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737A -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737A
KR20150025737A KR20130103729A KR20130103729A KR20150025737A KR 20150025737 A KR20150025737 A KR 20150025737A KR 20130103729 A KR20130103729 A KR 20130103729A KR 20130103729 A KR20130103729 A KR 20130103729A KR 20150025737 A KR20150025737 A KR 2015002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information
friend list
server
request message
provid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260B1 (ko
Inventor
김근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2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절차를 진행하는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 친구로 등록된 모두에 대해 한번에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그룹별로 구분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update profile,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상태 정보 관리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의 주소록에 포함된 친구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서비스에서 ALL IP라는 용어가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이 가능해진 시점은 스마트폰의 확산을 시작으로 하는 단말의 성능향상 및 무선 네트워크 성능이 충분히 확보된 최근이다. 발전된 단말 및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해 통신사업자의 고유한 사업영역이 비 통신영역의 개인 및 그룹 서비스 제공자에게 많은 부분 공유되는 현상이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통신사업자의 고유한 사업영역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동통신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차세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도입/상용화 하고 있다. 이 변화의 핵심에는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기본적인 방식인 음성, 영상, 문자 서비스를 IP기반으로의 고도화하는 작업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음성과 영상서비스로 IP Voice Call/IP Video Call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IP기반의 문자서비스인 RCS(Rich Communication Suite, 이하 RCS)를 제공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4162호, 2004년 03년 20일 공개 (명칭: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장치 사용자의 친구 상태 정보 업데이트 시,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레즌스 서버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의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 친구로 등록된 모두에 대해 한번에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그룹별로 구분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100), 코어 서버(200), 프레즌스 서버(300),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 및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서버(200) 혹은 프레즌스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코어 서버(200)는 패킷망(Packet Switched Network)을 관장하는 서버이며, 이러한 패킷망은 예컨대,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이 될 수 있다. 코어 서버(200)는 예컨대,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서버(200)는 패킷망의 호 및 세션 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수신되는 호에 대한 게이트웨이(gateway)로서의 기능, 호 제어 기능,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즌스 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의 일종으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단일 사업자망 내부 및 외부 사업자망의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 및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집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특정 사용자(혹은 사용자 장치)에 매핑되는 친구 목록을 관리하며, 각 친구 목록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특정 사용자 장치(100)에 주소록에 저장된 친구 목록을 친구 목록 그룹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XDMS(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는 특정 사용자가 속한 사업자가 어느 사업자에 속하는지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를 통해 특정 사용자에 대해 질의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속한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회신한다.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300)는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서버(600)는 사업자망간을 연동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1에서 제1 사업자망과 제2 사업자망을 연동하기 위해, 코어 서버(200) 간을 연결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 서버(600)는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사용자 장치(100)의 주소록에 저장된 친구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1?는 사전적인 친구의 의미가 아니라,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상대방 사용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는 단순히, 주소록에 저장된 친구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친구의 프로필(profile), 예컨대, 친구의 사진, 대화명, 친구 자신이 타인에게 공개하고자 하는 친구 자신의 소개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의 주소록에 저장된 친구 목록의 수는 적게는 수십 명에서 많게는 수백 명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스템은 주소록에 저장된 전체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이는 시스템에 부하를 가중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소록에 저장된 친구 목록을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주소록에 친구로 등록된 모두에 대해 한번에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친구 목록 그룹 단위로 구분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LNA, Low Noise Amplify)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입력부(1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터치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12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저장부(140)는 주소록을 저장하며, 주소록에는 친구 목록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친구 목록을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상술한 친구 목록 그룹과 별도로 서로 다른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친구로 이루어진 친구 목록 그룹(소위, VIP 그룹)을 따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복수개의 M개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를 복수 번에 나누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로 업로드(UPLOAD) 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각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각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해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완료한 후, 다른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는 식으로,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순차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친구 목록 그룹을 하나의 단위로 서로 다른 주기 혹은 순차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한다.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위해,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해당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제어부(150)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제어부(15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즉,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10), 저장 모듈(320) 및 제어 모듈(33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사용자 장치(100), 코어 서버(200),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 게이트웨이 서버(600) 등과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코어 서버(200)를 통해 수신하며, 사용자 장치(100)로 코어 서버(20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 및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저장 모듈(320)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정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프레즌스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프레즌스 서버(3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의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모듈(330)은 요청된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330)은 먼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한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에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한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그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 각각이 가입한 사업자망에 대해 질의한다. 이때, 제어 모듈(330)은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 모두에 대해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를 통해 질의한다. 즉,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 모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로부터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 각각이 가입한 사업자망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330)은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 각각이 자사, 즉, 사용자 장치(100)가 속한 사업자망에 가입되어 있는지 혹은 타사, 즉, 사용자 장치(100)가 속한 사업자망이 아닌 다른 사업자망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자사의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문의하여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 모듈(330)은 타사의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각 사업자망 별로 각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 즉,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해당 타사의 사업자망의 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타사 사업자망의 코어 서버(200)로부터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수집하면, 제어 모듈(310)은 수집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제어 모듈(330)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제어 모듈(3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제1 코어 서버(210)는 사용자 장치(100)가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망의 서버이며, 제2 코어 서버(220)는 사용자 장치(100)가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망이 아닌 다른 사업자망의 서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0)는 자신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친구 