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52A -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52A
KR20140122052A KR20130038622A KR20130038622A KR20140122052A KR 20140122052 A KR20140122052 A KR 20140122052A KR 20130038622 A KR20130038622 A KR 20130038622A KR 20130038622 A KR20130038622 A KR 20130038622A KR 20140122052 A KR20140122052 A KR 2014012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est
shelter
test tank
liquefi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152B1 (ko
Inventor
임형근
박창열
김광석
문영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5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7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for verifying the internal pressure of closed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44Tests performed "in situ" or after "in situ" use
    • G01N2203/0246Special simulation of "in situ" conditions, scale models or dumm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 및 시험용 탱크의 외측에 마련되어 시험용 탱크를 밀폐시키는 밀폐형 쉘터를 포함하되, 밀폐형 쉘터와 시험용 탱크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Performance Test Device And Method For Cryogenic Lique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용 탱크의 외측에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며 시험용 탱크를 밀폐시키는 밀폐형 쉘터를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가스를 대기압에서 -162℃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시켜 그 부피를 600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로서, 기체상태보다 수송 효율이 좋아서 장거리 수송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액화천연가스는 생산 플랜트의 건설 및 운반선의 건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대규모, 장거리 수송에 적용되어 왔으며, 이에 반하여, 소규모, 단거리 수송에는 파이프라인이나 CNG(Compressed Natural Gas)가 경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수송의 경우 지리적 제약이 따르며, 환경 파괴의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고, CNG는 수송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어, 상압(1bar)인 극저온의 LNG를 적재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마련한 LNG carrier와 같은 선박으로 수송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액화천연가스는 극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갖추더라도 LNG는 저장 용기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자연 기화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BOG(증발가스)가 발생한다. 저장 용기 내에 BOG가 과다하게 되면 이로 인해 용기 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용기가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없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BOG는 배출시켜 액화한 후 다시 저장하거나, 연소시켜 제거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게 된다. 선박으로 운송할 경우 단열 구조를 갖추더라도, 저장 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BOG)의 양은 약 0.05 vol%/day에 이르며, 종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운항시 시간당 4 내지 6 톤(t), 한번 운항시 약 300톤의 액화천연가스가 증발가스화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처럼 액화천연가스 등의 극저온 액화가스는 온도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저장탱크에서는 대량의 BOG가 발생하므로, 저장탱크의 개발과정에서 탱크의 극저온 성능 검증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을 평가하여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공개번호 제10-2010-0102886호(공개일 2010년9월27일)
저장탱크의 개발과정에서 탱크의 성능에 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장탱크가 적용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등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저장탱크의 극저온 성능 검증을 위해 저장탱크의 모형 탱크(Mock-up tank)를 제작하여 모형 탱크 외부에 단열재를 설치한 후, 극저온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스트 수행시, 극저온의 액화가스를 모형 탱크에 채워넣으면 단열재의 외부로 결로에 의한 아이싱(icing)이 대량 발생하고, 모형 탱크와 단열재 사이에 유입된 산소와, 퍼징을 위해 투입된 질소 가스가 모형 탱크 하부로 응축되어 고이고, 단열재의 접합 부위를 손상시켜 외부로 누출될 위험도 있었다. 이러한 아이싱과, 외부로 누출된 액화 산소 또는 액화 질소는 안전 사고를 발생시킬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저장탱크의 성능 테스트시 본선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안전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 및
상기 시험용 탱크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시험용 탱크를 밀폐시키는 밀폐형 쉘터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형 쉘터와 상기 시험용 탱크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성능테스트 장치는, 상기 밀폐형 쉘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퍼징용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부와, 상기 밀폐형 쉘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밀폐형 쉘터로부터 상기 퍼징용 질소를 배출시키는 질소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성능테스트 장치는, 상기 밀폐형 쉘터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시험용 탱크의 성능테스트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성능테스트 장치는, 상기 시험용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시험용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서포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탱크 서포트는 상기 밀폐형 쉘터의 내부에 용접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쉘터의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는 상기 시험용 탱크의 성능테스트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호가 마련될 수 있다.
성능테스트 장치는, 상기 밀폐형 쉘터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측정기와, 상기 밀폐형 쉘터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포함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용 탱크는 선박에 마련되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탱크일 수 있다.
