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205A -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205A
KR20140124205A KR1020130041668A KR20130041668A KR20140124205A KR 20140124205 A KR20140124205 A KR 20140124205A KR 1020130041668 A KR1020130041668 A KR 1020130041668A KR 20130041668 A KR20130041668 A KR 20130041668A KR 20140124205 A KR20140124205 A KR 2014012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item
focus item
preview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581B1 (ko
Inventor
김경화
김선화
김희진
박미정
유석현
최조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581B1/ko
Priority to US14/254,820 priority patent/US9641740B2/en
Priority to EP14164883.2A priority patent/EP2793458B1/en
Publication of KR2014012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포커싱 방법이, 카메라 구동시 프리뷰 화면에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포커싱 및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자동 포커싱 과정과, 자동포커싱 종료시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OCUSING AN OBJECT IN DEVICE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여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때 촬영하고자 피사체를 설정하고, 설정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춰 촬영한다. 종래의 포커싱(focusing) 방법은 크게 2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자동 포커싱 방법과 수동 포커싱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포커싱 방법은 이미지의 중앙(center)CENTER에 auto-focus가 되도록 하는 방법이며, 수동 포커싱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지점을 선택(manually tapping)하면 해당 지점을 포커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커싱 방법은 원하는 피사체를 포커싱이되도록 카메라를 조작하여야 했으며, 특정 인물, 특정 물체를 포커싱하여 연사 촬영 하는 경우 매번 focus를 맞추어야 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미리 설정하고, 카메라 구동시 프리뷰 이미지를 트래킹하여 설정된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포커싱 방법이, 카메라 구동시 프리뷰 화면에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포커싱 및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자동 포커싱 과정과, 상기 자동포커싱 종료시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포커싱 장치가,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카메라 구동시 상기 프리뷰 화면에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포커싱 및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카메라 구동 전에 포커스 아이템을 미리 등록하고, 카메라 구동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에 프리뷰 이미지에서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자동으로 포커싱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에서 카메라를 구동하면 자동으로 피사체를 포커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피사체들을 연속으로 포커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 도 4f는 도 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포커스 아이템을 미리 등록하고, 카메라 구동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자동으로 포커싱한다. 이때 포커스 아이템을 등록하는 방법은 문자나 음성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을 포커스 아이템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포커스 아이템을 등록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구동하면, 장치는 프리뷰 이미지들에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들을 검색하며,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미지 검색 과정에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과 일치하는 이미지 위치를 포커싱하며 표시부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는 카메라 장치, 휴대전화기, 타블렛, 휴대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가 휴대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50은 기지국 또는 인터넷 서버 등과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5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50이 LTE, WIFI, NFC 및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카메라12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구동되며, 피사체를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20은 단말기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어 고 해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후면 카메라와, 단말기 장치의 전면에 장착되어 후면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전면카메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0 구동시 프리뷰 이미지를 검색하여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포커싱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이미지에서 포커스 아이템으로 설정된 문자/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110은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들을 저장하며, 포커스 아이템에 대응되는 컨택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컨택정보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프리뷰 이미지 및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은 EMR센서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6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신모드에서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며, 또한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제어부100은 등록모드에서 포커스 아이템을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120의 구동시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때,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에서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트래킹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포커스 아이템과 일치하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며 상기 표시부130에 포커싱된 위치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은 등록모드에서 제어부100은 포커스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커스 아이템 등록 방법은 텍스트(typing with text)로 등록하는 방법과 이미지로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텍스트로 입력하는 방법은 포커스 아이템 등록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40 또는 오디어처리부160을 통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포커스 아이템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텍스트 전환하여 저장부110에 포커스 아이템으로 등록한다. 두 번째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이미지로 등록(marking on image)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 또는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예를들면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포커스 아이템 등록모드에서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선택(예를들면 tapping)되는 이미지를 포커스 아이템으로 등록한다.
