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840A - 송신기들에 있어서 작은 스퍼들의 축소 - Google Patents

송신기들에 있어서 작은 스퍼들의 축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840A
KR20140124840A KR20147025379A KR20147025379A KR20140124840A KR 20140124840 A KR20140124840 A KR 20140124840A KR 20147025379 A KR20147025379 A KR 20147025379A KR 20147025379 A KR20147025379 A KR 20147025379A KR 20140124840 A KR20140124840 A KR 2014012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term
spur
amplitude
spur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산 산티 아수리
쉬레니크 파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2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보정항 발생기를 포함한다. 보정항 발생기는 보정항을 발생시킨다. 보정항은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의 동적 범위 내에 있는 진폭을 갖는다. 장치는 또한 기저대역 필터를 포함한다. 보정항은, 기저대역 필터가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의 진폭을 근사화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도록 선택된다. 보정항은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Description

송신기들에 있어서 작은 스퍼들의 축소{REDUCTION OF SMALL SPURS IN TRANSMITTERS}
본 출원은, "CORRECTION OF SMALL SPURS IN TRANSMITTERS"로 2012년 2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1/598,13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이와 관련되며, 이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송신기들에 있어서의 작은 스퍼(spur)들의 보정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구축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과의 다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동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 대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의 이용은, 송신 이전에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컨버팅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요구할 수 있다. 게다가, 컨버팅된 아날로그 신호는, 필터들, 증폭기들, 혼합기들 등과 같은 다양한 아날로그 회로를 통해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의 프로세싱 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이 생성될 수 있다. 스퍼들은, 수신기 대역 노이즈를 저하시킬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가 대역-외 방출 사양들(out-of-band emission specifications)을 실패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스퍼 축소 기법들이 존재한다. 몇몇 스퍼 축소 기법들에서, 더 작은 스퍼들은, 신호에 대한 저하 영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축소되지 않고 또는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다. 게다가, 더 큰 스퍼들 만을 제거하는 것은, 여전히 무선 디바이스들이 대역-외 방출 사양들을 실패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작은 스퍼들을 축소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들에 의해 이점들이 실현될 수 있다.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대략적인(coarse)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보정항 발생기(correction term generator)를 포함한다. 보정항은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의 동적 범위 내에 있는 진폭을 갖는다. 장치는 또한, 기저대역 필터를 포함한다. 보정항은, 기저대역 필터가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의 진폭을 근사화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도록, 선택된다. 보정항은 스퍼를 축소시키는데 이용된다. 스퍼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의 동적 범위 미만인 진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 가산하는 디지털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업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퍼는 업컨버터에 의해 송신 신호에 도입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드라이버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퍼는 드라이버 증폭기에 의해 송신 신호에 도입될 수 있다.
보정항은 원하는 보정항 진폭 및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는 스퍼의 주파수에 기초할 수 있다.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스퍼의 진폭에, 대역-외 방출 사양들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들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기초할 수 있다. 보정항의 위상은, 보정항이 스퍼의 진폭을 축소시키도록, 스퍼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보정항의 진폭은, 송신 신호의 진폭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스퍼의 주파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는,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쳐 다수의 보정항들을 발생시켜 그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친 다수의 스퍼들을 축소시킬 수 있다.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또한 설명된다. 방법은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디지털 도메인에서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 가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송신 신호를 컨버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기저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필터는 보정항의 진폭을 축소시킨다. 이 방법은 또한 축소된 보정항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스퍼를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또한 설명된다.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보정항을 발생시키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디지털 도메인에서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 가산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기저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필터는 보정항의 진폭을 축소시킨다. 명령들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축소된 보정항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를 축소시키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보정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디지털 도메인에서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 가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송신 신호를 컨버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기저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기저대역 필터는 보정항의 진폭을 축소시킨다. 장치는 또한 축소된 보정항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이용하기 위한 송신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송신기에서의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 신호 체인과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 사이의 비교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보정항을 이용한 스퍼 축소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을 예시한다.
도 5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해 더욱 상세화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스퍼 주파수 및 스퍼 진폭에 기초하여 보정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기지국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9는, 무선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1은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이용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102)를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송신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04)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서의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송신기(104)는 보정항(118)을 발생시킴으로써 그리고 디지털 도메인에서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 보정항(118)을 가산함으로써 스퍼들을 축소시킬 수 있다. 송신기(104)는 또한 유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고,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 또는 무선 시스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장비(UE),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그리고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무선 디바이스, 무선 모뎀,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PC 카드, 콤팩트 플래시, 외부 또는 내부 모뎀, 와이어라인 폰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0개의, 1개의,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통신 링크 또는 통신 링크에 이용되는 캐리어들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기지국들과 같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102)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이다.