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248A -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에 의한 디바이스 컨텐츠의 원격 액세스 및 운영 - Google Patents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에 의한 디바이스 컨텐츠의 원격 액세스 및 운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248A
KR20140122248A KR1020147022886A KR20147022886A KR20140122248A KR 20140122248 A KR20140122248 A KR 20140122248A KR 1020147022886 A KR1020147022886 A KR 1020147022886A KR 20147022886 A KR20147022886 A KR 20147022886A KR 20140122248 A KR20140122248 A KR 20140122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ccess
web clien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293B1 (ko
Inventor
유발 코레이 해르쉬코
니르 스트라우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415,636 external-priority patent/US886269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601,325 external-priority patent/US9052898B2/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2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7Directories for hybrid networks, e.g. including telephon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Telephone numbers

Abstract

식별자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HTML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모바일 서버를 지원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의되는 ON-OFF 타이밍에 따라 전력 사이클링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와 타이밍 파라미터들 사이의 연관이 제공된다. 웹 클라이언트는 공중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식별된 공중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ON-OFF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식별하기 위해서 맵핑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는 ON-OFF 타이밍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Description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에 의한 디바이스 컨텐츠의 원격 액세스 및 운영{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본 개시의 분야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 동작 및 관리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위치 정보를 캡처하고 그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법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하나의 기법은 중앙 서버와의 세션을 초기화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를 보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고된 현재 위치는, 중앙 서버에 의해 아카이브되고, 그 다음, 디바이스의 소재들에 대한 업데이트들을 수신하도록, 예를 들어,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권한이 부여된 자들에게 제공된다.
예시적인 단점들 사이에서, 이러한 종래 기법의 제한들 및 잠재적 관심들(총칭하여 "제한들")은 비싸며, 고객 인터넷 액세스 디바이스들의 일반적 표준 특징들 세트에 있지 않은 커스터마이징되고 종종 독점적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자신의 일반적 요건에 의해 부합되는 배터리들을 사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들 및 컨텐츠에 대한 원격 액세스에 관련된 이러한 종래 기법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제한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컨텐츠가 일반적으로 원시(raw) 데이터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서비스들의 정보 및 파라미터들 또는 컨텐츠를 표현하는 데이터는 쉽게 수신가능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그들의 머신 상에 인스톨된 특수 목적의 종종 독점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사용자가 원격 액세스를 수행하게 하는 인터넷 액세스 머신에 의해 쉽게 디코딩가능하지 않다.
추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서비스들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위한 종래의 기법들을 설계 및 사용할 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과 액세스의 유용성 사이에 트레이드오프들이 발생할 수 있다. 트레이드오프는 사용들의 범위에 대한 엄격한 제한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터럽트되지 않는 액세스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파워-업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 파워-업을 유지하는 것은 배터리들을 빨리 드레인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파워 업되지 않으면, 액세스 시도는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는 이러한 2개의 원하지만, 종래 기법들에서는, 반대되는 목적들, 즉, 배터리 수명과 액세스의 신뢰도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는, 예시로서, 더 비싸고 그리고/또는 원하거나 또는 심지어 실제보다 현저히 더 큰 패키지 내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액세스하는 것보다 덜 액세스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개념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본 개념들 및 이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양한 이점들 및 특징들 중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들 및 컨텐츠로의 효과적으로 인터럽트되지 않는 액세스가능성의 상당한 듀레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개념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더 큰 배터리들에 대하여 수반되는 필요성 없이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이러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이러한 당업자들에 의해 추가로 인식된다.
여전히 추가로, 그리고 본 개시를 읽음으로써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본 개념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양상들은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 중에서, 현저한 사용의 용이성 및 강화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념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양상들은 이러한 예시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 및 목록에 없는(off-the-shelf)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일 수 있는 것의 신규한 구성들 및 어레인지먼트들을 갖는 다른 것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개시로부터 이러한 당업자들에 의해 추가로 인식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른 특징들 중에서, 일 양상에서, 특수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요구하지 않고 종래의 HTTP 웹 클라이언트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원격인 사용자들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들 및 컨텐츠를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서, 일 양상은, HTTP 웹 서버로서 선택적 구성가능성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들 내에 상주하는 컨텐츠 및 서비스들에 대한 편리한 액세스를,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원격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바일 HTTP 웹 서버로서 기능을 하기 위한 구성가능성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추가 양상에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모바일 HTTP 웹 서버로서 또는 모바일 HTTP 웹 서버의 호스트로서 기능을 하기 위한 구성가능성을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제공할 시, 모바일 HTTP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디바이스에 의해 호스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HTTP 웹 서버의 상태 및 소재(whereabouts)를 다양한 수단 및 방법들을 통해 보고하도록 프로비저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하나의 추가 양상에서, 특징들을 보고하는 것은 특징들을 업데이트하는 다양한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특징들을 업데이트하는 다양한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신규한 시스템 유지, 및 모바일 HTTP 웹 서버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모바일 HTTP 웹 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능력이 제공되는 이들의 호스팅된 HTTP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임 ―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일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리트리브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웹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일 방법은 절대 시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에서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다. 관련 양상에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시간 스케줄에서의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의 산술 함수에 기초하여, 주어진 복수의 시간 스케줄들 사이의 시간 스케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으로서 상기 시간 스케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양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산술 함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웹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산술 함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적용시키는 결과에 기초할 수 있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절대 시간 신호와 관련된 상기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시간 스케줄에서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의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의 전송으로 시작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질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양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 요청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절대 시간 신호를 웹 클라이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위해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리다이렉트는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특정 시간에서 이루어짐 ― ,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간에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의 수신으로 시작되고 상기 특정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짐 ― ,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에 기초하여 시각적 상태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보고된 위치를 갖는 정보 소스의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질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검출된 셀 사이트 위치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질문(interrogation)을 수행하고, 상기 질문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의 전송과 연관하여 위치 고정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위치 고정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검출된 셀 사이트 위치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질문을 수행하고, 상기 질문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명령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게 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연관시키게 하는 명령들,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임 ― ,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명령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의 또 다른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적인 실시예 따르면,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절대 시간 신호를 웹 클라이언트에서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위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을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리다이렉트는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특정 시간에서 이루어짐 ― ,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특정 시간에 따라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를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도움을 주도록 제시되며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닌 실시예들의 예시만을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공중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가능한 모바일 서버 시스템의 고레벨 개략도이다.
도 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공중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가능한 모바일 서버 시스템의 고레벨 개략도이다.
도 3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공중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모바일 서버 액세스 방법에서의 일 예시적인 호 세션의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서버 디바이스 전력 사이클링 프로세스에 의해 제공되는 일 예시적인 듀티 사이클을, 시간 대 ON/OFF 전력 상태 그래프로서 도시한다.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공중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가능한, ON/OFF 전력 사이클링되는 모바일 서버 시스템의 고레벨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공중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 네트워크-간 ON-OFF 전력 사이클링되는 모바일 서버 시스템에서의 하나의 방법에서의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공중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 가능한 모바일 서버 디바이스의 고레벨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특정한 실시예들에 관한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기재된다. 대안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안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잘-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본 발명의 관련 양상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생략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보기 또는 예시로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여기서 이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보다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용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논의된 특징, 이익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예시적인 구현들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동작들만을 기술할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the"는 맥락이 달리 명확히 표시하지 않으면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들 "포함하다", "포함하는", "갖는다" 및/또는 "갖는"은 여기서 이용될 때 진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의 시퀀스의 견지에서 기술된다.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은 특정한 회로들(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들))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둘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여기서 기술되는 동작들의 이들 시퀀스는 실행 시에 연관된 프로세서가 여기서 기술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를 그 내부에 저장하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내에 그 전체가 실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실현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 대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예견된다. 또한, 여기서 기술되는 실시예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이러한 실시예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기술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여기서 기술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환경을 포함하는 그리고 제공하는 하나의 네트워크간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액세스 모바일 디바이스 서버 시스템(이후로는, 간략성을 위해 대안적으로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으로 참조됨)의 고 레벨 개략도이다. 도 1은 또한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100)의 고 레벨 개략도에 덧붙여,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통신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100)은 모바일 HTTP 서버(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가 대표적임)를 호스팅하기 위해 프로세싱 및 저장 성능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사설 IP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HTTP 웹 서버(102)가 사설 IP 네트워크(104)와 통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로직 및 시그널링 트랜시버들(도 1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음)을 포함한다는 것이 가정될 것이다. 모바일 HTTP 서버(150)는 단지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을 설명하기 위해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 내에 별개의 블록으로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달리 의미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혹은 문맥으로부터 명확한 경우들을 제외하고는, 문구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는 모바일 HTTP 서버(150)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는 HTTP 웹 서버를 호스팅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플랫폼, 예를 들어, 제한없이, Apple iPhone
Figure pct00001
, HTC Droid Incredible
Figure pct00002
, RIM Blackberry
Figure pct00003
, 또는 다양한 "테블릿들"(예를 들어, 제한없이, Apple iPad
Figure pct00004
, Samsung Galaxy
Figure pct00005
)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디바이스(102)는 감소된 크기/무게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그-콜라(dog-collar) 모니터/트래킹 디바이스일 수 있다(그것이 모바일 HTTP 서버(150)를 호스팅하고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싱 및 저장 성능을 갖는 경우).
