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107A -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107A
KR20140122107A KR1020130038784A KR20130038784A KR20140122107A KR 20140122107 A KR20140122107 A KR 20140122107A KR 1020130038784 A KR1020130038784 A KR 1020130038784A KR 20130038784 A KR20130038784 A KR 20130038784A KR 20140122107 A KR20140122107 A KR 2014012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ashing machine
result data
tag
diagnosis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370B1 (ko
Inventor
하미경
전진호
조보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370B1/ko
Priority to BR102014008188-7A priority patent/BR102014008188B1/pt
Priority to AU2014201963A priority patent/AU2014201963B2/en
Priority to EP14163900.5A priority patent/EP2790415B1/en
Priority to RU2014113755/12A priority patent/RU2580274C2/ru
Priority to US14/248,289 priority patent/US9558653B2/en
Priority to CN201410140403.6A priority patent/CN104102142B/zh
Publication of KR2014012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각종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 감지부가 파악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 및 외부기기가 태그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태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A LAUNDRY AND A CONTROLLING METHOD OF A LAUNDRY}
본 발명은 일 실시예의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겸용 세탁기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세탁, 헹굼, 탁수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드럼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탑로드 방식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된다.
건조기는 피 건조물에 온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장치로, 회전하는 드럼 내에 피 건조물을 투입하고, 드럼 내로 온풍 또는 냉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세탁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갖춘 것으로, 회전하는 드럼 내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고,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세탁기의 사용 및 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세탁기의 모델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기기를 이용하여, 세탁기를 손쉽게 사용하거나, 진단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기기를 이용하여, 세탁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각종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 감지부가 파악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 및 외부기기가 태그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태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은 운전상태를 감지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태그부와 태그하여,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은 세탁기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외부기기와 태그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외부기기와 태그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은, 진단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태그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장치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태그를 하여, 상태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태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제어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손쉽게 휴대용기기에 세탁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은, 세탁기가 먼저 진단결과데이터를 도출하여, 휴대용기기에서 별도의 연산없이 빠르게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하여, 사용자가 가장 최근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은,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휴대용기기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세탁기의 자세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태그가 없이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진단 시스템 및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은, 휴대용기기가 세탁기로부터 모델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진단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진단 시스템 및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은, 세탁기의 태그부와 휴대용기기를 태그하여,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 진단 시스템 및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은, 태그가 제대로 되었는지 여부 또는 태그가 된 경우, 현재 통신이 진행중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통신과정을 도시한 호처리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세탁물 처리기기 중에서 세탁기를 예로써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스팀분사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건조 겸용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의 기타 세탁물 처리기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적용 또는 전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은 운전상태를 감지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부(140)를 포함하는 세탁기(1); 및 태그부(140)와 태그하여,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태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부(140)는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 및 외부기기가 태그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운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감지부가 감지한 운전상태에 기초한 각종 데이터를 태그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세탁기(1)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태그저장부에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는 세탁기(1)와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는 세탁기(1)의 태그부(140)와 태그되는 경우,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는 세탁기(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는 사용자가 표시를 요청하는 요청정보에 따라서, 세탁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 등의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의 내주면에는 리프터가 구비되어,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의류를 퍼 올렸다가 떨어뜨릴 수 있다.
