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097A -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097A
KR20140124097A KR1020130041408A KR20130041408A KR20140124097A KR 20140124097 A KR20140124097 A KR 20140124097A KR 1020130041408 A KR1020130041408 A KR 1020130041408A KR 20130041408 A KR20130041408 A KR 20130041408A KR 20140124097 A KR20140124097 A KR 2014012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sorption
microwave
gaseous
adsorp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285B1 (ko
Inventor
이현재
이승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to KR102013004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85B1/ko
Priority to CN201480021884.7A priority patent/CN105263602B/zh
Priority to PCT/KR2014/002952 priority patent/WO2014171657A1/en
Publication of KR2014012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2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72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53/48 - B01D53/70, e.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68Removing 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01D2253/1124Metal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1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3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5Rho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4Sil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23Van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8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46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53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61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69Molybde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76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92Zin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1Bacteria;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4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by applying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부재;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시키는 탈착 수단; 및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후 유입되는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의 흡착 및 탈착이 흡착 부재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흡착 부재가 재생될 수 있으므로, 흡착 부재의 흡착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Air purifying filter with desorption means by microwave heating and air purify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의 정화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 장치는 가정, 다중 이용시설, 또는 산업현장 등에서 공기에 포함된 세균,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또는 유해성분 등의 오염 물질을 처리하여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는 크게 먼지나 세균 등의 입사상 물질을 처리하는 복수의 필터와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의 가스상 물질을 처리하는 탈취필터로 구성되며, 입사상 물질을 처리하는 필터의 경우 입자의 체효과(sieving)를 이용하는 필터와 정전기를 이용한 전기 집진기식 정전필터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가스상 물질을 처리하는 탈취필터의 경우 활성판과 제올라이트를 이용하는 고정상 흡착필터와 오존을 이용한 오존산화필터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정상 흡착필터의 경우, 저농도에서 평형 흡착력이 낮아지고 흡착된 흡착성분이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흡착되어 있어 외부 온도 및 농도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재탈착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또한 자체 재생기능을 갖추고 있지 못해 수명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존을 이용한 오존산화필터의 경우 오존산화력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필터의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환경오염물질인 오존을 이용함으로써 미반응된 오존이 외부로 유출될 경우 천식 및 알러지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에 대한 장기간의 정화에도 지속적인 정화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의 탈착을 위해 요구되는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부재;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시키는 탈착 수단; 및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후 유입되는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착 부재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영역,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상기 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되는 탈착 영역, 및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회수되는 열회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탈착 영역 측으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탈착 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회수 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탈착 영역으로 유도하기 위한 탈착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챔버는 상기 마이크로파가 상기 열회수 영역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촉매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촉매부 및 상기 촉매부를 일반 가열 방식 또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촉매부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응축시키거나 또는 상기 촉매부를 통과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는 가스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알루미나-실리카,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물질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 부재는 통기성의 확보를 위해 폼 구조를 갖거나 하니컴 구조 등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흡착 부재는 높은 통기성을 갖는 임의의 지지체에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알루미나-실리카,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흡착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체는 금속폼 또는 세라믹폼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니컴구조의 세라믹 및 메탈 지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금속을 절곡하거나 압출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흡착 부재는 유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성 물질은 유전율이 10이상인 SiC, TiO2, ZnO, CuO, NiO, V2O5, Ferrite, Graphite, Zn02, 및 SiH2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부는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촉매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촉매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물질은 백금, 로듐,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티타늄, 바나듐,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이연, 몰리브덴, 은, 텅스텐, 및 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부는 상기 지지체 표면에 코팅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와 반응하여 상기 흡착 부재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필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부재; 및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시키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영역,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상기 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되는 탈착 영역, 및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회수되는 열회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탈착 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회수 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탈착 영역으로 유도하기 위한 탈착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챔버는 상기 마이크로파가 상기 열회수 영역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의 흡착 및 탈착이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흡착 부재가 재생될 수 있으므로 흡착 부재의 흡착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에 의해 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탈착시키므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의 탈착에 필요한 유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흡착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탈착 수단에 대한 동작 참고도,
도 6은 도 3의 탈착 챔버에 대한 평면도, 및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정화부에 대한 동작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1)는 흡착 부재(10), 탈착 수단(20), 및 정화부(30)를 포함한다.