일양상에서,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 상에서 호스팅되는 모바일 HTTP 서버(150)(뿐만 아니라 디바이스(102) 상의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파이어월(106)을 통해 공용 IP 네트워크(108)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공용 IP 네트워크(108)는 인터넷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파이어월(106)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들의 범위에 관련해서, "파이어월(106)"은 반드시 단일 파이어월 디바이스는 아니지만 대신에 예를 들어 사설 IP 네트워크(104)를 공용 IP 네트워크(108)와 인터페이싱하는 분산형의 복수의 웹 서버들(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음)로서 구현될 수 있는 파이어월 자원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파이어월(106)은 예를 들어 종래의 엔지니어링 원리들 및 당업자들이 소유하는 노하우를 사용하여 설명된 개념들에 종래의 파이어월 기술들을 적응시킴으로써 본 개시를 판독하여 당업자가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 및 실시들을 도시하는 예들에서 이루어지기 쉬운 동작들을 제외하고는, 파이어월(106)의 더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100)은 공용 IP 네트워크(108)에 연결된 복수의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들의 대표적인 것이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이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는, 일 양상에 있어서, HTML 웹 브라우저(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음), 예를 들어 Internet Explorer
Figure pct00006
, Safari
Figure pct00007
, Firefox
Figure pct00008
, Chrome
Figure pct00009
, OperaTM, 또는 이러한 호스팅이 가능한 임의의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서 호스팅되는 다양한 다른 공지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HTML 웹 브라우저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플랫폼들은 예를 들어 식별되거나 등가의 HTML 웹 브라우저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운영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 하에서 실행되는 랩톱 또는 데스크톱 개인용 컴퓨터(PC)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의 호스트는 예를 들어 임의의 하나 이상의 종래의 기술들, 예컨대 EVDO, HSDPA 또는 UMTS를 통한 셀룰러 무선(미도시) 액세스, 또는 케이블 또는 DSL 모뎀(미도시)으로의 Wi-Fi 또는 이더넷 접속(미도시)을 통해서 공용 IP 네트워크(108)에 접속될 수 있고, 이어서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미도시)를 통해 공용 IP 네트워크(106)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을 계속해서 참조하면,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를 지원하는 하드웨어 플랫폼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실시들에 특정적이지 않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의 하드웨어 플랫폼은, 예를 들어,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클라이언트 HTTP 웹 브라우저를 호스팅할 수 있는 스마트폰, 예컨대 Apple iPhone
Figure pct00010
, HTC Droid Incredible
Figure pct00011
, RIM Blackberry
Figure pct00012
, 또는 다양한 "테블릿들"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제한없이, Apple iPad
Figure pct00013
, Samsung Galaxy
Figure pct00014
) 중 임의의 것(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가 동작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들에 대해서는, 본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 그것이 동작하는 하드웨어 플랫폼, 및 그것이 동작하는 운영 시스템의 조합 이외에는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모바일 HTTP 웹 서버(150)와의 설명된 HTTP 통신들을 지원하는 실시예들에 특정된 어떠한 고려사항도 없다. 그러한 운영 시스템들의 예들은 Windows
Figure pct00015
XP, Windows 7, Apple
Figure pct00016
OSX, 및 Linux를 제한없이 포함하고, 스마트폰들의 경우에는, Symbian ^3, Symbian Anna, Apple iOS, Windows Phone 7, Windows Phone Mango, 및 Blackberry OS 7을 제한없이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각각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에는 MDevice_ID로서 본 설명에서 임의적으로 명명되는 고유 디바이스 식별자(도 1에 미도시됨)가 할당될 수 있다. MDevice_ID는 예를 들어 매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에서 MAC 어드레스로서 MDevic_ID의 할당은 공지된 종래의 MAC 어드레스 할당 기술에 따를 수 있고, 따라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추가 양상에서,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 IP(MD_IP)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MD_IP 어드레스는 공인 IP 네트워크(108) 내에서 라우팅 가능하다(예를 들어, 인터넷 내에서 라우팅 가능하다). 이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공인 IP 네트워크(108) 내에서 라우팅 가능한 MD_IP 어드레스는 타깃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MD_ID 어드레스의 수신 후,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모바일 HTTP 웹 서버(150)에 대한 직접적인 액세스를 제공한다. 한 양상에서, MD_IP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종래의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술들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추가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100)은 한 양상에서, 지원되는 각각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를 이에 가장 최근에 할당된 MD_IP 어드레스에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IP 데이터베이스(MD_IP_DB)"로 지칭될 수 있으며, 한 양상에서는 복수의 엔트리들을 가질 수 있다. 관련된 양상에서, MD_IP_DB의 각각의 엔트리는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MDevice_ID뿐만 아니라, 복수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들 각각의 MDevice_ID 그리고 각각의 MDevice_ID와 연관되는, 이에 가장 최근에 할당된 MD_IP 어드레스로서 MD_IP_DB 또한 가질 수 있다. 한 양상에서, MD_IP_DB는 웹 서버(112)에 유지될 수 있다. MD_IP_DB는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에 할당된 MDevice_ID 및/또는 공개 식별자(예를 들어, 10자리 셀룰러 전화 번호)에 따라 어드레싱 가능한 테이블 또는 등가물일 수 있다. MD_IP_DB의 기능들에 관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에 관해 아래 설명되는 예들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타깃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에 액세스하는 것은 MD_IP_DB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그 타깃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가장 최근 MD_IP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HTTP 웹 서버(102)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타깃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에 대한 직통 어드레스, 즉 이에 대한 가장 최근 IP 어드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양상에서 웹 서버(112)는 사설 IP 네트워크(104)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방화벽(106)을 통과하여 웹 서버(112)를 공인 IP 네트워크(108)에 접속함으로써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액세스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은 MD_IP_DB를 갖는, 사설 IP 네트워크(104) 내의 웹 서버, 예를 들어 웹 서버(11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200)는 MD_IP_DB를 갖는 웹 서버(212)를 공인 IP 네트워크(108) 내에 배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와 웹 서버(212) 사이에 도시된 링크(230)는 로직 링크일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링크(230)는 공인 IP 네트워크(108)를 통과할 수도 있고, 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로컬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인 하드웨어 자원(예를 들어, PC)에 상주하거나 이러한 하드웨어 자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 및 웹 서버(212)를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 링크(230)는 일반적인 하드웨어 자원 내에서의 액세스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여전히 도 2를 참조하면, 링크(240)는 예를 들어, 뒤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스들에 의해 설정되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와 모바일 HTTP 서버(150) 간의 로직 링크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웹 서버(112)와 웹 서버(212) 그리고 이들 각각의 MD_IP_DB들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웹 서버(112) MD_IP_DB의 미러로서 웹 서버(212) MD_IP_DB를 유지함으로써 도 1과 도 2의 기능적 중첩을 고려한다. 추가로, 또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와 물리적으로 별개이며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를 지원하는 시스템 플랫폼을 운영하는 웹 서버(21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행들은 단일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HTTP 모바일 웹 서버(102) 상에서 호스팅되는 다수의 모바일 웹 서버들(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HTTP 웹 서버 각각에 라우팅 가능한 IP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를 기반으로 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그 개념들을, 예를 들어 MD_IP_DB를 수정함으로써 이러한 실시예에 쉽게 적응시킬 수 있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이 설명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는 공개 식별자를 할당받거나 공개 식별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들에 대한 일관적인 언급을 위해, 공개 식별자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공개 MDAccess_ID"로서 임의로 언급될 것이다. "공개 MDAccess_ID"라는 명칭은 임의의 실시예들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한정으로도 의도되지 않는 임의의 명칭이라고 이해될 것이다. 다르게 말하자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행들은 공개 MDAccess_ID로서 또는 이와 대등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임의의 명칭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예시적인 공개 MDAccess_ID는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무선 셀룰러 전화 피처의 10자리 전화 번호일 수 있다. 한 양상에서 웹 서버(112)는 예를 들어, MD_IP_DB의 피처로서, 자신의 MDevice_ID의 각각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에 대한 이에 할당된 공개 MDAccess_ID로의 맵핑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공개 MDAccess_ID 양상의 설명을 계속하면, 웹 서버(112)는 공개 MDAccess_ID, 예를 들어 10자리 셀룰러 전화 번호만을 기초로 하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타깃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서버(102)에 대한 가장 최근 MD_IP 어드레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는 지원되는 각각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에 대한 엔트리를 갖는 (도시되지 않은) 테이블로서 MD_IP_ DB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각각의 엔트리는 MDevice_ID에 대한 (도시되지 않은) 필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MD_IP 어드레스에 대한 필드, 및 공개 MDAccess_ID에 대한 필드를 갖는다. 타깃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공개 MDAccess_ID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이에 가장 최근에 할당된 MD_IP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앞서 설명된 예시적인 수단은 임의의 실시예들의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하나의 예시적인 대안 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공개 MDAccess_ID 대 MDevice_ID 맵핑 테이블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대안 수단에 추가로, 공개 MDAccess_ID 대 MDevice_ID 맵핑 테이블이 웹 서버(112)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 예시적인 동작들의 설명시에 참조될 하나의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호출 흐름(300)을 도시한다. 