케이스는 전방에 드럼에 포를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되는 의류 투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의 전면의 상측에는,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중에 하나인 표시장치(12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120)는 세탁기의 제어정보를 표시하는 LCD, LED 등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의류투입구에는 도어(1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0)는 드럼에 포를 넣는 입구인 의류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전자제어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도어(110)는 회전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의 전방에는 하나 이상의 버튼(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 에서, 버튼(130)은 사용자의 터치 등으로 조작되는 기계식버튼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버튼(130)는 터치패드를 포함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버튼(130)은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각종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230), 감지부(230)가 파악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210) 및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242) 및 외부기기가 태그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244)를 포함하는 태그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세탁기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부(210)는 다른 구성요소에 신호를 송신하여,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장치(250)로 표시하거나,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감지부(230)가 파악한 세탁기(1)의 각종상태를 포함하는 원자료(raw data)인 상태데이터를 메모리(220) 또는 태그저장부(24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진단결과데이터는 상태데이터를 기초로, 운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태데이터를 기초로,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진단결과데이터가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 항목에 대한 이상발생 여부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세탁기(1)의 운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감지부(230)가 운전상태를 새롭게 감지한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및 플러그가 탈거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설정된 횟수만큼 발생된 복수회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점의 세탁기(1)의 상태에 대한 상태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메모리(220) 또는 태그저장부(24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최근의 복수개의 시점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메모리(220) 또는 태그저장부(242)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가 저장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21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메모리(220)에 저장된 운전상태 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는 감지부가 세탁기(1)의 운전상태를 새롭게 감지한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및 플러그가 탈거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복수개의 세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는 울세탁, 일반세탁, 탈수 또는 건조 등의 세탁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 종류에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표시장치(250)는 세탁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적으로 세탁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청각적으로 세탁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하지 아니한 다양한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부(240)는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태그부(24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242)와 외부와 통신하는 송수신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부(242) 근거리 무선 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태그부(240)는 세탁기(1)의 모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델정보는 세탁기의 제조회사, 세탁기의 모델명 및 세탁기의 통신가능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단순 태그 동작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데이터를 원하는 대로 가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기기간의 호환이 가능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규격을 맞추면,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10cm 미만의 통신거리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통신거리가 짧아, 개인정보의 유출의 우려가 적을 수 있다. 태그부(2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태그된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태그저장부(242)는 제어부(210)로부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태그저장부(242)에 저장된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는, 감지부(230)가 세탁기(1)의 운전상태를 새롭게 감지한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및 플러그가 탈거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저장부(242)는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세탁기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세탁기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운전코스, 물온도, 탈수세기, 구동횟수 또는 운전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드럼의 구동횟수를 파악하는 센서 등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휴대용기기(40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휴대용기기(400)는 세탁기의 태그부와 태그하여,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4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4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피커(4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4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4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기기(40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400)는 제1 내지 제3 입력부(230a, 230b, 230c)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부(230a, 230b, 23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휴대용기기는 각종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310), 제어유닛(310)과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20),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330) 및 통신장치(330)가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휴대용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로 표시하거나,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는 통신장치(330)가 수신한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는 통신장치(330)가 수신한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디스플레이(340)로 세탁기의 이상발생 여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진단결과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진단결과데이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결과데이터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 항목에 대한 이상발생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유닛(310)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가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진단결과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가 진단결과데이터에 포함되는 진단결과가 아닌 경우, 상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는 세탁기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원자료(raw data)일 수 있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가 한정적인 항목에 대한 진단결과값인 진단결과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인 경우, 제어유닛(310)은 상태데이터 자체를 디스플레이(34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용기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340)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제어유닛(3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350)는 상태 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음향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310)은 입력부(360)가 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해달라는 입력을 받은 경우, 스피커(350)로 상태 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음향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장치(3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장치(330)는 세탁기의 태그부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태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장치(330)는 태그부로부터 상태 데이터, 진단결과데이터 또는 모델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통신장치(330)가 수신한 모델정보를 기초로, 세탁기를 진단하는 진단모드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310)는 진단모드가 지원하는 세탁기 제조회사 및 세탁기 모델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모델정보를 기초로 세탁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진단모드가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유닛(310)은 디스플레이(340)가 세탁기에 발생한 기설정된 횟수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점의 세탁기의 상태에 대한 상태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는 입력부를 통하여, 진단모드를 요청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51)가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인 경우, 입력부는 디스플레이(451)에 포함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10 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용기기(2)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용기기(2)는 진단모드가 선택된 경우(a), 디스플레이(451)로 세탁기와 태그가 되어야 함을 표시할 수 있다(b). 사용자는 세탁기와 태그가 되어야 함을 표시한 디스플레이(451)를 보고, 세탁기의 태그부에 태그해야 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와 세탁기(1)의 태그부(140)는 태그될 수 있다.
