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744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744A
KR20230046744A KR1020210130117A KR20210130117A KR20230046744A KR 20230046744 A KR20230046744 A KR 20230046744A KR 1020210130117 A KR1020210130117 A KR 1020210130117A KR 20210130117 A KR20210130117 A KR 20210130117A KR 20230046744 A KR20230046744 A KR 2023004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error
err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강영
장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744A/ko
Priority to PCT/KR2022/095104 priority patent/WO2023055225A1/ko
Priority to EP22876996.4A priority patent/EP4333442A1/en
Priority to US17/854,976 priority patent/US20230102224A1/en
Publication of KR2023004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안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상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에러를 감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된 에러를 제거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었으나 외부 장치와 관련된 에러를 감지하고 이를 제거하는 기능은 탑재하지 않아 원활한 컨텐츠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와 관련된 에러를 감지하고, 감지된 에러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에 발생한 에러를 감지하고,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거나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감지된 에러를 제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하고, 상기 설정 값 보정 후 에러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정보는, 통신 연결 에러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 에러 정보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에러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입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 지능 모델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에러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인공 지능 모델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값 보정 후 에러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 정보는, 상기 통신 연결 에러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 에러 정보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에러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입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인공 지능 모델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에러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인공 지능 모델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발생한 에러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에 발생한 에러까지 감지하여 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외에서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러를 제거 하기 위해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모델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외부 장치(200)가 두 가지 유형의 장치(201 및 202)로 구현되는 것을 전제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장치(201)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셋톱박스, 디지털 TV,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싸이니지, PC, HMD(Head mounted Display,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장치(201))는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외부 장치(201)는 셋톱 박스(Set-top box)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장치(201)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썬더볼트(Thunderbolt) 등과 같이 다양한 타입의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1)는 유선 인터페이스(10)의 타입에 대응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해당 포트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b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장치(202)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외부 장치(202)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운드 바(Sound ba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장치(202)는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타입의 외부 장치(201, 202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가 유선 인터페이스(10)로 연결되는 것은 일 예일 뿐이며,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타입의 에러에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의 발열 상태와 관련된 에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의 데이터 입출력 상태에 관한 에러 및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의 전원 공급에 관한 에러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10)에 관한 에러 및 네트워크에 관한 에러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발생한 에러를 감지하고, 감지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하거나,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사용자 액션을 지시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한 에러를 감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된 에러를 제거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소스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와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메모리(12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130)로 기재한다.
프로세서(130)는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200)로부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의 상태 정보는 장치의 온도 정보, 장치의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장치의 데이터 리딩 타이밍 정보 및 통신 연결과 관련된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거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식별함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를 감지하기 위한 자가 진단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의 에러 정보 통신 연결 에러 정보, 전자 장치(100)의 동작 에러 정보 또는 외부 장치(200)의 동작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에러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외부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결 에러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동작 에러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출력 상태 에러에 관한 정보,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 공급 에러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의 동작 에러 정보는 외부 장치(200)의 출력 상태 에러에 관한 정보, 외부 장치(200)의 발열 상태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외부 장치(200)의 전원 공급 에러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의 설정 정보는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타입의 설정 값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장치의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타겟 설정 값 및 장치 간의 네트워크에 관한 최적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발생한 에러의 타입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장치(200)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발생한 에러의 타입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에러가 발생한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한다고 하더라도 에러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발생한 에러의 타입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특정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해당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장치(200)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발생한 에러의 타입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200)에 대한 특정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해당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가이드 정보 제공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가 발생한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고, 설정 값 보정 후 에러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설정 값 보정 이후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다시 획득하고, 획득된 장치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응되는 에러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 해당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메모리(120)는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인공 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인공 지능 모델에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가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외부 장치(20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셋톱 박스 및 사운드 바와 연결되어 셋톱 박스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제공하고,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사운드 바로 전송하여 사운드 바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1). 마찬가지로, 외부 장치(200) 역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1).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S322), 전자 장치(100)는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에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2).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에러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3).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획득한 에러 정보는 에러의 타입, 에러의 긴급도 또는 에러 발생 시점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에러를 제거할 것인지, 아니면 에러 제거 없이 실행된 자가 진단 모드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에 관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발열 상태에 관한 에러의 긴급도가 '낮음'인 것으로 식별함에 기초하여 자가 진단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313: N).
반면, 프로세서(130)가 외부 장치(200)에 대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의 데이터 출력 상태에 관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데이터 출력 상태에 관한 에러의 긴급도가 '높음'인 것으로 식별함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에 발생한 에러의 제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13: Y).
프로세서(130)가 에러 제거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S313: Y)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관한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314).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아니면 에러 제거를 위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S314: Y), 에러가 발생한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가 발생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하며(S315), 외부 장치(200)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외부 장치(200)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16).
여기서, 제어 신호는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조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S323).
