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092B1 -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092B1
KR102107092B1 KR1020130103730A KR20130103730A KR102107092B1 KR 102107092 B1 KR102107092 B1 KR 102107092B1 KR 1020130103730 A KR1020130103730 A KR 1020130103730A KR 20130103730 A KR20130103730 A KR 20130103730A KR 102107092 B1 KR102107092 B1 KR 10210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status information
server
appl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738A (ko
Inventor
김근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0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푸시 서비스 서버 및 푸시 연동 서버가 수집하여, 푸시 연동 서버가 이 식별 정보를 상태 정보 관리 서버 또는 프레즌스 서버에 전달한다. 종래의 프레즌스 서버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삭제,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USIM 기계 변경 등과 같은 이유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즌스 서버는 상술한 서비스 불가 상태를 푸쉬 서비스 서버 및 푸시 연동 서버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발신 사용자 장치는 이러한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대체 수단을 이용하여 착신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present presence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착신 사용자 장치가 채팅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착신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서비스에서 ALL IP라는 용어가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이 가능해진 시점은 스마트폰의 확산을 시작으로 하는 단말의 성능향상 및 무선 네트워크 성능이 충분히 확보된 최근이다. 발전된 단말 및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해 통신사업자의 고유한 사업영역이 비 통신영역의 개인 및 그룹 서비스 제공자에게 많은 부분 공유되는 현상이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통신사업자의 고유한 사업영역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동통신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차세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도입/상용화 하고 있다. 이 변화의 핵심에는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기본적인 방식인 음성, 영상, 문자 서비스를 IP기반으로의 고도화하는 작업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음성과 영상서비스로 IP Voice Call/IP Video Call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IP기반의 문자서비스인 RCS(Rich Communication Suite, 이하 RCS)를 제공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1938호, 2013년 03년 06일 공개 (명칭: 프레즌스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IMS 서버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인스탄트(Instant)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경우, 착신자의 상태 정보를 발신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발신 사용자 장치가 착신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다른 메시지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즌스 서버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한 푸시 연동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한 푸시 연동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연동 서버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통지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종래의 프레즌스 서버는 발신 사용자 장치가 착신 사용자 장치에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삭제,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기계 변경 등과 같은 이유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경우, 착신 사용자 장치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인식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즌스 서버는 상술한 서비스 불가 상태를 푸쉬 서비스 서버와 이와 연동된 푸시 연동 서버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발신 사용자 장치는 이러한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대체 수단을 이용하여 착신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연동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연동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100), 코어 서버(200), 프레즌스 서버(300),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 푸시 연동 서버(500) 및 푸시 서비스 서버(6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서버(200) 혹은 프레즌스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코어 서버(200)는 패킷망(Packet Switched Network)을 관장하는 서버이며, 이러한 패킷망은 예컨대,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이 될 수 있다. 코어 서버(200)는 예컨대,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서버(200)는 패킷망의 호 및 세션 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수신되는 호에 대한 게이트웨이(gateway)로서의 기능, 호 제어 기능,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즌스 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의 일종으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상태 정보 관리 서버) 및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집하여,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특정 사용자(혹은 사용자 장치)에 대응하는 친구 목록을 관리하며, 각 친구 목록의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특정 사용자 장치(100)의 주소록에 저장된 친구 목록을 저장하고, 이러한 친구 목록의 각 사용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XDMS(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푸시 연동 서버(500)는 소정 주기로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불가 상태인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 정보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소정 주기 동안 획득한 서비스 불가 상태인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푸시 연동 서버(500)에 제공한다. 그러면, 푸시 연동 서버(500)는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불가 상태인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300) 혹은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불가 상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제2 사용자 장치(102)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하거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기계 변경 등의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기본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의 요청에 의해 메시지를 푸시(PUSH) 방식으로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치(100)에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불가 상태인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푸시 연동 서버(500)는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이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자신(푸시 연동 서버(500))임을 등록시킨다.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불가 상태인지 여부를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획득하여, 그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장치(100)에 요청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피드백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불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때에 사용자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때에,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예컨대, AOM(Always On Management), GCM(Google Cloud Messaging),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신 사용자 장치 및 착신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사용자 장치(100) 간에 인스탄트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상태에서, 발신 사용자 장치가 착신 사용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황을 상정한다. 이때, 착신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것을 가정한다. 즉, 착신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착신 사용자 장치는 프레즌스 서버(300) 혹은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하지만, 착신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한다. 푸시 연동 서버(500)의 요청에 의해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푸시 연동 서버(500)로 전송한다. 푸시 연동 서버(500)는 해당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300) 또는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즌스 서버(300) 또는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발신 사용자 장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할 때, 프레즌스 서버(300)에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것이다. 그러면, 프레즌스 서버(300)는 착신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발신 사용자 장치에 알린다. 