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735A -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735A
KR20140123735A KR1020130040939A KR20130040939A KR20140123735A KR 20140123735 A KR20140123735 A KR 20140123735A KR 1020130040939 A KR1020130040939 A KR 1020130040939A KR 20130040939 A KR20130040939 A KR 20130040939A KR 20140123735 A KR20140123735 A KR 2014012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ressure
shell
light emitting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허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735A/ko
Priority to US13/954,944 priority patent/US20140306187A1/en
Priority to EP20130185266 priority patent/EP2792724A1/en
Publication of KR2014012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9/00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점착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공하며, 아울러,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ADHESIVE HAVING ADHESIVE CAPSUL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ADHESIVE}
본 발명은 점착캡슐이 포함되어 있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제조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되며, 이러한 부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 부품들을 결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점착제를 이용하는 접착방법이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때에도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품들을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은 일반적으로 윈도우와 표시부 패널 사이에 부착되는데, 상기 터치패널을 윈도우 또는 표시부 패널과 결합시킬 때 점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터치패널을 윈도우 또는 표시부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광경화성 수지(Regin)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액상의 재료인 관계로 접착과정에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OCA(Optically Clear Adhesives)는 접착력이 강하여 한 번 부착한 후 떼어내기가 용이하지 않아 불량 발생시 재작업이 어렵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OCA를 사용한 경우, 얼라인(align) 불량 등을 이유로 재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 패널에 부착되어 있던 터치패널을 떼어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즉, 상기 OCA의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 OCA에서는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상대적으로 부착력이 약한 표시부 패널의 발광층 또는 박막봉지층에서 분리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재작업성이 용이하면서도, 흘러 내림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점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또한, 초기 부착력은 약하지만 가압에 의하여 접착력이 강해질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점착제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점착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1.6 내지 2.8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PVA(polyvinyl alcohol)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쉘(shell)은, 젤라틴, 아라비아 껌, 알긴산소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에폭시, 멜라민-포르말린, 왁스 및 콜로이달 실리카로 이루어지니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쉘은 0.35 내지 1 MPa의 압력에서 구조가 붕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쉘의 구조가 붕괴될 경우, 상기 쉘의 내부에 있던 점착성 고분자가 쉘 외부로 유출되어 고분자 매트릭스 내로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350 내지 1,300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니트릴(Nitrile)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스타이렌 블록 혼성 중합체(SBC) 및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광중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캡슐은 점착제 전체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vol%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캡슐은 입경이 50 내지 38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서는, 필름형태의 기재; 및 상기 필름형태의 기재상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점착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종이 또는 부직포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서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배치된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점착캡슐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점착캡슐은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상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발광층은 백색 발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는 내부에 점착캡슐이 분산되어 있는데, 상기 점착캡슐이 터지기 전에는 상기 점착제의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 이용하여 부품들을 서로 부착한 후 다시 떼어내기가 용이하다. 또한, 재작업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점착제 내부에 있는 점착캡슐이 터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점착캡슐 내부에 있던 점착성 고분자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점착제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안정적인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이용할 경우 재작성이 우수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캡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터치패널을 윈도우의 부착할 때,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를 점착층으로 사용하는 일례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6g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에 개시된 일례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설명하는 도면이나 일례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선택된 것일 뿐이다.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와 그 형상 등이 간략하게 그려지거나 또는 과장되어 그려지기도 하며, 실제 제품에 있는 구성요소가 표현되지 않고 생략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다른 층이나 또는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라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층이나 구성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배치된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되어 배치된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 상기 기판(100)상에 배치된 표시부(200), 상기 표시부(200)에 배치된 터치패널(400), 상기 터치패널(400)상에 배치된 점착층(300) 및 상기 점착층(300)상에 배치된 윈도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층(300)은 고분자 매트릭스(310)에 점착캡슐(320)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점착캡슐(320)은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321; shell) 및 상기 쉘(321)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322)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개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표시부(200)와 상기 터치패널(400) 사이에도 점착층(30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점착층(30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는 고분자 매트릭스(310)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에 분산된 점착캡슐(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캡슐(320)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321; shell) 및 상기 쉘(321)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3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접착력은 일반적인 점착제의 접착력보다 접착력이 약하며, 특히 상기 점착캡슐(320)의 내에 존재하는 점착성 고분자(322)의 접착력보다 접착력이 약하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로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의 접착력보다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한 재료를 사용한다. 