휴대용기기(2)와 세탁기(1)의 태그부(140)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된 경우, 휴대용기기(2)의 통신장치와 세탁기(1)의 태그부(140)가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태그부(140)는 휴대용기기(2)의 통신장치에 상태데이터, 진단결과데이터 및 모델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모델정보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태그부(140)와 휴대용기기(2)의 통신장치는 일정시간 동안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태그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휴대용기기(2)의 디스플레이는 통신이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의 제어유닛은 모델정보를 수신하여, 진단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수신한 모델정보로부터 세탁기가 진단모드를 수행할 수 없는 제품으로 파악되는 경우, 휴대용기기(2)는 디스플레이에 진단모드를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는 세탁기의 태그부와 휴대용기기의 통신장치가 통신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451)에 계속적으로 태그를 유지해야 한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가 모델정보를 기초로 진단모드가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휴대용기기(2)는 디스플레이로 상태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는 현재 세탁기(1)의 태그부(140)에 저장된 진단결과데이터를 기반으로, 세탁기(1)의 최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결과 데이터 또는 상태 데이터는 세탁기(1)의 최근 에러 사항 또는 운전상태 등을 기반으로 세탁기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의 디스플레이가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세탁기에 발생한 오류의 제목, 세탁기의 증상, 오류의 원인 또는 해결책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의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요청정보가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진단결과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기의 진단부가 파악한 원자료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유닛은 디스플레이(451)에 상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정보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상태 데이터의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는 세탁기가 운전한 코스명, 물온도, 탈수세기, 구동횟수 또는 운전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는 세탁기가 구동한 운전코스 또는 오류발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의 디스플레이는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진단결과값 이외의 정보를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아이콘(456)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의 디스플레이는, 도 9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스 설정 & 온도보기 라는 문자가 표시된 아이콘(456)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의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요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상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는 복수개의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의 디스플레이는 복수개의 탭을 표시하고,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는 복수개의 시점에 감지되어진 감지결과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시점에 감지되어진 감지결과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감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는 세탁기의 일상적인 운전에 대한 것이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감지된 데이터의 결과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기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510), 감지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520),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530), 외부기기와 태그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540) 및 외부기기와 태그되는 경우,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운전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510)는 세탁기의 감지부가 세탁기의 각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는 감지한 세탁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520)에서, 감지부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는 상태 데이터를 메모리 또는 태그부가 포함하는 태그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530)에서, 감지부로부터 상태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가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한정된 몇 가지의 진단 항목에 따른 진단 결과값을 포함하는 진단결과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태 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메모리 및 태그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몇 개의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한 경우, 메모디 및 태그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데이터 및 진단결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진단결과데이터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항목에 대한 이상발생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40)에서, 태그부는 태그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외부기기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태그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기기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였음을 감지한 경우, 그 외부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S550).
일 실시예의 세탁기 제어방법은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태그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진단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710), 태그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장치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20), 태그를 하여, 상태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30) 및 수신한 상태데이터 또는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S77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710)에서, 휴대용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진단모드를 실행하라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진단모드를 실행하라는 명령을 받은 경우, 세탁기의 태그부와 태그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20). 통신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기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없음을 표시하고, 통신장치를 활성화시키기를 요청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장치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휴대용기기는 태그를 하라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30)에서, 휴대용기기는 세탁기의 태그부와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태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수신하는 단계(S730)에서, 휴대용기기는 태그부와 일정한 거리에 위치된 경우, 스피커로 통신이 시작됨을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30)에서, 휴대용기기는 디스플레이로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30)는 세탁기의 모델정보를 수신하고, 휴대용기기는 모델정보에 기초하여, 진단모드의 수행가능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모델정보는 세탁기의 제조회사, 세탁기의 모델명 및 세탁기의 통신가능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요청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740) 및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단결과값 중에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단결과값 중에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S760), 요청정보가 진단결과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는 휴대용기기는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770).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단결과값 중에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S760), 요청정보가 진단결과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휴대용기기는 상태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상태데이터에서 요청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S780), 그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S790).
