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771A - 폴리유산 수지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유산 수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771A
KR20140120771A KR1020130037073A KR20130037073A KR20140120771A KR 20140120771 A KR20140120771 A KR 20140120771A KR 1020130037073 A KR1020130037073 A KR 1020130037073A KR 20130037073 A KR20130037073 A KR 20130037073A KR 20140120771 A KR20140120771 A KR 2014012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lactic acid
poly
film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264B1 (ko
Inventor
유영만
정재일
이계윤
전성완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6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유연성 및 내습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기계적 물성, 투명성, 내열성, 내블로킹성 및 필름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포장용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으로서,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인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유산 수지 필름{POLYLACTIC ACID RESIN FILM}
본 발명은 폴리유산 수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내습성, 기계적 물성, 투명성, 내열성, 내블로킹성 및 필름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포장용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나일론(nylon), 폴리올레핀(polyolefin) 또는 연질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원유기반 수지는 현재까지도 포장용 재료 등 다양한 용도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유기반 수지는 생분해성을 가지지 않아 폐기시 지구 온난화가스인 이산화탄소 등을 다량 배출하는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점차로 석유 자원이 고갈되어감에 따라, 최근에는 바이오 매스(bio mass) 기반의 수지, 대표적으로 폴리유산 수지의 사용이 널리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는 원유기반 수지에 비하여 내열성 및 내습성이나 기계적 물성 등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 또는 용도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폴리유산 수지를 포장용 필름 등의 포장용 재료로서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지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낮은 유연성 때문에 이러한 적용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폴리유산 수지에 저분자량 유연제 또는 가소제를 첨가하거나, 폴리유산 수지 등에 폴리에테르계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계 폴리올을 부가 중합한 가소제를 도입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따라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등을 얻더라도,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상기 가소제 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블리드 아웃될 뿐 아니라, 상기 포장용 필름의 헤이즈가 커지고 투명성이 낮아지는 단점 또한 존재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폴리유산 수지에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를 도입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얻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1966호, 제1191967호, 제1191968호 및 제119196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8552호, 제2012-0068550호, 제2012-0094552호, 제2012-0086118호 및 제2012-0086117호).
한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반복단위가 우레탄 결합으로 연결된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폴리유산계 공중합체나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또는 필름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유산계 공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유산의 낮은 상용성 등으로 인해,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헤이즈 값이 높아지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유산의 높은 함습률에 의해 내습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폴리유산계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가 넓고 용융특성이 불량하여 필름 압출상태가 좋지 않고, 필름의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내블로킹성 또한 충분치 못하였다.
상기와 같이, 폴리유산 수지는 일반적으로 내습성이 매우 취약한데, 이는 주로 수지가 함유하는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 반응(hydrolysis reaction)이 주된 원인이며, 그 결과 중합체 일부가 유산,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 분해되어 분자량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생성된 유산, 모노머와 올리고머는 수지의 성형 가공시 휘발되어 기계 장치의 오염 및 부식을 유발하기도 하며, 성형된 제품의 품질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압출 성형에 의한 시트 제조의 경우, 수지 내 잔류하는 유산, 모노머 및 올리고머가 시트 압출시 휘발되어 제조되는 시트의 두께 편차를 발생하기도 하며, 사출 성형품의 경우 제조된 이후에도 제품 사용 환경에 따라 지속적인 가수분해가 일어나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계적 물성, 투명성, 내열성, 내블로킹성 또는 내블리드 아웃 특성 등의 제반 물성을 우수하게 나타내는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1966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10.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1967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10.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1968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10.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1961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10.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8552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06.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8550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06.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4552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08.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6118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08.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6117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2012.08.02.
본 발명은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내습성, 기계적 물성, 투명성, 내열성, 내블로킹성 및 필름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포장용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인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수학식 1]
%C바이오 =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바이오 매스 기원 표준 물질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은 700 내지 5,000의 정수이고, m+l은 5 내지 2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폴리유산 수지 특유의 친환경적 특성 및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최적화된 유연성, 내습성 및 강도(stiffness) 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내열성, 투명성, 내블로킹성 및 필름 가공성 등을 나타내는 폴리유산 필름을 포함하므로, 포장용 필름 등의 포장용 재료로서 사용시 원유기반 수지에서 얻어진 포장용 필름을 대체할 수 있고, 환경 오염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 필름, 및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이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인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수학식 1]
%C바이오 =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바이오 매스 기원 표준 물질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은 700 내지 5,000의 정수이고, m+l은 5 내지 2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소정의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데,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기본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하드세그먼트로서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데,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C(=O)-NH-) 또는 에스터 결합(-C(=O)-O-)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는 기본적으로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하드세그먼트로서 포함함에 따라 바이오매스 기반 수지 특유의 생분해성 및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이용하여 크게 향상된 유연성(예를 들어, 길이 및 폭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비교적 낮은 영률의 합계)을 나타낼 뿐 아니라, 우수한 투명성 및 낮은 헤이즈 값을 나타내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소프트세그먼트가 하드세그먼트와 결합된 형태로 폴리유산 수지 자체에 도입됨에 따라, 유연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세그먼트가 블리드 아웃되거나 낮은 안정성을 나타낼 우려도 줄어들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등의 헤이즈가 커지거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도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유연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세그먼트의 함량을 그리 높이지 않으면서도, 상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바이오 매스 기반 수지, 예컨대 폴리유산 수지에서 유래한 하드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비극성 소프트세그먼트를 함유하므로 보통의 폴리유산 수지에 비하여 탁월한 내습성을 가진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60 중량% 이상, 약 70 중량% 이상, 약 80 중량% 이상, 약 85 중량% 이상,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비해,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가 아닌 폴리에스테르계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 경우에는, 우수한 유연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보다 높은 함량의 화석 연료 기원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반복단위 등 다른 수지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술한 약 60 중량%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한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의 측정 방법은, 예를 들어, ASTM D6866 표준에 기재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의 기술적 의미와 측정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화석 원료에서 유래한 수지 등 유기 물질과는 달리, 바이오 매스(생물자원)에서 유래한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은 동위 원소 14C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물 또는 식물 등 살아 있는 유기체로부터 취한 모든 유기 물질은 탄소 원자로서 12C(약 98.892 중량%), 13C(약 1.108 중량%) 및 14C(약 1.2×10-10 중량%)의 3 종의 동위원소를 함께 포함하고 있으며, 각 동위원소의 비율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대기 중의 각 동위원소 비율과 동일한 것으로서, 살아 있는 유기체가 대사 활동을 계속하면서 외부 환경과 탄소 원자를 계속적으로 교환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위 원소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14C는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시간 (
Figure pat00005
)의 경과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Figure pat00007
14C 동위원소의 초기 원자수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시간 후에 잔존하는 14C 동위원소의 원자수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pat00010