상기와 같이 포커스 아이템을 등록한 후, 카메라120이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에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미지가 있으면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해당 이미지 위치를 포커싱하는 동시에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인물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등록된 이름과 일치(matching)하는 얼굴 정보를 FOCUS ITEM으로 선정한다. 즉,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인물 이름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저장부110의 인물 컨택정보에서 등록된 인물 이름과 일치되는 이름이 있는가 탐색(seraching)하며, 검색 결과 등록된 얼굴을 FOCUS ITEM으로 선정하며, CONTACT에 매칭되는 데이터가 없으면 대응되는 포커스 아이템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컨택정보에 포커스 아이템으로 등록된 이름이 없으면 웹(IMAGE SEARCH THROUGH WEB)을 통해 해당 인물을 검색할 수도 있으며, 검색 결과 대응되는 이미지가 검색되면 해당 인물이름을 focus ite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가 다수의 결과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정확도가 가장 높은 정보로 분류된 이미지를 포커스 item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web을 이용하여 포커스 아이템이 검색되면, 인물 이름을 글자자체로 등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컨택정보 또는 web을 통해 등록된 인물의 이미지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에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일치하는 이미지가 있으면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포커싱하며, 표시부130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이때 카메라120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에서 포커스된 이미지의 이동 위치를 트래킹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커스 아이템이 인물이름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CALL-LOG에서 CALLER ID를 key-word로 검색(searching)하는 것을 1순위로 하며, 1순위를 만족하지 못할 때 2순위로 web searching한다. 예를들면 포커스 아이템이 JOHN이라는 이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JOHN의 CALLER ID가 없으면 WEB IMAGE SEARCHING에서 나온 결과 이미지로 자동 포커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택정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인물의 컨택정보인 경우, 상기 컨택정보는 인물명, 전화번호, 이메일 정보, SNS 정보, 이미지들과 같은 정보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물이름이 포커스 아이템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인물의 컨택정보를 검색하고, 프리뷰 이미지에서 포커스 아이템으로 설정된 인물의 컨택정보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미지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컨택정보는 색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색상이 포커스 아이템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색상 컨택정보에서 포커스 아이템으로 설정된 색상을 확인하고, 프리뷰 이미지에서 대응되는 색상 이미지에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아이템으로 설정된 문자/이미지가 컨택정보 또는 웹 탐색을 통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에서 대응되는 문자/이미지를 검색하며,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이미지가 있으면 해당 위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도 2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구동이 요구되면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120을 구동하며,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이 있는가 검사하며,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이 있으면 215단계에서 프리뷰 이미지에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문자 및/또는 이미지들로 등록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아이템 등록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문자나 음성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로 등록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또는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의 일부분을 이미지 형태로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 아이템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 구동 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전 상태에서 등록된 아이템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저장부110에 저장된 컨택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100은 217단계에서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들 중에서 첫 번째 아이템을 선택한 후, 219단계에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을컨택정보에서 검색한다. 이때 상기 컨택정보는 선택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컬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컨택 정보에 있으며,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에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및/또는 컬러)를 탐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3단계에서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해당 이미지(및/또는 컬러) 위치를 자동으로 포커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223단계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의 포커스 아이템 위치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여 자동으로 포커싱되었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컨택정보에 없거나 또는 컨택정보에는 있지만 프리뷰 이미지에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5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225단계에서 다음 포커스 아이템이 있는가 검사하며, 다음 포커스 아이템이 있으면 227단계에서 포커스 아이템을 선택한 후 219단계로 진행하여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설정된 모든 포커스 아이템들에 대한 포커싱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9단계에서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에서 오토 포커싱된 이미지들 위치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며, 입력부140에서 촬영 요구 입력이 발생되면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촬영(capture)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설정된(등록된) 포커스 아이템 이미지들이 자동으로 포커싱된 이미지가 된다.
상기 도 2는 설정된 포커싱 아이템들이 컨택정보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하여 자동으로 포커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는 설정된 포커싱 아이템이 컨택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web 탐색을 통해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는 프리뷰 이미지에서 포커싱 아이템의 문자 및/또는 이미지들을 검색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a - 도 4f는 도 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a - 도 4f를 참조하면, 카메라 구동이 요구되면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카메라120을 구동하며,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313단계에서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이 있는가 검사하며,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이 있으면 315단계에서 프리뷰 이미지에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문자 및/또는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포커스 아이템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카메라120의 구동 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전 상태에서 등록된 아이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들 중에서 첫 번째 아이템을 선택한 후, 319단계에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을 컨택정보에서 검색한다. 이때 상기 컨택정보는 선택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컬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컨택 정보에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에서 포커스 아이템에 대응되는 컨택정보의 이미지(및/또는 컬러)를 참조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탐색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에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및/또는 컬러)가 탐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해당 이미지(및/또는 컬러) 위치를 자동으로 포커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325단계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의 포커스 아이템 위치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여 자동으로 포커싱되었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컨택정보에는 있지만 프리뷰 이미지에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319단계에서 포커스 아이템이 컨택정보에 없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단계에서 통신부150을 통해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web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아이템이 웹 검색에서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5단계에서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이미지를 선택하며, 337단계에서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된 이미지와 일치되는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가 탐색되면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해당 이미지 위치를 자동으로 포커싱한다.