예를 들어, 요청정보는 코스명, 물온도, 탈수세기, 구동횟수 또는 운전상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태데이터는 요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정보는 상태데이터 자체일 수 있고, 휴대용기기는 요청정보가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진단결과값이 아닌 경우, 상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의 통신과정을 도시한 호처리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제어부(210)와 태그부(240)의 통신 관계 및 태그부(240)와 휴대용기기(2) 간의 통신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부(210)는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810). 이벤트는 세탁기의 감지부가 운전상태를 새롭게 감지한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및 플러그가 탈거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태그부(240)의 태그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820). 예를 들어, 태그부(240)가 현재 다른 외부기기와 태그되어 통신 중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태그부(240)가 현재 다른 외부기기의 통신 중이지 않은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태그부(240)에 송신할 수 있다(S830).
제어부(210)는 태그부(24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CRC 코드를 추가하여 송신할 수 있다. 태그부(240)는 제어부(210)로부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CRC 코드를 기초로, 데이터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840).
태그부(240)는 제어부(210)로부터 모델정보를 수신하여 태그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오류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으나, 그 방식에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로 본 세탁기 진단 시스템은 CRC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는 진단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850). 휴대용기기(2)는 진단모드를 실행한 경우, 디스플레이로 세탁기와 태그되어야 함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가 태그부(240)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들어가는 경우, 태그부(240)는 휴대용기기(2)에 상태데이터, 진단결과데이터 및 모델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862). 휴대용기기(2)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CRC 코드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864).
휴대용기기(2)는 모델정보를 기초로 진단모드가 실행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70). 휴대용기기(2)는 진단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태데이터 및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880).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세탁기
110 : 도어
120 : 표시장치
130 : 버튼
140 : 태그부
2 : 휴대용기기

Claims (25)

  1. 각종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파악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저장부 및 외부기기가 태그되는 경우,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태그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저장부는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유지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 항목에 대한 이상발생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태그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운전상태를 새롭게 감지한 경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및 플러그가 탈거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운전상태를 감지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 및 상기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태그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상기 태그부와 태그하여,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 항목에 대한 이상발생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태그부에 저장되는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기기는 외부의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가 상기 진단결과데이터가 포함하는 진단결과값이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기기는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태그부가 태그된 경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상태데이터 또는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태그부와 상기 통신장치가 통신 중임을 표시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데이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그부는 상기 세탁기의 모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모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모델정보에 기초하여, 진단모드의 수행가능 여부를 파악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정보는 상기 세탁기의 제조회사, 상기 세탁기의 모델명 및 상기 세탁기의 통신가능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기 제어 시스템.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기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세탁기에 발생한 기설정된 횟수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점의 상기 세탁기의 상태에 대한 상기 상태데이터 또는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세탁기 제어 시스템.
  17. 세탁기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원자료인 상태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외부기기와 태그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와 태그되는 경우,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태그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갱신하는 세탁기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결과데이터가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항목에 대한 이상발생 여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세탁기 제어방법.
  21. 진단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태그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장치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태그를 하여, 상태데이터 및 상기 상태데이터를 가공하여 운전상태에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상태데이터 또는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데이터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청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데이터가 상기 요청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로 상기 상태데이터 및 상기 진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임을 표시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데이터 및 진단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태그가 되었음을 음향으로 표시하는 세탁기 진단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30038784A 2013-04-09 2013-04-09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KR10205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4A KR102051370B1 (ko) 2013-04-09 2013-04-09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BR102014008188-7A BR102014008188B1 (pt) 2013-04-09 2014-04-04 Aparelho eletrodoméstico, sistema de diagnóstico de aparelho eletrodoméstico, e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elho eletrodoméstico e de um sistema de diagnóstico de aparelho eletrodoméstico