는 반감기와 관련된 붕괴 상수(또는 방사성 상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에서, 14C 동위원소의 반감기는 약 5,730년이다. 이러한 반감기를 고려할 때, 외부 환경과 계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부터 취한 유기 물질, 즉 바이오 매스(생물자원)에서 유래한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은 동위원소의 미세한 함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14C 동위원소 함량 및 다른 동위원소와의 일정한 함량비, 예컨대 14C/12C = 약 1.2×10-12인 일정한 함량비(중량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석탄 또는 석유 등 화석 연료는 50,000년 이상 외부 환경과의 탄소 원자 교환이 차단된 상태의 것이다. 이에 따라, 화석 원료에서 유래한 수지 등 유기 물질은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추정하였을 때, 14C 동위원소를 초기 함량(원자수)의 0.2% 이하로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14C 동위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수학식 1은 상술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분모는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한 동위원소 14C/12C의 중량비, 예컨대 약 1.2×10-12일 수 있으며, 분자는 측정 대상 수지에 포함된 14C/12C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한 탄소 원자는 약 1.2×10-12의 동위원소 중량비를 유지하는데 비해, 화석 연료에서 유래한 탄소 원자는 이러한 동위원소 중량비가 실질적으로 0으로 된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서, 전체 탄소 원자 중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 탄소 동위원소의 함량 및 이들의 함량비(중량비)는 ASTM D6866-06 표준(방사성 탄소 및 동위원소 비율 질량 분광법 분석을 이용하여 천연 물질의 생물기반 함량을 결정하는 표준시험 방법)에 기술된 3 가지 방법 중 하나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측정 대상 수지에 포함된 탄소 원자를 그라파이트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 형태로 만들고 질량 분석기로 측정하거나, 액체 섬광 분광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량 분석기 등과 함께 14C 이온을 12C 이온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속기를 함께 사용해 2개의 동위 원소를 분리하고 각 동위 원소의 함량 및 함량비를 질량 분석기로 측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액체 섬광 분광법을 이용해 각 동위 원소의 함량 및 함량비를 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학식 1의 측정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수학식 1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의 측정치가 약 60 중량% 이상이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보다 많은 함량의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수지 및 탄소를 포함하는 것이고, 특유의 친환경적 특성 및 생분해성을 적절히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충족하는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이하에 설명하는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유산 수지와 같은 바이오화학 제품의 특징은 생분해성으로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으며 현재 기술 수준에서 석유화학제품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108%까지 줄일 수 있고, 수지 제조를 위한 에너지를 최대 50%까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매스 원료를 활용해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면 화석원료 사용 대비 ISO 14000 compliant Life Cycle Analysis(LCA, 환경 전과정 평가)에 의해 산출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최대 70% 가량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네이처웍스(NatureWorks)사에 따르면 PET 수지 제조시 kg당 3.4 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반면, 바이오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유산 수지는 kg당 0.77 kg의 이산화탄소밖에 발생되지 않아 약 77%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량에 있어서도 PET 대비 56%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폴리유산 수지의 경우, 낮은 유연성 등으로 인해 적용에 한계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가소제 등 다른 성분을 포함시키는 경우, 상술한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의 장점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술한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충족함에 따라,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으면서도, 폴리유산 수지의 낮은 유연성 등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충족하는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의 장점을 살려 이산화탄소 발생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줄이는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적 특성은, 예컨대 폴리유산 수지의 전생애 환경평가기법(life cycle assessment)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탄소 원자 중 14C 동위원소의 함량이 약 7.2×10-11 내지 1.2×10-10 중량%, 약 9.6×10-11 내지 1.2×10-10 중량%, 또는 약 1.08×10-10 내지 1.2×10-1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14C 동위원소의 함량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는 보다 많은 수지 및 탄소, 혹은 실질적으로 전부의 수지 및 탄소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할 수 있고, 보다 우수한 생분해성 및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하드세그먼트의 폴리유산 반복단위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할 뿐 아니라,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역시 바이오 매스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 단위는, 예컨대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수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는 임의의 식물 또는 동물 자원, 예를 들어, 옥수수, 사탕수수, 또는 타피오카 같은 식물 자원으로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는 보다 높은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 예컨대 약 90 중량% 이상, 혹은 약 95 중량% 이상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서,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하드세그먼트는 상술한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10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소프트세그먼트는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60 중량% 이상, 혹은 약 80 중량% 이상으로 높으므로, 표준 ASTM D6866에 기반하는 인증인, JBPA의 "생물량 플라(Biomass Pla)"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JORA의 "생물량 기반(Biomass-based)" 라벨을 정당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서,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는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homopolymer) 또는 이를 이루는 반복단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유산 반복단위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L-유산 또는 D-유산으로부터 환상 2 단량체인 L-락티드 또는 D-락티드를 생성하고 이를 개환 중합하는 방법으로 얻거나, L-유산 또는 D-유산을 직접 탈수 축중합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개환 중합법을 통해 보다 높은 중합도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는 L-락티드 및 D-락티드를 일정 비율로 공중합하여 비결정성을 띄도록 제조될 수도 있지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L-락티드 또는 D-락티드의 어느 하나를 사용해 단일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순도 98% 이상의 L-락티드 또는 D-락티드 원료를 사용해 개환 중합함으로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얻을 수 있으며, 광학순도가 이에 못 미치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용융온도(Tm)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C(=O)-NH-) 또는 에스터 결합(-C(=O)-O-)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는 부타디엔과 같은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 또는 이를 이루는 구성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1,000 내지 5,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을 말한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에 락티드를 부가중합시킨 프리폴리머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으로 상기 우레탄 결합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가 락티드 또는 유산 유도체 화합물과 반응할 경우 에스터 결합(-C(=O)-O-)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는 1 : 0.50 내지 1 : 0.99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 :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는 약 1 : 0.60 내지 약 1 : 0.9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 0.70 내지 약 1 : 0.9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으로 연결됨으로서 이루어진 중합체 또는 이를 이루는 반복단위는 특히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중합 과정에서 개시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가 0.99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높아지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 개수가 부족하게 되어( OHV<1), 개시제로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OHV>35) 고분자량의 폴리유산 반복단위 및 폴리유산 수지를 얻기 어렵게 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중합체는 약 1,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50,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중합체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게 되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의 유연성, 내습성이나 기계적 물성 등이 충분치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적절한 분자량 특성 등을 충족하기 어렵게 될 수 있으므로, 수지의 가공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필름의 유연성, 내습성 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임의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화석 연료에서 유래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비스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수첨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이 3 이상인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올리고머,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폴리머,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고리형 다량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cyanurate),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면 별다른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폴리유산 수지 필름에 대한 유연성 부여 등의 측면에서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의 화학 구조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일반식 1]
폴리유산 반복단위(L)-(E)-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O-U-O-U-O)-(E)-폴리유산 반복단위(L)
[일반식 2]