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노드 B, 이볼브드 노드 B 등을 지칭할 수 있고,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셀"은, 용어가 이용되는 문맥에 따라, 기지국 및/또는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다중-액세스 시스템)에서의 통신들은, 무선 링크를 통한 송신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 및 단일-출력(SISO) 또는 다중-입력 및 다중 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서 확립될 수 있다.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수의(NT개)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NR개) 수신 안테나들이 각각 장착된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을 포함한다. SISO 시스템들은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MIMO) 시스템의 특정한 경우들이다.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MIMO) 시스템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인 치수들(dimensionalities)이 활용되는 경우,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쓰루풋, 더 큰 커패시티 또는 개선된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일-입력 및 다중-출력(SIMO) 및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MIMO) 둘 다를 활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들 및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송신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는 기저대역 주파수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04)는, 송신 이전에 송신 신호(120)에 도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축소시키는 송신 신호(120)를 획득하기 위해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기(104)는 보정항 발생기(106), 디지털 가산기(108),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 및 기저대역 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04)는 또한 부가적인 아날로그 회로(1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가 송신기(104)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있는 동안,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이 (예를 들어, 아날로그 회로(114)에 의해) 도입될 수 있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송신된 송신 신호(120)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스퍼는, 송신기(104)가 동작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대역에 포함되지 않는(fall outside) 무선 디바이스(102) 내에서 발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의 송신 신호 체인 내에 있는 스퍼는 송신 신호(120)를 간섭할 수 있다. 스퍼는 또한 허위(spurious) 톤, 간섭 톤, 롱 텀 에볼루션(LTE) 4fmod 텀, 허위 방출 또는 출력 방출로 지칭될 수 있다. 스퍼는 또한 주파수들의 범위 내에 다수의 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 내에서의 송신 신호(12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퍼는 무선 디바이스(102) 내의 회로에 의해 송신 신호(120)에 도입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 내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고정 루프(PLL; phase locked loop), 전압 제어 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국부 발진기(LO), 증폭기(예를 들어, 드라이버 증폭기) 또는 다른 아날로그 회로(11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송신 신호(120)에 도입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이, 송신기(104)에 의한 프로세싱 이전에, 예를 들어, 프론트 엔드 회로로부터 또는 무선 디바이스(102)의 수신기에서 도입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무효화(cancel)하거나 또는 축소시키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106)는 송신기(104)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들(118)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정항들(118)은 보정항(118)에 대응하는 주파수들 및 진폭들을 통해 스퍼들을 무효화 또는 축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항(118)은 스퍼와 동일한 주파수 그러나 상이한 위상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보정항(118)은 디지털 도메인의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로 도입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위상 및 진폭을 조절함으로써, 보정항(118) 및 스퍼는 서로를 무효화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106)는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을 갖는 보정항(118)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정항(118)의 주파수 및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팩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항(118)의 주파수는 식별된 스퍼의 주파수에 기초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는 팩터들은, 스퍼의 진폭, 스퍼의 주파수, 기저대역 필터(112)의 필터 경로, 송신기(104)의 사양들, 무선 디바이스(102)의 사양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송신 신호(120)와 축소된 스퍼 사이의 원하는 비율 및 대역-외 방출 사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보정항(118)의 진폭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라 스퍼를 원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보정항(118)의 진폭 및 주파수를 스퍼에 정렬(align)시키는 것에 관련된 다른 팩터들이 또한 보정항(118)의 주파수 및 진폭을 결정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106)는 보정항(118)을 디지털 가산기(108)에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가산기(108)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를 보정항(118)과 조합시킬 수 있다. 디지털 가산기(108)의 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보정항(118)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를 통해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컨버팅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좁은 동적 범위의 디지털 값들을 갖는 대략적인(coarse)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일 수 있다.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들(DAC들)(110)은 무선 디바이스(102)의 비용을 축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가 오직 제한된 범위의 진폭 내에서 디지털 신호들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가 제한된 동적 범위의 동작을 갖는 경우에,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내에 포함되지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일 수 있다.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를 이용할 때, 보정항 발생기(106)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에 포함시키기에 충분히 큰 보정항(118)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제한된 동적 범위에 대해 보상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정항(118)은 송신 신호(120)의 진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진폭, 또는 그보다 약간 작은 진폭일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출력은 기저대역 필터(1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11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원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 이상으로 필터링하거나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보정항(118)은 더 높은 주파수에서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로 가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는 보정항(118)을 필터링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기저대역 필터(112)의 진폭 축소는 (기저대역 필터(112)의 설계로 인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에 의한 보정항(118)의 축소는 예측가능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진폭을 선택함으로써, 기저대역 필터(112)는 스퍼의 진폭에 가까운 진폭으로 보정항(118)을 축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112)의 필터 경로를 이용하여, 보정항(118)은 스퍼의 진폭과 유사한 진폭을 갖도록 축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정항(118)의 진폭 및 주파수는, 스퍼의 주파수, 스퍼의 진폭, 및 기저대역 필터(112)의 구성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112)의 출력은 아날로그 회로(1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14)는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의 송신을 위한 준비로 부가적인 프로세싱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14)의 예시들은, 업컨버터들, 혼합기들, 필터들, 증폭기들(예를 들어, 드라이버 증폭기들), 전압 제어 발진기들(VCO들), 위상 고정 루프들(PLL들) 및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14)는 송신 신호(120)의 캐리어 주파수를 조정하여 송신을 허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14)는 송신 신호(120)를 추가로 필터링 또는 증폭하여 송신 신호(120)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14)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의 송신을 위해 송신 신호(120)를 준비하고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신호(120)의 품질을 개선시키고 그리고 송신을 위해 송신 신호(120)를 준비하는 것에 더해, 아날로그 회로(114)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송신 신호(120)에 도입할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14)를 통해 송신 신호(120)에 도입된 스퍼들을 축소시키고 그리고/또는 제거하기 위해 보정항 발생기(106)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들(118)이 도입될 수 있다.
