication of KR2014012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에서 침몰한 잠수함에서 탑승객을 구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잠수함에서 사고잠수함 선체 외부에서 외부열림해치를 연결관을 연결후에 외부열림해치를 외부에서 열어서 해치를 열림후에 사고잠수함에서의 탑승객들을 구조하는 것으로 깊은 바다에서도 구조가 가능하고 한번에 많은 인원을 구조할 수가 있는 특징이 있다.
잠수함, 비상탈출, 심해구조잠수정(DSRV), 외부열림해치, 구조용연결관

Description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omitted}
본 발명은 해저에서 침몰한 사고잠수함에서 인명 구조를 위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해저에서 운행 또는 작업중 사고로 침몰한 잠수함에서 구조잠수함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접속하여 사고잠수함 내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것이다.
해저를 운행하는 이동 수단은 잠수함으로, 특수 목적의 군사용, 관광용의 잠수정 그리고 해저 지질 또는 자원 조사를 위한 탐사 목적의 소형 잠수정이 있다. 육상과는 달리 바닷물이라는 자연적인 제약 요인으로 사람들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해저의 자연 환경에 대한 관광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고, 육상에의 자원 편중의 심화와 자국 이용 우선에 의한 제한으로 해저 자원의 채취 또는 채굴 요구도 증가하고 있어 이는 필연적으로 해저에서의 이동 수단인 잠수함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그것에 따른 안전 사고도 또한 발생이 되고 이에 대한 대책은 이동 수단인 잠수함의 인양은 하지 않고, 우선적으로 탑승객에 대한 구조가 우선이 되는데, 개별 또는 그룹 구조 방식으로서 탑승객 전체에 대한 구조는 극히 일부만 준비되고 있다.
현재 해저 이동 수단의 주된 목적인 특수 용도인 군사목적의 잠수함의 경우 에도 잠수함의 파괴 심도 이내의 깊이에 침몰한 경우에는 탑승객 개별적 또는 그룹으로 탈출을 할 수가 있는 방식이 있지만, 많은 탑승객이 있는 경우에 여러번의 구조 작업을 하여야 한다.
100m 이내의 깊이에서는 자유 탈출이나 개인용 구명조끼를 착용후 탈출, 그 이상의 깊이 150m까지는 DSRV(심해구조잠수정)이나 잠수함에 부착된 구조구를 타고서 탈출을 하여야 한다.
기술의 발달에 의해 잠수함의 잠수 깊이는 더 깊어지고 있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안전 사고의 발생시에 위협도 커지게 된다.
바닷속에서의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수록, 육상의 자원에 대한 고갈과 지역 편중에 따른 해저 자원에 대한 이용 욕구가 증가할수록, 바다속을 움직일수가 있는 잠수함이나 잠수정의 수요는 증가하게 된다.
특수한 용도인 군사용도만의 잠수함과 잠수정만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관광이나 해저 자원 채취 또는 채굴 용도의 잠수함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는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 깊은 곳에서 운행하는 잠수함 또는 잠수정의 안전 사고도 또한 늘어나게 된다.
100m 이내의 깊이에서는 자력이나 개인 탈출 장비의 착용으로 탈출이 가능하고, 150m 정도 깊이에서는 심해구조잠수정(DSRV)나 잠수함 장착의 구조용 구에 탑승한 탈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200m 이상의 깊이에서는 10m 1기압 증가라는 압력의 작용과 깊이에 대한 탈출 상승 시간에 따라 개인이나 그룹의 탈출은 여러 가지 제약적 한계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비상시 탈출에 대한 한계는 특수 용도인 군사 작전 이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에 제한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구조 잠수함에서 사고 잠수함의 비상 탈출구를 연결관으로 연결후에, 비상 탈출구를 특수 장비로 외부에서 열림하여 연결관으로 하여 탑승객이나 작업자들을 구조하는 것이다.