폴리유산 반복단위(L)-(E)-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O)-(E)-폴리유산 반복단위(L)-(U)-폴리유산 반복단위(L)-(E)-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O)-(E)-폴리유산 반복단위(L)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상기 O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나타내고, U는 우레탄 결합을 나타내며, E는 에스터 결합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와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가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연성 부여를 위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 등이 블리드 아웃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이 우수한 내습성, 투명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또는 내블로킹성 등의 제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 및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블록 공중합체 형태를 띰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분자량 분포, 유리 전이 온도(Tg) 및 용융 온도(Tm) 등이 최적화되어 필름의 기계적 물성, 유연성 및 내열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들 모두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와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폴리유산 반복단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와 결합되지 않은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에,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와 결합되지 않은 폴리유산 반복단위, 즉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이의 전체 100 중량부(상술한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과, 선택적으로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단일 중합체와의 중량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술한 하드세그먼트 약 65 내지 95 중량부, 약 80 내지 95 중량부, 또는 약 82 내지 92 중량부와, 소프트세그먼트 약 5 내지 35 중량부, 약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약 8 내지 1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고분자량의 폴리유산 수지의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를 포함하는 필름의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져 필름을 이용한 포장 가공시 슬립성(slipping), 취급성 또는 형태 유지 특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소프트세그먼트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유산 필름의 유연성 및 내습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폴리유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또는 반복단위가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려워 중합 전환율이 떨어지거나 높은 분자량의 폴리유산 수지가 제대로 제조되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상술한 폴리유산 수지와 함께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폴리유산 수지의 황변을 억제하여 필름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소프트세그먼트 등이 산화 또는 열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단량체(예를 들어, 유산 또는 락티드) 첨가량에 대해, 약 100 내지 3,000 ppmw, 약 100 내지 2,000 ppmw, 약 500 내지 1,500 ppmw, 또는 약 1,000 내지 1,500 ppmw의 함량으로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와 같은 유연화 성분의 산화 등에 의해 폴리유산 수지가 황변될 수 있고, 필름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상기 산화방지제가 락티드 등의 중합 속도를 저하시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가 제대로 생성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기계적 물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를 최적화된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폴리유산 수지 제조를 위한 중합시에 상기 산화방지제를 최적화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폴리유산 수지 필름을 얻는 경우에는, 폴리유산 수지의 중합수율(conversion of polymerization) 및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에 대해 180℃ 이상의 가열을 필요로 하는 필름 제막 공정에서 상기 수지가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락티드 또는 유산과 같은 단량체나 환성 올리고머 체인 상태의 저분자 물질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분자량 저하나 필름의 색상 변화(황변) 등이 억제되는 결과, 우수한 외관을 가질 뿐만 아니라, 크게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내며,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내블로킹성 등 제반 물성 또한 우수하게 발현되는 포장용 필름의 제공이 가능해 진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입체장애 페놀(hindered phenol)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티오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폴리유산 수지 필름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에스터(ester) 반복단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 고온 중합 반응시, 고온 압출가공 또는 성형시에 산화 또는 열분해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위에서 나열된 계열의 열 안정제, 중합 안정제 또는 산화방지제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인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에틸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계 열안정제; 2,6-디-t-부틸-p-크레졸, 옥타데실-3-(4-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파이트 디에틸에스테르,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또는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 에스터와 같은 입체장애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또는 N,N'-디-β-나프틸-p-페닐렌디아민과 같은 아민계 2차 산화방지제; 디라우릴디설파이드, 디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머캡토벤조티아졸 또는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비스[메틸렌-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의 티오(thio)계 2차 산화방지제; 또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너스산 테트라키스[2,4-비스(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터와 같은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와 다른 산화방지제를 조합하여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산화방지제 외에도,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각종 가소제, 자외선 안정제, 착색 방지제, 무광택제, 탈취제, 난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항산화제, 이온 교환제, 착색안료, 무기 또는 유기 입자 등의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의 예로는, 프탈산 디에틸, 프탈산 디옥틸, 프탈산 디시클로 헥실 등의 프탈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디핀산 디-1-부틸, 아디핀산 디-n-옥틸, 세바신산 디-n-부틸, 아제라인산 디-2-에틸 헥실 등의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인산 디페닐-2-에틸 헥실, 인산 디페닐 옥틸 등의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세틸 구연산 트리 부틸, 아세틸 구연산 트리-2-에틸 헥실, 구연산 트리 부틸 등의 하이드록시 다가 카르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세틸 리시놀산 메틸, 스테아린산 이밀 등의 지방산 에스테스계 가소제; 글리세린 트리 아세테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콩기름, 에폭시화 아마니 기름 지방산 부틸 에스터, 에폭시 스테아린산 옥틸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 안료의 예로는, 카본 블랙,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철 등의 무기안료; 시아닌계, 인계, 퀴논계, 레리논계, 이소인돌리논계, 치오인디고계 등의 유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필름의 내블로킹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그 예로는 실리카, 콜로이달(colloidal)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나 졸,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폴리스티렌, 폴리 메틸 메타크레이트,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폴리유산 수지 또는 그 필름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나 입수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약 50,000 내지 200,000의 수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내지 150,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약 100,000 내지 4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내지 32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자량은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가공성이나 이를 포함하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압출 등의 방법으로 용융 가공할 때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필름으로의 가공시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고, 필름으로의 가공이 가능하더라도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분자량이 자나치게 큰 경우, 용융 가공시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필름으로의 생산성 및 가공성 등을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수 평균 분자량(Mn)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비로 정의되는 분자량 분포(Mw/Mn)가 약 1.6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2.1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이러한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냄에 따라, 압출 등의 방법으로 용융 가공할 때 적절한 용융 점도 및 용융 특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한 우수한 필름 압출상태 및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 우수한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비해,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좁아지는 경우, 압출 등을 위한 가공 온도에서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커서 필름으로서의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반대로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넓어지는 경우, 필름의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거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작아지는 등 용융특성이 불량하여 필름으로의 성형 자체가 어렵게 되거나 필름 압출상태가 좋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용융온도(Tm)가 약 145 내지 178℃, 약 160 내지 178℃, 또는 약 165 내지 175℃일 수 있다. 용융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지나치게 높아지면 압출 등의 방법으로 용융 가공시 고온이 필요하거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필름 등으로의 가공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유산 수지, 예컨대 이에 포함된 블록 공중합체는 약 20 내지 55℃, 혹은 약 25 내지 55℃, 혹은 약 30 내지 55℃ 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다.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가 이러한 유리 전이 온도 범위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의 유연성이나 강도(stiffness)가 적절히 유지되어 이를 포장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필름의 유연성은 향상될 수 있지만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짐에 따라 필름을 이용한 포장 가공시 슬립성(slipping), 취급성, 형태 유지 특성 또는 내블로킹성 등이 불량하게 될 수 있고, 이 때문에 포장용 필름으로의 적용이 부적당할 수 있다. 반대로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필름의 유연성이 낮고 강도가 너무 높아서, 필름이 쉽게 접혀 그 자국이 없어지지 않거나 포장시 대상 제품에 대한 밀착성이 불량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필름 포장시 노이즈가 심하게 발생하여, 포장용 필름으로의 적용에 한계가 생길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중량에 대해, 약 1 중량% 미만의 단량체(예컨대,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락티드 단량체 등)가 잔류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5 중량%의 단량체가 잔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특정한 구조적 특성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에 따라,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 락티드 단량체의 대부분이 중합에 참여하여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이루며,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해중합 또는 분해 또한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최소화된 함량의 잔류 단량체, 예를 들어, 잔류 락티드 단량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잔류 단량체 함량이 약 1 중량% 이상이면, 폴리유산 수지 필름 가공시 취기 문제가 발생되며, 또한 필름 가공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의 분자량 감소로 최종 필름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며, 특히 식품 포장용 적용시에 잔류 단량체가 흡출(bleed-out)되어 안정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서, 폴리유산 수지의 황변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5 이하의 color-b 값을 나타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color-b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상기 color-b 값이 5를 초과하면, 필름의 외관이 불량해져 상품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유산 수지의 제조 방법을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제조>