도 2는 송신기(104)에서 스퍼를 축소시키는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은 무선 디바이스(10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은 무선 디바이스(102) 내의 송신기(104)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은 기저대역 송신 신호(216)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는 특정 주파수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는 기저대역 주파수에 가까울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은 송신 신호(220)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22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스퍼들은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에 의해 송신 신호(220)에 도입될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은 보정항 발생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2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들(218)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각각의 보정항(218)은 원하는 송신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에서 위치될 수 있다. 보정항(218)의 주파수는 알려진 스퍼의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보정항(218)은 디지털 가산기(208)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송신 신호(216)에 디지털적으로 가산될 수 있다. 기저대역 송신 신호(216)와 보정항(218)이 조합되어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생성할 수 있다.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216)의 원하는 송신 신호 및 보정항 발생기(206)에 의해 제공된 보정항(218)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의 주파수는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02)는, 스퍼들을 야기할 수 있는,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에 이용된 국부 발진기들(LO들)의 주파수들을 인지할 수 있다. 스퍼들은 국부 발진기(LO) 주파수의 배수일 수 있다. 일 구성에서, 20 메가헤르츠(MHz) 주파수를 갖는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는 20MHz의 배수인 스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206)는 관심 스퍼들(예를 들어, 기저대역 송신 신호(216)의 범위 내에 있는 스퍼들 및 대역-외 방출 요건들을 위반하는 스퍼들)에 대응하는 보정항들(218)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 내에서 스퍼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법들은, 도 7과 관련하여 이하 추가적인 세부사항에서 논의된다.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210)에 제공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210)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210)일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210)는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210)는 그후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216)의) 원하는 송신 신호 및 보정항 발생기(206)로부터의 보정항(218)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는 기저대역 필터(212)에 제공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212)는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의 주파수들의 범위를 필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대역 필터(212)는 원하는 송신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임의의 신호들을 축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에서의 보정항(218)은 알려진 스퍼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진폭으로 축소될 수 있다. 게다가, 기저대역 필터(212)는 다양한 주파수들에서 다수의 보정항들(218)을 필터링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212)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는 업컨버터(234)에 제공될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은 또한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를 포함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238) 및위상 고정 루프(PLL)(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제어 발진기(VCO)(238) 및 위상 고정 루프(PLL)(240)는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는, 국부 발진기(LO) 신호(232)가 발생될 때, 전압 제어 발진기(VCO)(238) 및 위상 고정 루프(PLL)(240)에 의해 도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 및 국부 발진기(LO)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는 업컨버터(234)에 제공될 수 있다.
업컨버터(234)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 및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수신할 수 있다. 업컨버터(234)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를 국부 발진기(LO) 신호(232)의 주파수(즉, 원하는 송신 주파수)에 혼합 또는 업컨버팅할 수 있다. 업컨버터(234)는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들(218)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는 드라이버 증폭기(242)에 제공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스퍼는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232)가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와 조합되어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를 생성하는 경우,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로부터의 스퍼가 송신 신호(220)에 도입될 수 있다. 보정항(218) 및 알려진 스퍼가 공통의 주파수를 공유하지만 위상차를 갖기 때문에, 보정항(218)은 송신 신호(220) 내에서의 스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242)는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를 증폭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242)는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송신될 송신 신호(220)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220)는 원하는 송신 신호 및 축소된 스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스퍼를 축소시킴으로써, 결과 송신 신호(220)는, 대역-외 방출 사양들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를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개선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송신 신호(220)는 무선 디바이스(102) 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도 3은 송신 신호 체인(344)과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 사이의 비교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송신 신호 체인(344)은 송신 이전에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의 프로세싱의 일 구성을 도시한다. 송신 신호 체인(344)은 신호들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다수의 그래프들에 의해 동반되는데, 이는, 이들이 송신 신호 체인(344)에 의해 프로세싱되기 때문이다. 송신 신호 체인(344)은 무선 디바이스(102) 내의 송신기(104)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 신호 체인(344)은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는 특정 주파수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358a)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송신 신호(358a)의 주파수는 기저대역 주파수에 가까울 수 있다. 송신 신호 체인(344)에 의해 신호들에 스퍼들(362)이 도입될 수 있다. 송신 신호 체인(34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362)을 갖는 송신 신호(352)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체인(344)에서,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a)에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a)는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를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a)는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346)를 출력할 수 있다.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346)는 원하는 송신 신호(358b)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346)는 기저대역 필터(312a)에 제공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312a)는 아날로그 기저대역 송신 신호(346)의 주파수들의 범위를 필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대역 필터(312a)는 원하는 송신 신호(358)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임의의 신호들을 축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312a)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48)를 출력할 수 있다. 고조파들 또는 고주파수 간섭과 같은 더 높은 주파수 신호들이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48)로부터 필터링 아웃되거나 또는 축소될 수 있다.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48)는 업컨버터(334a)에 제공될 수 있다.
업컨버터(334a)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48) 및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수신할 수 있다. 업컨버터(334a)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48)를 국부 발진기(LO) 신호(232)의 주파수로 혼합하거나 또는 업컨버팅할 수 있다. 업컨버터(334a)는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350)를 출력할 수 있다.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50)는 아날로그 도메인 내에 원하는 송신 신호(358)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36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퍼들(362)은 송신 신호 체인(344)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350)는 드라이버 증폭기(342a)에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342a)는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350)를 증폭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342a)는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송신될 송신 신호(352)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352)는 원하는 송신 신호(358c)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36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주파수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358c)가 드라이버 증폭기(342a)에 의해 증폭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362)은 또한 증폭될 수 있어서, 송신 신호(352)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몇몇 구성들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362)은 송신 신호(352)가 대역-외 방출 사양들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을 실패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362)을 갖는 것은, 낮은 품질의 신호들이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송신되도록 초래할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102) 내의 송신기(104)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은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은 특정 주파수에서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를 수신할 수 있다. 원하는 송신 신호(358a)의 주파수는 기저대역 주파수에 가까울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축소된 스퍼들(372)을 갖는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를 출력할 수 있다.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은 보정항 발생기(30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항 발생기(3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 신호들(364)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들(318)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각각의 보정항 신호(364)는 원하는 송신 신호(358a)보다 더 높은 주파수에 위치될 수 있다. 보정항(318)의 주파수는 알려진 스퍼의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 및 보정항(318)은 디지털 가산기(308)에 제공될 수 있다. 보정항(318)은 디지털 가산기(308)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에 디지털적으로 가산될 수 있다.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 및 보정항(318)은 조합되어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315)를 생성할 수 있다.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324)는,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의 원하는 송신 신호(356a) 및 보정항 발생기(306)에 의해 제공된 보정항(366a)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항(366a)의 주파수는 알려진 스퍼에 대응할 수 있다. 보정항(366a)의 진폭은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322) 상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의 동적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324)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는 제한된 동적 범위를 갖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일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는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324)를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는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326)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326)는 원하는 송신 신호(356b) 및 보정항(366b)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326)는 기저대역 필터(312b)에 제공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312b)는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326)의 주파수들의 범위를 필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대역 필터(312b)는 원하는 송신 신호(356b)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임의의 신호들을 축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326) 내의 보정항(366b)은 알려진 스퍼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진폭으로 기저대역 필터(312b)에 의해 축소될 수 있다. 게다가, 기저대역 필터(312b)는 다양한 주파수들에서 다수의 보정항들(318)에 적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312b)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28)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28)는 원하는 송신 신호(356c) 및 축소된 보정항(368)을 포함할 수 있다. 축소된 보정항(368)의 주파수 및 진폭은 알려진 스퍼(미도시)에 대응할 수 있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28)는 업컨버터(334b)에 제공될 수 있다.