그러나 상기 333단계에서 웹 검색에서 포커싱 아이템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39단계에서 포커싱 아이템의 문자/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한다. 이때 포커스 아이템의 문자/이미지가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해당 이미지 위치를 자동으로 포커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선택된 포커싱 아이템이 컨택정보에 있는가를 검색하며, 컨택정보에 있으면 컨택정보를 참조하여 자동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며, 컨택정보에 없으면 웹 서치를 수행하여 웹의 이미지를 참조하여 자동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고, 컨택정보에 없으며 웹에서 탐색되지 않으면 포커싱 아이템의 자체정보(문자 및/또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자동 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다음 포커스 아이템이 있는가 검사하며, 다음 포커스 아이템이 있으면 329단계에서 포커스 아이템을 선택한 후 319단계로 진행하여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설정된 모든 포커스 아이템들에 대한 포커싱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41단계에서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에서 오토 포커싱된 이미지들 위치에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며, 입력부140에서 촬영 요구 입력이 발생되면 카메라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촬영(capture)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설정된(등록된) 포커스 아이템 이미지들이 자동으로 포커싱된 이미지가 된다.
도 4a - 도 4f는 포커스 아이템을 John, London bridge, Starbucks, white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포커스 아이템을 설정한 상태에서 카메라120을 구동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3단계에서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이 있음을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프리뷰 이미지에 포커스 아이템 John, London bridge, Starbucks, white를 표시한다.
먼저 카메라120으로부터 도 4a와 같은 피사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면,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아이템 John을 선택하고, 319단계에서 도 4b와 같은 컨택정보에 등록된 아이템인가 검사한다. 이때 John이 도 4b의 425와 같이 컨택에 등록된 caller ID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컨택정보의 이미지를 참조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탐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컨택정보의 이미지(John의 이미지)와 프리뷰 이미지를 비교하여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예를들면 눈과 같이 얼굴 인식이 가능한 얼굴의 일부분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일치하는 이미지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도 4a의 515와 같이 John의 얼굴 이미지를 포커싱하며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그리고 다음 포커스 아이템을 선택하여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 - 321단계를 수행하면서 도 4c 와 같은 칼라 컨택정보(analyzed color code)에서 화이트 컬러를 확인한 후 323단계에서 화이트 컬러 이미지가 있는가 검사한다. 그리고 화이트 컬러 이미지가 탐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5단계에서 도 4a의 417과 같이 white 컬러 이미지 포커싱하며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KEYWORD를 입력하여 등록된 포커스 아이템이 사람이름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이름이 CONTACT에 일치하고 CALLER ID를 포함하고 있다면 해당 이미지(얼굴)를 FOCUS ITEM 으로 등록하고, 카메라 구동시 해당 이미지가 PREVIEW 이미지에 존재하면 해당 인물의 이미지를 포커싱 및 트래킹한다. 또한 색상 randge를 지정하여 해당 컬러가 프리뷰 이미지에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컬러 이미지를 포커싱 및 트래킹한다.
두 번째로 카메라120으로부터 도 4d와 같은 피사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면,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아이템 John을 선택하고, 319단계에서 도 4b와 같은 컨택정보에 등록된 아이템인가 검사한다. 이때 John이 도 4b의 425와 같이 컨택에 등록된 caller ID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컨택정보의 이미지를 참조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탐색한다. 이때 일치하는 이미지가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다음 포커스 아이템인 London bridge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London bridge는 컨택정보가 아니므로, 상기 제어부100은 331단계에서 통신부150을 통해 인터넷 망을 연결하여 web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web 검색에서 London bridge가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5단계에서 검색 결과를 도 4e와 같이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포커싱 이미지로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도 4e와 같이 검색된 이미지에서 프리뷰 이미지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web 검색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포커스 아이템 이미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37단계에서 web 검색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비교하며, 일치되는 이미지가 있으면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4d의 445와 같이 해당 이미지를 포커싱하며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 - 321단계를 수행하면서 도 4c 와 같은 칼라 컨택정보(analyzed color code)에서 화이트 컬러를 확인한 후 323단계에서 화이트 컬러 이미지가 있는가 검사한다. 그리고 화이트 컬러 이미지가 탐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5단계에서 도 4a의 417과 같이 white 컬러 이미지 포커싱하며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KEYWORD를 입력하여 ITEM을 등록할 때 유명 피사체 (e.g., LONDON BRIDGE)를 등록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된 KEYWORD가 CONTACT에 없거나, CALLER-ID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WEB IMAGE SEARCH를 통해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결과 값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이를 프리뷰 이미지와 비교하여 포커싱 및 트래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색상 randge를 지정하여 해당 컬러가 프리뷰 이미지에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컬러 이미지를 포커싱 및 트래킹한다.