우선,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분자량 1,000 내지 3,000 범위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을 형성하여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얻는다. 이는 통상적인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A의 제조>
그 다음,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다관능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우레탄 반응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시키고 가열 및 교반하여 우레탄 반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한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상기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 연결된 형태의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폴리유산 수지의 소프트세그먼트로서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O)들이 우레탄 결합(U)을 매개로 E-U-E-U-E 또는 E-U(-E)-E-U-E의 형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결합되어 양 말단에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B의 제조>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유산(D 또는 L-유산), 락티드(D 또는 L-락티드) 화합물 및 축합반응 또는 개환반응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시키고 가열 및 교반하여 폴리에스테르 반응 또는 개환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상기 유산(D 또는 L-유산), 락티드(D 또는 L-락티드)와, 상기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결합하여 에스터 결합을 형성한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상기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 연결된 형태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O) 및 폴리유산 수지 반복단위(L)를 갖는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및 폴리유산 수지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O)들이 에스터 결합(E)을 매개로 L-E-O-E-L의 형태로 선형 결합되어 양 말단에 폴리유산 수지 반복단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여 L-E-O-E-L-U-L-E-O-E-L의 형태로 선형 또는 분지형 결합되어 최종 폴리유산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타디엔으로부터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들은 식물 자원 등의 바이오매스에서 기원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공)중합체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약 70 중량%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값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반응은 통상적인 주석계 촉매, 예를 들면,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stannous octoate),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등의 존재 하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반응은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공)중합체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가한 후, 상기 우레탄 반응 촉매를 투입하여 반응온도 70 내지 80℃에서 1 내지 5시간 반응시켜 폴리올레핀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산화방지제의 존재 하에, 유산(D 또는 L-유산)을 축중합하거나, 락티드(D 또는 L-락티드)를 개환 중합하면, 상술한 블록 공중합체(혹은 이를 포함한 폴리유산 수지)와,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중합 반응을 거치게 되면, 산화방지제에 의해 소프트세그먼트의 산화 등에 의한 황변이 억제되면서 하드세그먼트로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가 형성되어,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제조되며, 이때 적어도 일부의 폴리유산 반복단위 말단에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반복단위가 결합되어 블록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과 락티드를 먼저 결합시킨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제조한 후 이러한 프리폴리머들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사슬 연장시킨 형태의 공지된 폴리유산계 공중합체나, 상기 프리폴리머들을 2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킨 공지된 분지형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티드 개환 중합 반응은 알칼리토류 금속, 희토류 금속, 전이금속, 알루미늄, 게르마늄, 주석 또는 안티몬 등을 포함하는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금속 촉매는 이들 금속의 카르본산염, 알콕사이드, 할로겐화물, 산화물 또는 탄산염 등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촉매로서, 옥틸산 주석,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또는 알루미늄트리이소프로폭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락티드 개환 중합 반응 등의 폴리유산 반복단위 형성 단계는 상기 우레탄 반응이 진행된 동일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우레탄 반응시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형성한 후, 이러한 반응기 내에 락티드 등의 단량체 및 촉매 등을 연속적으로 가하여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갖는 중합체가 개시제로 작용하면서,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가 수율 및 생산성 높게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을 락티드의 개시제로 개환 중합 실시 후, 동일 반응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추가하여 쇄연장 중합을 실시하여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가 수율 및 생산성 높게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폴리유산 수지는 특정한 하드세그먼트 및 소프트세그먼트가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폴리유산 수지의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보다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소프트세그먼트가 흡출되는 것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세그먼트의 부가에 의해 필름의 내습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투명성 또는 헤이즈 특성 등이 저하되는 것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소정의 유리 전이 온도와, 선택적으로 소정의 용융 온도를 갖게 제조됨에 따라, 이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등이 포장용 재료로서의 최적화된 유연성 및 스티프니스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융 가공성도 우수하게 되고, 내블로킹성 및 내열성 또한 보다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유산 수지는 필름 등의 포장용 재료로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산화방지제와 함께 사용되어, 제조 또는 사용 과정 중의 황변이 억제될 수 있으며, 우수한 외관 및 상품을 나타내면서도, 크게 향상된 유연성 및 뛰어난 기계적 물성 등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포장용 필름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즉, 본 발명의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필름의 유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드세그먼트인 폴리유산 수지 대비 비극성인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에 의하여 전체 수지 내에 함습률이 낮아져서 내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내습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내블로킹성, 투명성 및 가공성 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최적화된 유연성 및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황변되지 않은 양호한 외관 및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의 포장용 재료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각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약 5 내지 3,000㎛의 두께일 수 있다. 예컨대, 랩 필름이나 봉투 등의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될 경우, 유연성, 취급성 및 강도 측면에서 약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온도 20℃, 상대습도 65% 하에서, 인스트론사제 1123 UTM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연신속도 300 mm/분, 그립간 거리 100 mm의 조건으로, 폭 10 mm, 길이 150 mm인 시편에 대해 인장 시험하였을 때,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영률 합계가 약 350 내지 750 kgf/㎟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50 내지 650 kgf/㎟,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600 kgf/㎟일 수 있다. 이러한 영률 합계의 범위는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의 최적화된 유연성 및 강도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연성 및 강도는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술한 구조적 특성 및 유리 전이 온도 등을 충족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기 영률 합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경우, 필름의 제막 및 가공 공정시 퍼짐이나 느슨함이 발생하고 취급성, 공정 투과성, 슬릿(Slit) 가공성 또는 형태 유지 특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또한, 랩 필름 사용시 필름의 슬립성 부족으로 이형성이 부족하게 되거나, 용기 등의 물품이나 식품을 둘러싸기 전에 필름 변형으로 효율적 포장이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영률 합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경우, 포장 가공시 필름이 접히는 경우 접힘선(folding line)이 그대로 남아서 외관상 좋지 않게 되거나, 포장하는 물품이나 식품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지 않아 포장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상기 영률과 동일 조건 하에서 인장 시험하였을 때,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서 모두 약 10 kgf/㎟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2 kgf/㎟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kgf/㎟ 이상 최대 30 kgf/㎟ 이하의 초기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초기인장강도가 이에 못 미치는 경우, 필름의 취급성이 불량해지고, 포장 후에도 쉽게 파단되어 내용물 손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100℃ 열풍오븐에서 1시간 처리한 때의 무게 변화율이 약 3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3.0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1.0wt%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의 우수한 내열성 및 내흡출(Anti-bleed out) 특성 등을 반영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무게 변화율이 약 3 wt% 이상이면 필름의 치수안정성이 불량하게 되고, 이는 가소제, 잔류 단량체 또는 첨가제 등이 흡출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성분이 포장 내용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헤이즈가 약 12% 이하이고, 투과율이 약 70%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헤이즈가 약 10% 이하이고, 투과율이 약 7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헤이즈가 약 8% 이하이고, 투과율이 약 80% 이상일 수 있다. 