흡착 부재(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고, 탈착 수단(20)은 흡착 부재(10)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착 부재는 가스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알루미나-실리카,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물질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 부재는 통기성의 확보를 위해 폼 구조 또는 하니컴 구조 등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흡착 부재는 높은 통기성을 갖는 임의의 지지체에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알루미나-실리카,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흡착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체는 금속폼 또는 세라믹폼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니컴구조의 세라믹 및 메탈 성형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금속 또는 세라믹의 절곡 또는 압출에 의해 성형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착 부재(10)에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유전 물질이 제공된다. 상기 유전 물질은 유전율이 10 이상인 SiC(탄화 규소), TiO2(타이타늄 옥사이드), ZnO(징크 옥사이드), CuO(코퍼 옥사이드), NiO(니켈 옥사이드), V2O5(바나듐 옥사이드), Ferrite(페라이트), Graphite(그라파이트), Zn02(징크 옥사이드), 및 SiH2 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착 부재(10)를 구성하는 흡착 물질(흡착제) 및 유전 물질은 임의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착제 및 상기 유전 물질을 혼합한 후 지지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상기 유전 물질이 혼합된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한 후 상기 흡착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지지체에 상기 유전 물질을 코팅한 후 상기 흡착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흡착 부재(1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탈착 수단(2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정화부(30)는 흡착 부재(10)로부터 탈착된 후 유입되는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정화된 공기 중 일부 공기를 흡착 부재(10)로 유입시킨다. 정화부(30)의 상세 구성 및 동작 방법은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장치(1)는 흡착 부재(10)의 전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및 흡착 부재(10)의 후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흡착 부재(1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잔여분의 입자상 오염 물질과 가스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처리 필터는 에어 필터, 미디움 필터, 헤파 필터, 또는 전기 집진식 정전필터일 수 있으며, 상기 후처리 필터는 활성탄 필터와 점착 활성탄 필터 등이거나 또는 헤파 필터와 정전필터 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흡착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탈착 수단에 대한 동작 참고도, 및 도 6은 차폐부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부재(10)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단속적 또는 연속적 회전한다. 흡착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착 부재의 평면상에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영역(d1),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되는 탈착 영역(d2), 및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회수되는 열회수 영역(d3)이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 영역(d2)의 온도는 50°C 내지 300°C, 열회수 영역(d3)의 온도는 40°C 내지 240°C가 되도록 운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흡착 부재(10)의 경우 흡착 영역(d1)에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된 후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 영역(d2)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탈착되므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의 흡착 및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의 탈착에 의한 재생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열회수 영역(d3)에서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회수되어 흡착 부재(10)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게 되므로 흡착 부재(10)의 정화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수단(20)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킨 후 상기 마이크로파를 흡착 영역(d2) 측으로 공급하는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21)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1)는 흡착 부재(10)와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21) 사이에 구비되며 열회수 영역(d3)으로 유입된 공기를 탈착 영역(d2)으로 유도하기 위한 탈착챔버(40) 및 탈착챔버(40)와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21) 사이에 구비되어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21)으로부터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도파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챔버(40)는 도파관(50)을 통과한 상기 마이크로파가 열회수 영역(d3)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탈착 수단(20)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a1)가 흡착 영역(d1)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 영역(d1)에 흡착되며 이에 따라 정화된 공기(a2)가 외부로 배출되며, 흡착 영역(d1)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은 흡착 부재(10)의 단속적 또는 연속적 회전에 의해 탈착 영역(d2)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21)이 탈착 영역(d2) 측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면 상기 마이크로파가 도파관(50) 및 탈착챔버(40)를 통과하여 탈착 영역(d2)으로 전달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에 의해 탈착 영역(d2)의 온도가 상승하면 탈착 공기(a3)에 의해 탈착 영역(d2)으로부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된 후 상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a4)가 정화부(30)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a1) 중 일부 공기(a11)가 열회수 영역(d3)을 통과하게 되면 열회수에 의해 가열된 공기(a21)가 탈착챔버(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탈착 공기(a3)에 열회수에 의해 가열된 공기(a21)가 포함되어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탈착 수단(20)이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에 의해 흡착 부재(10)를 구성하는 흡착 물질에 흡착되는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탈착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경우 히터 또는 버너와 같은 일반 가열 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될 수 있는 온도인 180°C 내지 200°C로 가열된 탈착 공기를 흡착 부재(10) 측으로 공급한 후 상기 가열된 탈착 공기에 의해 흡착 물질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되도록 하였는데, 이 경우 탈착 공기의 가열을 위해 가열 수단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량이 크게 증가하고, 가열된 흡착 부재(10)로부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탈착하기 위한 에너지 전달을 위해서는 많은 유량의 탈착 공기가 요구된다.