인식될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전력 순환 타이밍을 가지는 경우에도, 설명된 타이밍 및 재지향 동작들을 수행하는 웹 서버(306)를 통해, 웹 클라이언트(302)를 갖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대한 실질적으로 투명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도 1, 도 2 및 도 3을 함께 볼 수 있고, 웹 클라이언트(302)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져(110 또는 210)인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인 것으로, 웹 서버(306)는 웹 서버(112 또는 212)인 것으로 이해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들(304) 각각에 대한 식별자들 및 각각에 대해 그의 가장 최근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예를 들어, MD_IP)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웹 서버(306)가 갖도록 구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것, 및 웹 서버(306)가 데이터베이스에 문의하기 위한 서버-측 스크립팅 능력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호출 흐름(3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 웹 서버(306)는 모바일 디바이스들(304)에 대한 공개 식별자들(예를 들어,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공개 MDAccess_ID)의 맵핑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는, 웹 서버(306)의 URL 어드레스, 이를테면, "http://www.service.com"의 URL 어드레스를 타이핑하는, 웹 클라이언트(302)의 사용자에 의해 308에서 시작할 수 있다. 310에서 웹 클라이언트(302)는 대응하는 "http://www.service.com"으로의 HTTP 접속 통신을 전송한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310에서 "http://www.service.com"으로의 HTTP 접속 통신은 공개 IP 네트워크(108)(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한 웹 서버(112)로의 링크(140)를 통한 것일 수 있다. 링크(140)는, 예를 들어, 종래의 인터넷 TCP/IP 라우터들(미도시)의 동작들에 의해 형성된 로직 패킷 링크를 표현하지만, 반드시 할당된 회로는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 웹 서버(306)가 310에서 웹 클라이언트(302)에 의해 전송된 "http://www.service.com"으로의 HTTP 접속 통신을 수신한 후, 웹 서버(304)는 312에서 HTTP 접속된 통신을 웹 클라이언트(302)에 전송한다. 웹 클라이언트(302)는 312에서 웹 서버(306)에 의해 전송된 HTTP 접속된 통신의 수신시에, 314에서 HTTP "GET.index.HTML" 커맨드를 웹 서버(306)에 전송한다. 그 다음, 웹 서버(306)는 316에서 웹 클라이언트(302)로의 HTTP "index.HTML" 통신으로 응답할 수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 HTTP "index.HTML"은, 웹 클라이언트(302)가 "로그인" 스크린(도 3에는 미도시)을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스크린의 형태는, 이용된다면, 설계 선택사항이다. 이 예를 계속하면, 318에서, 사용자는 로그인 인증서들(선택적)을 입력할 수 있고,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또는 그와 연관된 공개 MDAccess_ID를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555-123.1234"이다. 이 예는 임의적이다. 실시예들은 공개 MDAccess_ID에 대해 10자리 전화 번호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320에서, 웹 클라이언트(302)는, HTTP POST Mobile ID 통신을 전송한다. 일 양상에서, "Mobile ID"는, 이 예에서는 "555-123-1234"인 공개 MDAccess_ID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HTTP POST Mobile ID 대신, 웹 클라이언트(302)는 320에서 HTTP GET(도 3 상에는 미도시)을 전송할 수 있다. 이들은 오직 예들이고, 다른 것들은, 본 개시를 읽거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실시하는 것으로부터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웹 서버(306)는 322에서, 공개 MDAccess_ID를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할당된 가장 최근의 MD_IP 어드레스에 매핑하고, IP 어드레스 "1.2.3.4"로의 HTTP 재지향, 즉, 그 MD_IP 어드레스로의 재지향을 웹 클라이언트(302)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서, MD_IP 어드레스들은 공개 IP 네트워크(108)에서 라우팅가능하다. 이 양상에 추가로, 웹 클라이언트(302)는, 322에서, IP 어드레스 "1.2.3.4"로의 HTTP 재지향의 수신시에, 324에서, HTTP "1.2.3.4로의 접속"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직접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것은 링크(130)를 통할 수 있다. 이 예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1.2.3.4"의 MD_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포트를 청취중이라고 가정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예를 들어, 대응하는 포트를 청취함으로써, 324에서 웹 클라이언트(302)에 의해 전송된 HTTP "1.2.3.4"로의 접속을 검출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326에서 HTTP "접속된" 통신을 웹 클라이언트(302)에 전송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의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 웹 클라이언트(302)가 326에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의해 전송된 HTTP 접속된 통신을 수신할 때, 웹 클라이언트(302)는 328에서 HTTP "GET.index.html" 통신을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직접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시스템 호출 흐름(300)에 따른 하나의 추가적인 예시적 프로세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328에서 웹 클라이언트(302)에 의해 전송된 HTTP GET.index.html 통신을 수신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330에서 웹 클라이언트(302)로의 HTTP "index.html.content" 통신으로 응답한다. 일례에서, 웹 클라이언트(302)는, 332에서 HTTP "GET page 1.html" 통신을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전송함으로써, 자동으로 또는 추가로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입력들에 대해, HTTP index.html.content 통신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334에서 "page1.html.content"를 전송함으로써, 332에서 웹 클라이언트(302)에 의해 전송된 HTTP GET page 1.html 통신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page1.html.content"의 특정한 컨텐츠에 대해, 이것은 임의의 컨텐츠 또는 서비스, 이를테면, 모바일 디바이스(304) 상의 포토 앨범, 또는 위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위치된 물리적 환경의 다른 상태일 수 있다. 330 및 332에서의 예시적인 교환들과 같은 사용자 요청들은 종래의 HTTP 웹 사이트 액세스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클라이언트(302)를 닫을 때까지, 또는 예를 들어, 웹 클라이언트(302)에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304)에서 접속 타임-아웃 타이머로부터 동작없음 타임-아웃이 검출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본 개시를 볼 때, 이 분야의 당업자들이, 예를 들어, 웹 클라이언트(3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예들에서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스크립트들을 쉽게 프로그래밍 또는 구성할 수 있음을 이러한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예시로서,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개시에 대한 이러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종래의 프로그래밍 기술들을 적용함으로써, 앞서 설명된 동작(308), 322에서의 페이지 컨텐츠 요청, 및 심지어 318에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식별자의 입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도록 "핫 버튼" 활성화된 Visual Basic(또는 등가물) 매크로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I. 효과적으로 연속적인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과 동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전력-소비를 최적화하는 것을 제공
이와 같은 상술된 개념들 및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및 실시예에 따른 실시들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지될 이점들을 제공한다. 그 이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콘텐츠 및 서비스들을 액세스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의 다양한 설명된 한계들을 극복 또는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술된 개념들 및 실시예들의 실시들은 종래의 기성품인(off-the-shelf)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는 종래의 수단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된 종래의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예를 들면, 커피-숍 Wi-Fi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된 랩톱 컴퓨터보다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본 개시에 기초하여, 서버 측 스크립팅(scripting) 및 웹 사이트 구성의 당업자는, 액세스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판독 가능한 형태로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서비스들과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개념들 및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콘텐츠 및 서비스들로의 원격 액세스를 위한 종래의 기술들의 설명된 한계들 중 또 다른 한계,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과 액세스의 이용 가능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에 대한 필요성을 실질적으로 극복 또는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트레이드오프는 종래의 기술들의 사용들의 범위에 대한 어려운 제한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성능의 가장 중요한 양상들 중 하나는 그의 배터리 수명이다. 이것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스마트 폰인 경우 또는 모니터 디바이스, 예를 들면, 개 목걸이 추적 및 모니터 디바이스인 경우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개념들 및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콘텐츠 및 서비스들로의 원격 액세스를 위한 종래의 기술들의 설명된 한계들 중 또 다른 한계,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과 액세스의 이용 가능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에 대한 필요성을 실질적으로 극복 또는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최적화된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과 모바일 디바이스 콘텐츠로의 사용자 액세스들의 동기화의 신규한 결합, 및 동기화를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하는 양상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의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요인들 및 고려 사항들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에 대한 타이밍 파라미터들의 예시적인 세트, 및 그러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예시적인 값들을 도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다양한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투명한 수단에 따라,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의 온 상태와 정렬시키기 위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사용자 액세스를 동기화하는 개념들이 설명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면, 복수의 시스템-등록 모바일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그 디바이스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 파라미터들의 값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동기화를 제공한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입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타겟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리트리브(retrieve)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내의 온 상태에 대한 타겟 디바이스로의 실제 액세스의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은, 시스템-등록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의 값들의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포함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시스템의 고레벨 간략도를 도시하는 도 5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될 바와 같이, 하나 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투명한 수단에 