만일, 헤이즈가 지나치게 크거나 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필름 포장시 내용물을 쉽게 분간할 수 없고, 인쇄층이 사용되는 다층 필름 적용시 인쇄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 내습성이 우수하여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 가수분해반응이 억제되어 장기간의 걸쳐 기계적 물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은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열 밀봉성이나, 수증기, 산소 또는 탄산가스 등의 가스 배리어성, 이형성, 인쇄성 등 식품 포장 재료로서 요구되는 특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러한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필름에 배합시키거나,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이형제 등을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실런트 등과 같은 기능을 갖는 다른 필름을 공압출하여 다층 필름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기타 접착 또는 적층 등의 방법으로 다층 필름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장용 필름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폴리유산 수지에 대해 인플레이션(inflation)법, 순차적 2축 연신법, 동시 2축 연신법 등을 적용하여 연신 필름의 형태로 형성한 후, 이를 열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신 필름 형성 공정은 T 다이가 장착된 압출기로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이러한 시트상 용융 압출물을 냉각 및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은 후, 이러한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연신 조건은 열수축 특성, 치수 안정성, 강도, 영률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최종 제조된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유연성의 측면에서, 연신 온도는 폴리유산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 결정화 온도 이하로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비율은 길이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약 1.5 내지 10배의 범위로 할 수 있고, 길이와 폭 방향 연신 비율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신 필름을 형성한 후에는, 열고정을 통해 포장용 필름을 최종 제조하는데, 이러한 열고정은 필름의 강도, 치수 안정성을 위해 100℃ 이상에서 약 10초 이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용 필름은 장기간 보관시에도 뛰어난 유연성과 투명성을 가질 뿐 아니라, 충분한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흡출(Anti-bleed out) 특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폴리유산 수지 특유의 친환경적 특성 및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포장용 필름은 다양한 분야의 포장용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생활소비재 또는 식료품 일반 포장지/봉투, 냉장/냉동 식품 포장, 수축성 포장 필름, 번들 묶음용 필름, 생리대 또는 유아용품 등 위생용품 필름, 적층 필름, 수축 라벨 포장 및 스낵 포장용 매트(mat) 필름뿐만 아니라, 농업용 멀티 필름, 자동차 도막 보호 시트, 쓰레기 봉투 및 퇴비 주머니 등의 산업자재 포장용 재료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유산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소프트세그먼트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의 유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드세그먼트인 폴리유산 수지 대비 비극성인 소프트세그먼트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에 의하여 전체 수지 내에 함습률이 낮아져서 내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는 상기 폴리유산 수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필름의 내열성, 내블로킹성, 기계적 물성 또는 투명성 등을 저하시키지 않고, 우수한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필름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또한, 다수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가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및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에 의한 뛰어난 유연성을 나타내는 필름의 제공을 가능케 하면서도, 비극성 성분인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에 의해 전체 수지 내에 함습률을 낮추어 우수한 내습성을 가지며, 큰 분자량 및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고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큰 세그먼트 크기로 포함하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이 우수한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내블로킹성 등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은 이전에 알려진 공중합체가 갖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여 우수한 제반 물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크게 향상된 유연성을 가진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원료는 다음과 같다:
1.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및 그 대응 물질
- HTPB 1.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1,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 HTPB 2.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2,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TPB)
- HTPB 3.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3,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TPB)
- HTPB 5.0: 부타디엔 단량체를 공액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폴리 1,2-부타디엔 또는 폴리 1,3-부타디엔)의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부여하고, 수소첨가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분자량 5,000의 액상 폴리부타디엔(HTPB)
- PEG 8.0: 폴리에틸렌글리콜; 수 평균 분자량 8,000
- PBSA 11.0: 1,4-부탄디올 및 숙신산과 아디핀산의 축합체로 만들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 평균 분자량 11,000
2.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3 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 H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 TDI: 2,4- 또는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TDI)
- D-L75: 바이엘사 데스모듀어(desmodur) L75 (트리메틸올프로판 + 3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3. 락티드 단량체
- L-락티드 또는 D-락티드: 퓨락(purac)사제, 광학순도 99.5% 이상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로만 이루어진 단량체
4. 산화방지제 등
- TNPP: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 U626: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 S412: 테트라키스[메탄-3-(로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 PEPQ: (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너스산 테트라키스[2,4-비스(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터
- I-1076: 옥타데실 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 O3: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 에스터
제조예 1 내지 6: 폴리유산 수지 A 내지 F의 제조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 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의 반응물을 촉매와 함께 충진시켰다. 촉매로는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130 ppmw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서 반응기 온도 70℃에서 2시간 동안 우레탄 반응을 진행하고, 4 kg의 L-(또는 D-)락티드를 투입하여 5회 질소 플러싱(flushing)을 실시하였다.
이후, 150℃까지 승온하여 L-(혹은 D-)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촉매인 틴2-에틸헥실레이트를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120 ppmw가 되도록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85℃로 2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을 촉매투입구로 첨가한 후,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이어서,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혹은 D-)락티드(최초 투입량의 약 5 중량%)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7: 폴리유산 수지 G의 제조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PB2.0 865 g과 3.9 kg의 L-락티드와 0.1 kg의 D-락티드를 투입하고 5회 질소 플러싱을 실시하였다. 150℃까지 승온하여 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촉매인 틴2-에틸헥실레이트 12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85℃로 2시간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을 촉매투입구로 첨가한 후,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락티드(최초 투입량의 약 5 중량부)를 제거하였다. 이 후에 촉매투입구를 통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HDI와 촉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12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질소분위기하에서 190℃로 1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8: 폴리유산 수지 H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PB2.0 885 g과 3.8 kg의 L-락티드와 0.2 kg의 D-락티드를 사용하고, 이 후에 촉매투입구를 통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DI와 D-L75를 함께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9: 폴리유산 수지 I의 제조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올과 4 kg의 L-락티드를 투입하고 5회 질소 플러싱을 실시하였다. 150℃까지 승온하여 L-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촉매 틴2-에틸헥실레이트 12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85℃로 2시간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를 촉매투입구로 첨가한 후,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락티드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0: 폴리유산 수지 J의 제조
폴리올 대신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도데칸올 6 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1: 폴리유산 수지 K의 제조
질소가스 도입관, 교반기, 촉매투입구, 유출 콘덴서와 진공 시스템을 장착한 8ℓ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A 폴리올(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HDI를 투입하고 5회 질소 플러싱을 실시하였다. 촉매로는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130 ppmw 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서 반응기 온도 190℃에서 2시간 동안 우레탄 반응을 진행하고, 4 kg의 L-락티드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190℃에서 L-락티드를 완전 용해하고, 촉매투입구를 통해 전체 반응물 함량 대비 부가중합 촉매 틴2-에틸헥실레이트 120 ppmw와 에스터 및/또는 에스터 아미드 교환촉매로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1,000 ppmw를 톨루엔 500 ml로 희석하여 반응 용기 내에 첨가하였다. 1 kg 질소 가압 상태에서 190℃로 2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고, 인산 200 ppmw을 촉매투입구로 첨가 및 15분간 혼합하여 잔류촉매를 불활성화시켰다. 이어서, 0.5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반응을 통해 미반응 L-락티드(최초 투입량의 약 5 중량)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수지의 분자량 특성, Tg, Tm 및 %C바이오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5: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11에서 제조된 폴리유산 수지를 80℃로 6시간 동안 1 torr의 진공 하에서 감압 건조한 뒤, T 다이(die)를 장착한 지름 30 mm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서 표 2에 나타낸 압출온도 조건으로 시트상으로 압출하였다. 5℃로 냉각한 드럼(drum) 위에 정전인가 캐스트(cast)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제작한 미연신 필름을 표 2에 나타낸 연신조건으로 가열롤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3배 연신한 뒤, 길이 방향 연신된 필름을 클립으로 고정하고 텐터(tenter) 내로 이끌어 폭 방향으로 4배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고정한 상태로 120℃, 60초간의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두께 20 ㎛의 2축 연신 폴리유산 수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험예
(1) NCO/OH: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반복단위(또는 (공)중합체)의 말단 히드록시기"의 반응 몰비를 나타내었다.