상기 시험용 탱크에는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가 만재(full loading)되어, 만재시 상기 시험용 탱크의 BOR(Boil-Off Rate)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를 외부와 격리 및 밀폐되는 밀폐형 쉘터에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시험용 탱크에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를 만재(full loading)시키는 단계;
3) 상기 시험용 탱크의 BOR(Boil-Off Rate)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형 쉘터와 상기 시험용 탱크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이 제공된다.
성능테스트 방법은, 4) 상기 밀폐형 쉘터에 질소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밀폐된 공간 및/또는 상기 시험용 탱크가 상기 질소 가스로 퍼징(purging)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을 통해 저장탱크의 성능 테스트시 본선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저장탱크의 개발과정에서 탱크의 성능에 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탱크의 외부에 밀폐형 쉘터를 마련함으로써 테스트 수행중 단열재 외부에 결로로 인한 대량의 아이싱이 발생하거나 액화질소 또는 액화산소가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성능테스트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시험용 탱크를 제외한 성능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 2는 도 1에서 시험용 탱크(T)를 제외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개발단계에서 저장탱크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통해 신뢰성 있는 성능테스트 결과를 확보하는 것은, 추후 본선에 적용될 때의 선박 설계와, 발주시 선주의 신뢰성 확보 등 여러 면에서 중요하다. 개발단계에서 신뢰할 만한 성능테스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본선에 설치될 때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방법을 확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본선에 유사한 테스트 환경을 저장탱크의 개발단계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성능테스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T)와, 시험용 탱크(T)의 외측에 마련되어 시험용 탱크(T)를 밀폐시키는 밀폐형 쉘터(100)를 포함하되, 밀폐형 쉘터(100)와 상기 시험용 탱크(T)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된다.
종래에는 개발단계에서 저장탱크의 BOR(Boil-Off Rate) 성능테스트를 하는 경우 저장탱크의 외부를 단열재로 감싸고, 단열재와 저장탱크 사이에 지속적으로 질소를 공급해주면서, 단열재 및 외/내부 온도차에 따라 BOR을 계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성능테스트는 저장탱크의 본선 적용 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어 본선 적용시의 측정된 BOR과는 20% 이상의 오차가 있었고, 따라서 개발단계에서의 성능테스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
본 실시예의 성능테스트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개발단계에서 신뢰도 높은 성능테스트 결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본선과 유사한 조건에서 성능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위해 저장탱크가 본선의 화물창에 마련될 때와 유사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T)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에 마련하여 성능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한다.
밀폐형 쉘터(100)는 시험용 탱크(T)를 외부 대기와 차단할 수 있도록 기밀성을 띠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밀폐형 쉘터(100)의 벽부(120)를 구성하는 스틸 플레이트를 철 골조(110)에 부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시험용 탱크(T)의 하부에서 시험용 탱크(T)를 지지하는 탱크 서포트(500)를 더 포함하되, 탱크 서포트(500)는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에 용접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험용 탱크(T)는 선박에 마련되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탱크일 수 있고, 시험용 탱크(T)에는 극저온 액화가스가 만재(full loading)되어, 만재시 시험용 탱크(T)의 BOR(Boil-Off Rate)이 측정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등의 극저온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고,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대표적으로 GT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눠지며, 독립탱크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IHI-SPB형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독립형 저장탱크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제조된 탱크 몸체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패널을 부착시켜 제작되어, 선체의 내부 바닥에 배열된 복수의 탱크 지지체 상에 놓이는 형태로 선박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독립형 저장탱크의 개발단계에서 이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T)를 제작하여, 이를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 바닥에 용접 연결된 탱크 서포트(500)로 지지시키는 방식의 성능테스트 장치로써 본선에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에 시험용 탱크(T)를 설치한 후, 탱크 내부에 액화천연가스를 full loading시켜 시간 경과 후 시험용 탱크(T)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여 BOR을 측정할 수 있다.
