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648A -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648A
KR20140121648A KR1020130038138A KR20130038138A KR20140121648A KR 20140121648 A KR20140121648 A KR 20140121648A KR 1020130038138 A KR1020130038138 A KR 1020130038138A KR 20130038138 A KR20130038138 A KR 20130038138A KR 20140121648 A KR20140121648 A KR 2014012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tower crane
transceiver
signal
foo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성
Original Assignee
김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성 filed Critical 김헌성
Priority to KR102013003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648A/ko
Publication of KR2014012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92Movement of the crane arm; Coupling of the crane arm with the counterweights; Safety devices for the movemen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는 경보부, 상황부, 전지 그리고 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보부는 타워크레인의 트롤리와 호이스트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후크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황부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경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경보부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경보부의 작동 상황을 알린다. 전지는 후크에 구비되어 경보부에 전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충전부는 전지를 충전한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ALARMING APPARATUS FOR TOWER CRANE}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은 탑처럼 생긴 고정식 크레인으로서,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의 건설 현장, 플랜트 공사 현장, 조선소, 항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복수의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회전 반경이 서로 중첩됨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10)은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mast; 12), 마스트(12)의 상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트러스 구조의 지브(jib; 14)와 카운터 지브(counter jib; 15)를 포함한다.
마스트(12)의 상부에 설치된 운전실(13)의 상단에는 캣 헤드(cat head; 16)가 마련되고, 이 캣 헤드(16)와 지브(14) 사이에 지브 연결바(jib tie bar; 17)가 설치되며, 캣 헤드(16)와 카운터 지브(15) 사이에는 카운터 지브 연결바(counter jib tie bar; 18)가 설치된다. 카운터 지브(15)의 후미에는 무게 균형을 위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22)가 설치된다.
마스트(12) 상측의 구조물, 즉 운전실(13), 지브(14), 카운터 지브(15) 등은 마스트(12)에 대해 선회(회전) 작업을 하게 된다.
지브(14)에는 지브(14)를 따라 횡횅하는 트롤리(trolley; 19)가 설치되며, 트롤리(19)에서 내려진 호이스트 와이어(hoist wire; 20)에는 후크(hook; 21)가 설치된다. 후크(21)에는 적재물이 달려 권상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워크레인(10)에서는 운전실(13)이 지면과 상당 거리 떨어진 높은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실(13)의 운전자가 지상의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위치와 근접하게 후크(21)를 하강시킬 경우, 지상의 작업자는 위에서 내려오는 후크(21)를 미처 감지하지 못하여 후크(21) 또는 후크(21)에 달린 적재물에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후크에 초음파 센서와 같은 감지센서를 적용하여 작업자와 같은 대상이 감지되면 후크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도 사용되고 있으나, 감지센서가 고가이고, 작업자가 아닌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경보음이 울리거나 하는 등의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타워크레인(1~5)이 설치되는 경우에 타워크레인 사이에 선회 궤도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워크레인 1호기(1)는 2호기 내지 4호기(2~4)와 전방 선회 궤도(일전쇄선 표시)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1호기(1)의 후방 선회 궤도(점섬 표시)는 2호기(2)의 전방 선회 궤도와도 중첩될 수 있다. 즉, 타워크레인 2호기(2)가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경우, 1호기(1)의 작업자는 선회 작업 중 자신의 후방(카운터 지브 부분)에서 충돌이 발생할 위험을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2호기 내지 5호기(2~5)도 각각 인접한 타워크레인들과 회전 반경이 서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회전 반경(선회 궤도)이 중첩된 타워크레인 사이에서는 타워크레인의 구조물, 특히 지브나 카운터 지브가 호이스트 와이어나 후크 등과 충돌할 위험이 생기므로, 인접한 타워크레인과의 중첩으로 인한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경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타워크레인의 트롤리와 호이스트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후크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 상기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상기 경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경보부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의 작동 상황을 알리는 상황부; 상기 후크에 구비되어 상기 경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 그리고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황부는, 상기 운전실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발로 조작가능한 제1발판 스위치와, 상기 제1발판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상기 경보부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고, 경보음이 발생되고 있는 상기 경보부로부터 상황 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기와, 상기 제1송수신기에 상기 경보부로부터 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되는 상황등 및/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상황버저를 가지는 알림기와, 상기 제1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상기 제1송수신기가 상기 경보부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송수신기로 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기에서의 점등 및/또는 경고음의 발화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1송수신기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기와, 상기 제2송수신기로 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를 가지며, 상기 제2송수신기는 상기 경보기에서 경보음을 발생하면 상기 제1송수신기로 상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황부는 상기 운전실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발로 조작가능한 제2발판 스위치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된 경계 신호기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제3송수신기를 통해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경계 신호가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인접한 타워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3송수신기로 경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계 신호기에 구비되는 경계등이 점등 및/또는 