업컨버터(334b)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28) 및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수신할 수 있다. 업컨버터(334b)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328)를 국부 발진기(LO) 신호(232)의 주파수로 혼합 또는 업컨버팅할 수 있다. 업컨버터(334b)는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330)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330)는, 아날로그 도메인 내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35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정항들(318),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퍼들은, 송신 신호 체인(322)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각각의 축소된 보정항(318)의 주파수 및 진폭은, 원하는 스퍼들 각각의 주파수 및 진폭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축소된 보정항(318)의 위상은 각각의 대응하는 스퍼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복수의 업컨버팅 송신 신호(330)는 드라이버 증폭기(342b)에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342b)는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330)를 증폭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342b)는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송신될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를 출력할 수 있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원하는 송신 신호(356d)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축소된 스퍼들(372)을 포함할 수 있다. 축소된 스퍼들(372)은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58a)에 가산된 각각의 보정항(318)의 위상차로 인한 무효화의 결과일 수 있다. 스퍼(372)를 축소시킴으로써, 결과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대역-외 방출 사양들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를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개선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무선 디바이스(102) 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도 4는 보정항(418)을 이용하여 스퍼 축소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을 예시한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426)가 도시된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426)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10b)에 의해 제공된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324)의 아날로그 버전일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426)는 원하는 송신 신호(456a) 및 보정항 발생기(106)로부터의 보정항(418)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항(418)은 보정항 주파수 및 보정항 진폭을 가질 수 있다. 보정항(418)의 주파수 및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팩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항(418)의 주파수는 식별된 스퍼(476)의 주파수에 기초할 수 있다. 보정항(418)의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는 팩터들은, 스퍼(476)의 진폭, 스퍼(476)의 주파수, 기저대역 필터(112)의 필터 경로, 송신기(104)의 사양들, 무선 디바이스(102)의 사양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송신 신호(120)와 축소된 스퍼(472) 사이의 원하는 비율 및 대역-외 방출 사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보정항(418)의 진폭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라서 스퍼(476)를 원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보정항(418)의 진폭 및 주파수를 스퍼(476)로 정렬시키는 것에 관련된 다른 팩터들은 또한 보정항(418)의 주파수 및 진폭을 결정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보정항 진폭 차(478)가 또한 도시된다. 보정항 진폭 차(478)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송신 신호(456a)의 진폭 및 보정항(418)의 진폭 둘 다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정항(418)은, 원하는 송신 신호(456a)의 진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428)가 또한 도시된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428)는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426)를 필터링하는데 이용된 기저대역 필터(112)의 출력일 수 있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428)는 원하는 송신 신호(456b) 및 축소된 보정항(466)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항 필터 축소(470)가 또한 도시된다. 보정항 필터 축소(470)는 보정항(418) 상에서의 기저대역 필터(112)의 영향들로 인할 수 있다. 축소된 보정항(466) 뿐만 아니라 보정항 필터 축소(470)의 주파수 및 진폭은, 식별된 스퍼(476)에 대응할 수 있다.
보정되지 않은 스퍼(474)가 또한 도시된다. 보정되지 않은 스퍼(474)는 보정항(418)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스퍼(47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퍼(476)는, 송신기(104)가 오퍼레이팅하도록 의도되는 대역에 포함되지 않는, 송신기(104) 또는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생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의 송신 신호 체인(344) 내의 스퍼(476)는 송신 신호(120)를 방해할 수 있다. 스퍼(476)는 또한, 허위 톤, 간섭 톤, 롱 텀 에볼루션(LTE) 4fmod 텀, 허위 방출 또는 출력 방출로 지칭될 수 있다. 스퍼(476)는 또한 하나의 특정 주파수들에서의 단일 톤일 수 있다. 스퍼(476)는 또한 주파스들의 범위 내에 다수의 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 내에서의 송신 신호(12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47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퍼(476)는 보정항(418)과는 상이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스퍼(476) 및 보정항(418)의 상이한 위상들은 스퍼(476)를 축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454)가 또한 도시된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454)는 (캐리어 주파수에서) 원하는 송신 신호(456c) 및 축소된 스퍼(472)를 포함할 수 있다. 축소된 스퍼(472)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 가산된 보정항(418)의 위상차로 인한 무효화의 결과일 수 있다.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가 또한 도시된다.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는 원하는 송신 신호(456c)와 축소된 스퍼(472) 사이의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일 수 있다. 스퍼(476)를 축소시킴으로써 그리고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를 최대화시킴으로써, 결과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454)는 대역-외 방출 사양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를 수 있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개선된 신호를 제공한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454)는, 무선 디바이스(102) 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보정항(418)은 특정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를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항(418)은 원하는 송신 신호(456c)의 진폭과 축소된 스퍼(472)의 진폭 사이에서 1000:1의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를 생성하도록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스퍼(476)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보정항(118)을 발생시킬 수 있다(502). 보정항(118)은 보정항 발생기(106)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보정항(118)은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을 가질 수 있다. 보정항(118)의 주파수 및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팩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항(118)의 주파수는 식별된 스퍼(476)의 주파수에 기초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는 팩터들은, 스퍼(476)의 진폭, 스퍼(476)의 주파수, 기저대역 필터(112)의 필터 특성들, 송신기(104)의 사양들, 무선 디바이스(102)의 사양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송신 신호(120)와 축소된 스퍼(472) 사이의 원하는 비율 및 대역-외 방출 사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보정항(118)의 진폭은 무선 통신을 위한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라서 스퍼(476)를 원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예를 들어,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에 보정항(118)이 가산될 수 있다(504). 