세 번째로 카메라120으로부터 도 4f와 같은 피사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면, 제어부100은 컨택정보 검색 및 web 검색을 수행하여도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에 관련된 이미지를 포커싱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33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9단계에서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의 문자/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때 텍스트 검색 방법은 문자인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미지 비교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4f와 같이 프리뷰 이미지에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으로 등록된 문자(여기서는 Starbuks)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4f의 455와 같이 해당 이미지를 포커싱하며 포커스 마크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KEYWORD를 입력하여 ITEM을 등록할 때 글자 그 자체로 포커스 아이템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에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을 이용하여 프리뷰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한 후, 문자가 존재하면 해당 문자를 포커싱 및 트래킹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된 글자의 Key-pad mode를 알고 있기 때문에,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는 언어 (e.g., English, Spanish)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English key-pad에서 입력된 글자는 OCR로 검색 시에도 영문 기준 searching을 하기 때문에 입력 언어 모드 변경 없이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을 포커싱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00은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들을 분석하여 자동 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프리뷰 이미지에서 특정 이미지를 marking(폐쇄곡선)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마킹된 이미지 자체를 포커싱 아이템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 또는 유사 이미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이미지를 포커싱 및 트래킹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의 검색(search)는 동시에 3가지 카테고리(category; contact, web serach, text)로 검색할 결과를 이용하여 포커싱할 수 있다. 이때 컨택 정보 및 웹 검색에 의해 동시에 포커싱 아이템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web 이미지 결과보다는 컨택정보(인물의 경우 CALLER-ID)의 이미지 매칭(matching) 값이 더 높은 우선순위(priority)를 가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면 John이 caller ID, web결과가 모두 있다면 caller-ID 기준으로 focusing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된 key-word를 이용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key-word를 삭제하지 않으면 이를 포커스 아이템으로 계속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아기 이름을 포커스 아이템으로 등록해 놓은 경우, 제어부는 해당 아기가 preview 이미지에 들어올 때마다 자동 포커싱할 수 있다. 이런 경우어린 아기들 얼굴을 focus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한 우리 아기 얼굴만 포커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포커싱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구동시 프리뷰 화면에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포커싱 및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자동 포커싱 과정과,
    상기 자동포커싱 종료시 포커싱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포커스 아이템을 텍스트로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포커싱 과정은
    컨택정보에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탐색된 포커스 아이템 이미지를 포커싱하고,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인물이름이며,
    상기 자동 포커싱 과정은 상기 컨택정보에 등록된 얼굴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프리뷰 이미지에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컬러이며,
    상기 자동포커싱 과정은 컨택정보의 컬러 레인지에 포함된 컬러를 프리뷰이미지에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포커싱 과정은 웹 검색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웹 검색 과정은 포커스 아이템을 웹 검색하여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컨택정보 및 웹 검색에 의해 모두 획득하면, 컨택정보의 이미지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포커싱 과정은 문자 인식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자 인식과정은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문자와 포커스 아이템의 문자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프리뷰 이미지의 문자 영역을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휴대단말기의 포커싱 장치에 있어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카메라 구동시 상기 프리뷰 화면에 설정된 포커스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포커싱 및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포커스 아이템을 텍스트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택정보에서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탐색하며,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탐색된 포커스 아이템 이미지를 포커싱하고, 포커스 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인물이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택정보에 등록된 얼굴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프리뷰 이미지에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아이템은 컬러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택정보의 컬러 레인지에 포함된 컬러를 프리뷰이미지에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웹 검색을 위해 인터넷 망에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아이템을 웹 검색하여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커스 아이템의 이미지를 컨택정보 및 웹 검색에 의해 모두 획득하면, 컨택정보의 이미지로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문자인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문자인식부를 통해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문자를 인식하며, 인식된 문자와 포커스 아이템의 문자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프리뷰 이미지의 문자 영역을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41668A 2013-04-16 2013-04-16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KR10205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668A KR102057581B1 (ko) 2013-04-16 2013-04-16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US14/254,820 US9641740B2 (en) 2013-04-16 2014-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focusing in device having camera