따라,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의 온 상태와 정렬시키기 위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사용자 액세스를 동기화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그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 파라미터들의 값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에 대한 값들의 R 개의 이용 가능한 세트들의 전체 집합(universe)을 설정하는 것 및, 각각의 시스템 등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값들의 R 개의 세트들 중 어느 것이 포인터에 의해 그 디바이스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을 정의하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포인터는, 예를 들면, 연산 함수, 예를 들면, 해시 함수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적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대안적인 실시예는 나중 섹션들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을 사용하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액세스의 하나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오프" 및 "온"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러한 설명에서 의도된 의미에 관하여, 달리 명확히 언급하는 본 설명 내의 경우들(만약 있다면), 또는 상이한 의미가 문맥으로 명백하게 되는 경우들(만약 있다면)을 제외하면, 의도된 의미들은: i) 모바일 디바이스의 "온" 상태가 자신의 라디오 주파수 트랜시버(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음)가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할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의 호스트 HTTP 웹 서버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모바일 서버(150) 동작들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상태라는 것; 및 ii)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프" 상태가 전력 소비가 풀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보다 더 적고,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더 적은 상태들의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비제한적으로, 전원(즉, 배터리 또는 전력 어댑터)이 분리된 것을 포함하고, "수면" 또는 다른 부분적인 전력-다운 상태,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서브-시스템들에 대한 전력의 제거 또는 실질적인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부분적인 전력-다운 상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라디오 주파수(RF) 프론트 엔드에 대한 전력의 제거 또는 감소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400)의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계 고려 사항들, 및 그러한 타이밍의 예시적인 값들이 설명될 것이다.
예(400)에서, 파워-온 시간은 파워-업의 시작인 T1로부터 동작 정상 상태(operational steady state)인 T2에 이르는 시간으로서 도시된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 파워-다운 시간의 예는 파워-다운 동작의 시작인 T3로부터 파워-다운 상태가 달성된 것으로 간주되는 T4에 이르는 시간으로서 도시된다. 일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파워-온 시간은 대략 4초로서 가정되며, 그의 파워-오프 시간도 또한 대략 4초로서 가정된다. 이들 파워-온 및 파워-오프 시간들은 본 발명자에 의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일반적인 범위들의 파워-온 및 파워-오프 시간들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에 대해, T1, T2, T3 및 T4 동안 특정한 값들을 선택하는데 있어 이용될 수 있는 타겟 시스템 성능 파라미터들이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 시스템 성능 파라미터들의 일 예는 사용자,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3의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액세스를 개시하는 도 3의 웹 클라이언트(302)의 사람이 초기 응답을 대기할 수 있는 최대 대기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응답의 예는 로케이션 요청에 응답한 로케이션 픽스(location fix)일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편의를 위해, 초기 응답에 대한 이 최대 대기 시간은 "최대 초기 응답 대기 시간"으로서 임의로 참조될 것이다. "최대 초기 응답 대기 시간"이란 명칭은 부과된 의미가 없는 임의로 선택된 명칭이며, 이 선택된 명칭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시들의 범위에 관한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최대 초기 응답 대기 시간은 120초일 수 있다. 120초는 예시 목적만을 위한 것이며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에 관한 제한이 아니란 것이 이해될 것이다.
T1, T2, T3 및 T4에 대한 특정한 값들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타겟 시스템 성능 파라미터의 설명을 계속하면, 다른 예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4)로부터 정보 또는 서비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완료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최대 대기 시간일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예는 사용자가 로케이션 요청에 응답하여 로케이션 픽스를 수신하기 위한 최대 시간일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완료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이 최대 대기 시간은 "최대 완전 응답 대기 시간(maximum Full Response Wait Time)"으로서 임의로 참조될 것이다. "최대 완전 응답 대기 시간"이란 명칭은 부과된 의미가 없는 임의로 선택된 명칭이며 이것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의 범위에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최대 완전 응답 대기 시간은 180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20초의 최대 초기 응답 대기 시간, 180초의 최대 완전 응답 시간 및 가정한 4초의 파워-업 시간 및 파워-다운 시간의 초과 기준을 충족하는 시스템 성능을 제공하는 시간 파라미터들(T1-T5)에 대한 예시적인 값들은 T1=4초; T2=24초; T3=28초; T4=138초; T5=142초이다.
이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개념들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기 위해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있어 설계 고려사항들의 예들로서 선택된 예시적인 값들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들 값들은 이러한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시간들의 특정한 값들은 부분적으로, 사용자(들)의 예상된 수요들 및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을 포함하는 팩터들에 기초한 설계 선택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 의해 쉽게 인지될 바와 같이,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의 위의 예시적인 ON-OFF 사이클링에 의해 제공되는 파워 보존은 상당하다. 예는 138초의 사이클 기간을 보여준다. 이 기간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간의 (110/138) ~ 80%인 110초 동안 "오프" 상태에 있고, 단지 시간의 [(4 + 20 + 4)/138] ~ 20% 동안에만 파워를 소비한다. 하나의 "온" 상태와 다른 "온" 상태 간의 최대 기간은 (4 + 110 + 4) = 118이며, 이는 디바이스가 120초 미만의 초기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ON-OFF 파워 사이클링에 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에서, 특정한 이벤트들에 응답하여 사이클링을 중지 및/또는 재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벤트들은 본 실시예들에 따라 할당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세스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ON-OFF 파워 사이클링의 중지 및 재시작은, 연결이 수락되는 "ON" 기간 동안 사용자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모든 요청들이 처리될 수 있을 때까지 모바일 디바이스가 "온" 상태로 남아있도록 정지되는 ON-OFF 파워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ON-OFF 파워 사이클링의 중지 및 재시작을 제공하는 관련된 양상에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타임아웃((time-out)) 기간의 만료 이전에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의 서비스 또는 상태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에 이러한 내용의 표시를 송신하고 ON-OFF 파워 사이클링을 재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타임-아웃 특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ON-OFF 파워 사이클링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에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간의 하나의 공개 웹 클라이언트의 고레벨 개략도를 도시한다. ON-OFF 파워 사이클링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에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간의 공개 웹 클라이언트는 다른 특징들 중에서도,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ON-상태 정렬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액세스의 방법들에서 이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들/모바일 HTT 웹 서버들에 대한 ON-OFF 사이클 타이밍의 타이밍 파라미터의 데이터베이스를 리트리브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ON-OFF 파워 사이클링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에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간의 공개 웹 클라이언트는 도 1의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100)의 변형으로서 도시된다. 도 5의 ON-OFF 파워 사이클링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에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간의 공개 웹 클라이언트, 이에 따라 도 1 및 도 3(및 도 2 및 도 3)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우저 액세스/모바일 웹 서버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결합하여 또는 이와 함께, 하나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동기화된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액세스를 실시하기 위한 환경을 ON-OFF 파워 사이클링된 서버들에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 의해 또한 이해될 바와 같이, 하나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ON-OFF 전력 사이클링된 서버들에 대한 동기화된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액세스를 실시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도 1 및 도 3(및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능력을 실시하지 않고 그리고 심지어 이 능력을 제공함 없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 기능 블록과 동일할 수 있는 기능 블록들에는 동일한 참조 넘버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도 1 기능 블록들과 상이하게 넘버링된 도 5 기능 블록들이 그 기능이 반드시 상이한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대신에,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바와 같이, 도 1 기능 블록들과 상이하게 넘버링된 몇몇 도 5 기능 블록들은 논리 기능이 동일할 수 있지만,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 동작들을 설명할 때 편의성의 목적들을 위해 상이하게 넘버링된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공공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 가능한, ON-OFF 전력 사이클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들 ― 그 중,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 ― 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가, 절대 시간 신호(Absolute Time Signal)(520)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본원에서 "PWR_CYCLE_TIMING(MD_ID)"로서 타이밍 파라미터 세트 레퍼런스에 따라 파워 업 하고 파워 다운 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부가하여, 도 1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 및 그의 호스팅되는 모바일 HTTP 웹 서버(150)의 기능들 전부를 포함한다고 가정되고, 이때 라벨의 "MD_ID" 필드는 PWR_CYCLE_TIMING(MD_ID)가 디바이스-특정일 수 있음, 즉 각각의 MD-ID가 대응하는 PWR_CYCLE_TIMING(MD_ID)를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PWR_CYCLE_TIMING(MD_ID) 데이터의 정보 콘텐츠는, 절대 시간 신호(520)에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파워 업 및 파워 다운 시간들을 정의할 수 있다. PWR_CYCLE_TIMING(MD_ID) 데이터의 포맷은, 부분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특정일 수 있고, 부분적으로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의 특정 구현에 기초한 설계 선택일 수 있다.