시험용 탱크(T)는 성능테스트가 필요한 개발단계의 저장탱크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인바(invar) 등의 비철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밀폐형 쉘터(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밀폐된 공간으로 퍼징용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부(200)와, 밀폐형 쉘터(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밀폐형 쉘터(100)로부터 퍼징용 질소를 배출시키는 질소 배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질소 공급부(200) 및 배출부(300)를 통해, 성능테스트 중 밀폐된 공간으로 지속적으로 질소를 공급할 수 있고, 성능테스트 후 탱크 및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를 질소로 퍼징(purging)한 후 추가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실험을 위해 시험용 탱크(T)의 상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밀폐형 쉘터(100)에는 access hole 및 ladder가 마련될 수 있고, 추가 실험을 위한 연결부(90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시험용 탱크(T)의 성능테스트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와, 밀폐형 쉘터(100)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측정기(600)와, 밀폐형 쉘터(10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포함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센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밀폐형 쉘터(100)의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는 시험용 탱크(T)의 성능테스트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밀폐형 쉘터(100)에는 시험용 탱크(T)에 설치되는 여러 배관(미도시)을 밀폐형 쉘터(100) 외부의 장치들(미도시)과 연결하는 연결용 플랜지(800)들도 마련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는 성능테스트 과정에서 밀폐형 쉘터(100)의 내부를 관찰하여 시험용 탱크(T)의 외부에 결로나 아이싱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4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카메라(4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성능테스트 중 공기가 유입되면 성능테스트 조건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유입된 공기 중의 성분들이 결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밀폐형 쉘터(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산소 측정기(600)를 통해 질소 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질소 중 산소 포함 여부를 측정하여, 밀폐형 쉘터(100) 내부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시험용 탱크(T)의 성능테스트가 완료되면 밀폐형 쉘터(100)에서 시험용 탱크(T)를 분리하고, 밀폐형 쉘터(100)는 다른 시험용 탱크(T)를 장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1)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T)를 외부와 격리 및 밀폐되는 밀폐형 쉘터(100)에 배치하는 단계;
2) 시험용 탱크(T)에 극저온 액화가스를 만재(full loading)시키는 단계;
3) 시험용 탱크(T)의 BOR(Boil-Off Rate)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밀폐형 쉘터(100)와 시험용 탱크(T)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이 제공된다.
성능테스트 방법은, 4) 밀폐형 쉘터(100)에 질소 가스가 공급되어 밀폐된 공간 및/또는 시험용 탱크(T)가 질소 가스로 퍼징(purging)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는 시험용 탱크(T)의 시험용 탱크(T)를 밀폐시키는 밀폐형 쉘터(100)를 포함하며, 시험용 탱크(T)와 밀폐형 쉘터(100)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의 외부에 밀폐형 쉘터(100)를 마련함으로써 테스트 수행 중 단열재 외부에 결로로 인한 대량의 아이싱이 발생하거나 액화질소 또는 액화산소가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성능테스트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저장탱크의 성능 테스트시 본선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저장탱크의 개발과정에서 탱크의 성능에 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신뢰할 만한 성능검증을 통해 개발과정에서 저장탱크를 보완하여 성능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이는 저장탱크가 적용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으로 귀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T: 시험용 탱크
100: 밀폐형 쉘터
110: 쉘터 골조
120: 쉘터 벽부
200: 질소 공급부
300: 질소 배출부
400: 카메라
500: 탱크 서포트
600: 산소 측정기
700: 변위 측정 센서부
800: 연결용 플랜지

Claims (10)

  1.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 및
    상기 시험용 탱크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시험용 탱크를 밀폐시키는 밀폐형 쉘터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형 쉘터와 상기 시험용 탱크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쉘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퍼징(purging)용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부; 및
    상기 밀폐형 쉘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밀폐형 쉘터로부터 상기 퍼징용 질소를 배출시키는 질소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쉘터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시험용 탱크의 성능테스트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시험용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서포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탱크 서포트는 상기 밀폐형 쉘터의 내부에 용접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쉘터의 적어도 하나의 벽부에는 상기 시험용 탱크의 성능테스트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쉘터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측정기; 및
    상기 밀폐형 쉘터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포함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탱크는 선박에 마련되는 독립형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탱크에는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가 만재(full loading)되어, 만재시 상기 시험용 탱크의 BOR(Boil-Off Rate)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9.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모형화한 시험용 탱크를 외부와 격리 및 밀폐되는 밀폐형 쉘터에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시험용 탱크에 상기 극저온 액화가스를 만재(full loading)시키는 단계;
    3) 상기 시험용 탱크의 BOR(Boil-Off Rate)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형 쉘터와 상기 시험용 탱크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4) 상기 밀폐형 쉘터에 질소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밀폐된 공간 및/또는 상기 시험용 탱크가 상기 질소 가스로 퍼징(purging)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방법.