그 결과, 부품들을 서로 접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재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상기 점착제는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내부에 점착캡슐(320)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데, 상기 점착캡슐(320)이 터지기 전에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만이 접착에 관여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점착캡슐(320)이 터지기 전에는 상기 점착제의 접착력이 매우 약하다. 즉, 상기 접착캡슐(320)이 터져서 상기 접착캡슐(320) 내부에 포집되어 있던 점착제 조성물(322)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로 유출되기 전에는 상기 점착제의 접착력은 매우 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품들을 서로 부착하더라도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접착된 부품들을 다시 떼어내어 재작업 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품을 접촉만 시켜 단순히 붙어 있기만 하도록 해 놓은 상태에서, 상기 부품들의 부착 위치가 정확한지, 얼라인이 제대로 맞았는지, 또는 부착된 상태에 이상은 없는지 확인한 후, 이상이 있는 경우 두 개의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접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품을 접촉만 시켜 단순히 붙어 있기만 하도록 해 놓은 상태를 "초기 부착"이라고 한다. 이때, 상기 점착제는 상기 두개의 부품 사이에 배치되어 첨착층(300)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접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품의 부착상태에 이상이 없다면, 즉, 재작업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300)의 내부에 있던 점착캡슐(320)이 터지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점착캡슐(320) 내부에 있던 점착성 고분자(322)가 흘러나와 상기 점착층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재작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공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에 형성된 점착층을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 있어서, 고분자 매트릭스(310)와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는 재료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 또는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와 같이 점착성을 갖는 물질의 접착력은, 일반적인 접착력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기재에 배치하여, 상기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된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제조한 후, 상기 점착층이 유리(glass)와 접착되도록 점착 테이프를 유리에 부착한 후, 상온 및 상압 상태에서 180ㅀ방향으로 박리할 때 필요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접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력을 박리력이라고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서의 접착력은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는 접착력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 예를 들어 시판중인 OCA의 접착력보다 약한데, 예컨대, 1.6 내지 2.8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접착력이 1.6gf/cm보다 작게 되면 접착력이 지나치게 약하여 초기 부착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상기 접착력이 2.8gf/cm보다 크게 되면 재작업성이 좋지 않게 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재료로는, 접착력의 범위가 1.6~2.8gf/cm의 조건만 만족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중합성 고분자 재료의 경우 작용기 또는 중합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중합성 고분자를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재료로서 투명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재료의 일례로서, PVA(polyvinyl alcohol)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VA 역시, 작용기 또는 중합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에 분산된 점착캡슐(32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캡슐(3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321) 및 상기 쉘(321)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322)를 포함한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점착캡슐(320)은 구(球) 형태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점착캡슐(320)의 형태는 상기 구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럭비공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쉘(321) 단독으로만 고려했을 때, 상기 쉘(321)은 내부에 다른 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중공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 이상의 압력에서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쉘(321)은 유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무기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쉘은 젤라틴, 아라비아 껌, 알긴산소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에폭시, 멜라민-포르말린, 왁스 및 콜로이달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재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쉘(321)의 내부에는 점착성 고분자(322)가 포집되어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보다 접착력이 강한 물질이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의 접착력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보다 접착력이 약한 반면,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가 갖는 접착력정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전자기기 또는 디스플레이의 제조과정에서 부품을 접착할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가 갖는 정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350 내지 1,300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EVA (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니트릴(Nitrile)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스타이렌 블록 혼성 중합체(SBC) 및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 역시, 작용기를 조정하거나 중합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그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용도에 따른 접착력의 크기 및 제조상의 편의성 또는 생산원가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로서 500 내지 1,000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할 경우, 점착캡슐(320)의 쉘(321)에 포집되어 있다가, 압력에 의하여 쉘(321) 밖으로 유출된 후,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로 용이하게 분산되어 점착층에 필요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로서,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322)로서 광중합성을 가진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광중합에 의하여 점착성을 갖게 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을 한 후, 상기 점착캡슐(320)에서 점착성 고분자(322)가 유출되도록 한 후, 광조사 과정을 거침으로써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에 있어서, 상기 점착캡슐(320)은 캡슐상태에서는 접착력에 기인하지 못하는 바, 상기 점착캡슐(320)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상기 점착제의 초기 부착력이 지나치게 낮아질 우려가 있다. 반면, 점착캡슐(320)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어지면, 상기 점착캡슐 내에 포함된 점착성 고분자 수지의 작용이 미미하여 상기 점착캡슐(320) 파괴 후에도 점착제가 안정적인 접착력을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이에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상기 점착제의 총 부피에 대하여 상기 점착캡슐(320)은 10 내지 90 vol%만큼 함유되도록 한다.