계속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예에 대해, 웹 서버(512)가, 절대 타이밍 신호(Absolute Timing Signal)(520)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들의 데이터베이스, 즉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들(502) 각각에 대한 PWR_CYCLE_TIMING_(MD_ID)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에 부가하여, 도 1 웹 서버(112)의 기능들 전부를 포함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들의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들(502) 각각에 대해, 가장 최근에 할당된 MD_IP 주소의 앞서 설명된 도 1 웹 서버(112) MD_IP_DE 데이터베이스의 수정일 수 있다. 양상에서,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들(502) 각각은 공공 액세스 식별자, 예컨대 앞서 설명된 공공 MDAccess_ID, 예컨대 앞서 설명된 10 디짓 셀룰러 폰 넘버를 가질 수 있다. 웹 서버(512)는, 동일한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들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대응하는 엔트리로의(그리고 가장 최근에 할당된 MD_IP 주소를 갖는 MD_IP_DB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대응하는 엔트리에 대한) 공공 MDAccess_ID의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동작중에,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는,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웹 서버(512)의 URL을 이용하여, 링크(530)를 경유해, HTTP 연결 요청(도 5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웹 서버(512)에 전송할 수 있다. 웹 서버(512)는 HTTP 연결된 통신을 이용하여 링크(540)를 경유해 응답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호 프로세스(300) 때까지 사용자가 318에서 타겟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의 공공 MDAccess_ID(예컨대, "555-123-1234")를 입력할 때까지 통신이 계속될 수 있다. 특히, 도 1 웹 서버(112)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타겟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의 가장 최근에 할당된 MD_IP 주소를 리트리빙하는 것에 부가하여, 웹 서버(512)는 PWR_CYCLE_TIMING_(MD_ID)를 리트리빙한다. 양상에서, 웹 서버(512)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에 의해 요청된 액세스를, 타겟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의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과 동기화시키기 위해,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을 예시하는 그러한 동작들의 예들이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일 방법에서,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공공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 네트워크-간, ON-OFF 전력 사이클드 모바일 서버 시스템에서,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600)을 도시한다.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600)의 동작들은 도 5 공공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 가능한, ON-OFF 전력 사이클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5 공공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 가능한, ON-OFF 전력 사이클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따라 웹 서버(512)의 위치를 움직임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600)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 실시예들 ― 실제, 반드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도 2 및 도 3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것은 아님 ― 에 따라 ON-OFF 전력 사이클드 서버들로의 동기화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수정 및 적응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600)의 일 예시 동작은, 재지향 및 타이밍의 목적들을 위해, 웹 클라이언트(606)가 웹 서버(602)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액세스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공공 웹 클라이언트, 네트워크-간 액세스 가능한, 온-오프 전력 사이클드 모바일 서버 시스템(500) 상에서 실시된 예에서, 웹 클라이언트(606)는 도 5의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110)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일 수 있고, 웹 서버(602)는 웹 서버(512)일 수 있다. 웹 서버(602)를 구현하는 웹 서버(512)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604) 각각에 대한 식별자들을 갖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각각에 대해, 그의 가장 최근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예를 들어, MD_IP), 및 그의 온-오프 파워 사이클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예를 들어, PWR_CYCLE_TIMING_(MD_ID))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정된다. 웹 서버(602)를 구현하는 웹 서버(512)가, 모바일 디바이스들(604)에 대한 공개 식별자들(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 공개 MDAccess_ID)의 맵핑을 포함하는 것이 가정된다. 이러한 웹 서버(602)가, 예를 들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공개 MDAccess_ID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의 가장 최근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예를 들어, MD_IP) 및 그의 온-오프 파워 사이클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예를 들어, PWR_CYCLE_TIMING_(MD_ID))을 획득하기 위해, 이들 데이터베이스들에 문의(query)하는 서버-측 스크립팅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 가정된다.
시스템 호 프로세스 흐름(600)의 예시 동작에서, 웹 클라이언트(606)의 사용자는 608에서, 웹 서버(602)와 연관된 URL, 예를 들어, "www.service.com"를 입력할 수 있다. 610에서, 웹 클라이언트(606)는 HTTP "Connect to www.service.com" 통신을 전송할 수 있고, 612에서, 웹 서버(602)는 웹 클라이언트(606)에 HTTP "Connected" 통신을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웹 클라이언트(606)는 614에서, HTTP "GET index.html" 통신을 웹 서버(602)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웹 서버(602)는 616에서, HTTP "index.html.content"를 웹 클라이언트(606)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양상에서, HTTP "index.html.content"는, 사용자가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식별자를 입력하는 필드 또는 다른 프롬프트(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로그-인 페이지 또는 동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대한 식별자가 그의 공개 MDAccess_ID인 것을 가정하고, "555-123-1234"의 예시 MDAccess_ID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618에서, "555-123-1234"를 입력하고, 예를 들어, "전송(send)" 또는 동등한 명령을 히팅(hit)하고, 620에서, HTTP "POST Mobile_ID" 통신을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HTTP "POST Mobile_ID" 통신의 "Mobile_ID" 필드는 공개 MDAccess_ID일 것이고, 이는 이러한 예에서 추가로, 값 "555-123-1234"를 갖는다.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상술된 동작들은, 양상에서, 예를 들어, 웹 클라이언트(606)의 스크립트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로서, 본원을 보는 당업자는, 동작(608), 통신들(610 및 614), 및 618에서의,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식별자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hot button" 활성화된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또는 동등물) 매크로를 용이하게 구성하여 웹 클라이언트(606)에 인스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620에서 웹 클라이언트(606)로부터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스크립트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HTTP "POST Mobile_ID" 통신은 웹 서버(602)에 의해 수신된다. 그 다음으로, 웹 서버(602)는 622에서, 통신의 "Mobile_ID" 값을 이용하여, 그의 "Mobile_ID" 어드레스가능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Mobile_ID 값들 각각에 대한 엔트리를 가질 수 있음 ―, 엔트리는 Mobile_ID의 가장 최근에 할당된 모바일 디바이스 IP 어드레스(예를 들어, MD_IP 값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 온-오프 파워 사이클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예를 들어, PWR_CYCLE_TIMING_(MD_ID)의 값들)을 갖는다. 예시의 식별자(이러한 예에서, 공개 MDAccess_ID 값 "555-123-1234")를 가정하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데이터베이스의 유효 엔트리를 갖고, 622에서의 웹 서버(602) 탐색은,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가장 최근에 할당된 온-오프 파워 사이클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 및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것이다. 