무선 디바이스(102)는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획득하기 위해 디지털 가산기(108)를 이용하여 보정항(118)을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 가산할 수 있다.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를 이용하여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506). 몇몇 구성들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좁은 동적 범위의 디지털 값들을 갖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일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는 기저대역 필터(112)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기저대역 필터(112)를 이용하여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를 필터링할 수 있다(508). 기저대역 필터(11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원하는 송신 신호(356)의 주파수 이상으로 필터링하거나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더 높은 주파수에서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 보정항(118)이 가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는 보정항(118)을 필터링하거나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기저대역 필터(112)의 진폭 축소는 (기저대역 필터(112)의 설계로 인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의 보정항(118)의 축소는 예측가능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진폭을 선택함으로써, 기저대역 필터(112)는 보정항(118)을 스퍼(476)의 특정 진폭으로 축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축소된 보정항(368)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120)의 스퍼(476)를 축소시킬 수 있다(510). 보정항(118)의 위상은 스퍼(476)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보정항(118) 및 알려진 스퍼(476)가 공통 주파수를 공유하지만 위상차를 갖기 때문에, 보정항(118)은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 신호(120)의 스퍼(476)를 축소시킬 수 있다. 스퍼(476)를 축소시킴으로써, 결과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대역-외 방출 사양들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를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개선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무선 디바이스(102) 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를 송신할 수 있다(512).
도 6은 스퍼(476)를 축소시키기 위한 더욱 세부화된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방법(600)은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보정항(118)을 발생시킬 수 있다(602). 보정항(118)은 보정항 발생기(106)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보정항(118)은 특정 주파수 및 진폭을 가질 수 있다. 보정항(118)의 주파수 및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팩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항(118)의 주파수는 식별된 스퍼(476)의 주파수에 기초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는 팩터들은, 스퍼(476)의 진폭, 스퍼(476)의 주파수, 기저대역 필터(112)의 필터 경로, 송신기(104)의 사양들, 무선 디바이스(102)의 사양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송신 신호(120)와 축소된 스퍼(372) 사이의 원하는 비율(즉,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 및 대역-외 방출 사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보정항(118)의 진폭은, 무선 통신들을 위해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라서 스퍼(476)를 원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정항(118)은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예를 들어,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에 가산될 수 있다(604). 무선 디바이스(102)는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획득하기 위해 디지털 가산기(108)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 보정항(118)을 가산할 수 있다(604).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를 이용하여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606). 몇몇 구성들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좁은 동적 범위의 디지털 값들을 갖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일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가 기저대역 필터(112)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기저대역 필터(112)를 이용하여 복합 아날로그 송신 신호(226)를 필터링할 수 있다(608). 기저대역 필터(11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원하는 송신 신호(356)의 주파수 이상으로 필터링하거나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더 높은 주파수에서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에 보정항(118)이 가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는 보정항(118)을 필터링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기저대역 필터(112)의 진폭 축소는 (기저대역 필터(112)의 설계로 인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에 의한 보정항(118)의 축소는 예측가능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진폭을 선택함으로써, 기저대역 필터(112)는 보정항(118)을 스퍼(476)의 특정 진폭으로 축소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필터(112)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는 업컨버터(234)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발생시킬 수 있다(610).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는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는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 전압 제어 발진기(VCO)(238) 및 위상 고정 루프(PLL)(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는, 국부 발진기(LO) 신호(232)가 발생될 때, 전압 제어 발진기(VCO)(238) 및 위상 고정 루프(PLL)(240)에 의해 도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476) 및 국부 발진기(LO)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는 업컨버터(234)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업컨버터(234) 및 국부 발진기(LO) 신호(232)를 이용하여 복합 필터링된 송신 신호(228)를 업컨버팅할 수 있다(612) 구체적으로, 업컨버터(234)는 복합 필터링된 아날로그 송신 신호(228)를 국부 발진기(LO) 신호(232)의 주파수로 혼합 또는 업컨버팅할 수 있다. 업컨버터(234)는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를 출력할 수 있다.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는 드라이버 증폭기(242)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드라이버 증폭기(242)를 이용하여 복합 업컨버팅된 송신 신호(230)를 증폭시킬 수 있다(614). 드라이버 증폭기(242)는 송신 신호(120)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축소된 보정항(368)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120)의 스퍼(476)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보정항(118)의 위상은 스퍼(476)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보정항(118) 및 알려진 스퍼(476)가 공통 주파수를 공유하지만 위상 차를 가지기 때문에, 보정항(118)은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를 획득하기 위해 송신 신호(120) 내에서의 스퍼(476)를 축소시킬 수 있다(616). 스퍼(476)는 축소된 보정항(466)을 이용하여 축소될 수 있다. 스퍼(476)를 축소시킴으로써, 결과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대역-외 방출 사양들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를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02)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개선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는 무선 디바이스(102) 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무선 디바이스(102)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축소된 스퍼 송신 신호(354)를 송신할 수 있다(618).