그러면, 발신 사용자 장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대체 수단, 예컨대, SMS, MMS 등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사용자 장치(100)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USIM 기계 변경 등의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100)가 서비스 불가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대응으로 대체 수단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LNA, Low Noise Amplify)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입력부(1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터치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12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탄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메신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저장부(140)는 친구 목록이 포함된 주소록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가 발신 사용자 장치인 경우, 제어부(150)는 주소록에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해당 상태 정보가 서비스 불가 상태인 경우, 인스탄트 메시지 대신 대체 수단(SMS/MMS)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프레즌스 서버(300)에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것이다. 착신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불가 상태라면, 프레즌스 서버(300)는 이를 발신 사용자 장치에 알린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대체 수단, 예컨대, SMS, MMS 등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 장치(100)가 착신 사용자 장치인 경우,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스탄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때에,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알린다.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부(150)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제어부(15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즉,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10), 저장 모듈(320) 및 제어 모듈(33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사용자 장치(100), 코어 서버(200),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 푸시 연동 서버(500) 등과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코어 서버(200)를 통해 수신하며, 사용자 장치(100)로 코어 서버(20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 및 푸시 연동 서버(500)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저장 모듈(320)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정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친구 목록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프레즌스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프레즌스 서버(3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연동 서버(500)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착신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제어 모듈(330)은 발신 사용자 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착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모듈(330)은 요청된 착신 사용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관리 서버에 문의하여 수집한다. 수집된 바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착신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발신 사용자 장치에 알려 줄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연동 서버(500)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착신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이를 수신하여, 해당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변경한다. 만약, 제어 모듈(330)이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어 서비스 불가 상태인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서비스 불가 상태인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착신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알려 줄 수 있다.
상술한 제어 모듈(330)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제어 모듈(3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연동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연동 서버(500)는 인터페이스 유닛(510), 저장 유닛(520) 및 제어 유닛(53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10)은 프레즌스 서버(300),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 푸시 서비스 서버(600) 등과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유닛(510)은 제어 유닛(530)의 제어에 따라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 서비스 불가 목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510)은 제어 유닛(530)의 제어에 따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 혹은 프레즌스 서버(300)에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 유닛(520)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식별 정보는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 즉, MDN(Mobile Directory Number)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식별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SIN(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이 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닛(530)은 푸시 연동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프레즌스 서버(3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연동 서버(5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제어 유닛(530)은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불가 목록 요청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530)은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푸시 연동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 유닛(530)은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 또는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유닛(530)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제어 유닛(5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01, 102)가 존재하며, 제1 사용자 장치(101)가 제2 사용자 장치(102)에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즉, 제1 사용자 장치(101)는 발신측이며,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착신측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장치(102)는 S515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서비스 불가 상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제2 사용자 장치(102)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하거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기계 변경 등의 경우에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102)는 S520 단계에서 연결된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불가 상태를 알리는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제2 사용자 장치(102)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서비스 불가 상태인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토큰(token) 등), 삭제된 시간, 삭제된 날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 즉, MDN(Mobile Directory Number)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식별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SIN(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는 푸시 서비스 서버(600)의 주기적인 요청에 의한 피드백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때에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때는 제2 사용자 장치(102)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때가 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와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푸시 연동 서버(500)는 S525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불가 목록 요청 메시지를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S530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푸시 연동 서버(500)로 전송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에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도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MDN)가 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푸시 연동 서버(200)는 S535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예컨대, MDN)도 포함된다.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가 XDMS(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로 구현되는 경우,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PUT 메시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혹은 사용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 또한 서비스 불가 상태로 업데이트 될 것이다.