이러한 예의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 즉, 공개 MDAccess_ID 값 "555-123-1234"에 의해 식별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1.2.3.4"의 가장 최근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가질 것으로, 그리고 주어진 온-오프 사이클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을 가질 것으로 추정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622에서의 웹 서버(602) 탐색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가장 최근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이러한 예에서, "1.2.3.4"), 및 그의 온-오프 파워 사이클링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을 획득한 후에, 웹 서버(602)는, 획득된 온-오프 파워 사이클링 타이밍 파라미터 값들에 대응하는 타이밍들에 따라, HTTP 재지향 통신들을 수행한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추가로 이해될 바와 같이, HTTP 재지향 통신들은, 추가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그러한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ON" 페이즈(phase)를 이용하여 웹 클라이언트(606)의,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와의 통신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을 계속해서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웹 서버(602)는, 624에서, 지연된 재지향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IP 어드레스에 전송한다. 624에서 전송된 웹 페이지는, 예를 들어, 오직 특정 시간에만, 웹 클라이언트(606)에게 모바일 디바이스(604)로 재지향하라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특정 시간은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ON 상태와 일치한다. 이러한 명령은, 예를 들어, 웹 페이지(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에 의해, 또는, 다른 예시로서는, HTML 태그에 의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웹 서버(602)로부터 웹 클라이언트(606)로의 오직 특정 시간에만 모바일 디바이스(604)로 재지향하라는 명령들은, 절대 시간(예를 들어, 도 5의 절대 시간(520))과는 대조적으로,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에 관한 지연으로서의 시간을 특정할 수 있다. 예시로서, 웹 서버(602)는, 웹 클라이언트(606)에게 30초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604)로 재지향하라는 명령들을 624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계속 참조하고, 그리고 전력 사이클의 ON 상태와 일치하는 (622에서 획득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는) 시간에 웹 서버(602)가 웹 클라이언트(606)에게 모바일 디바이스(604)로 재지향하라고 명령하기 위한 예시적인 수단들의 설명을 계속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서, 624에서 전송된 웹 페이지는, 예를 들어,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에 관한 지연 이후에, 웹 클라이언트(606)에게 모바일 디바이스(604)로 재지향하라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지연들 및 실행 지연들을 허용하거나 또는 충분히 고려할 수 없을 수도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24에서 웹 서버(602)로부터 웹 클라이언트(606)로 페이지를 트랜스퍼하는데 있어서의 지연들, 그리고/또는 웹 클라이언트(606)가 페이지를 렌더링하고 실행하기 위한 지연들이 과도하거나 또는 설명이 불가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일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절대 시간 기준(예를 들어, 절대 시간 신호(520)), 웹 서버, 및 웹 브라우저가 채용될 수 있다. 절대 시간 신호(520)의 일례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이다. UTC는, 웹 서버(602)(예를 들어, PHP와 같은 웹 서버-측 스크립팅 언어들을 이용함)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604) 및 웹 클라이언트(606)(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팅 언어들을 이용함)에도 손쉽게 이용가능하다. 본 개시물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은, 이러한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웹 서버-측 스크립팅 및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팅 언어들을 이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용가능한 UTC 또는 동일한 절대 시간을 형성하는 코드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절대 시간(예를 들어, UTC)을 수신하는 웹 서버(602), 모바일 디바이스(604) 및 웹 클라이언트(606)의 앞서-설명된 양상은, 사전에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다음 "ON" 기간이 언제인지 인지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웹 클라이언트(606)가 재지향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성능을 웹 서버(602)에 제공한다. 또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는, 다른 이점들 중에서, 웹 클라이언트(606)의 재지향된 HTTP 접속 통신이 모바일 디바이스(604)에서 수신되는 타임 윈도우의 더 엄격한 제어를 제공한다. 이는, 결국, 다른 이점들 중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ON-OFF 전력 사이클링의 더 짧은 ON 단계에 대한 능력을 추가적인 전력 감소에 대해 제공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시스템 호출 프로세스 흐름(600)에 따른 일 동작에서, 웹 클라이언트(606)가 624에서 전송된 웹 페이지를 수신할 때, 웹 클라이언트(606)는, 626에서, (상대적이든, 또는 바람직하게 절대적이든) 명령받은 시간까지 대기한다. 명령받은 시간에 도달되면, 웹 클라이언트(606)는 628에서, "1.2.3.4"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HTTP 접속 통신을 전송한다. 명령받은 시간에 HTTP 접속 통신을 전송하는 628은, 특히 (그 절대 시간에 동기화된 자신의 ON-OFF 전력 사이클링을 갖는) 웹 클라이언트(606) 및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의해 수신된 절대 시간을 이용하는 양상에서, HTTP 접속 통신으로 하여금 자신의 ON 상태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도달하도록 야기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양상은,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 중에서, 만약 626에서의 대기 시간 동안 조급한(impatient) 또는 선취당한(preoccupied) 사용자가 웹 클라이언트(606)에게 페이지를 "리프레시/리로딩"하라고 명령한다면, 결과는 웹 서버(602)가 동일한 페이지에 대해 다른 요청을 얻을 것이라는 것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결과는 웹 서버(602)가 다시 콘택되는 것에 불과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콘택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따라 자신의 "OFF" 기간 동안 방해되지 않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628에서 웹 클라이언트(606)는, 이 예시에서는 "1.2.3.4"인 디바이스의 가장 최근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HTTP 접속 통신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전송한다. HTTP 접속 통신의 라우팅과 관련하여, 일 양상에 추가로, "1.2.3.4"의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종래의 라우팅 수단에 의해 공용 IP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1의 공용 IP 네트워크(108))내에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로 라우팅가능하다. 628에서 전송된 HTTP 접속 통신의 이러한 라우팅은, 도 1을 참조하여, 이후에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그 통신을 전송할 수 있는, 방화벽, 예를 들어, 방화벽(106)에서 수신되는 HTTP 접속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계속하여,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630에서, HTTP 접속 통신에 대해 웹 클라이언트(606)에 직접 응답할 수 있다. 632에서의 클라이언트(606)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HTTP GET index.com 통신을 전송함으로써 630에 전송된 HTTP 접속 통신에 응답할 수 있다. 634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HTTP index.html.content 통신을 전송함으로써 632에서 전송된 웹 클라이언트(606)에 응답할 수 있다. 후속 HTTP 통신들이 그후 웹 클라이언트(606)와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604) 사이에서 발생할 것이다.
이전에 개시된 것처럼, 하나의 대안적 실시예는, 액세스가 요망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ON-OFF 전력 사이클링 타이밍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후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 예를 들어 MD_ID에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적용함으로써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로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해시 함수의 결과는 정의된 복수의 타이밍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오프셋 또는 포인터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액세스될 수 있게 의도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해시 함수 및 그의 관련된 포인터 또는 오프셋 수단(offset means)은 예를 들어, 10초에 걸쳐(over)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이클 시작 시간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해시 함수"는, 오프셋으로서 번호,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의 끝 (최하위(least significant)) 번호(last digit)(예를 들어, "555-123-1234의 끝 번호)를 선택(picking)할 수 있다. 이 양상에 추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번호 중 끝 번호의 값들이 균일한 확률 밀도로 0 내지 9임을 가정하여, 0 내지 9초의 균일하게 분포된 시간 확산이 얻어질 수 있다. 여기에 "555-123-1234의 예시적인 식별자를 적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오프셋은 4초가 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해시 함수 또는 등가적 확산을 이용하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실행들은, 도 6 시스템 호출 프로세스 플로우(600)에 따라, 디바이스-특정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는 대신, 해시 또는 등가물을 활용하여 622에서의 계산들을 단지 수정 또는 구성함으로써 쉽게 수행될 수 있다.