상기 점착제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광학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점착캡슐(320)의 존재로 인하여 시인성에 있어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상기 점착캡슐(320)에 의한 빛의 산란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캡슐(320)의 크기를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작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상기 점착캡슐(320)의 입경이 380nm 이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점착캡슐(320) 제조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점착캡슐(320)의 크기는 50nm 이상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점착캡슐(320)은 입경이 50 내지 38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쉘(321)은 소정의 이상의 압력에서 붕괴된다. 상기 쉘(321)이 붕괴됨으로써 상기 쉘(321) 내부에 포집되어 있던 점착성 고분자(322)가 상기 쉘(321)의 외부로 유출되어 고분자 매트릭스(310) 내로 분산된다. 그 결과, 상기 쉘(321) 붕괴 이후 상기 점착제는 전체적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갖게 되며, 그 결과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쉘(32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 의하여 1차 접착된 두 개의 부품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붕괴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쉘(321)이 지나치게 낮은 압력에서 붕괴된다면,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쉘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반면 상기 쉘(321)을 붕괴시키기 위하여 지나치게 높은 압력이 필요하게 되면 쉘(321)을 붕괴시키기 위하여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압력을 받는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상기 쉘(321)이 0.35 내지 1 MPa의 압력에서 쉘 구조가 붕괴되도록 한다. 상기 점착제를 이용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터치패널을 부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압력에서 쉘(321)이 붕괴된다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다른 부분에는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착제 내에 포함되어 있던 쉘(321)은 전부 붕괴될 수도 있고, 일부만 붕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쉘(321)이 붕괴되는 압력은 상기 쉘(321)을 형성하는 재료, 상기 쉘(321)의 두께 및 상기 쉘(321)의 제조방법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경우, 상기 쉘(321)의 두께 역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쉘(321)의 두께는 공정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상기 쉘(321)은 내부에 점착성 고분자(322)를 포집할 공간이 존재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점착제는, 점착캡슐(32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캡슐(320)을 고분자 매트릭스(310)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점착캡슐(320)은 코어-쉘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착캡슐(320)은 쉘 형성용 물질과 점착성 고분자 형성용 단량체 및 용매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쉘 형성용 물질과 점착성 고분자 형성용 단량체를 용매와 혼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산 안정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로는 물, 알코올, 기타 알려진 유기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및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쉘 형성용 물질과 점착성 고분자 형성용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상기 교반 속도에 따라 상기 점착캡슐(320)의 크기 또는 쉘(321)의 두께가 달라질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상기 교반 속도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필요에 따라, 고무계, 아크릴, 실리콘계 등에서 선택된 점착성분들을 사용하고, 이들의 함량 및 공정을 조절하여 원하는 물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점착제는 물, 고분자 매트릭스용 물질로서 PVA, 가교제, 기타 첨가제 등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VA는 바인더 역할을 한다고도 볼 수 있는데, 변성관능기, 중합도, 검화도, 농도 등에 따라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로 작용하는 PVA의 변성관능기, 중합도, 검화도, 농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용도에 적합한 점착제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교제도 점착제의 접착력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접착특성, 광학특성, 공정성, 내구성 고려하여 당업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는 가교제를 선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다. 