한편,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는 S54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장치(102)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른 SUBSCRIB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달된다.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질의 한다. 즉, 프레즌스 서버(300)는 S545 단계에서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질의하는 상태 정보 질의 메시지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S55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에 제공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서비스 불가 상태임으로, 상태 정보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나타낸다.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얻은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555 단계에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전송한다.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SIP에 따른 NOTIFY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제1 사용자 장치(101)에 알린다.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자신의 주소록에 저장된 제2 사용자 장치(102) 혹은 제2 사용자 장치(102)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S560 단계에서 대체 메시지를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한다. 이러한 대체 메시지는 SMS, MMS 등이 될 수 있다.
대체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장치(102)는 S565 단계에서 대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거나,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되거나, USIM이 교체되는 경우,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즌스 서버(300)는 푸시 연동 서버(500)가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제공한 서비스 불가 상태인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인스탄트 메시지 대신 대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에서, 도 5a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101, 102)가 존재하며, 제1 사용자 장치(101)가 제2 사용자 장치(102)에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즉, 제1 사용자 장치(101)는 발신측이며,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착신측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장치(102)는 S571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서비스 불가 상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제2 사용자 장치(102)의 펌웨어(firmware)를 업그레이드하거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기계 변경 등의 경우에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102)는 S573 단계에서 연결된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불가 상태를 알리는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제2 사용자 장치(102)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서비스 불가 상태인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토큰(token) 등), 삭제된 시간, 삭제된 날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 즉, MDN(Mobile Directory Number)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불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와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푸시 연동 서버(500)는 S575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불가 목록 요청 메시지를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푸시 서비스 서버(600)는 S577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푸시 연동 서버(500)로 전송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에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도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MDN)가 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푸시 연동 서버(200)는 S579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예컨대, MDN)도 포함된다.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서비스 해당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 또한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될 것이다.
한편,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는 S581 단계에서 제2 사용자 장치(102)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프레즌스 서버(300)는 앞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변경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583 단계에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전송한다. 즉, 프레즌스 서버(300)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제1 사용자 장치(101)에 알린다.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자신의 주소록에 저장된 제2 사용자 장치(102) 혹은 제2 사용자 장치(102)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인스탄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S585 단계에서 대체 메시지를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한다. 이러한 대체 메시지는 SMS, MMS 등이 될 수 있다.