AU2014201963A AU2014201963B2 (en) 2013-04-09 2014-04-07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4163900.5A EP2790415B1 (en) 2013-04-09 2014-04-08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014113755/12A RU2580274C2 (ru) 2013-04-09 2014-04-08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14/248,289 US9558653B2 (en) 2013-04-09 2014-04-08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140403.6A CN104102142B (zh) 2013-04-09 2014-04-09 家用电器和用于控制家用电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4A KR102051370B1 (ko) 2013-04-09 2013-04-09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07A true KR20140122107A (ko) 2014-10-17
KR102051370B1 KR102051370B1 (ko) 2019-12-03

Family

ID=5043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784A KR102051370B1 (ko) 2013-04-09 2013-04-09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58653B2 (ko)
EP (1) EP2790415B1 (ko)
KR (1) KR102051370B1 (ko)
CN (1) CN104102142B (ko)
AU (1) AU2014201963B2 (ko)
BR (1) BR102014008188B1 (ko)
RU (1) RU2580274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2619A (zh) * 2015-03-20 2016-10-19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通信方法
US9998941B2 (en) 2015-09-11 2018-06-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4030B2 (en) * 2015-03-05 2020-06-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actuator service
CN105005857A (zh) * 2015-07-11 2015-10-28 深圳市佳都实业发展有限公司 基于nfc的商品展示分析方法、装置和系统
CN106485291A (zh) * 2015-08-24 2017-03-08 瑞章科技有限公司 射频识别系统、标签和读写器,及纠错方法
KR101709469B1 (ko) * 2015-09-11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KR20170031558A (ko) * 2015-09-11 201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GB2568941B (en) * 2017-12-01 2021-03-10 Hydro Systems Europe Ltd Fluid dispenser having an NFC tag,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0423869B1 (en) 2018-06-28 2019-09-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terchangeable tag communications systems for consumer appliances
CN110161869B (zh) * 2019-05-07 2022-08-16 武汉攀升鼎承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的控制方法和设备
KR20230046744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255A1 (en) * 2003-07-30 2005-02-03 Lear Corporation Bus-based appliance remote control
US20050159823A1 (en) * 2003-11-04 2005-07-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80048837A1 (en) * 2006-07-18 2008-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F ta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049A (en) * 1995-07-20 1998-04-28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equipment diagnosis system
US7586398B2 (en) * 1998-07-23 2009-09-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IT1309109B1 (it) * 1999-10-13 2002-01-16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per il monitoraggio e controllo di un insieme di utenzeelettriche.
US20010055954A1 (en) * 2000-03-29 2001-12-27 Cheng Vernon S. Digital cordless telephone home network
US8027752B2 (en) * 2005-06-09 2011-09-27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hanging resource consumption in an appliance
KR20100112948A (ko) 2009-04-10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8547200B2 (en) 2009-08-05 2013-10-01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416937B1 (ko) 2011-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동작방법
US9437105B2 (en) * 2011-10-28 2016-09-0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US9215394B2 (en) * 2011-10-28 2015-12-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CN102572152A (zh) * 2011-12-22 2012-07-11 科世达(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车载系统及双向通信方法
CN102912589B (zh) 2012-09-26 2017-05-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无显示控制器件的全自动洗衣机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4255A1 (en) * 2003-07-30 2005-02-03 Lear Corporation Bus-based appliance remote control
US20050159823A1 (en) * 2003-11-04 2005-07-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80048837A1 (en) * 2006-07-18 2008-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F ta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2619A (zh) * 2015-03-20 2016-10-19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通信方法
CN106032619B (zh) * 2015-03-20 2018-05-01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通信方法
US9998941B2 (en) 2015-09-11 2018-06-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370B1 (ko) 2019-12-03
CN104102142B (zh) 2017-10-13
BR102014008188A8 (pt) 2020-11-03
US9558653B2 (en) 2017-01-31
AU2014201963B2 (en) 2015-12-17
RU2580274C2 (ru) 2016-04-10
BR102014008188A2 (pt) 2016-04-26
CN104102142A (zh) 2014-10-15
US20140300447A1 (en) 2014-10-09
BR102014008188B1 (pt) 2022-05-10
EP2790415A1 (en) 2014-10-15
RU2014113755A (ru) 2015-10-20
EP2790415B1 (en) 2021-09-15
AU2014201963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107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JP5969532B2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及び洗濯機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430765B1 (en) Mobile terminal controlling washing machine,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CN105594221B (zh) 家用电器、家用电器系统和控制家用电器的方法
US9722668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6457A (ko)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50083347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US202002633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s
JP5945694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KR20150072921A (ko)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6149251B2 (ja) 洗濯機通信システム
KR101969031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214658B1 (ko) 가전제품 및 그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KR20140089840A (ko) 전기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