(2) OHV(KOHmg/g):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또는 (공)중합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아세틸화하고,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생기는 아세트산을 0.1N KOH 메탄올 용액으로 적정함으로서 측정하였다. 이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또는 (공)중합체)의 말단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의 개수에 대응한다.
(3) Mw 및 Mn(g/mol)과, 분자량 분포(Mw/Mn): 폴리유산 수지를 클로로포름에 0.25 중량% 농도로 용해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제조원: Viscotek TDA 305, 컬럼: Shodex LF804 * 2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 평균 분자량(Mn)을 각각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Mw 및 Mn으로부터 분자량 분포값을 계산하였다.
(4) Tg (유리전이온도, ℃): 시차주사열량계 (제조원: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시료를 용융 급냉시킨 후에 10℃/분으로 승온시켜 측정하였다. 흡열 곡선 부근의 베이스 라인과 각 접선의 중앙값(mid value)을 Tg로 하였다.
(5) Tm(용융온도, ℃): 시차주사열량계(제조원: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시료를 용융 급냉시킨 후에 10℃/분으로 승온시켜 측정하였다. 결정의 용융 흡열 피크의 최대치(max value) 온도를 Tm으로 하였다.
(8) 잔류 단량체(락티드) 함량(중량%): 수지 0.1 g을 클로로포름 4 ml에 녹인 후 10 ml 헥산을 넣어 필터링해서 GC분석 분석하여 정량하였다.
(7)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함량 (wt%): 600 Mhz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각 제조된 폴리유산 수지 내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8) 칩 color-b: 수지 칩에 대해 색차계(CR-410, Konica Minolta Sensing사)를 사용하여 값을 구한 후,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표시하였다.
(9)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 ASTM D6866에 준거하고, 방사성 탄소 농도(Percent Modern; C14)에 의한 바이오매스 기원 물질 함유율 시험으로부터,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을 측정하였다.
(9) 압출상태 및 용융점도: 미연신 시트 제작을 위해 T 다이(die)를 장착한 지름 30 mm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서 폴리유산 수지를 200 내지 250℃ 압출온도 조건으로 시트상으로 압출하여 5℃로 냉각한 드럼(drum)위에 정전인가 캐스트(cast)하였다. 이때, 시트상 토출물의 용융 점도를 미국 피지카(Physica) 사의 피지카 레오미터(Physica Rh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5 mm 평행 플레이트형(Parallel plate type) 전단력을 가하는 도구를 통해, 토출물의 최초 온도를 유지하면서 전단율(shear rate, 1/s)=1에서 용융 수지의 용융점도(Complex viscosity, Pa·s)를 상기 피지카 레오미터(Physica Rheometer)로 측정하였고, 용융점도의 상태(압출상태)를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 용융점도가 양호하여 냉각드럼에 권취가 양호함,
○: 용융점도가 약간 낮아서 어렵지만 권취는 가능함,
×: 용융점도가 너무 낮아서 권취가 불가능함.
(10) 초기인장강도(kgf/㎟) MD, TD: 길이 150 mm, 폭 10 mm인 필름 샘플을 온도 20℃, 습도 65 %RH의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고, ASTM D638에 준하여 UTM(제조사: INSTRON)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연신속도 300 mm/분, 그립간 거리 100 mm 조건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11) 신율 (%) MD, TD: 상기 (6)의 인장강도와 같은 조건에서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신율을 측정하여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12) F5(kgf/㎟) MD, TD: 상기 (6)의 인장시험으로 얻어진 응력-왜곡 곡선에서 5% 변형시의 응력의 점을 접점으로 하는 접선의 경사를 구하고, 이 경사로부터 얻어지는 5% 신장시의 응력의 값을 구하고,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13) F100(kgf/㎟) MD: 상기 (6)의 인장시험으로 얻어진 응력-왜곡 곡선에서 100% 변형시의 응력의 점을 접점으로 하는 접선의 경사를 구하고, 이 경사로부터 얻어지는 100% 신장시의 응력의 값을 구하고,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필름의 길이방향 MD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14) 영률(kgf/㎟) MD, TD: 상기 (6)의 인장시험과 동일한 시편으로 ASTM D638에 준하여 UTM(제조사: INSTRON)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연신속도 300 mm/분, 그립간 거리 100 mm 조건으로 영률를 측정하였다. 합계 5회 시험의 평균치를 결과치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영률 값, 특히, 길이 및 폭 방향에서 측정한 영률의 합계 값은 필름의 유연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영률 합계 값이 낮을수록 유연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 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15) 물결무늬(가로줄): 서로 분자량 차이가 나는 두 종류의 수지 또는 수지와 가소제를 컴파운딩하여 필름을 압출하였을 때, 용융점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물결무늬 정도를 A4 크기 필름 샘플에서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 물결무늬(가로줄) 발생 없음,
○: 3개 이내의 물결무늬(가로줄) 발생,
×: 5개 이상의 물결무늬(가로줄) 발생.
(16) 100℃ 무게변화율(%): 사전에 필름 샘플을 온도 23℃, 습도 65 %RH의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고, 열처리전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100℃의 열풍 오븐 중에서 60분간 처리한 뒤 재차 처리전과 동일한 조건으로 숙성을 실시한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전후에서 중량변화에 대한 처리전의 중량 비율로 결과치를 산출하였다.
(17) 핀홀 발생 및 내흡출 특성: 상기 (12)의 열처리 후 필름 샘플의 표면을 관찰하여 핀홀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또한, 촉감에 의해 저분자량 가소제 성분이 필름표면으로 흡출된 정도를 A4 크기 필름 샘플에서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 핀홀 및 흡출 발생 없음,
○: 핀홀 5개 이내 또는 흡출 발생 있으나 심하지 않음,
×: 핀홀 5개 이상 또는 흡출 발생 심함.
(18) 헤이즈(%) 및 투과율(%): 사전에 필름 샘플을 온도 23℃, 습도 65 %RH의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고, JIS K7136에 준하여 헤이즈 미터(모델명: 일본 NDH2000)를 이용해 다른 부분 3군데에 대해 측정하여 평균치를 결과치로 산출하였다.
(19) 내블로킹성: 스탬핑 호일의 COLORITP타입(쿨츠사제)을 사용하여, 필름 샘플의 대전방지면과 인쇄면을 맞추고 40℃의 온도 및 1Kg/cm2 압력 하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대전방지층과 인쇄면의 블로킹 상태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대전방지층(A층)과 인몰드용 전사박의 인쇄면과의 내블로킹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까지가 실용성능을 만족한다.
◎:변화없음,
○: 약간의 표면 변화 있음(5% 이하),
×: 5% 초과 박리
(20) 필름의 황변 착색도: 필름 샘플을 파쇄기로 분쇄하여 120℃에서 제습 건조 및 결정화한 후, 소형 단일 스크류 압출기(Haake사, Rheomics 600 extruder)에 의해 약 200℃에서 용융하고 다시 칩(chip)화 하였다. 상기 필름 가공 전/후의 칩의 Color-값의 차이를 측정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황변 착색도를 평가하였다.
◎: 2이하로 황변 거의 없음,
○: 5이하로 황변 약간 발생됨,
×: 5초과로 황변 발생 심함.