경계버저에서 경계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발판 스위치는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상기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에 대응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에만 경계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발판 스위치는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 전체에 대응하는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인접한 타워크레인 전체에 경계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후크에서 탈거된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메인 충전기와, 상기 후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에 설치된 상태의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보조 충전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충전기는 태양 전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위치된 부분을 포함하여 수직 하방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모니터링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크의 하강시에 운전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후크에서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어 지상의 작업자가 후크 또는 후크의 적재물에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타워크레인과의 중첩으로 인한 충돌 위험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위험을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복수의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회전 반경이 서로 중첩됨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의 경보부가 후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의 촬영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의 경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의 촬영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보장치(100)는 경보부(200), 상황부(300), 전지(400) 그리고 충전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경보부(200)는 타워크레인의 트롤리(719)와 호이스트 와이어(720)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후크(721)에 구비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황부(300)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실(713)에 설치되고, 경보부(2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경보부(20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경보부(200)의 작동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전지(400)는 후크(721)에 구비되어 경보부(2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부(500)는 전지(400)를 충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황부(300)는 제1발판 스위치(310), 제1송수신기(320), 알림기(330) 및 제어기(340)를 가질 수 있으며, 경보부(200)는 제2송수신기(210)와 경보기(220)를 가질 수 있다.
제1발판 스위치(310)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실(713) 내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실(713)의 바닥 또는 전면 하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보장치(100)는 발로 조작할 수 있는 발판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급 상황시 조이스틱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손을 쓰지 않고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제1발판 스위치(310)는 운전자가 발로 스위치를 눌렀는지 여부를 전기신호로서 제어기(340)에 송신할 수 있다.
제1송수신기(320)는 제1발판 스위치(310)가 누름 상태인 경우 경보부(200)의 제2송수신기(210)로 경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340)는 제1발판 스위치(310)가 누름 상태인 경우 제1송수신기(320)가 경보부(200)의 제2송수신기(210)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보부(200)의 제2송수신기(210)는 제1송수신기(320)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경보기(220)는 제2송수신기(210)로 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제1송수신기(320) 및 제2송수신기(210)는 서로 통신을 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RF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발판 스위치(310)가 누름 상태가 되면, 제어기(340)는 제1송수신기(320)를 통해 제2송수신기(210)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제2송수신기(210)에서 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기(220)에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타워크레인의 운전자는 후크(721)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할 때, 제1발판 스위치(310)를 눌러 지상의 작업자에게 후크(721)의 하강을 알릴 수 있다.
경보기(220)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으로는 사람의 음성이 녹음되어 있는 음성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후크 하강” 또는 “주위” 등과 같은 음성이 음성벨로 사용됨으로써 작업자가 위를 올려다보지 않더라도 후크(721)가 하강하고 있음을 즉각 인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송수신기(210)는 경보기(220)에서 경보음이 발생하면 제1송수신기(320)로 상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2송수신기(210)는 경보기(220)에서 경보음이 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제1송수신기(320)로 상황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알림기(330)는 상황등(331) 및 상황버저(332)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송수신기(210)로부터 제1송수신기(320)로 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상황등(331)이 점등되거나 상황버저(332)에서는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경보기(220)에서 경보음이 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면 알림기(330)에서 빛 및/또는 소리로써 이를 알려주기 때문에, 운전실(13)의 운전자는 경보기(220)에서 경보음이 정상적으로 발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안심하고 후크(721)의 하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황버저(332)에서는 경고음으로 음성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송수신기(320)에서 상황 신호를 수신하면 상황버저(332)에서는 운전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는 음성, 예컨대, “경보음 발생중” 또는 “경보기 정상 작동중” 등과 같은 음성벨을 발생함으로써, 운전자가 알림기(330)를 보지 않더라도 경보기(220)의 작동 상황을 청각적으로 즉각 인지할 수 있다.
제어기(340)는 제1송수신기(320)로 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상황등(331)의 점등 및/또는 상황버저(332)를 통한 경고음의 발생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40)는 예컨대 연산 처리 또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신호 분리기, 샘플링 증폭기 및 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400)는 타워크레인의 후크(721)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경보부(200)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전지(400)는 후크(721)에 탈부착 될 수 있으며, 후크(721)와의 탈부착을 위해 후크(721)에는 별도의 브래킷(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충전부(500)는 전지(400)를 충전하게 된다.