상기 가교제를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 분자량, pH 및 가교제의 함량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를 점착층(300)으로 사용한 일례를 보여준다. 도 3에서 보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가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 사이에 배치되어 점착층(300)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3에서 왼쪽의 (A)의 상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터치패널(400)과 상기 윈도우(500)를 서로 접촉만 시켜 단순히 붙어 있도록 한 상태, 즉 초기 부착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상기 점착층(3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를 상기 터치패널(400) 또는 상기 윈도우(500) 도포하는 방법, 상기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이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에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초기 부착 후, 상기 터치패널(400)과 상기 윈도우(500)가 원하는 위치에서 얼라인(alig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아울러 부착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이상이 없다면,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400)과 상기 윈도우(500)를 서로 압착하여 상기 점착층(300)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쉘(321)이 붕괴되어, 상기 점착층(300) 내부에 분산되어 있던 점착캡슐(320)이 터지게 되고, 상기 점착캡슐(320) 내부에 있는 점착성 고분자(322)가 흘러나와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점착성 고분자가 광중합성 고분자인 경우, 상기 점착층(320)에 대하여 광을 조사해 줌으로써 접착이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에 일례에 따른 상기 점착제는, 시럽상태 또는 반유동성의 젤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제를 필요한 부위에 도포함으로써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발명에 일례에 따른 상기 점착제는 테이프 형태로 제품화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 테이프(35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점착 테이프(350)은 필름형태의 기재(301) 및 상기 필름형태의 기재(301)상에 배치된 점착층(300)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300)은 고분자 매트릭스(310)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310)에 분산된 점착캡슐(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캡슐(320)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321; shell) 및 상기 쉘(321)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322)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30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점착 테이프에서 기재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기재의 일례로서, 플라스틱, 종이, 부직포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300)상에는 이형지(3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302)의 종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점착 테이프에서 이형지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점착 테이프(350)를 이용하여 2개의 부품을 서로 부착하는 경우, 하나의 부품에 상기 점착 테이프(350)의 점착층(300)을 부착한 후, 상기 기재를 제거하고, 상기 기재의 제거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점착층(300)면에 다른 부품을 부착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5에 개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210), 상기 제 1 전극상에 형성된 발광층(220) 및 상기 발광층상(220)에 형성된 제 2 전극(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210), 발광층(220) 및 제 2 전극(230)이 표시부에 해당된다.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제 1 전극(210) 사이에는 화소정의막(240)이 배치된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제 2 전극(230)상에는 보호층(25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100), 상기 제 1 전극(210), 발광층(220) 및 제 2 전극(230)을 포함하는 표시부 및 상기 보호층(250)까지의 부분을 "표시부 패널"이라고도 한다.
