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545A -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545A
KR20140120545A KR20130036445A KR20130036445A KR20140120545A KR 20140120545 A KR20140120545 A KR 20140120545A KR 20130036445 A KR20130036445 A KR 20130036445A KR 20130036445 A KR20130036445 A KR 20130036445A KR 20140120545 A KR20140120545 A KR 2014012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load current
driving
exercise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수
Original Assignee
장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수 filed Critical 장용수
Priority to KR2013003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545A/ko
Publication of KR2014012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하는 운동 장치에 관해 기술된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트랙 벨트의 시작 속도를 임의 선택하여 운동 장치의 제어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트랙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작동할 때에 메모리에 저장된 시작 속도를 호출하여 구동 모터의 시작 속도를 제어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사용자가 목적하는 운동 모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Controlling method of training machine and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내부 동력을 가지는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 동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한궤도 형태의 트랙 벨트를 이용하는 헬스 장치는 시작 속도가 고정되어 있다. 이는 제조 단계에서 셋팅되고, 기능적으로 이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다. 다만, 사용자는 장치가 시작된 후, 프로그램 메뉴에 제시된 다양한 운동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운동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시작속도는 건강한 사람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따라서 병약자, 노약자 등에게는 부적합하다. 또한 종래 운동 장치는 작동이 시작된 후, 사용 중이던 아니던 기선택된 모드로 작동이 유지되는 공회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운동 장치의 공회전은 전력 낭비는 물론 자칫 다른 사고를 불러 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성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회전에 따른 전력 낭비를 억제하고 사용자 없이 작동하는 운동 장치에 의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은
트랙 벨트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 그리고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운동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트랙 벨트의 시작 속도를 임의 선택하여 운동 장치의 제어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트랙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작동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작 속도를 호출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시작 속도를 제어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사용자가 목적하는 운동 모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변동이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가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보다 높은 제2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부하전류가 제1기준치 보다 낮을 때 부하전류의 변동률을 검출하고, 변동률이 기설정된 임의 범위 내의 값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는
트랙 벨트;
상기 트랙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콘솔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 및 그 결과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시작 속도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시작 속도의 선택 또는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 작동 시 먼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작 속도를 이용해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가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가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보다 높은 제2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부하전류가 제1기준치 보다 낮을 때 부하전류의 변동률을 검출하고, 변동률이 기설정된 임의 범위 내의 값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킨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에서, 컨트롤 패널의 발췌도이다.
도3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에서 콘솔부와 인버터부의 개략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에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에서 인버터부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이다.
먼저 운동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올라서서 운동하는 평상 형태의 트랙부(track part, 110)와 트랙부(110)의 트랙벨트(track belt, 111)의 속도를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controlling part, 120) 그리고 콘솔부(120)를 사용자의 상체 가깝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두 지지 컬럼(supporting column, 115)을 구비한다. 상기 두 지지 컬럼(115)은 후술하는 상기 트랙부(110)의 트랙 프레임(112)의 후방 양측으로부터 직립 설치된다.
상기 트랙부(110)는 트랙벨트(111)와 트랙벨트(111)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driving motor, 130), 그리고 이들 요소들을 지지하는 구조의 뼈대를 제공하는 트랙 프레임(track frame, 112)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일반적인 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트랙부(110)의 후방 내부에 설치되며, 그 위를 덮는 커버(114)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운동 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통제하는 제어부의 일부로서의 콘솔부(120)는 상기 지지 컬럼(115)의 양단 가까이 마련되는 안전 손잡이(123)와 이들 사이에 마련되는 컨트롤 패널(122), 컨트롤 패널(122)에 의해 시스템 전체의 제어 상태 등을 표시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121)를 구비한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운동을 독려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재생 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콘솔부(120)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인버터부(140, 도3참조)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운동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시작 속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한 조작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122)에 마련되어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운동 장치(100)의 컨트롤 패널(122)의 발췌 평면도이다.