충전부(500)는 메인 충전기(510)와 보조 충전기(520)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충전기(510)는 후크(721)에서 탈거된 전지(400)를 충전할 수 있다. 메인 충전기(510)는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타워크레인의 마스트(712)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후크(721)에서 전지(400)를 탈거하여 메인 충전기(510)에 결합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보조 충전기(520)는 타워크레인의 후크(721)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충전기(520)는 후크(721)에 구비될 수 있는 브래킷에 부착됨으로써 경보부(20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충전기(520)는 후크(721)에 구비된 상태에서, 또한 후크(721)에 설치된 상태의 전지(400)를 충전할 수 있다.
보조 충전기(520)는 태양 전지(미도시)를 가질 수 있으며, 태양 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로 후크(721)에 구비된 상태의 전지(400)를 충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 작업시에 후크(721)에 설치된 전지(400)의 충전 상태를 자주 체크하는 것은 용이하기 않을 것이기 때문에, 공교롭게도 후크(721)의 하강시에 전지(400)가 방전되어 버리는 사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후크(721) 하강 작업을 중지하거나, 지상에 작업자가 없는 곳으로 후크(721)를 하강시키고, 전지(400)를 분리하여 메인 충전기(510)에서 충전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따라서, 충전 후 작업이 재개되어야 하는 데까지의 시간 소모는 불가피할 것이다. 그러나, 보조 충전기(520)는 태양 전지를 통해 후크(721)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지(400)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400)의 방전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후크(721)에서 전지(400)를 탈거하여 메인 충전기(510)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전지(400)의 방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황부(300)는 제2발판 스위치(350)와 경계 신호기(360)를 더 가질 수 있으며, 경계 신호기(360)에는 경계등(361) 및 경계버저(362)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발판 스위치(350)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실(713) 내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실의 바닥 또는 전면 하단에 설치된다. 제2발판 스위치(350)는 운전자가 발로 스위치를 눌렀는지 여부를 전기 신호로서 제어기(34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340)는 제2발판 스위치(350)가 누름 상태인 경우, 제3송수신기(370)를 통해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경계 신호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송수신기(370)는 인접한 타워크레인과 통신을 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RF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발판 스위치(350)는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 전체에 대응하는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일 수 있으며,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인접한 타워크레인 전체에 경계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발판 스위치(350)는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일 수 있다.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에 대응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경계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나아가, 제2발판 스위치(350)는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 및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기(340)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으로부터 제3송수신기(370)로 경계 신호가 수신되면 경계등(361)이 점등되도록 하거나 경계버저(362)에서 경계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계등(361)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계등(361)이 점등되면 운전자는 인접한 타워크레인과 충돌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경계등(361)은 복수개, 예컨대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의 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340)가 제3송수신기(370)를 통해 인접한 타워크레인으로부터 경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 경계 신호를 송신한 타워크레인에 대응하는 경계등만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어느 타워크레인과 충돌 위험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즉각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경계버저(362)에서는 경계음으로 음성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송수신기(370)에서 경계 신호를 수신하면 경계버저(362)에서는 운전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는 음성, 예컨대, “제1호기와 충돌 위험” 또는 “제1호기로부터 경계 신호 수신” 등과 같은 음성벨을 발생함으로써, 운전자가 경계 신호기(360)를 보지 않더라도 충돌 위험이 있는 타워크레인을 청각적으로 즉각 인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기(360)는 알림기(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송수신기(370)도 제1송수신기(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는 모니터링부(600)를 더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600)는 촬영장치(610)와 표시장치(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장치(610)는 트롤리(719)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크(721)가 위치된 부분을 포함하여 수직 하방의 범위(A)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장치(610)는 후크(721)가 위치된 부분을 포함하여 수직 하방을 줌인(zoom-in)하여 촬영할 수도 있으며, 촬영장치(610)의 줌인-줌아웃과 같은 작동은 제어기(340)를 통해 제어됨으로써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표시장치(620)는 운전실(713)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촬영장치(6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는 표시장치(620)를 통해 시야 간섭이 없거나 덜 받는 상태에서 후크(721)가 위치된 부분을 포함하여 수직 하방을 볼 수 있어 안전 작업이 가능해진다. 표시장치(620)는 후크(271)의 하강 작업시 운전실(713) 외부의 후크(721)와 운전실(713) 내에 설치된 표시장치(620)를 적절히, 편하게,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타워크레인
19,719: 트롤리
21,721: 후크
100: 경보장치
200: 경보부
300: 상황부
400: 전지
500: 충전부
520: 보조 충전기
600: 모니터링부
610: 촬영장치
620: 표시장치

Claims (9)

  1. 타워크레인의 트롤리와 호이스트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후크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