한편, 상기 보호층(250)상에는 편광필름(600)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편광필름(600) 상에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의 상하에는 각각 점착층(300)이 배치되어, 상기 터치패널(400)이 상기 편광필름(600) 및 상기 윈도우(500)와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도 5에 개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발광층(220)에서 발생한 빛이 기판(100)의 반대쪽인 제 2 전극(230)쪽으로 표시되는 전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발광층(220)에서 발생된 빛이 기판(100)쪽으로 표시되는 배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편광필름(600), 터치패널(400) 및 윈도우(500)는 기판(100)쪽에 차례로 배치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판(100)으로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또는 고분자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투명할 수도 있고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기판(100)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상에는 제 1 전극(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판(100)상에 상기 제 1 전극(210)을 형성하기 전에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120)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상기 기판(100)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21), 드레인 전극(122), 소스전극(123) 및 반도체층(12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에는 게이트 절연막(113) 및 층간 절연막(1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구조는 상기 도 5에 개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제 1 기판(10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1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 개시된 일례에서는,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으로서 양극에 해당되며, 제 2 전극(230)은 공통적으로서 음극에 해당된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하부의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를 덮는 평탄화막(117)이 구비될 경우, 제 1 전극(210)은 상기 평탄화막(117)상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평탄화막(117)에 구비된 컨택홀을 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사전극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이 투명전극으로 구성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될 수 있고, 반사전극으로 구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그 위에 형성된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제 1 전극(210)이 양극의 기능을 하고, 제 2 전극(230)은 음극의 기능을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상기 제 1 전극(210)과 상기 제 2 전극(230)의 극성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들 사이에는 화소정의막(PDL: pixel defining layer, 240)이 구비된다. 상기 화소정의막(240)은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전극(210)을 화소단위로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전극(210)의 모서리(edge)부에 상기 화소정의막(240)을 배치하여 상기 제 1 전극을 화소단위로 구분함으로써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화소정의막(240)은 제 1 전극(210)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상기 제 1 전극(210)상에는 발광층(220)이 구비된다. 상기 발광층(220)은 상기 화소정의막(240)에 의하여 구분된 제 1 전극(210)상의 개구부인 화소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220)은, 예를 들어, 적색 발광층(221), 녹색 발광층(222) 및 청색 발광층(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백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220)은 백색의 발광물질로 된 층상 적색, 녹색, 청색의 필터가 각각 적층된 구조로 형성 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전극(210)과 상기 발광층(220) 사이에는 정공주입층 및 주공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220) 상에는 제 2 전극(230)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전극(230)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전극(230)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230)이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 된 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전극 형성용 물질로 형성된 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220)과 상기 제 2 전극(230) 사이에는 전자주입층 및 전자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전극(230) 상에는 보호층(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250)은 하부에 형성된 표시부, 즉, 제 1 전극(210), 발광층(220) 및 제 2 전극(2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층(250)의 일례로서 캐핑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박막봉지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층(250)으로서, 캐핑층과 박막봉지층이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층(250) 상부에는 편광필름(600)이 배치된다. 상기 편광필름(600)은 빛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외광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600) 상에는 터치패널(400)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인식을 한다. 상기 터치패널(400)과 상기 편광필름(600)은 점착층(300)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400)상에는 윈도우(500)가 배치된다. 터치패널(400)과 상기 윈도우(500) 역시 점착층(300)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점착층(30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g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100)상에 제 1 전극(210)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제 1 전극(21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패턴화되어 화소단위로 형성된다.
이어,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210)을 화소단위로 구분하는 화소정의막(240)을 형성한다.
상기 화소정의막(240)으로 구분된 제 1 전극(210)의 개구부 상에 발광층(220)을 형성한다(도 6c).
다음으로, 상기 화소정의막(240) 및 상기 발광층(220)의 전면에 걸쳐 제 2 전극(230)을 형성한다(도 6d).
상기 제 2 전극(230)상에는 보호층(250)을 형성한다(도 6e). 상기 보호층(250)으로서, 캐핑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층구조를 갖는 박막봉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e에서는 보호층(250)으로서 캐핑층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상과 같이 도 6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시부 패널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호층(250)상에는 편광필름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층(250)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 패널 상에는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400)과 상기 윈도우(500)을 표시부 패널에 부착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상기 보호층(250)상에 먼저 터치패널(400)을 부착하고, 이어 상기 터치패널(400)상에 윈도우(500)를 순차적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터치패널(400)을 먼저 윈도우(500)에 부착한 다음,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표시부 패널에 부착하는 방법도 있다.
도 6f에서는 터치패널(400)을 먼저 윈도우(500)에 부착한 다음,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표시부 패널에 부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f에서 보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300)을 매개로 하여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를 부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를 서로 부착하는 과정에서도,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300)이 적용되기 때문에 재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표시부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표시부 패널 상부에 위치시킨다 (도 6f).