KR1020130038622A 2013-04-09 2013-04-09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KR10147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22A KR101471152B1 (ko) 2013-04-09 2013-04-09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22A KR101471152B1 (ko) 2013-04-09 2013-04-09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52A true KR20140122052A (ko) 2014-10-17
KR101471152B1 KR101471152B1 (ko) 2014-12-09

Family

ID=5199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622A KR101471152B1 (ko) 2013-04-09 2013-04-09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853B1 (ko) * 2015-10-29 2016-06-02 한국가스안전공사 초저온 가스 압력용기용 열충격 시험장치
KR101636834B1 (ko) * 2015-10-30 2016-07-07 한국가스안전공사 초저온 가스 압력용기용 재료에 대한 신뢰성 검증방법
KR101991392B1 (ko) * 2017-12-26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액화가스 이충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3884279A (zh) * 2021-09-27 2022-01-04 武汉东湖学院 一种光模块低温性能测试装置
KR102645636B1 (ko) * 2023-12-14 2024-03-11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단열 구조체의 피로 시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848B1 (en) * 2000-07-31 2003-04-01 Chart Inc. Differential pressure gauge for cryogenic fluids
KR200290522Y1 (ko) * 2002-07-05 2002-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bor 계측장치
JP4461988B2 (ja) * 2004-09-29 2010-05-12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容器のガス洩れ検査方法及びガス洩れ検査装置
KR100784896B1 (ko) * 2007-05-11 2007-12-11 에스지에스 에스알에스 주식회사 천연액화가스 카고탱크 누설검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853B1 (ko) * 2015-10-29 2016-06-02 한국가스안전공사 초저온 가스 압력용기용 열충격 시험장치
KR101636834B1 (ko) * 2015-10-30 2016-07-07 한국가스안전공사 초저온 가스 압력용기용 재료에 대한 신뢰성 검증방법
KR101991392B1 (ko) * 2017-12-26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액화가스 이충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3884279A (zh) * 2021-09-27 2022-01-04 武汉东湖学院 一种光模块低温性能测试装置
CN113884279B (zh) * 2021-09-27 2023-08-18 武汉东湖学院 一种光模块低温性能测试装置
KR102645636B1 (ko) * 2023-12-14 2024-03-11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단열 구조체의 피로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52B1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152B1 (ko) 극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성능테스트 장치 및 성능테스트 방법
US6938654B2 (en) Monitoring of ultra-high purity product storage tanks during transportation
JP6630288B2 (ja) 浮体構造物に収容された封止・熱絶縁容器
KR101022860B1 (ko) Gtt no96 멤브레인형 lng선 카고탱크의 기밀검사 방법
US20220034453A1 (en) Method for checking the leakproofness of a leakproof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CN113227638B (zh) 用于检测密封热绝缘罐的泄漏的方法
KR101019043B1 (ko) 화물창의 기밀 검사방법
KR101017488B1 (ko) 가스감지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lngc 화물창 누설검사방법
KR101017480B1 (ko) 열영상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lngc 화물창 누설검사 방법
CN108534820B (zh) 一种深冷液体罐式集装箱动态蒸发率测量方法
KR101551789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위치 확인장치
KR20160148309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75184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008376B (zh) 用于运输和/或储存液态气体的罐
KR101909040B1 (ko) 액화 화물 저장 탱크
KR20200078133A (ko) 액화가스 저장용기 단열성능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KR20140087794A (ko) 저온고압탱크의 압력제어방법
JP2008106928A (ja) 変位計測装置を備えた二重殻構造タンク装置、及びタンク設備
KR20150081542A (ko) 액화가스 누출 보호장치
KR101637440B1 (ko)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2차 방벽용 누설 탐지 방법
KR20120134193A (ko) 압축가스 저장탱크의 휴대용 기밀 누설 검사 장치 및 방법
NO20220733A1 (en) Insulation system for tanks feasible for storage of liquid hydrogen
CA3193539A1 (en) Method for leak testing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TW202407251A (zh) 儲存及/或運輸液化氣體之設備
KR20220040301A (ko) Lng 탱크의 기밀성 검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