EP14164883.2A EP2793458B1 (en) 2013-04-16 2014-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focusing in device hav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668A KR102057581B1 (ko) 2013-04-16 2013-04-16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05A true KR20140124205A (ko) 2014-10-24
KR102057581B1 KR102057581B1 (ko) 2019-12-19

Family

ID=5084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668A KR102057581B1 (ko) 2013-04-16 2013-04-16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41740B2 (ko)
EP (1) EP2793458B1 (ko)
KR (1) KR1020575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00A (ko) * 2017-09-20 2019-03-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90040596A (ko) * 2017-10-11 2019-04-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141179B1 (ko) * 2020-03-09 2020-08-04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초점 기반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002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3531A1 (en) * 2001-01-17 2002-07-18 John Barile Adaptive display for video conferences
FI116547B (fi) * 2003-09-04 2005-12-1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matkaviestimeen tallennettavien kuvien nimeämiseksi
JP5318321B2 (ja) * 2004-08-05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JP4360369B2 (ja) * 2005-11-25 2009-11-1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5087856B2 (ja) 2006-04-05 2012-12-05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CN101535997A (zh) 2006-09-17 2009-09-16 诺基亚公司 用于基于标签的可视搜索用户接口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JP5056061B2 (ja) 2007-02-22 2012-10-24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4900014B2 (ja) * 2007-04-16 2012-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277903A (ja) * 2007-04-25 2008-11-13 Sony Corp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ス対象決定方法
US20090247219A1 (en) * 2008-03-25 2009-10-01 Jian-Liang Lin Method of generating a function output from a photographed image and related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507786B1 (ko) 2008-03-3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US8520979B2 (en) * 2008-08-19 2013-08-27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processing
JP2010117663A (ja) 2008-11-14 2010-05-27 Fujin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KR20110051393A (ko) * 2009-11-10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73551B2 (ja) * 2009-11-17 2014-04-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US8810684B2 (en) * 2010-04-09 2014-08-19 Apple Inc. Tagging im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ing a contacts list
US9118832B2 (en) 2010-08-17 2015-08-25 Nokia Technologies Oy Input method
TWI435597B (zh) 2010-10-20 2014-04-21 Altek Corp 結合臉部特徵辨識之相片資訊顯示方法及其具有攝像功能之電子裝置
CN102916986A (zh) * 2011-08-01 2013-02-06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人脸辨识的搜寻系统及其方法
US20130088413A1 (en) * 2011-10-05 2013-04-11 Google Inc. Method to Autofocus on Near-Eye Display
US8768377B2 (en) * 2011-11-22 2014-07-01 Sony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im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00A (ko) * 2017-09-20 2019-03-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90040596A (ko) * 2017-10-11 2019-04-1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카메라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141179B1 (ko) * 2020-03-09 2020-08-04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초점 기반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3458B1 (en) 2017-09-20
US9641740B2 (en) 2017-05-02
EP2793458A1 (en) 2014-10-22
US20140307146A1 (en) 2014-10-16
KR102057581B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04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US201400564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character in terminal equipment
KR10185123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현장치 및 방법
US20190065447A1 (en) Method of processing analo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8885614B (zh) 一种文本和语音信息的处理方法以及终端
US9172879B2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CN105528606A (zh) 区域识别方法及装置
CN109035914B (zh) 一种基于智能台灯的学习方法及智能台灯
CN103916592A (zh) 用于在具有照相机的便携式终端中拍摄肖像的设备和方法
US9405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information from surroundings
CN107885826B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057581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JP4668345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05160236A (zh) 一种输入验证码的方法和装置
CN111639158B (zh) 一种学习内容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6469310B (zh) 图片中字符提取方法及装置
US20130339271A1 (en)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800144B2 (ja) 文字列判定装置、文字列判定方法、文字列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906669B2 (en) Scanning system, scanne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canning method
CN103870822B (zh) 词语识别方法及装置
JP2012226085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975621B (zh) 识别浏览器页面中的搜索引擎的方法及装置
CN105159893A (zh) 字符串保存方法及装置
KR10132480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803594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