상기 도 6f에서는,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표시부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터치패널(400)의 하면에 점착층(300)을 배치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6f와는 달리 상기 점착층(300)을 표시부 패널의 보호층(250)상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상기 표시부 패널 상부에 위치시킨 후 접착위치를 조정하여 얼라인(align)을 맞춘 후,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상기 표시부 패널 상부에 올려놓는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점착층(300)에 의한 접착이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터치패널과 윈도우의 결합체가 상기 표시부 패널과 접촉만 시켜 단순히 붙어 있도록 한 상태, 즉 초기 부착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초기 부착 후, 원하는 위치에서 얼라인(alig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아울러 부착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이 때 만약, 얼라인(align)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부착 상태에 이상이 있다면 상기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상기 표시부 패널로부터 분리한 후 재작업을 한다. 아직 상기 터치패널(400)과 상기 보호층(250)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300)의 접착력이 강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를 상기 표시부 패널의 보호층(25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과정에서 다른 부분, 예컨데 표시부의 발광층(220)이나 보호층(250) 등에서는 손상이 생기지 않는다.
만약, 얼라인(align) 제대로 이루어졌고 또한 부착 상태에도 이상이 없다면 상기 윈도우(500)쪽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점착층(300)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터치패널(400)과 윈도우(500)의 결합체가 상기 표시부 패널의 보호층(250)상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에는, 상기 점착층(300) 내부에 분산되어 있던 점착캡슐이 터지면서 상기 점착캡슐(220) 내부에 있던 점착성 고분자가 흘러나와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상기 점착성 고분자가 광중합성 고분자인 경우, 상기 점착층(320)에 대하여 광을 조사해 줌으로써 접착이 완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도 6g와 같은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기판 200: 표시부
210: 제 1 전극 220: 발광층
230: 제 2 전극 240: 화소정의막
250: 보호층 300: 점착층
310: 고분자 매트릭스 320: 점착캡슐
321: 쉘 322: 점착성 고분자
400: 터치패널 500: 윈도우
600: 편광필름

Claims (17)

  1.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점착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1.6 내지 2.8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PVA(polyvinyl alcoho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shell)은, 젤라틴, 아라비아 껌, 알긴산소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에폭시, 멜라민-포르말린, 왁스 및 콜로이달 실리카로 이루어지니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0.35 내지 1 MPa의 압력에서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구조가 붕괴될 경우, 상기 쉘의 내부에 있던 점착성 고분자가 쉘 외부로 유출되어 고분자 매트릭스 내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350 내지 1,300gf/cm의 범위의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니트릴(Nitrile)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스타이렌 블록 혼성 중합체(SBC) 및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광중합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캡슐은 점착제 전체부피에 대하여 10 내지 90 vol%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캡슐은 입경이 50 내지 380n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점착제 조성물.
  12. 필름형태의 기재; 및
    상기 필름형태의 기재상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점착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종이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4.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배치된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점착캡슐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점착캡슐은 상기 점착캡슐은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쉘(shell) 및 상기 쉘의 내부에 포집된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상에 배치된 제 2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유기발광 표시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백색 발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30040939A 2013-04-15 2013-04-15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40123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39A KR20140123735A (ko) 2013-04-15 2013-04-15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3/954,944 US20140306187A1 (en) 2013-04-15 2013-07-30 Adhesive having adhesive capsul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adhesive
EP20130185266 EP2792724A1 (en) 2013-04-15 2013-09-20 Adhesive, adhesive tape and pre-produc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adhes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39A KR20140123735A (ko) 2013-04-15 2013-04-15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735A true KR20140123735A (ko) 2014-10-23

Family

ID=4923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939A KR20140123735A (ko) 2013-04-15 2013-04-15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06187A1 (ko)
EP (1) EP2792724A1 (ko)
KR (1) KR201401237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79B1 (ko) * 2015-09-02 2016-10-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선 경화형 자가치유 투명 광학 점착소재 및 그 제조방법