반면,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흡착 부재(10)가 직접적으로 가열되고 탈착 공기(a3)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a1) 중 일부 공기(a11)가 흡착 부재(10)의 열회수 영역(d3)을 통과한 후 열회수에 의해 가열된 공기(a21)가 포함되어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므로 흡착 부재(10)로부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의 탈착을 위해 요구되는 온도(예를 들어, 50°C 내지 300°C)에 도달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 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작은 유량(예를 들어, 종래와 비교 시 10% 내지 20%의 유량)으로도 흡착 부재(10)로부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일부 공기(a11) 중 흡착 부재(10)의 열회수 영역(d3)을 통과한 후 열회수에 의해 가열된 공기(a21)를 추가 가열하여 열량이 증가된 공기가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 가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가열부(60)는 전기 히터 또는 버너일 수 있다.
또한,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챔버(40)는 도파관(50)을 통과하여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는 마이크로파가 열회수 영역(d3)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42)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격벽(42)은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는 마이크로파가 열회수 영역(d3)으로 도달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열회수 영역(d3) 및 탈착챔버(40)를 통과하여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는 열회수에 의해 가열된 공기(a21)가 통과할 시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속 메쉬 또는 금속 타공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의 차단을 위해 상기 금속 메쉬를 구성하는 각 메쉬의 애퍼쳐(aperture)는 30mm x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타공판의 경우 형성되는 홀의 직경이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9는 도 1의 정화부에 대한 동작 참고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30)는 흡착 부재(10)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a4)를 촉매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촉매부(31) 및 일반 가열 방식 또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으로 촉매부(31)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촉매부(31)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표면에 코팅되어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과 촉매 반응하는 촉매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열 수단(33)은 일반 가열 방식인 경우 히터 또는 버너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인 경우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체는 세라믹폼, 메탈폼, 또는 하니컴 구조를 갖는 세라믹 및 메탈 지지체일 수 있고, 상기 촉매 물질은 백금, 로듐,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3족 내지 12족의 전이 금속인 티타늄, 바나듐,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이연, 몰리브덴, 은, 텅스텐, 및 금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촉매부(31)가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촉매부(31)는 상기 촉매 물질 외에 상기 지지체 표면에 코팅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에 의해 반응하여 촉매부(31)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유전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전 물질은 SiC(탄화 규소), TiO2(타이타늄 옥사이드), ZnO(징크 옥사이드), CuO(코퍼 옥사이드), NiO(니켈 옥사이드), V2O5(바나듐 옥사이드), Ferrite(페라이트), Graphite(그라파이트), Zn02(징크 옥사이드), 및 SiH2 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촉매부(31)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가열 수단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촉매 물질 및 상기 유전 물질을 혼합한 후 상기 지지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상기 유전 물질이 혼합된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한 후 상기 촉매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체에 상기 유전 물질을 코팅한 후 상기 촉매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정화부(30)가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a4)를 정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탈착 수단(20)으로부터 흡착 부재(10)의 탈착 영역(d2) 측으로 공급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흡착 부재(10)의 탈착 영역(d2)이 마이크로파 가열되어 탈착 영역(d2)의 온도가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될 수 있는 온도(예를 들어, 180°C 내지 200°C)까지 상승하면 탈착 공기(a3)에 의해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 영역(d2)으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a4)가 촉매부(31) 측으로 유입된다.