잠수 심도 이상에서도 해저의 특수한 지형에서도 사고 잠수함의 파괴 심도 이내에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구조 잠수함에서 비상 탈출구를 연결관으로 연결할 수가 있고, 비상 탈출구를 외부에서 특수 장비로 열림할수가 있으면, 사고 잠수함내 탑승객들을 구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구조잠수함과 사고잠수함의 연결관 설치 개략도로서, 해저 파괴 심도 이내의 바닥(1)에 사고로 있는 사고잠수함(3)을 구조잠수함(2)에서 연결관(4)으로 외부 열림용 해치(32)에 연결한 모습이다.
연결관(4)은 구조잠수함(2)에서 내려와서 사고잠수함(3)의 선체(31)에 설치된 외부열림용 해치(32)에 자리를 잡으면 1차적으로 구조잠수함(2)에서의 전기의 ON에 의해 도 3의 구조잠수함의 연결관 끝단 사고잠수함과의 접촉부분 단면도에서 와 같이 전기 자석판(12)에 전기의 ON에 의해서 자력이 발생하여 사고잠수함 선체(31)에 연결관(4)의 고정이 된 후에, 구조잠수함(2)에서의 고압 공기가 공기흡입·배출관(11)에서 나와서 연결관(4)내의 유입 바닷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에 연결관(4) 외부의 끝단에 설치된 바닷물 유입 차단 고무커텐(15)도 연결관(4)의 외부로 전개되면서 공기흡입·배출관(11)의 고압공기 흡입시에 연결관(4)으로 유입되려는 바닷물을 차단하게 된다.
1차적으로 연결관(4)을 사고잠수함 선체(31)에 고정시킨 전기 자석판(12)은 공기흡입·배출관(11)과의 사이에 틈이 있어서 고압 공기의 배출에 의해서 고압공기와 함께 연결관(4) 내의 바닷물은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연결관(4)내의 바닷물의 배출이 끝나면, 연결관(4)끝의 바닷물 유입 차단 고무커텐(15)에 의해서 바닷물의 연결관(4)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바닷물의 연결관(4)에서의 배출이 끝나면 공기흡입·배출관(11)은 고압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도 2의 구조잠수함의 연결관 개략도에서와 같이 1차 바닷물 유입 차단 고무막(13)과 2차 바닷물 유입 고무막(14)이 사고 잠수함 선체(31)에 부착되면서 연결관(4)으로 유입되려는 바닷물을 막게 된다.
연결관(4)으로의 유입되려는 바닷물을 바닷물 유입차단 고무커텐(15), 1차바닷물유입 차단고무막(13), 2차 바닷물유입차단 고무막(14)으로 3 단계로 유입 바닷물을 차단하게 된다.
사고잠수함(3)에의 연결관(4)이 외부 열림용 해치(32)에 연결 작업이 끝나면, 구조잠수함(2)에서 특수 공구가 내려와서 해치 외부 연결용 기어(33)가 있는 해치외부열림용기어홈(34)에 특수 공구를 넣어서 해치외부열림용기어(33)를 돌리면, 사고잠수함 연결 비상탈출구(35)을 덮고 있는 외부열림용해치(32)를 움직여서 열게 되는데, 해치외부열림용기어(33)의 원형 수직기어(37)의 회전에 의해서 막대수직기어(36)가 직선으로 움직여 외부열림용해치(32)가 움직이게 되어 사고잠수함(3)의 비상 탈출구가 열리게 되어 내부의 탑승객을 연결관(4)으로 구조잠수함(2)으로 구조하게 된다.
도 1 : 구조잠수함과 사고잠수함의 연결관 설치 개략도
도 2 : 구조잠수함의 연결관 개략도
도 3 : 구조잠수함의 연결관 끝단 사고잠수함과의 접촉 부분 단면도
도 4 : 사고잠수함 설치 해치와 열림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해저 바닥 2. 구조잠수함
3. 사고잠수함 4. 연결관
11. 공기 흡입·배출관 12. 전기 자석판
13. 1차 바닷물유입 차단 고무막 14. 2차 바닷물 유입 차단 고무막
15. 바닷물 유입 차단 고무 커텐
31. 사고잠수함 선체 32. 외부 열림용 해치
33. 해치 외부 열림용 기어 34. 해치 외부 열림용 기어홈
35. 사고잠수함 연결 비상 탈출구 36. 막대 수직 기어
37. 원형 수직 기어

Claims (4)