II. 전력-사이클 모바일 디바이스 서버에 대한 동기화된 웹 브라우저 액세스를 통한 개선된 사용자 경험
앞서 설명된 시스템 호출 프로세스 플로우(600)의 예시적인 동작들은, 626에서, 대기 기간, 즉 모바일 디바이스(604)가 "ON"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해 대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626에서의 대기 기간 동안, 웹 클라이언트(606)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된 디스플레이(fixed display)를 간단히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사용자 환경들에서, 웹 클라이언트(606)의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가 몇(a few) 초를 넘는 기간 동안 동결될 것임을 확인한 후 시스템 에러를 의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시스템 에러가 있다는 확신을 확립하는(forming) 사용자들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양상들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626에서 도 6 대기 기간에 의해 표현된 시간 동안, 사용자는 연장된 동작(prolonged operation)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진행 바(progress bar)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혹은 이모티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모티콘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접속중(contacting), 이는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음"과 같은 작업명령(statement)을, 진행 바 또는 시간 경과에 대한 다른 애니메이션 등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기 기간 듀레이션은 사전에(in advance) 알려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감소하는 카운터, 예를 들어 "기다려 주십시오. 디바이스는 34초내에 연결될 것입니다."의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양상에서, 예를 들어 "34"로 표시된 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626에서의 대기 동안, 사용자에게는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최종 알려진 위치(location)를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웹 서버(602)는,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최종 알려진 포지션(position)을 저장할 수 있고 624에서 전송되는 리다이렉트(redirect)로 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웹 클라이언트(606)는, 이전 동작들로부터 얻어진 모바일 디바이스(604)의 위치 히스토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양상에 따른 일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각각의 모든 미리정의된 기간(예를 들어, 2시간)마다 웹 서버(602)에 자신의 포지션을 설정 보고할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 요청시 보고되는 위치 또한 저장된다(양자 모두 가장 최종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최종 알려진 위치를 사용하여, 일 양상에서, 웹 클라이언트(606)의 사용자에게는, 최종 알려진 위치가 포착된 시간과 함께 그 최종 알려진 위치를 나타내는 맵이 즉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604) 위치에 대한 일반적 정보(knowledge)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관련된 양상에서, 웹 클라이인트(606)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최종 셀 위치에 대한 지연(626) 동안, (도시되지 않은) 셀룰러 네트워크 캐리어를 질의(interrogat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4)가 동작하는 셀룰러 네트워크 캐리어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면, 이는 (예를 들어,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최종 셀-위치에 대해 웹 클라이언트(606)가 질의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위치는 사용자에게 즉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셀룰러 셀들이 통상 (최대) 대략 2(couple) 킬로미터보다 크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가까운 위치 근사로 제시될 것이다.
추가 양상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적응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상태에 대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것, 사용자에게 최종 알려진 위치를 제공하는 것, 및 셀룰러 네트워크를 질의하는 것 중에서의 동적 선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602)가 624에서, 웹 클라이언트(606)가 리다이렉트하도록 명령하는 페이지를 구성할 경우, 웹 서버(602)는, 예를 들어 대기 기간에 의존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의 것과 상이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긴 대기 기간은 사용자 피드백에 대한 몇 가지 방법들을 요구할 수 있지만 몇 초의 대기 기간도 전혀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가 액세스된 이후, 사용자는, 웹 클라이언트(606)의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604)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경우)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액션을 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가 접속된 후, 사용자는 포지션 위치 요청을 요청할 수 있다. 일부 환경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는, (예를 들어, GPS를 사용하여) 위치 요청에 응답하여 위치 고정(location fix)을 얻기 위한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 추가로, 첫번째 시도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ON-OFF 전력 사이클링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604)가 스위치 온 된 직후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스템 피드백 양상들은, 위치 고정을 얻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604)에 대한 대기 동안 사용자 경험을 개선 또는 최적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피드백 양상들 중 일부는, 정확한 모바일 디바이스 포지션을 확정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수 레벨들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피드백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자신의 최종 알려진 포지션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이 양상에 따른 일예에서, 각각의 모든 미리정의된 시간 기간마다 자신의 위치를 (재)계산하여 그와 관련된 것(예를 들어, 2시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양상에 따른 다른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최종 사용자 요청에 대해 보고된 위치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피드백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앞서 설명된 것처럼 저장된 최종 알려진 위치를, 최종 알려진 위치를 포착한 시간과 함께 그 최종 알려진 위치를 나타내는 맵을 갖는 사용자에게 즉시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 위치에 대한 일반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다른 피드백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심지어 (예를 들어, GPS를 사용하여) 포지션 로케이션 요청을 수행(fulfill)하기 전에, 매우 신속하게 셀룰러 네트워크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셀룰러 셀 식별자, 예를 들어, 셀 ID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각각의 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에서 셀룰러 셀 로케이션 좌표들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경우, 웹 클라이언트(606)에 로케이션 데이터가 바로 전송되며 거기서 사용자에게 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셀 ID만을 제공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경우, 셀 ID를 웹 클라이언트(606)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결합하여, 웹 클라이언트(606)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질의될 수 있는 인터넷 데이터 베이스에서 셀 ID를 검색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따라(programmatically) 요청을 송출함으로써 응답하고,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에 기초하여, 질의 및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른 시스템 피드백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Wi-Fi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다면, Wi-Fi 네트워크 수신을 발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러한 Wi-Fi 네트워크들의 ID들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질의될 수 있는 특정한 데이터 베이스들을 사용하여 좌표들로 ID들을 변환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에 기초하여, 그러한 Wi-Fi ID 질의 및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한 생략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웹 클라이언트(606), 및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모바일 디바이스(604) 포지션 로케이션을 그것이 결정(예를 들어, 성공적인 GPS 세션 종료들)되자마자 바로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그러한 통지는 메뉴얼 "리프레시"를 요구함이 없이, 매우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들 양상들 중 하나에서, 즉각적인 통지는, 프로그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604)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로케이션의 픽스를 갖는지에 관계없이 매 특정 간격(예를 들어, 5 초)마다 리로딩하도록 웹 클라이언트(606)를 구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에 기초하여, 그러한 웹 페이지 리로딩을 수행하기 위한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른 양상에서, 상술된 웹 페이지의 프로그램에 따른 리로딩의 이점들이 획득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604)에서의 개선된 배터리 수명과 같은 이점들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통상적인 로케이션 픽스가, 예를 들어, 대략 50초를 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수용하고, 배터리 수명 연장의 목적들을 위해 활용한다. 결과는, 상술된 웹 페이지 리프레시는, 예를 들어 5 초의 간격으로 수행된다면, (t=5, 10, 15, 20, 25, 30, 35, 40 및 45 초의 사간들에서의) 처음 9개의 웹 페이지 리프레시 요청들을 낭비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t=50에서의) 마지막의 웹 페이지 리프레시만이 포지션 데이터로 응답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로케이션 픽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취할 수도 있는 시간을 추정하고, 그 시간에서만 리프레시될 웹 페이지를 웹 클라이언트(606)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픽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추정된 시간이 50 초라면, 웹 페이지가 (예를 들어, 웹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50초 이후에만 리프레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604)는 구성될 수 있다. 구성은, 그 후, 결과가 획득될 때까지, 매 5초마다 리프레시되는 것이 가능한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가 최초로 리프레시되기 전의 특정한 대기 시간에 관해서는, 사용자-경험 및 전력-소비 사이의 최적화 포인트가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설명으로부터 인식된다.
다른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즉, 도 5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502))는 사용자 요청을 보내는 경우 자신의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을 중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요청이 종결될 때까지 온-오프 전력 사이클링을 재개하지 않을 것이다.
추가 양상에서, 다른 표준 웹 메커니즘, 예를 들어, “Long Polling”, “XMLHttpRequest”, HTML5 WebSocket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들은 http://en.wikipedia.org/wiki/Push_technologyhttp://en.wikipedia.org/wiki/Comet_%28programming%29일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들을 위해서, 모바일 웹 사이트(150)를 호스팅하는 도 1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102), 및 이에 따라 도 3의 모바일 디바이스(들)(304) 또는 도 5의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HTTP 웹 서버(들)(502)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의 고레벨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의 고레벨 기능 블록도는 모바일 디바이스/서버(500)에 포함될 수 있는 논리적 기능들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아키텍처들 또는 어레인지먼트들(arrangements)의 범위에 관한 어떠한 제한으로도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는 속성 스토어(7022) 및 동작 핸들러(7024)를 갖는 프로세싱 코어(7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는 서버-측 스크립팅 엔진(706)을 지원할 수 있으며 서버-측 스크립팅 엔진(706)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웹 서버(7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서버-측 스크립팅 엔진(706)은 동작 핸들러(7024)를 제공 및 인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측 스크립팅 엔진(706)은 속성들을 세팅하는 것은 물론 속성 스토어(7022)로부터 속성들을 리트리브 또는 추출할 수 있다. 추가의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는 HTML 저장소(7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는 도 1의 웹 서버(112) 및 일 양상에서 방화벽(106)과 통신하기 위해 무선 전송기/수신기(7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송기/수신기(710)는 예를 들어, IEEE 802.11 프로토콜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의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 7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서버(700)는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동적인 어드레스 업데이트 보고를 수행하기 위해 MD_IP 업데이트 모듈(712), 예를 들어, 프로세싱 코어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코어(702)의 하드웨어 구현에 관하여, 당업자들은 프로세싱 작업들이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프로세서 또는 계산 엔진에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프로세싱 기능은 기재된 양상들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한 위치에 집중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싱 위치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개시의 판독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이익들 중에는,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콘텐츠에 대한 준비된 액세스를, 기껏해야 종래의 기법들에 의해 인터넷에 연결되는 종래의 브라우저를 호스팅하는 종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갖는 사용자들에 제공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액세스하는 사용자들은 대중의 일원일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호스팅되는 모바일 웹 사이트의 구성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가 대중에게 쉽게 이용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로부터 당업자들에 의해 쉽게 인지될 다양한 이익들 중에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의, 안전한, 실제적인 관리를 제공한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 또는 자기 미립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미립자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일반적 그리고/또는 특수화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들은 여기서 기재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의 견지들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선 안 된다.