한편,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에러 제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S314: N),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션에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7).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40)를 구비한 TV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에 따르면,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된 전자 장치(100)는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 보정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고,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에러가 발생한 전자 장치(100)에 대한 설정 값 보정의 필요가 있음을 지시하는 가이드 UI(Guide User Interface, 410)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설정 값 보정을 희망하는 경우 '예' 버튼(411)을, 설정 값 보정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아니오' 버튼(412)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b에 따르면,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된 전자 장치(100)는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 보정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고, 외부 장치(200)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에러가 발생한 외부 장치(200)에 대한 설정 값 보정의 필요가 있음을 지시하는 가이드 UI(420)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장치(200)에 대한 설정 값 보정을 희망하는 경우 '예' 버튼(421)을, 설정 값 보정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아니오' 버튼(422)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외에서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40)를 구비한 TV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에 따르면,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기기, 예를 들어 셋톱 박스(201)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장치(201)와 연결된 전자 장치(100)는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1)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1)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외부 장치(201)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에러가 발생한 외부 장치(201)에 대한 사용자 액션을 지시하는 가이드 UI(510)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가이드 UI(510)는 외부 장치(201)에 대한 조치에 대한 정보(511), 유선 인터페이스(10)에 대한 조치에 대한 정보(512) 및 상술한 조치로 에러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를 요청하는 조치에 대한 정보(51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에 따르면,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싱크 기기, 예를 들어 사운드 바(202)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202)와 연결된 전자 장치(100)는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2)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2)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외부 장치(202)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에러가 발생한 외부 장치(202)에 대한 사용자 액션을 지시하는 가이드 UI(520)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가이드 UI(520)는 외부 장치(202)에 대한 조치에 대한 정보(521),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조치에 대한 정보(522) 및 상술한 조치로 에러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를 요청하는 조치에 대한 정보(5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러를 제거 하기 위해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관련해서는 전술한 상태 정보, 에러 정보 및 설정 정보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정보를 상세히 분류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전자 장치(100)에서 발생한 에러 및 외부 장치(200)에 대응되는 정보와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에 관한 정보를 구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610)는 전자 장치(100)의 온도 정보(611), 전자 장치(100)의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612) 및 전자 장치(100)의 리딩 타이밍 정보(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온도 정보(611)는 프로세서(130)와 인접한 전자 장치(100)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612)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 또는 세부 구성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리딩 타이밍 정보(613)는 프로세서(130)가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타이밍 마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610)는 외부 장치(200)의 온도 정보(614), 외부 장치(200)의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615) 및 외부 장치(200)의 리딩 타이밍 정보(616)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온도 정보(614)는 외부 장치(200)의 프로세서와 인접한 외부 장치(200)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615)는 외부 장치(200)의 각 구성 또는 세부 구성에 공급되는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리딩 타이밍 정보(616)는 외부 장치(200)의 프로세서가 외부 장치(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타이밍 마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에 관한 상태 정보(61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중 싱크 기기가 소스 기기로부터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입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617) 및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6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에러 정보(620)는 전자 장치(100)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621),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 에러 정보(622) 및 전자 장치(100)의 전원 공급 에러 정보(6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621)는 소스 기기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100)가 싱크 기기로 동작하는 외부 장치(200)로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 에러 정보(622)는 전자 장치(1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구성이 손상되는 에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원 공급 에러 정보(623)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통신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 또는 세부 구성으로 공급 되는 최대 전압 또는 최대 전류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에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에러 정보(620)는 외부 장치(200)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624), 외부 장치(200)의 발열 상태 에러 정보(625) 및 외부 장치(200)의 전원 공급 에러 정보(626)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624)는 소스 기기로 동작하는 외부 장치(200)가 싱크 기기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발열 상태 에러 정보(625)는 외부 장치(2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외부 장치(200)의 구성이 손상되는 에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의 전원 공급 에러 정보(626)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의 통신 과정에서 외부 장치(200)의 각 구성 또는 세부 구성으로 공급 되는 최대 전압 또는 최대 전류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에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에 관한 에러 정보(620)는 각 장치를 연결하는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각 장치 간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에러 정보(627) 및 통신 연결 자체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각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적용되는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 마진이 충분이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6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630)는 전자 장치(100)의 휘도와 관련된 타겟 휘도 정보(631), 전자 장치(100)의 주사율과 관련된 타겟 주사율 정보(632), 전자 장치(100)의 해상도와 관련된 타겟 해상도 정보(633), 에러가 발생한 장치의 데이터 리딩 타이밍에 관련된 타겟 리딩 타이밍 정보(634) 및 스로틀링 정보(6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로틀링(Throttling)은 장치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해당 장치의 클럭이나 장치의 각 구성으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치의 성능을 저하하고, 그에 따라 장치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스로틀링 정보(635)는 스로틀링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630)는 각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적용되는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 마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입출력 타이밍 정보(637) 및 각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최적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최적 통신 프로토콜 정보(6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온도 정보(611)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임계 온도 이상 높은 것으로 식별하고,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 에러 정보(622)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의 휘도, 주사율 및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타겟 휘도 정보(631), 타겟 주사율 정보(632) 및 타겟 해상도 정보(633)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10
Figure pat00001
상승하였을 때 전자 장치의 성능을 20% 저하하는 기존의 스로틀링 기준을 전자 장치(100)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10
Figure pat00002