  1. 수중을 운행하는 잠수함이 있고, 해저에서의 좌초나 사고로 인해 해저에 있는 잠수함의 탑승객을 구조하는 구조잠수함이 있는데, 수중에서 사고잠수함의 선체에 설치된 외부에서 열고 들어갈 수가 있는 해치가 설치되어 있어 사고잠수함의 탑승객을 외부에서 구조할 수가 있는 구조잠수함을 이용한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2. 청구항 1에서, 구조잠수함에 의해 사고잠수함의 외부에서 열수가 있는 해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해치의 열림이 구조잠수함에서의 특수 공구에 의한 회전에 의해서 해치가 열림이 되는 구조잠수함을 이용한 비상탈출구와 탈출 방법
  3. 청구항 1에서, 외부에서 열수 있는 해치가 있는 사고잠수함에서의 해치의 열림전에 구조잠수함에서 연결관이 해치에 연결이 되어 고정이 된 후에, 연결관내의 바닷물을 배출후 공기 흡입에 의한 1, 2차 바닷물유입차단고무막의 사고잠수함에 부착에 의한 고정후에 해치를 열림하는 구조잠수함을 이용한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4. 청구항 3에서, 해치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사고잠수함에의 연결 고정이 1차적으로는 구조잠수함에서의 공급 전기에 의해 자력이 생성, 사고잠수함에 연결관이 자력에 의해서 고정이 되고, 구조잠수함에서의 고압 공기에 의한 방출 압력으로 연 결관내의 유입 바닷물을 배출시키고, 연결관 외부의 바닷물유입차단고무커텐을 외부로 전개시켜 바닷물의 연결관으로의 유입을 막는 구조잠수함을 이용한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KR1020100103230A 2010-10-22 2010-10-22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KR20140124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30A KR20140124876A (ko) 2010-10-22 2010-10-22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30A KR20140124876A (ko) 2010-10-22 2010-10-22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876A true KR20140124876A (ko) 2014-10-28

Family

ID=5199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230A KR20140124876A (ko) 2010-10-22 2010-10-22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8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1145A (zh) * 2017-09-25 2018-02-02 李宏江 深海潜艇与潜艇救援补给的连通阀门
KR20190018979A (ko)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심해구조정용 결합 스커트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구조 방법
CN113955038A (zh) * 2021-12-01 2022-01-2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载人潜水器应急出舱围栏试验工装及其试验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79A (ko)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심해구조정용 결합 스커트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구조 방법
CN107651145A (zh) * 2017-09-25 2018-02-02 李宏江 深海潜艇与潜艇救援补给的连通阀门
CN113955038A (zh) * 2021-12-01 2022-01-2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载人潜水器应急出舱围栏试验工装及其试验方法
CN113955038B (zh) * 2021-12-01 2022-08-26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载人潜水器应急出舱围栏试验工装及其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9249A (zh) 用于从倾覆舰船中疏散人员的系统
CN104890841B (zh) 一种潜艇克服断流层下沉、击穿下沉、沉没快速上浮自救设备
KR20140124876A (ko) 구조 잠수함을 이용한 사고잠수함의 비상탈출구와 탈출방법
US10730596B2 (en) Submarine support ship
KR20140014971A (ko) 구조잠수정용 접합해치를 구비한 소형 수중운항체
KR20120134508A (ko) 조난 구조 신호 장치
KR101732496B1 (ko)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RU2682146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RU2690327C2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 носитель глубоко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CN108891563B (zh) 失事船舶救生系统
CN212373626U (zh) 一种海洋设备用防丢失装置
CN214451742U (zh) 一种拖拽式救援设备
RU2510356C1 (ru) Ограждение спасательных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установленных на подводном носителе
CN103192963B (zh) 提高水上救生装置可靠性的方法及装置
KR20150005500A (ko) 수중 통로를 갖춘 구조선
JP4031475B2 (ja) 救命装置及びその救命装置を備えた救命筏搭載船
RU2787696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отсек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JP2001301686A (ja) 双胴式水中観光船
CN203358852U (zh) 一种具有出入安全门的海底作业仓
CN103587671B (zh) 一种船舶救生筏上的海水淡化设备
KR101615007B1 (ko) 침몰대비 객실 분리시스템이 구축된 여객선
RU149901U1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эксплуатации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в подледных условиях
KR102590603B1 (ko) 잠수함에 적용된 탈출용 챔버
CN205259152U (zh) 一种浮体外置的新型围油栏
CN103224015A (zh) 一种双柱壳双体组合式自救载人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