도 7은 스퍼 주파수 및 스퍼 진폭에 기초하여 보정항(118)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700)의 흐름도이다. 방법(700)은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700)은 무선 디바이스(102)에서의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의 프로세싱 동안 발생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476)과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스퍼 주파수 및 스퍼 진폭을 식별할 수 있다(702). 스퍼 주파수 및 스퍼 진폭은, 무선 디바이스(102)의 설계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또는 자동화된 테스팅 장비들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102)의 테스팅에 기초하여,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476)을 식별하는 무선 디바이스 내의 회로에 기초하여 알려질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디바이스(102)는 국부 발진기(LO) 신호 발생기(236)에 의해 도입된 스퍼들(476)의 주파수들을 인지할 수 있다. 스퍼들(476)은 국부 발진기(LO) 주파수의 배수일 수 있다. 일 구성에서, 20 메가헤르츠(MHz) 주파수를 갖는 국부 발진기(LO)는 20MHz의 배수인 스퍼들(476)을 생성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퍼들(476)의 스퍼 주파수 및 스퍼 진폭을 식별하는데(702) 다른 방법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704).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의 일부로서 송신기(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는 제한된 동작 범위를 갖는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기저대역 필터(112)의 주파수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706). 기저대역 필터(11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원하는 송신 신호(356)의 주파수 이상으로 필터링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기저대역 필터(112)의 주파수 응답은 (기저대역 필터(112)의 설계로 인해)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필터(112)에 의한 보정항(118)의 축소는 예측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를 결정할 수 있다(708).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는 원하는 송신 신호(356)와 축소된 스퍼(372) 사이에서의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일 수 있다.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는, 대역-외 방출 사양들 또는 다른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과 같은 다양한 팩터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는 원하는 송신 신호(356)와 축소된 스퍼(372) 사이에서 진폭 축소를 위한 임의의 원하는 비율일 수 있다. 일례에서,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는 -70(dBc; decibels relative to the carrier)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출력 대 스퍼 진폭 차(482)는 -85 dBc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710). 보정항(118)의 주파수는 스퍼 주파수에 기초할 수 있다. 보정항(118)의 주파수는 기저대역 필터(112)의 주파수 응답과 같은 다른 팩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원하는 보정항 진폭을 획득할 수 있다(712).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다양한 팩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원하는 보정항 진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는 팩터들의 예시들은, 스퍼(476)의 진폭, 스퍼(476)의 주파수, 기저대역필터(112)의 필터 사양들, 송신기(104)의 사양들, 무선 디바이스(102)의 사양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110)의 동적 범위, 원하는 송신 신호(356)와 축소된 스퍼(372) 사이의 원하는 비율 및 대역-외 방출 사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들에서, 보정항(118)의 진폭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라서 스퍼(476)를 원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 및 원하는 보정항 진폭을 갖는 보정항(118)을 발생시킬 수 있다(714). 보정항(118)은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 상에서 보정항 발생기(106)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를 생성하기 위해 보정항(118)을 기저대역 송신 신호(116)(예를 들어, 디지털 기저대역 송신 신호(316))에 가산할 수 있다(716). 복합 디지털 송신 신호(224)는 송신 신호(120)를 발생시키기 위해 보정항 송신 신호 체인(222)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도 8은 기지국(802)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NodeB, 이볼브드 NodeB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이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802)은 프로세서(8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03)는 범용 싱글- 또는 멀티-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ARM),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803)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지칭될 수 있다. 단지 싱글 프로세서(803)가 도 8의 기지국(802)에 도시되지만, 대안적인 구성에서, 프로세서들의 조합(예를 들어, ARM 및 DSP)이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802)은 또한 메모리(805)를 포함한다. 메모리(805)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 있다. 메모리(805)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RAM 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프로세서가 포함된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등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807a) 및 명령들(809a)은 메모리(805)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들(809a)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803)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명령들(809a)을 실행하는 것은, 메모리(805)에 저장된 데이터(807a)의 이용을 수반할 수 있다. 프로세서(803)가 명령들(809a)을 실행할 때, 명령들(809b)의 다양한 부분들이 프로세서(803) 상으로 로딩될 수 있고, 데이터(807a)의 다양한 피스(piece)들이 프로세서(803) 상으로 로딩될 수 있다.
기지국(802)은 또한 기지국(802)으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 및 기지국(802)으로의 신호들의 송신을 허용하기 위해 송신기(811) 및 수신기(81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811) 및 수신기(813)는 집합적으로 트랜시버(815)로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817)는 트랜시버(815)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기지국(802)은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기지국(802)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82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802)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8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23)는 사용자가 기지국(802)과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기지국(8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버스들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다양한 버스들은 버스 시스템(819)으로서 도 8에 예시된다.
도 9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액세스 단말, 이동 스테이션, 사용자 장비(UE)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프로세서(9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3)는 범용 싱글- 또는 멀티-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ARM),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903)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지칭될 수 있다. 단지 싱글 프로세서(903)가 도 9의 기지국(902)에 도시되지만, 대안적인 구성에서, 프로세서들의 조합(예를 들어, ARM 및 DSP)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또한 메모리(905)를 포함한다. 메모리(905)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 있다. 메모리(905)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RAM 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프로세서가 포함된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등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907a) 및 명령들(909a)은 메모리(905)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들(909a)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903)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명령들(909a)을 실행하는 것은, 메모리(905)에 저장된 데이터(907a)의 이용을 수반할 수 있다. 프로세서(903)가 명령들(909)을 실행할 때, 명령들(909b)의 다양한 부분들이 프로세서(903) 상으로 로딩될 수 있고, 데이터(907a)의 다양한 피스(piece)들이 프로세서(903) 상으로 로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또한 안테나(917)를 통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로의 신호들의 송신을 허용하기 위해 송신기(911) 및 수신기(91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911) 및 수신기(913)는 집합적으로 트랜시버(915)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92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9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23)는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와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버스들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다양한 버스들은 버스 시스템(919)으로서 도 9에 예시된다.