목록을 M개의 친구 목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S401 단계 내지 S40M 단계에서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M개의 친구 목록 그룹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친구 목록 그룹 단위로 M 번에 나누어 업로드(UPLOAD) 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을 S401 단계 내지 S40M 단계에서 나누어 한 단계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이러한 친구 목록을 친구 목록 그룹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상술한 그룹과 별도로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친구로 이루어진 그룹(소위, VIP 그룹)을 따로 관리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친구 목록을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S410 단계에서 전체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전체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프레즌스 서버(300)에 요청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단순히 프레즌스 서버(300)에 전체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많은 수의 친구 목록으로 인해 시간이 지연되어 미리 설정된 처리 시간이 초과되는 타임아웃(TIME OUT)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가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친구의 식별 정보를 앞서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별로 업로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태 정보 업데이트 또한 친구 목록 그룹 별로 요청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0)는 각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0)는 각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해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완료한 후, 다른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는 식으로,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순차로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되지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가 친구 목록 그룹의 수만큼 각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혹은 순차로, 수행되어, 전체 친구 목록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가 진행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S415 단계에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앞서 전송된 친구 목록 그룹 1에 대한 상태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따라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을 지정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른 SUBSCRIB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가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제1 코어 서버(210)가 수신하고, 제1 코어 서버(210)는 S420 단계에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에 전달한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해당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친구 목록 그룹 1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요청임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프레즌스 서버(300)는 S425 단계에서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친구 목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친구 목록 요청 메시지는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을 이용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XCAP REQ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친구 목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S430 단계에서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친구 목록 응답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친구 목록 응답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친구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S435 단계에서 앞서(S420 단계)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절차를 계속 진행할 것임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확인 메시지는 S435 단계 및 S440 단계에서 제1 코어 서버(2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전달된다.
한편, 친구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얻은 프레즌스 서버(300)는 S445 단계에서 사업자망 질의(NPDB_SEARCH_REQ) 메시지를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가 현재 가입된 사업자망을 조회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모든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즉, 이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각각에 대해 여러 번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에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모두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 각각이 현재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망을 한번에 질의한다.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는 S450 단계에서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사업자망 응답(NPDB_SEARCH_RSP)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각각이 현재 속한 사업자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서버(300)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각각이 현재 속한 사업자망이 어디인지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즌스 서버(300)는 각 사업자망에 따라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즉, 프레즌스 서버(300)는 S455 단계에서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100)와 동일한 코어 망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최신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프레즌스 서버(300)는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중 자사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해당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300)에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 프레즌스 서버(300)는 자사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의 최신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S460 단계 내지 S475 단계에서 제2 코어 서버(220)로부터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 중 제2 코어 서버(220)가 속한 타사 사업자망에 가입한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하여, 프레즌스 서버(300)는 S460 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서버(600)를 통해 제2 코어 서버(220)에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 중 제2 코어 서버(220)에 속한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S460 단계에서 전송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친구 목록 그룹 1에서 친구 목록 그룹 1 중 제2 코어 서버(220)에 속한 가입자 모두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SIP에 따른 SUBSCRIB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코어 서버(220)는 S465 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서버(600)를 통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며, 요청된 프로세스가 진행될 것임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른 200 OK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코어 서버(220)는 S470 단계에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 중 제2 코어 서버(220)에 속한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프레즌스 서버(300)는 S475 단계에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200 OK)를 제2 코어 서버(22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타사 사업자망에 대한 상태 정보 요청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타사 사업자망이 존재할 수 있고, S460 단계 내지 S475 단계는 타사 사업자망 각각에 대해 하나의 프로세스로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이 A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가 100명이며, B 사업자망에 가입한 사용자가 200명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프레즌스 서버(300)는 A 사업자망으로 100명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태 정보를 요청할 것이며, 이에 따른 100 명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수집할 것이다. 또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B 사업자망으로 200명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태 정보를 요청할 것이며, 이에 따른 200 명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수집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 모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S480 단계에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S480 단계의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 모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S480 단계 및 S485 단계에서 코어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전달된다.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는 S490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가 이용될 수 있다. 확인 메시지는 S490 단계 및 S495 단계에서 코어 서버(200)를 통해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415 단계 내지 S495 단계를 통해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친구들에 대한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 친구 목록 그룹 2 내지 그룹 M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 또한 친구 목록 그룹 1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 제어부(150)는 자신의 주소록에 저장하고 있는 친구 목록을 M개의 친구 목록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M개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M 번에 나누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로 업로드(UPLOAD) 하였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이러한 친구 목록을 친구 목록 그룹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상술한 친구 목록 그룹과 별도로 서로 다른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친구로 이루어진 친구 목록 그룹(소위, VIP 그룹)을 따로 관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해당 친구 목록 그룹을 따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각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각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해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완료한 후, 다른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는 식으로, 친구 목록 그룹 1 내지 M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순차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친구 목록 그룹을 하나의 단위로 서로 다른 주기 혹은 순차로 진행되는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에서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51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 예컨대, 친구 목록 그룹 1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코어 서버(200)를 통해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달될 것이다. 