(21) 내습 인장강도 유지율(%): 길이 150 mm, 폭 10 mm인 필름 샘플을 온도 40℃, 습도 90%RH의 분위기에서 30일 경과 후에 초기 인장강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지
A
수지
B
수지
C
수지
D
수지
E
수지 F 수지
G
수지
H
수지
I
수지
J
수지
K
HTPB 2.0(g)   475     104   865 885      
HTPB 1.0(g)     231 208              
HTPB 3.0 (g) 490                    
HTPB 5.0(g)           1607          
PEG 8.0 (g)                 2400    
PBSA 11.0 (g)                     800
HDI (g) 17 32   19 2 122 55 3     9.5
TDI (g)     36                
D-L75 (g)               3      
NCO/OH 0.65 0.85 0.92 0.55 0.5 0.96 0.8       0.8
OHV(KOHmg/g) 9 6 7 29 7 2 4 4 47   3
TNPP (g)     4          2      
U626 (g) 2 3     6 9.6  0.8     3  
PEPQ (g)       4              
S412 (g)       2              
I-1076 (g)   1                  
O3 (g) 2                    
L-락티드(g) 4000   4000   4000 4000 3900 3800 4000 4000 4000
D-락티드(g)   4000   4000     100 200      
산화방지제
함량(ppmw)
1000 1000 1000 1500 1500 2400 200 500 0 750 0
IV (dl/g) 0.95 1.38 1.5 0.66 0.9 1.25     0.2 1.55  
Mn
(×1,000, g/mol)
75 120 145 62 70 61 129 121 14 128 65
Mw
(×1,000, g/mol)
165 240 320 108 152 110 280 340 26 295 185
MWD 2.2 2.0 2.2 1.7 2.2 1.8 2.2 2.7 1.9 2.3 2.8
Tg (℃) 50 49 54 55 46 30 40 42 15 65 18
Tm (℃) 171 168 174 174 164 145 155 153 130 176 85, 165
Color b 3 2 2 3 5 8 8 7 5 4 13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 함량(wt%) 11% 11% 6% 5% 15% 30% 19% 18% 39% 0% 18%
잔류 단량체함량(중량%) 0.45 0.4 0.3 0.65 0.55 0.78 0.92 0.88 8 0.3 2.5
바이오 매스 C의 중량%
(ASTM D6866)
88% 90% 92% 94% 85% 69% 79% 81% 57% 97% 78%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수지 1 (wt%) A 100 B 100 C 100 D 100 E 100 F 50 G 100 H 100 J 100 I 40 PDO 10 PBSA 10 K 100
수지 2 (wt%)           J 50       J 60 J 90 J 90  
압출온도
(℃)
220 230 240 200 200 230 200 240 240 200 200 200 200
용융점도 (Paㅇs) 1000 1500 2000 550 1000 1400 1500 2500 2000 250 1200 1400 1400
압출상태 X
연신온도
(℃)
81 80 80 95 80 85 90 90 80 80 80 80 80
연신시간 (sec) 20 20 20 3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연신비율 3×4 3×4 3×4 3×4 3×4 3×4 3×4 3×4 3×4 3×4 3×4 3×4 3×4
필름두께
(um)
20 20 20 21 20 20 20 20 20 20 20 20 20
초기인장강도(kgf/㎟) MD 10 13 15 10 11 13 14 10 20 2.5 15 9 7
초기인장강도(kgf/㎟) TD 12 18 22 14 13 18 11 12 26 3.1 18 10 8
인장강도 합계
(kgf/㎟)
21 31 37 23 24 31 25 21 46 5.6 33 19 15
신율(%) MD 100 130 120 124 140 142 160 65 124 152 145 135 212
신율(%) TD 65 60 70 72 90 88 98 45 86 89 66 98 105
F5
(kgf/㎟) MD
5 8 9 4.5 4.5 7.5 8.5 5.5 9.8 1.5 8.7 7.9 5
F5
(kgf/㎟) TD
8 10 10 7 7 11 7.5 5.3 12 2.1 11 9.8 6.5
F100
(kgf/㎟) MD
7.2 13 12 6 10 14.2 4.8 4.5 17 1.8 5.6 6.1 4.2
영률
(kgf/㎟) MD
296 260 160 222 210 223 185 320 386 179 338 327 150
영률
(kgf/㎟) TD
320 310 418 319 240 244 202 355 460 241 419 412 165
영률 합계 (kgf/㎟) 616 570 578 541 450 467 387 675 846 420 757 739 315
물결무늬 X
핀홀 발생 X X
100℃ 무게 변화율(%) 0.2 0.2 0.2 0.4 0.3 0.4 2.5 1.3 0.2 6 5.1 5.5 7.2
블리드
아웃
X X
헤이즈 (%) 9 8 5 5 12 8 11 12 0.7 0.7 13 16 2.1
투과율 (%) 80 81 84 84 78 80 78 76 94 87 70 68 84
내블로킹성 X X
황변 착색도 X X X X
내습 인장강도
유지율(%)
91 92 86 85 94 96 97 98 78 69 72 75 5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 또는 실시예 7 내지 8은 폴리유산 수지 내의 유연화 성분(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함량이 5 내지 35wt%이고, color b 값이 낮고, 적정 함량의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내지 400,000, 분자량 분포 1.80 내지 3.0, Tg 20 내지 55℃ 및 Tm 145 내지 178℃ 등의 물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폴리유산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6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폴리유산 수지(수지 F) 및 일반적인 폴리유산 수지(수지 J)과 산화 방지제가 혼합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1 내지 8의 필름은 모두 길이 및 폭 방향에서 초기인장강도가 10 kgf/㎟ 이상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질 뿐 아니라, 길이 및 폭 방향의 영률 합계가 750 kgf/㎟ 이하로서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영률 합계가 지나치게 낮지도 않고 적절한 범위를 유지하여, 강도도 적절한 수준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100℃ 열풍오븐에서 1시간 처리한 때의 무게 변화율이 3 wt% 이하이고, 헤이즈가 12% 이하 및 투과율이 75% 이상이며, 내블로킹성 또한 우수하게 되는 등 투명성, 헤이즈, 내블로킹성 및 내열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8의 필름은 외관도 양호하였고,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필름 압출 공정후에도 color-b값 변화(황변 착색도)가 심하지 않았고, 특히 필름의 내습성이 탁월하였다.
이에 비해, 일반적인 폴리유산 수지 J로 제조된 비교예 1의 필름은 길이 및 폭 방향 영률의 합계가 750 kgf/㎟을 초과함으로서 유연성이 충분치 못하고, 내습성이 불량하여 포장용 필름으로서 사용되기 어려웠다. 또한, 이러한 수지 J와 수지 I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2의 필름의 경우에는, 두 수지 간의 용융점도 차이가 너무 커서 압출상태가 불량하였고, 최종 필름에 물결무늬가 발생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 더구나, 높은 잔류 락티드 함랑으로 인해, 필름상에 핀홀이 발생하여 필름외관이 불량하였고, 내블로킹성 및 내습성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초기 인장강도, 투과율 및 황변 착색도도 불량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3 및 4는 수지 내 유연화 성분인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사용하지 않고, 가소제 성분으로 각각 수 평균 분자량 2,400의 폴리(1,3-프로판디올)과 수 평균 분자량 11,000의 1,4-부탄디올 및 숙신산과 아디핀산의 축합체로 만들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수지 J에 단순히 컴파운딩 혼합하여 필름화한 것이다. 이러한 비교예 4 및 5의 필름은 상기 가소제 성분의 수지 내 분산 정도가 완전치 않아서 필름의 헤이즈가 높고, 황변착색도가 불량하였으며, 시간의 경과 후 필름 표면에서 가소제 성분이 블리드 아웃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내습성이 불량하였다.