용어 "결정하는(determining)"은 매우 다양한 액션들을 포괄하며, 따라서,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프로세싱하는, 유도하는, 조사하는, 찾아보는(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찾아보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선정하는, 확립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구 "~에 기초하는"은, 명확하게 그렇지 않은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오직 ~에만 기초하는"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서, 문구 "~에 기초하는"은 "오직 ~에만 기초하는" 그리고 "적어도 ~에 기초하는" 둘 다를 설명한다.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상태 머신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일부 정황들 하에서,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괄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로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또는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경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프로세서에 내장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고 있다.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기능들, 절차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명령들" 및 "코드"는 싱글 컴퓨터-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 또는 수많은 컴퓨터-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용어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저장 매체를 지칭한다. 한정이 아닌 예로써,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유형의(tangible) 그리고 비-일시적(non-transitory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용어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프로세싱 또는 컴퓨팅될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들(예를 들어, "프로그램")과 조합된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본원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코드"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명령들, 코드 또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또한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그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즉, 설명되고 있는 방법의 적절한 동작을 특정 순서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이 요구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게다가, 도 5, 도 6, 및 도 7에 의해 예시된 것들과 같이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들이 다운로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디바이스가 스토리지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하거나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스토리지 수단(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스토리지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이 앞서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변형들, 변화들, 및 변경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7)

  1. 스퍼(spur)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대략적인(coarse)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보정항(correction term)을 발생시키는 보정항 발생기 ― 상기 보정항은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동적 범위 내에 있는 진폭을 가짐 ―; 및
    기저대역 필터 ― 상기 기저대역 필터가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의 진폭을 근사화하는 진폭으로 축소시키도록 상기 보정항이 선택되고, 상기 보정항은 상기 스퍼를 축소시키도록 이용됨 ― 를 포함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는,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상기 동적 범위 미만의 진폭을 갖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상기 송신 신호에 가산하는 디지털 가산기를 더 포함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기 신호 발생기; 및
    업컨버터 ― 상기 스퍼는 상기 업컨버터에 의해 상기 송신 신호에 도입됨 ― 를 더 포함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증폭기 ― 상기 스퍼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기에 의해 상기 송신 신호에 도입됨 ― 를 더 포함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은, 원하는 보정항 진폭 및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를 포함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는, 상기 스퍼의 주파수에 기초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상기 스퍼의 진폭에 기초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대역-외 방출 사양들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기초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무선 통신을 위한 LTE 표준들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기초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의 위상은, 상기 보정항이 상기 스퍼의 진폭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스퍼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의 진폭은, 상기 송신 신호의 진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에서의 상기 스퍼의 주파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큰,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 발생기는,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쳐 다수의 보정항들을 발생시켜 상기 주파수들의 범위에 걸친 다수의 스퍼들을 축소시키는,
    스퍼들을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15.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
    디지털 도메인에서 송신 신호에 상기 보정항을 가산하는 단계;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하는 단계;
    기저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 상기 기저대역 필터는 상기 보정항의 진폭을 축소시킴 ―; 및
    축소된 보정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를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는,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동적 범위 미만인 진폭을 갖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 신호 발생기를 이용하여 국부 발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업컨버터 및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업컨버팅하는 단계 ― 상기 스퍼는 상기 업컨버터에 의해 상기 송신 신호에 도입됨 ― 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증폭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단계 ― 상기 스퍼는 상기 드라이버 증폭기에 의해 상기 송신 신호에 도입됨 ― 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은, 원하는 보정항 진폭 및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를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는, 상기 스퍼의 주파수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상기 스퍼의 진폭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대역외 방출 사양들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무선 통신을 위한 LTE 표준들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의 위상은, 상기 보정항이 상기 스퍼의 진폭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스퍼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의 진폭은, 상기 송신 신호의 진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의 주파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큰,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7. 제 15 항에 있어서,
    주파수 범위에 걸쳐 다수의 보정항들을 발생시켜 상기 주파수 범위에 걸친 다수의 스퍼들을 축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스퍼 주파수 및 스퍼 진폭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동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 및 원하는 보정항 진폭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는, 상기 스퍼 주파수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 진폭은 상기 스퍼 진폭,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동적 범위, 상기 기저대역 필터의 상기 주파수 응답, 및 상기 원하는 출력 대 스퍼 진폭 차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 및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을 갖는 상기 보정항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방법.
  36.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보정항을 발생시키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디지털 도메인에서 송신 신호에 상기 보정항을 가산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기저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 ― 상기 기저대역 필터는 상기 보정항의 진폭을 축소시킴 ― ;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축소된 보정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를 축소시키도록 야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는,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동적 범위 미만의 진폭을 갖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은, 원하는 보정항 진폭 및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는, 상기 스퍼의 주파수에 기초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상기 스퍼의 진폭에 기초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의 위상은, 상기 보정항이 상기 스퍼의 진폭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스퍼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42.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보정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디지털 도메인에서 상기 보정항을 송신 신호에 가산하기 위한 수단;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메인에서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컨버팅하기 위한 수단;
    기저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 ― 상기 기저대역 필터는 상기 보정항의 진폭을 축소시킴 ―; 및
    축소된 보정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서의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는 상기 대략적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동적 범위 미만인 진폭을 갖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은, 원하는 보정항 진폭 및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를 포함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주파수는, 상기 스퍼의 주파수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보정항 진폭은, 상기 스퍼의 진폭에 기초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항의 위상은, 상기 보정항이 상기 스퍼의 진폭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스퍼의 위상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스퍼를 축소시키기 위한 장치.