    상기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상기 경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경보부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의 작동 상황을 알리는 상황부;
    상기 후크에 구비되어 상기 경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 그리고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부는,
    상기 운전실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발로 조작가능한 제1발판 스위치와,
    상기 제1발판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상기 경보부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고, 경보음이 발생되고 있는 상기 경보부로부터 상황 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기와,
    상기 제1송수신기에 상기 경보부로부터 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되는 상황등 및/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상황버저를 가지는 알림기와,
    상기 제1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상기 제1송수신기가 상기 경보부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송수신기로 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기에서의 점등 및/또는 경고음의 발화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가지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1송수신기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기와,
    상기 제2송수신기로 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를 가지며,
    상기 제2송수신기는 상기 경보기에서 경보음을 발생하면 상기 제1송수신기로 상황 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부는 상기 운전실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발로 조작가능한 제2발판 스위치와, 상기 제어기와 연결된 경계 신호기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제3송수신기를 통해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경계 신호가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인접한 타워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3송수신기로 경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계 신호기에 구비되는 경계등이 점등 및/또는 경계버저에서 경계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판 스위치는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상기 개별 호출 발판 스위치에 대응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에만 경계 신호가 송신되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판 스위치는 타워크레인의 회전 반경과 중첩되는 인접한 타워크레인 전체에 대응하는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체 호출 발판 스위치가 누름 상태인 경우 인접한 타워크레인 전체에 경계 신호가 송신되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후크에서 탈거된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메인 충전기와,
    상기 후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에 설치된 상태의 상기 전지를 충전하는 보조 충전기를 가지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충전기는 태양 전지를 가지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위치된 부분을 포함하여 수직 하방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모니터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인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KR1020130038138A 2013-04-08 2013-04-08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KR2014012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38A KR20140121648A (ko) 2013-04-08 2013-04-08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38A KR20140121648A (ko) 2013-04-08 2013-04-08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648A true KR20140121648A (ko) 2014-10-16

Family

ID=5199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138A KR20140121648A (ko) 2013-04-08 2013-04-08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6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9159A (zh) * 2015-01-12 2015-05-27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点位坐标的遥控安全塔吊及其吊装方法
FR3030469A1 (fr) * 2014-12-22 2016-06-24 Bouygues Construction Materiel Pilotage automatise d'une grue sans grutier et systeme associe
CN111039184A (zh) * 2019-12-19 2020-04-21 大器物联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塔式起重机的防碰撞方法及其防碰撞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0469A1 (fr) * 2014-12-22 2016-06-24 Bouygues Construction Materiel Pilotage automatise d'une grue sans grutier et systeme associe
CN104649159A (zh) * 2015-01-12 2015-05-27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点位坐标的遥控安全塔吊及其吊装方法
CN111039184A (zh) * 2019-12-19 2020-04-21 大器物联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塔式起重机的防碰撞方法及其防碰撞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9139B2 (en) Crane safety device and methods
US6894621B2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CN109887235B (zh) 一种施工作业区安全报警装置
KR101322201B1 (ko) 건설용 중장비 접근 감시 시스템
US6140930A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JP2010241548A (ja) クレーンの安全確認装置
WO1998038612A9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CN107452231A (zh) 高速公路交通事故现场预警机器人
CN207397507U (zh) 高速公路交通事故现场预警机器人
CN200992464Y (zh) 具有位置安全监控系统的起重机械设备
CN102092640B (zh) 起重机的安全监控装置、方法以及包括该装置的起重机
KR20140121648A (ko) 타워크레인의 경보장치
JP5519171B2 (ja) クレーン衝突防止装置
CN206871019U (zh) 一种智能自动破玻系统
KR20110004524A (ko) 타워크레인의 충돌 경보장치
JP7149165B2 (ja) 作業者保護具
JP6936546B2 (ja) 安全帯フックかけ忘れ防止監視システム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4012269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
KR102333672B1 (ko) 아웃트리거를 사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CN202279651U (zh) 塔吊倾斜报警器
CN211419403U (zh) 一种用于塔吊的防碰撞装置
JP2011150471A (ja) 接近警報装置
CN107909758B (zh) 一种近电作业警示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