여기서 기재된 실시예들과 함께 기술되는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되어서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구항들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예시되는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여기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다
위의 개시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여기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여기서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임의의 특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술되거나 청구될지라도,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가 예견된다.

Claims (41)

  1.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는 단계 ―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 ―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임 ―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리트리브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웹 서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법은,
    절대 시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에서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시간 스케줄에서의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의 산술 함수에 기초하여, 주어진 복수의 시간 스케줄들 사이의 시간 스케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으로서 상기 시간 스케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산술 함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웹 서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산술 함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적용시키는 결과에 기초하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절대 시간 신호와 관련된 상기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시간 스케줄에서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웹 서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시간 스케줄에서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의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의 전송으로 시작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질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 요청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 요청은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1.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으로서,
    절대 시간 신호를 웹 클라이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위해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리다이렉트는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특정 시간에서 이루어짐 ― ;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간에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의 수신으로 시작되고 상기 특정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짐 ― ;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에 기초하여 시각적 상태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보고된 위치를 갖는 정보 소스의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질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검출된 셀 사이트 위치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질문(interrogation)을 수행하고, 상기 질문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의 전송과 연관하여 위치 고정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위치 고정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검출된 셀 사이트 위치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질문을 수행하고, 상기 질문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게 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연관시키게 하는 명령들;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임 ― ;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7.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절대 시간 신호를 웹 클라이언트에서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위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을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리다이렉트는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특정 시간에서 이루어짐 ― ;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특정 시간에 따라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를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수신은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 인터벌은 상기 특정 시간에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의 수신으로 시작되고 상기 특정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됨 ― ;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에 기초하여 시각적 상태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는 명령들;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보고된 위치를 갖는 정보 소스의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질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0.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게 하고 ― 상기 할당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함 ―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게 하고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게 하고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임 ― ;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리트리브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저장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웹 서버이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절대 시간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웹 서버에서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시간 스케줄에서의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의 산술 함수에 기초하여, 주어진 복수의 시간 스케줄들 사이의 시간 스케줄을 선택하는 것,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으로서 상기 시간 스케줄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산술 함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웹 서버이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산술 함수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적용시키는 결과에 기초하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절대 시간 신호와 관련된 상기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시간 스케줄에서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웹 서버이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시간 스케줄에서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의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것은, 상기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의 전송으로 시작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질의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 요청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 요청은 상기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0.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절대 시간 신호를 웹 클라이언트에서 수신하게 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위해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로 전송하게 하고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게 하고 ― 상기 리다이렉트는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특정 시간에서 이루어짐 ― ; 그리고
    상기 특정 시간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특정 시간에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의 수신으로 시작되고 상기 특정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짐 ― ;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에 기초하여 시각적 상태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보고된 위치를 갖는 정보 소스의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질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검출된 셀 사이트 위치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질문을 수행하고, 상기 질문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추가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의 전송과 연관하여 위치 고정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에 대한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고정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위치 고정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검출된 셀 사이트 위치에 대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질문을 수행하고, 상기 질문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5.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할당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연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 ―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은 상기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임 ―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리트리브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할당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웹 서버에 있고,
    상기 시스템은, 절대 시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웹 서버에서 그리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직접 어드레스를 갖는 명령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획득된 ON-OFF 전력 사이클 타이밍에 기초하여,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시간 스케줄에서의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39.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에 대한 시스템으로서,
    절대 시간 신호를 웹 클라이언트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에 대한 웹 클라이언트 액세스를 위해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을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웹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리다이렉트는 절대 시간 신호에 관련된 특정 시간에서 이루어짐 ― ;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를 상기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에 대한 시스템.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특정 시간에서 리다이렉트하기 위한 명령의 수신으로 시작되고 상기 특정 시간에 기초하는 시간에서 종료되는 시간 인터벌에서의 어디에서나 이루어짐 ― ;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 펜딩 표시자에 기초하여 시각적 상태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에 대한 시스템.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의 전송과 연관하여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웹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리다이렉트에 대응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연결 통신을 수신하기 전에, 타임-아웃 값에 도달하는 상기 연결 타임-아웃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지막 보고된 위치를 갖는 정보 소스의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질의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비 액세스에 대한 시스템.

KR1020147022886A 2012-01-18 2013-01-18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에 의한 디바이스 컨텐츠의 원격 액세스 및 운영 KR101565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8051P 2012-01-18 2012-01-18
US201261588039P 2012-01-18 2012-01-18
US201261588020P 2012-01-18 2012-01-18
US201261588007P 2012-01-18 2012-01-18
US61/588,020 2012-01-18
US61/588,051 2012-01-18
US61/588,007 2012-01-18
US61/588,039 2012-01-18
US13/415,636 US8862693B2 (en) 2011-03-11 2012-03-08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and configuration using HTTP protocol
US13/415,636 2012-03-08
US13/601,325 2012-08-31
US13/601,325 US9052898B2 (en) 2011-03-11 2012-08-31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PCT/US2013/022300 WO2013109989A1 (en) 2012-01-18 2013-01-18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248A true KR20140122248A (ko) 2014-10-17
KR101565293B1 KR101565293B1 (ko) 2015-11-04

Family

ID=4763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886A KR101565293B1 (ko) 2012-01-18 2013-01-18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에 의한 디바이스 컨텐츠의 원격 액세스 및 운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05478B1 (ko)
JP (1) JP5826950B2 (ko)
KR (1) KR101565293B1 (ko)
CN (1) CN104067598B (ko)
WO (1) WO20131099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596A1 (en) 2001-03-09 2002-09-26 Matthew Darwin Method to proxy IP services
US7899932B2 (en) * 2003-01-15 2011-03-01 Panasonic Corporation Relayed 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traversal
US7468969B2 (en) * 2003-11-07 2008-12-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ntral control of mesh networks
GB2418321A (en) * 2004-09-17 2006-03-22 Compal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establishing a socket connection between a client and a mobile stat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DE102005021065A1 (de) * 2005-05-06 2006-11-16 Siemens Ag Medizinische Untersuchungseinrichtung zum Erzeugen von Untersuchungsbildern eines Objekts und zugehöriges Verfahren
WO2007082011A2 (en) * 2006-01-11 2007-07-1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Visual mapping of field device message routes in a wireless mesh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5478A1 (en) 2014-11-26
EP2805478B1 (en) 2017-11-22
CN104067598B (zh) 2018-07-20
JP5826950B2 (ja) 2015-12-02
CN104067598A (zh) 2014-09-24
KR101565293B1 (ko) 2015-11-04
WO2013109989A1 (en) 2013-07-25
JP2015511428A (ja)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2898B2 (en)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CN104202360B (zh) 访问网页的方法、装置及路由器
KR101521496B1 (ko)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바이스 콘텐츠 및 구성의 원격 액세스 및 관리
CN106489144B (zh) 针对资源目录的搜索引擎优化
US8509753B2 (en) Transfer of data-intensive content between portable devices
WO2013131472A1 (zh) 消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20160112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Utilizing Globally Unique Identifiers and Wireless Sensors
US20140214963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data sharing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CN103294515A (zh) 一种获取应用程序的方法、装置和系统
RU2019127912A (ru) Радиотерминал, радиостанция, узел базовой сети и способ в них
US104483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18489B2 (en) Mobile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to server
WO2013167061A2 (zh) 应用更新方法、装置及系统、用户设备
KR101565293B1 (ko)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에 의한 디바이스 컨텐츠의 원격 액세스 및 운영
US20200366718A1 (en) Security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US10397772B2 (en) Nomination of a primary cell phone from a pool of cell phones
US9037650B2 (en) Device-agnostic cloud and device-based user to user communication timeline/mosaic
JPWO2014132428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25737A (ko)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50581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