KR20147025379A 2012-02-13 2013-02-13 송신기들에 있어서 작은 스퍼들의 축소 KR20140124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8135P 2012-02-13 2012-02-13
US61/598,135 2012-02-13
US13/765,667 US9112748B2 (en) 2012-02-13 2013-02-12 Reduction of small spurs in transmitters
US13/765,667 2013-02-12
PCT/US2013/025970 WO2013123076A1 (en) 2012-02-13 2013-02-13 Reduction of small spurs in transmit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840A true KR20140124840A (ko) 2014-10-27

Family

ID=4894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5379A KR20140124840A (ko) 2012-02-13 2013-02-13 송신기들에 있어서 작은 스퍼들의 축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2748B2 (ko)
EP (1) EP2815510B1 (ko)
JP (1) JP6104944B2 (ko)
KR (1) KR20140124840A (ko)
CN (1) CN104106218B (ko)
WO (1) WO2013123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6566A1 (en) * 2013-05-23 2014-11-26 ST-Ericsson SA A matrix for use with a radio transceiver and methods thereto
CN104393854B (zh) * 2014-12-04 2017-05-24 华侨大学 基于fpga的时分复用级联积分梳状抽取滤波器及其实现方法
US9160584B1 (en) * 2015-01-22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Spur cancellation using auxiliary synthesizer
WO2017161347A1 (en) * 2016-03-18 2017-09-21 Jariet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multi-band linearized digital transceivers
US10708907B2 (en) * 2016-04-19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with adaptive resource block allocation
US10784908B2 (en) * 2017-03-10 2020-09-22 Intel IP Corporation Spur reduction circuit and apparatus, radio transceiver, mobile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pur re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1061A1 (de) * 2000-03-07 2001-09-13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Sender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endesignals
KR100374828B1 (ko) * 2000-09-15 200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성 전치왜곡 송신기
JP2002223130A (ja) * 2001-01-25 2002-08-09 Fujitsu Ltd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6704551B2 (en) * 2001-02-21 2004-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libration of in-phase and quadrature transmit branches of a transmitter
US6987954B2 (en) * 2001-05-15 2006-01-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Feedback compensation detector for a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US7317774B2 (en) * 2003-02-13 2008-01-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harmonic interference effects in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JP2004363713A (ja) * 2003-06-02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送信装置
US20050059366A1 (en) * 2003-09-16 2005-03-17 Atheros Communications, Inc. Spur mitigation techniques
JP4598414B2 (ja) * 2004-02-27 2010-1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べき級数型プリディストータの制御方法及び装置
EP1648093B1 (en) * 2004-10-15 2011-08-03 Broadcom Corporation Spur harmonic canceller for RF band clock
US7126519B1 (en) 2005-09-30 2006-10-24 Teradyne, Inc. Low-spur low-distortion digital-to-analog converter
US7542519B2 (en) 2005-12-29 2009-06-02 Crestcom, Inc. Radio frequency transmitter and method therefor
US8149896B2 (en) * 2006-01-04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Spur suppression for a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42773A (en) * 2006-10-11 2008-04-16 Tandberg Television Asa Canceling distortion
US7570123B2 (en) * 2006-12-27 2009-08-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gitally controlled analog frequency synthesizer
US20080158026A1 (en) 2006-12-29 2008-07-03 O'brien David Compensating for harmonic distortion in an instrument channel
KR20110002020A (ko) 2008-03-12 2011-01-06 하이프레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rf 트랜시버 시스템 및 방법
US8055235B1 (en) 2008-05-02 2011-11-08 Hypr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interference cancellation
US7636020B1 (en) * 2008-05-13 2009-12-22 Atheros Communications, Inc. Mitigating fractional spurs in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systems
US8145165B1 (en) * 2008-12-16 2012-03-27 Qualcomm Atheros, Inc. Spur mitig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31101B2 (en) * 2009-02-12 2011-10-04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Spur cancellation
US8331485B2 (en) * 2009-07-08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Spur cancellation in a digital baseband transmit signal using cancelling tones
US8586461B2 (en) 2009-12-07 2013-11-19 Csr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spur avoidance in a direct conversion tuner architecture
US20110143697A1 (en) * 2009-12-11 2011-06-16 Qualcomm Incorporated Separate i and q baseband predistortion in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s
CN101771441B (zh) * 2010-01-19 2013-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室外单元及其提高输出性能的方法
EP2383913B1 (en) * 2010-04-30 2013-10-23 Nxp B.V. RF digital spur reduction
US8971455B2 (en) * 2011-12-12 2015-03-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ar-integer channel spur mitigation in a phase-locked loop
US8817925B2 (en) * 2012-03-16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F spur cance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3076A1 (en) 2013-08-22
JP2015507447A (ja) 2015-03-05
US9112748B2 (en) 2015-08-18
EP2815510A1 (en) 2014-12-24
US20130208826A1 (en) 2013-08-15
JP6104944B2 (ja) 2017-03-29
CN104106218A (zh) 2014-10-15
EP2815510B1 (en) 2018-03-28
CN104106218B (zh)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4821B2 (en) Shared feedback for adaptive transmitter pre-distortion
US10567148B2 (en) Digital predistortion for full-duplex radio
KR20140124840A (ko) 송신기들에 있어서 작은 스퍼들의 축소
US9160584B1 (en) Spur cancellation using auxiliary synthesizer
US8938023B2 (en) Analog baseband interface between transceiver and modem
US10103775B2 (en) Method and radio node for controlling radio transmission
US8331485B2 (en) Spur cancellation in a digital baseband transmit signal using cancelling tones
US9143244B2 (en)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61413B2 (en) Power control for inter-band multi-carrier capable devices
CN105393468A (zh) 无线通信网络中的方法和节点
US93977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er receive band noise calibration for envelope tracking and other wireless systems
KR20160052615A (ko) 송신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220190851A1 (en) Digital pre-distortion (dpd) estimation window search
US8824984B2 (en) Outphasing power combining by antenna
CN111512688B (zh) 在无线通信环境中执行切换的随机接入信道过程的装置、基带处理器和介质
EP4022774B1 (en) Spur compensation method and system
Nanan et al. Small cells call for scalable architecture
US20190215139A1 (en) Digital CW Cancellation for High QAM For Point-to-Point FDD Systems
WO2017039563A1 (en) Coverage extension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