촉매부(31)는 가열 수단(33)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과 촉매 반응하여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정화하게 되고, 촉매부(31)를 통과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정화된 공기(a5)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일부 공기(a6)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a1)에 포함되어 흡착 부재(10)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촉매부(31)를 통과한 가스상 오염 물질이 정화된 공기(a5) 중 일부 공기(a6)를 흡착 부재(10) 측으로 공급하는 이유는 촉매부(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촉매부(31)를 통과한 공기(a5)에 포함될 수 있는 일부 오염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30)는 촉매부(31)와 가열 수단(33) 외에 촉매부(31)의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여 흡착 부재(10)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응축시키거나 또는 촉매부(31)를 통과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응축부(35)는 열교환기 또는 냉각기 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30)의 전측에 응축부(35)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a4)가 응축부(35)측으로 유입된 후 응축에 의해 수분이 회수되며, 응측부(35)를 통과한 공기(a5)는 가열 수단(33)에 의해 가열된 촉매부(31) 측으로 유입된 후 촉매 반응에 의해 응측부(35)를통과한 공기(a5)에 포함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정화된 후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정화된 공기(a6)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일부 공기(a7)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a1)에 포함되어 흡착 부재(10)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30)의 후측에 응측부(35)가 위치하는 경우 촉매부(31)를 통과하여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정화된 공기(a5)는 응축부(35)로 유입된 후 수분이 회수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a6) 또는 일부 공기(a7)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a1)에 포함되어 흡착 부재(10)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촉매부(31)의 전측 또는 후측에 별도의 응축부(35)를 구비하는 이유는 촉매부(31)를 통과한 가열된 상태의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정화된 공기(a5)를 냉각시킨 후 일부 공기(a7)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a1)에 포함시켜 흡착 부재(10)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a1) 중 일부 공기(a11)가 열회수 영역(d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가열된 열회수 영역(d3)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10) : 흡착 부재 (20) : 탈착 수단
(21) :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 (30) : 정화부
(31) : 촉매부 (33) : 가열 수단
(35) : 응축부 (40) : 탈착챔버
(42) : 격벽 (50) : 도파관
(60) : 공기 가열부

Claims (13)

  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부재;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시키는 탈착 수단; 및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후 유입되는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영역,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상기 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되는 탈착 영역, 및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회수되는 열회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탈착 영역 측으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파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탈착 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회수 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탈착 영역으로 유도하기 위한 탈착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챔버는 상기 마이크로파가 상기 열회수 영역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촉매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촉매부를 포함하거나, 일반 가열 방식 또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촉매부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응축시키거나 또는 상기 촉매부를 통과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마이크로파와 반응하여 상기 흡착 부재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물질은 유전율이 10이상인 SiC, TiO2, ZnO, CuO, NiO, V2O5, Ferrite, Graphite, Zn02, 및 SiH2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부재; 및
    상기 흡착 부재에 흡착된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탈착시키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 영역,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상기 흡착된 가스상 오염 물질이 탈착되는 탈착 영역, 및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회수되는 열회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탈착 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회수 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탈착 영역으로 유도하기 위한 탈착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챔버는 상기 마이크로파가 상기 열회수 영역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KR1020130041408A 2013-04-16 2013-04-16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47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08A KR101476285B1 (ko) 2013-04-16 2013-04-16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201480021884.7A CN105263602B (zh) 2013-04-16 2014-04-07 具有使用微波加热的解吸单元的空气净化过滤器及使用所述空气净化过滤器的空气净化装置
PCT/KR2014/002952 WO2014171657A1 (en) 2013-04-16 2014-04-07 Air purifying filter with desorption unit using microwave heating and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08A KR101476285B1 (ko) 2013-04-16 2013-04-16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97A true KR20140124097A (ko) 2014-10-24