대체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장치(102)는 S587 단계에서 대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거나,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되거나, USIM이 교체되는 경우,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르면, 도 5b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즌스 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에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 서버(600)와 연동하는 푸시 연동 서버(50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제2 사용자 장치(102)로 인스탄트 메시지 대신 대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발신측이며,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착신측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푸시 연동 서버(5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하였고, 이러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330)은 S6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1)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330)은 S62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가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면,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태 정보를 획득한 제어 모듈(330)은 S63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치(101)가 요청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1)는 발신측이며,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착신측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푸시 연동 서버(5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하였고, 이러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하였으며, 이에 따라, 프레즌스 서버(300)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330)은 S64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1)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330)은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푸시 연동 서버(5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제어 모듈(330)은 S65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1)로 서비스 불가 상태인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장치(102)가 서비스 불가 상태임을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연동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인스탄트 메시지를 다른 사용자 장치(100)와 교환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사용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푸시 연동 서버(500)는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푸시 연동 서버(500) 자신을 등록시킨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530)은 S710 단계에서 대기 모드에 있다. 대기 모드 중 제어 유닛(530)은 S720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주기인 경우, S7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710 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제어 유닛(530)은 S730 단계에서 서비스 불가 상태인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제어 유닛(530)은 서비스 불가 상태인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불가 목록 요청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전송한다. 즉, 제어 유닛(530)은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불가 목록 요청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6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530)은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를 푸시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수신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응답 메시지는 특정 사용자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사용자 장치(100)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어 서비스 불가 상태인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불가 상태인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수집한 제어 유닛(530)은 S74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유닛(510)을 통해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를 제1 실시예에 따라, 상태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제2 실시예에 따라, 프레즌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비스 불가 목록 통지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불능 상태인 착신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며, 푸시 연동 서버는 푸시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불능 상태인 착신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상태 정보 관리 서버 또는 프레즌스 서버에 전달한다. 프레즌스 서버는 발신 사용자 장치의 요청이 있을 때, 상태 정보 관리 서버 혹은 푸시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해 서비스 불능 상태인 착신 사용자 장치를 발신 사용자 장치에 알려줄 수 있다. 종래의 프레즌스 서버는 착신 사용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 삭제,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USIM 기계 변경 등과 같은 이유로 서비스 불가 상태가 된 경우, 착신 사용자 장치가 이를 프레즌스 서버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즌스 서버는 상술한 서비스 불가 상태를 푸시 연동 서버 및 푸쉬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발신 사용자 장치는 이러한 착신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대체 수단을 이용하여 착신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00: 코어 서버 300: 프레즌스 서버
310: 인터페이스 모듈 320: 저장 모듈
330: 제어 모듈 400: 상태 정보 관리 서버
500: 푸시 연동 서버 510: 인터페이스 유닛
520: 저장 유닛 530: 제어 유닛
600: 푸시 서비스 서버

Claims (5)

  1.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제2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한 푸시 연동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제2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 대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즌스 서버.
  2. 제2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한 푸시 연동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 대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즌스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따른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 및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정보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제2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통지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 대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연동 서버.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통지 메시지는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PUT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연동 서버.
KR1020130103730A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30A KR102107092B1 (ko)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30A KR102107092B1 (ko)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738A KR20150025738A (ko) 2015-03-11
KR102107092B1 true KR102107092B1 (ko) 2020-05-06

Family

ID=5302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30A KR102107092B1 (ko) 2013-08-30 2013-08-30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0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42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케이티 액세스 망 결정 방법
KR101233263B1 (ko) * 2011-05-16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피드백 메시지를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14424B1 (ko) 2011-08-24 2013-11-13 주식회사 팬택 프레즌스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ims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738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4669B2 (en) Synchronizing messages on connected devices
US8380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communication with a web-based network, such as a social network
US8880045B2 (en) Real-time delivery of caller information on 3G and 4G data with incoming voice call
US9444941B2 (en) Delivery of visual voice mail
JP6104388B2 (ja) 情報の処理方法、優先度情報の送信方法及び装置
CN105027596A (zh) 在通信会话期间在客户端设备之间交换联系简档
JP2016517664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にマルチメディア情報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109901A1 (en) Methods and Systems to Hold Functions on a Device After an Identifier is Determined
US11968275B2 (en) Push notifications for multiple user devices
KR10215034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396372B2 (ja) 緊急呼(emergency call)の処理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US20160295390A1 (en) Centralised capabiity discovery
EP297415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CN101194443A (zh) 利用终端性能版本来执行组合业务的终端、方法以及系统
US20170048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http data using bluetoo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471820A (zh) 融合通信终端发现以及能力探测的处理方法及装置
US20140324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US20130188559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over the Internet Between Mobile Terminal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CA269365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request tracking
KR102107092B1 (ko) 상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469203B2 (ja) 端末装置、通信セッション確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55260B1 (ko)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6184817A (ja) 端末装置、通信セッション確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72345B1 (ko)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320896B1 (en) Unified communication ac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