그러면,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200 OK)를 전송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S520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S530 단계에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S540 단계에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통신부(110)를 통해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S550 단계에서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모든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친구 목록 그룹 1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510 단계 내지 S540 단계를 통해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친구들에 대한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 친구 목록 그룹 2 내지 그룹 M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 또한 친구 목록 그룹 1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 모듈(330)은 S605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해당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치(100)의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 예컨대, 친구 목록 그룹 1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 요청이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 모듈(330)은 S6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친구 목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친구 목록 요청 메시지는 XCAP REQ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친구 목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친구 목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S615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친구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얻은 제어 모듈(330)은 S62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를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가 현재 가입된 사업자망을 조회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에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각각에 대해 여러 번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에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에 대해 현재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망을 한번에 질의한다.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500)는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할 것이다.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가 현재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S625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 각각이 현재 속한 사업자망이 어디인지 인식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S63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에 친구 목록 그룹 1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자사 사업자망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S635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친구 목록 관리 서버(400)로부터 자사 사업자망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모듈(330)은 S64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타사 사업자망의 코어 서버(200)에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 중 타사 사업자망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송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친구 목록 그룹 1의 가입자 중 어느 하나의 타사 사업자망에 가입된 사용자 모두를 지정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SIP에 따른 SUBSCRIB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S645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타사 사업자망의 코어 서버(2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 중 타사 사업자망의 코어 서버(200)에 속한 가입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자사 및 타사 사용자 모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한 제어 모듈(330)은 S645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친구 목록 그룹 1에 속한 사용자 모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와, 이러한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위한 각 종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 친구로 등록된 모두에 대해 한번에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그룹별로 구분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10: 제1 코어 서버 220: 제2 코어 서버
300: 프레즌스 서버 310: 인터페이스 모듈
320: 저장 모듈 330: 제어 모듈
400: 친구 목록 관리 서버 500: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
600: 게이트웨이 서버

Claims (8)

  1.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상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각각에 대해 순차로 상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4.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의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의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레즌스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속한 사업자망을 질의하는 하나의 사업자망 질의 메시지를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번호 이동성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속한 사업자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사업자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레즌스 서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하나의 타 사업자망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하나의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타 사업자망의 코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코어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의 타 사업자망에 속한 사용자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레즌스 서버.
  7. 복수의 친구 목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친구 목록 그룹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따른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103729A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5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29A KR102055260B1 (ko)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29A KR102055260B1 (ko)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737A true KR20150025737A (ko) 2015-03-11
KR102055260B1 KR102055260B1 (ko) 2019-12-12

Family

ID=5302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29A KR102055260B1 (ko)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2947A (ko) * 2015-10-12 2017-04-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162A (ko)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8323A (ko) * 2007-03-29 200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젼스 소스로부터 프레젼스 정보를 직접 요청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8611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케이티 아이엠에스 기반의 프레즌스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979073B1 (ko) * 2001-05-15 2010-08-31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통지 및 응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73B1 (ko) * 2001-05-15 2010-08-31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통지 및 응답 방법 및 장치
KR20040024162A (ko)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8323A (ko) * 2007-03-29 200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젼스 소스로부터 프레젼스 정보를 직접 요청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8611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케이티 아이엠에스 기반의 프레즌스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2947A (ko) * 2015-10-12 2017-04-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260B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7850B2 (en) Facilitating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246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alls
CN105027596A (zh) 在通信会话期间在客户端设备之间交换联系简档
US9106671B2 (en) Capability discovery optimization
US20080125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o enable commun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dentifiers
US9065788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US11968275B2 (en) Push notifications for multiple user devices
US8918489B2 (en) Mobile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to server
EP297415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US20160295390A1 (en) Centralised capabiity discovery
US20110082896A1 (en) Dynamically Updated Web-Enabled and Embedded Contact Address in Communication Devices
US9922094B1 (en) Sharing data based on user ranking
KR102055260B1 (ko)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1860821A (zh) 一种获取多个即时信息的方法和系统
Ma et al. RFID-based mobility for seamles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in cloud computing
KR101546387B1 (ko) 단말들간의 콘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2072345B1 (ko)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7092B1 (ko)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30117615A1 (en) Api driven subscriber ims registration status changes and ims routing steering
KR20120002121A (ko)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SoIP 기반의 긴급 호 서비스 방법
US20230362268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528804B1 (ko) 복수의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78267B1 (ko)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320896B1 (en) Unified communication access system
KR101702552B1 (ko)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