US10316219B2 (en) 2016-12-02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Thermally releasable adhesive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45592B2 (en) 2017-06-13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Thermally releasable adhesive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39527B1 (ko) * 2023-02-27 2024-02-21 김관용 파티션용 시트 합착체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292B1 (ko) * 2014-07-29 2021-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장치
KR101574923B1 (ko) * 2015-01-20 2015-12-04 김영수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JP6525188B2 (ja) * 2015-02-17 2019-06-0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粘着剤内包シリカマイクロカプセルとその製造方法、接着材料および接着材料塗布具
CN104804677B (zh) * 2015-05-12 2016-07-20 陈国荣 一种高分子聚合物复合胶
CN106398639A (zh) * 2016-08-09 2017-02-15 丁玉琴 一种植物基透明胶带的制备方法
KR102146150B1 (ko) * 2016-10-03 2020-08-19 김영수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CN109135593A (zh) 2018-08-29 2019-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9796888A (zh) * 2019-02-19 2019-05-24 王秀云 一种防水胶带
WO2020184545A1 (ja) * 2019-03-11 2020-09-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該コーティング剤を用いた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210037034A (ko) * 2019-09-26 2021-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98063A (ko) * 2020-12-31 2022-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65489A (ko) * 1968-07-17 1972-03-01
GB1426796A (en) * 1973-08-16 1976-03-03 United Kingdom Ltd Microcapsule sheeting materials
CA1217294A (en) * 1981-04-21 1987-01-27 Ronald L. Hart Microencapsulated epoxy adhesive system
EP1229181B1 (de) * 2001-02-02 2005-10-26 Fritz Egger GmbH & Co Bau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auteils
US7192904B2 (en) * 2001-12-20 2007-03-20 Fuji Photo Film Co., Ltd. Thermal recording material
US7936338B2 (en) * 2002-10-01 2011-05-03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919681B2 (en) * 2003-04-30 2005-07-19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US7612152B2 (en) * 2005-05-06 2009-11-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elf-healing polymers
KR20070002772A (ko) * 2005-06-30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7262131A (ja) * 2006-03-27 2007-10-11 Fujitsu Ltd 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
WO2008129749A1 (ja) * 2007-04-05 2008-10-30 Kokuyo Co., Ltd. 接着材料、接着材料塗布具、及び転写シート
CN101289298B (zh) * 2008-05-20 2012-06-06 深圳大学 使用脲醛树脂类高分子微胶囊的自修复混凝土及其制造方法
JP2012153788A (ja) * 2011-01-25 2012-08-16 Nitto Denko Corp 光学用粘着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79B1 (ko) * 2015-09-02 2016-10-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선 경화형 자가치유 투명 광학 점착소재 및 그 제조방법
US10316219B2 (en) 2016-12-02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Thermally releasable adhesive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45592B2 (en) 2017-06-13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Thermally releasable adhesive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491762B2 (en) 2017-06-13 2022-11-08 Samsung Display Co., Ltd. Thermally releasable adhesive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39527B1 (ko) * 2023-02-27 2024-02-21 김관용 파티션용 시트 합착체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6187A1 (en) 2014-10-16
EP2792724A1 (en)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3735A (ko)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WI769163B (zh) 用於微裝置的傳送的系統及方法
EP3218939B1 (en) Pre-screening method of micro-led
US10181546B2 (en) Transferr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of micro-LED
KR101424346B1 (ko) 유기전자장치 봉지용 광경화형 점접착 필름, 유기전자장치 및 그의 봉지 방법
JP6048297B2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645066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I765042B (zh) 圖像顯示裝置
WO2017028206A1 (en) Repair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of micro-led
TWI512361B (zh) 用於製造影像顯示裝置之方法
WO2017008254A1 (en) Transferr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of micro-led
WO2017008253A1 (en) Transferr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of micro-led
TW201735346A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MX2014014183A (es) Adhesivo fotocurable opticamente claro liquido.
KR20160016267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636900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9590206B2 (en) OLED package device and package method of OLED panel
CN106654062A (zh) 分离偏光片与柔性oled显示面板的方法
KR102289984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0107935A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4760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8813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용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60030000A (ko) 자외선 경화형 광학용 점착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CN114822287A (zh) 一种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KR20080046935A (ko) 칼러 필터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