KR101476285B1 KR101476285B1 (ko) 2014-12-24

Family

ID=517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408A KR101476285B1 (ko) 2013-04-16 2013-04-16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76285B1 (ko)
CN (1) CN105263602B (ko)
WO (1) WO20141716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322A1 (en) * 2014-12-31 2016-07-07 Ecopro Co. Ltd. Air cleaning system
KR101893497B1 (ko) * 2018-02-07 2018-08-30 (주)씨앤지테크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 및 재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0115B2 (ja) * 2014-10-17 2018-11-07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気体処理装置及び気体処理装置の機能再生方法
CN105148679A (zh) * 2015-09-07 2015-12-16 芜湖仅一机械有限公司 喷漆废气的处理方法
CN106669417A (zh) * 2017-01-04 2017-05-17 佛山市顺德区阿波罗环保器材有限公司 一种加热除气态污染物装置
KR102406023B1 (ko) * 2017-07-21 2022-06-09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가스 분배판을 이용한 VOCs 제거 시스템
KR102392607B1 (ko) * 2017-08-18 2022-05-02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장치
IT201800007446A1 (it) * 2018-07-23 2020-01-23 Impianto di verniciatura con sistema di abbattimento dell’overspray, metodo e dispositivo di abbattimento
CN110772890B (zh) * 2018-07-30 2021-11-19 天津大学 一种负载四氧化三铁的SiC泡沫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675400B (zh) * 2018-12-28 2021-01-26 武汉理工大学 有机废气高温热解装置
US11307119B2 (en) * 2019-04-23 2022-04-19 Pall Corporation Aircraft air contaminant collector device and method of use
CN110538480A (zh) * 2019-09-25 2019-12-06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系统及冷凝方法
CN111185068B (zh) * 2020-01-15 2021-08-06 昆明理工大学 一种吸附再生法脱除电解铝烟气中二氧化硫的方法及装置
CN117205747A (zh) * 2023-09-26 2023-12-12 河北科技大学 有机污染气体连续净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670A (ja) * 1995-09-08 1997-03-25 Kansai Shin Gijutsu Kenkyusho:Kk 有機公害物質の処理方法
JPH1119455A (ja) * 1997-06-30 1999-01-26 Sanyo Electric Co Ltd 脱臭装置
JP2001149754A (ja) * 1999-11-30 2001-06-05 Japan Organo Co Ltd 揮発性有機物質を含む排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454427B1 (ko) * 2001-06-15 2004-10-26 주식회사제4기한국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효율 유해가스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0579760B1 (ko) * 2004-07-30 2006-05-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탈착장치
CN101502757B (zh) * 2009-02-09 2011-05-11 大连海事大学 用于处理PFCs的物理和化学协同净化设备及方法
JP4960985B2 (ja) * 2009-03-27 2012-06-27 株式会社大気社 吸着ロータ式ガス処理装置、及び、吸着ロータ製造方法
CN202387370U (zh) * 2011-09-15 2012-08-22 杰智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环境中低浓度挥发性有机化合物净化装置
CN102580452A (zh) * 2012-02-23 2012-07-18 宁波市沧海新材料开发有限公司 一种室内污染空气治理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322A1 (en) * 2014-12-31 2016-07-07 Ecopro Co. Ltd. Air cleaning system
CN107106965A (zh) * 2014-12-31 2017-08-29 艾可普罗有限公司 空气清洁系统
US10343105B2 (en) 2014-12-31 2019-07-09 Ecopro Co., Ltd. Air cleaning system
CN107106965B (zh) * 2014-12-31 2020-07-14 艾可普罗有限公司 空气清洁系统
KR101893497B1 (ko) * 2018-02-07 2018-08-30 (주)씨앤지테크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흡착 및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657A1 (en) 2014-10-23
CN105263602A (zh) 2016-01-20
KR101476285B1 (ko) 2014-12-24
CN105263602B (zh)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285B1 (ko)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의 탈착 수단을 갖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476282B1 (ko) 공기 정화 장치
US8366803B2 (en) Air cleaner having regenerative filter, and method for regenerative of air cleaner filter
CN108568213B (zh) 台桌式实验室空气污染物去除机
JP5948020B2 (ja) 有害物質除去装置、これを用いた空気浄化装置、及び有害物質除去方法
KR101323108B1 (ko) 수평방향으로의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한 허니컴 로터식 VOCs가스 제거 시스템
CN201684212U (zh) 空气杀菌净化器
CN105864908A (zh) 一种多级等离子体空气净化器
WO2009002295A1 (en) Purification of a fluid using ozone with an adsorbent and/or a particle filter
KR101419481B1 (ko) 탈취 촉매 필터 및 이의 재생 유닛을 구비한 공기제연정화 살균기
CN104955179A (zh) Ptc加热器及含有该ptc加热器的电器
CN104971584A (zh) 用于异味化合物和挥发性有机化合物的吸附式浓缩器
KR20160136988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VOCs 제거 시스템
KR100543529B1 (ko) 공기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KR101522890B1 (ko) 망간계 금속산화물 저온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WO2005099778A1 (ja) 有害物質の分解方法、及び有害物質分解装置
JP2002238981A (ja) 空気浄化装置
KR101310945B1 (ko) 촉매가 부착된 흡착부를 갖는 오염 공기 정화 장치 및 촉매가 부착된 흡착부의 제조 방법
KR200340227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KR100713173B1 (ko) 기-액 2상 유동층 반응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JP2002306587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浄化フィルタ
WO2007091431A1 (ja) 脱臭ユニット
CN108392954A (zh) 一种塑料生产设备用异味处理装置
CN218119958U (zh) 空调组件
JP2004195353A (ja) 排出ガ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