또한, 비교예 5의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반복단위가 도입되고 분자량 분포가 넓은 공중합체로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필름은 유연화 성분인 폴리우레탄이 작은 세그먼트 크기로 랜덤하게 도입됨에 따라 비교적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폴리유산 반복단위가 비교적 작은 세그먼트 크기로 도입됨에 따라, 낮은 Tm 등에 의한 열악한 내열성을 나타내고, 블로킹 문제로 필름화가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연화 성분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유산의 낮은 상용성으로 인해 필름의 헤이즈 값이 높고 낮은 투명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으며, 수지 제조 중의 에스테르 및/또는 에스테르 아미드 교환 반응에 의해 분자량 분포가 넓어져 용융특성이 불균일하고 필름 압출상태 불량 및 기계적 물성 저하를 초래함이 확인되었고, 내습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5의 필름은 높은 잔류 락티드 함량 및 비교적 높은 color-b 값 등으로 인해, 필름 상태에서도 상당한 외관의 불량이 관찰되었고, 상업적으로 적용하기 부적절한 100℃ 무게 변화율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비교예 5 의 필름은 수지 제조 중에 과량의 촉매 사용이 요구됨에 따라, 필름 제조 또는 사용 중에 폴리유산 수지의 분해가 유도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필름의 황변착색도가 불량하고, 핀홀 생성 또는 고온에서의 무게 변화율을 높여 필름의 안정성이 열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유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먼트, 및
    하기 화학식 2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들이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터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먼트를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 함유율(%C바이오)이 60 중량% 이상인 폴리유산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수학식 1]
    %C바이오 =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바이오 매스 기원 표준 물질의 탄소 원자 중 12C 동위원소에 대한 14C 동위원소 중량비)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n은 700 내지 5,000의 정수이고, m+l은 5 내지 20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탄소 원자 중 14C 동위원소의 함량이 7.2×10-11 중량% 내지 1.2×10-10 중량%인 폴리유산 수지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세그먼트가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바이오 매스 기원의 유기 탄소를 70 중량% 이상의 함유율(%C바이오)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50,000 내지 200,000의 수 평균 분자량, 및 100,000 내지 4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20 내지 55℃의 유리전이 온도(Tg)와 145 내지 178℃의 용융 온도(Tm)를 갖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결합이,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에 락티드를 부가중합시킨 프리폴리머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으로 형성된 것인 폴리유산 수지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기 하드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시기가 상기 소프트세그먼트에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의 말단 히드록시기와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우레탄 결합을 매개로 선형 또는 분지형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와 결합되지 않은 폴리유산 단일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반복단위의 중합체가 1,000 내지 100,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폴리올 구성단위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관능기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몰비가 1 : 0.50 내지 1 : 0.99인 폴리유산 수지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상기 폴리유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하드세그먼트 65 내지 95 중량부 및 소프트세그먼트 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를 상기 폴리유산 반복단위의 형성을 위한 단량체 첨가량에 대해, 100 내지 3,000 ppmw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5 이하의 color-b 값을 나타내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의 단량체가 잔류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입체장애 페놀(hindered phenol)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티오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5 내지 3,000 ㎛의 두께를 갖는 폴리유산 수지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 및 폭 방향의 영률의 합계가 350 내지 750 kgf/㎟ 이고, 초기인장강도가 10 kgf/㎟ 이상이고, 100℃ 열풍오븐에서 1시간 처리했을 때의 무게 변화율이 0.01 내지 3.0wt% 이고, 헤이즈가 12% 이하이고, 투과율이 75% 이상이며, 40℃, 습도 90%RH의 분위기에서 30일 경과 후에 필름의 초기 인장강도 유지율이 80% 이상인 폴리유산 수지 필름.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1020130037073A 2013-04-04 2013-04-04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10204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73A KR102043264B1 (ko) 2013-04-04 2013-04-04 폴리유산 수지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73A KR102043264B1 (ko) 2013-04-04 2013-04-04 폴리유산 수지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71A true KR20140120771A (ko) 2014-10-14
KR102043264B1 KR102043264B1 (ko) 2019-11-11

Family

ID=5199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73A KR102043264B1 (ko) 2013-04-04 2013-04-04 폴리유산 수지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2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03B1 (ko) * 2018-11-16 2020-05-29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155665B2 (en) * 2016-12-21 2021-10-2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rocess for preparing polydiene/polylactide copolymers by reactive extrusion
KR20220100871A (ko) * 2020-10-15 2022-07-18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필름의 판별 방법,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1424A (ja) * 2004-03-29 2005-10-13 Unitika Ltd ブロック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
KR20100067552A (ko) * 2008-12-11 2010-06-21 제일모직주식회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KR20110067238A (ko) * 2009-12-14 2011-06-22 제일모직주식회사 D-폴리유산 블록공중합체, d-폴리유산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d-폴리유산 블록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120049103A (ko) * 2010-11-08 2012-05-1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20068550A (ko) 2010-12-17 2012-06-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포장용 필름
KR20120068552A (ko) 2010-12-17 2012-06-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20086117A (ko) 2011-01-25 2012-08-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20120086118A (ko) 2011-01-25 2012-08-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20120094552A (ko) 2011-01-25 2012-08-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필름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1424A (ja) * 2004-03-29 2005-10-13 Unitika Ltd ブロック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
KR20100067552A (ko) * 2008-12-11 2010-06-21 제일모직주식회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KR20110067238A (ko) * 2009-12-14 2011-06-22 제일모직주식회사 D-폴리유산 블록공중합체, d-폴리유산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d-폴리유산 블록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191968B1 (ko) 2010-11-08 2012-10-1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20049103A (ko) * 2010-11-08 2012-05-1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101191961B1 (ko) 2010-11-08 2012-10-1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101191966B1 (ko) 2010-11-08 2012-10-1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101191967B1 (ko) 2010-11-08 2012-10-1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20068550A (ko) 2010-12-17 2012-06-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포장용 필름
KR20120068552A (ko) 2010-12-17 2012-06-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20086117A (ko) 2011-01-25 2012-08-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20120086118A (ko) 2011-01-25 2012-08-0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20120094552A (ko) 2011-01-25 2012-08-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665B2 (en) * 2016-12-21 2021-10-2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rocess for preparing polydiene/polylactide copolymers by reactive extrusion
KR102102303B1 (ko) * 2018-11-16 2020-05-29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0871A (ko) * 2020-10-15 2022-07-18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필름의 판별 방법,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264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966B1 (ko)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102059492B1 (ko) 폴리유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AU2011327062B2 (en) Polylactic acid resi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acking film comprising the same
US9567429B2 (en) Polylactic acid resin film
KR101966369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포장용 필름
KR101804431B1 (ko)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101804430B1 (ko)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20140120766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20150140166A (ko) 유연 폴리유산계 열 접착 필름
KR20140120771A (ko)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101804429B1 (ko)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101717186B1 (ko) 폴리유산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80124813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포장용 필름
KR20130139691A (ko) 폴리유산 수지 필름
KR20180124814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30139441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30139690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포장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