상승하였을 때 전자 장치의 성능을 30% 저하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변경하기 위한 스로틀링 정보(635)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로틀링 정보(635)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 에러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구성에 포함된 반도체 물성이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프로세서(130)가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리딩 타이밍 마진 값을 조정하기 위한 타겟 리딩 타이밍 정보(634)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634)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설정 값을 보정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임계 온도 이상 높은 상황에서도 컨텐츠 제공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모델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인공 지능 모델(700)을 저장할 수 있다. 인공 지능 모델(700)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 지능 모델(700)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 지능 모델(700)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NPU(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 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인공 지능 모델(700)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 지능 모델(700)은 제1 장치의 상태 정보(711) 및 제2 장치의 상태 정보(712)에 기초하여 제1 장치 또는 제2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720)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인공 지능 모델(700)은 제1 장치의 상태 정보(711) 및 제2 장치의 상태 정보(712)에 기초하여 제1 장치 또는 제2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720) 및 제1 장치 및 제2 장치 간의 통신 연결에 관한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인공 지능 모델(700)에 입력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인공 지능 모델(700)에 입력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간의 통신 연결에 관련된 에러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스피커(160) 및 온도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40)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 내에는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와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행하는 데 관여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터치 센서, 모션 센서, 버튼, 조그(Jog) 다이얼, 스위치, 마이크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제공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에러 제거를 위해 설정 값을 보정할 것인지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에러가 발생한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프로세서(130)로부터 발생된,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오디오에 대응되는 전기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스피커(160)는 영구자석과 코일 및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과 코일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기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발생한 에러 제거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개별적인 동작과 관련된 안내 음성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센서(170)는 프로세서(130)와 인접한 전자 장치(100)의 일 부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온도 센서(170)를 통해 획득된 전자 장치(100)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발열 상태 에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스피커(240) 및 온도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외부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외부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외부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외부 장치(2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외부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외부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외부 장치(2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외부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스피커(240) 및 온도 센서(250)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230)로 기재한다.
프로세서(230)는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40)는 프로세서(230)로부터 발생된, 외부 장치(200)가 제공하는 오디오에 대응되는 전기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스피커(240)는 영구자석과 코일 및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과 코일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기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에러 제거를 위한 일련의 동작과 관련된 안내 음성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센서(250)는 프로세서(230)와 인접한 외부 장치(200)의 일 부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230)는 온도 센서(250)를 통해 획득된 외부 장치(200)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1010).
이어서,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한다(S1020).
이어서,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S1030).
마지막으로,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1040).
여기서, 제어 방법은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30) 에서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제어하는 단계(S1040) 에서는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30) 에서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제어하는 단계(S1040) 에서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30)에서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제어하는 단계(S1040)에서는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30)에서는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제어하는 단계(S1040)에서는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 액션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S1040)는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하는 단계 및 설정 값 보정 후 에러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정보는 통신 연결 에러 정보,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또는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통신 연결 에러 정보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에러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전자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외부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입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외부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0)에서는 인공 지능 모델에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에러 정보를 획득하며, 인공 지능 모델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3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외부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하고,
    상기 설정 값 보정 후 에러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보는,
    통신 연결 에러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 에러 정보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에러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입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 지능 모델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에러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인공 지능 모델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인,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자가 진단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에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설정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 액션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값 보정 후 에러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보는,
    상기 통신 연결 에러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 에러 정보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에러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에러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출력 상태 에러 정보, 발열 상태 에러 정보 또는 전원 공급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입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온도 정보,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정보 또는 출력 신호의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에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인공 지능 모델에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에러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인공 지능 모델은,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에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모델인, 제어 방법.
KR1020210130117A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46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117A KR20230046744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95104 WO2023055225A1 (ko) 2021-09-30 2022-05-23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2876996.4A EP4333442A1 (en) 2021-09-30 2022-05-23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7/854,976 US20230102224A1 (en) 2021-09-30 2022-06-30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117A KR20230046744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744A true KR20230046744A (ko) 2023-04-06

Family

ID=8578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117A KR20230046744A (ko) 2021-09-30 2021-09-3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6744A (ko)
WO (1) WO20230552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472A (ko) * 2007-12-10 2009-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1370B1 (ko) * 2013-04-09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방법
KR101754684B1 (ko) * 2015-09-11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전자 기기
KR101924076B1 (ko) * 2017-08-31 2019-02-2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스마트 앱 기반의 워런티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234448B1 (ko) * 2020-07-01 2021-04-01 (주)현선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간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5225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90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JP7110272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4286143B (zh) 显示设备及传输协议自动切换方法
AU2012261531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90670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04228B2 (en) Phoneme-based speaker model adaptation method and device
US2015029464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s from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110102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management service
CN112866613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122673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2972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4674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1105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33344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438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5365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61451B2 (en) Modification of user command
CN107333081A (zh) 一种基于hdmi设备的传输方法及装置
US11688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03798A1 (en) Electronic apparatus outputting audio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617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302101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fingerprint database,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KR2022012561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799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40042792A (ko) 오디오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