컨트롤 패널(122)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단계의 시간 설정 타이머 버튼("10", "20", "30", "40", "50")을 가지는 운동 시간 설정부(122a), 다양한 운동 모드 선택용 버튼("P1", "P2", "P3", "P4", "P5")을 가지는 프로그램 선택부(122b), 트랙부(110)에서 트랙 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인클라인 증감 버튼("+","-")을 가지는 높이 설정부(122c), 그리고 선택된 운동기간, 프로그램 등을 최종적으로 제어부로 전송하는 엔터 버튼("Enter", 운동 시작 버튼("Start"), 비상 정지 버튼("Stop")을 가지는 운동 제어부(122d), 그리고 다수 버튼("4", "6", "8", "10", "12")을 갖는 다단계 속도 선택부(122e) 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시작 속도 조절부(122f)가 상기 컨트롤 패널(122)의 일 측에 마련된다. 시작 속도 조절부(122f)는 시작 속도 증감 버튼("+", "-")을 가진다.
상기 시작 속도 설정부(122f)를 포함하는 상기 컨트롤 패널(122) 상의 모두 부분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시작 속도 설정부(122f)는 시작 속도를 다양한 형태로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역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작 속도 설정부(122e)의 각 버튼은 상기 콘솔부(120)의 제어회로에 연결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부(120) 및 이에 연결되는 인버터부(140)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콘솔부(120)는 중앙처리부(124), 중앙처리부(124) 및 중앙처리부(124)에 의한 처리결과 및 컨트롤 패널(122)에서 입력 상태등을 표시하는 컨트롤 디스플레이(121)가 연결된다. 상기 중앙처리부(124)는 일반적인 마이크로칩에서와 같이 내장된 메모리 또는 별도의 모듈 형태의 메모리 장치(125)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필요 시 재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모리 장치(125)는 비휘발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휘발성 영역은 저장된 데이터가 운동 장치의 전원 상태에 무관하게 보존되는 영역인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별도의 외부 전원에 의한 메모리 상태가 유지되는 휘발성 메모리도 역시 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125)에 저장된 시작 속도 데이터는 운동 장치가 기동할 때에 중앙처리장치(124)에 의해 호출되며, 운동 장치의 시작 속도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시작 속도 데이터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 사용자에 의한 시작 속도 설정부(122f)의 조작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전술한 증감식("+", "-") 버튼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컨트롤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볼 수 있다. 상기와 인버터부(140)의 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도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이와 함께 설명된 상기 컨트롤 패널(122)을 통해 입력된다. 일반적인 제어 구조는 종래의 동종 운동 장치에서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특징인 시작 속도의 제어는 시작 속도 조절부(122f)의 속도 증감 버튼("+", "-")을 이용해 이루어 진다. 상기 속도 증감 버튼이 눌리면 속도 증감 버튼("+", "-")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시작 속도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가 이루어 지며, 이에 수정된 속도는 컨트롤 디스플레이(121)에 표시된다. 이때 보다 안전한 시작 속도의 설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조정된 최종 값은 메모리에 대한 저장이 엔터 버튼("Enter")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증감 버튼(("+", "-")의 작동에 의해 수정된 시작 속도가 시작 버튼("+", "-")의 작동과 함께 실시간으로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시작 속도, 프로그램, 운동 시간이 설정된 후, 운동 시작 버튼("start")이 눌리면 콘솔부(120)로부터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126)를 통해 인버터부(140)로 전송된다. 인버터부(140)는 본 발명에서 운동 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통제하는 제어부의 일부로서, 상기 콘솔부(120)의 통신 인터페이스(126)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42)를 구비한다. 인버터에서 속도 지령은 중앙처리부(141)에서 연산되어 구동 모터(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모듈(143)으로 전송되며,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에 의한 파워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143)은 구동 모터(130)의 소정 주파수의 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파워모듈(143)에 대한 전력은 외부 전원선(145)이 연결된 전원부(144)의 정류부(144a)에서 직류 전압 상태로 공급받고, 파워모듈(143)은 중앙처리부(14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가변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가지는 전력을 발생하여 구동 모터(130)에 제공한다. 상기 구동 모터(130)은 일반적인 동종의 운동 장치에서처럼 3상 교류 구동 모터이며, 따라서 상기 파워모듈(143)은 3상의 PWM(펄스폭변조) 신호(전력)를 발생한다. 일반적인 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콘솔부(120)는 상기 인버터부(140)의 전원부(144)에 마련된 DC안정화전원공급장치, 예를 들어 SMPS(144b)에서 공급되는 DC 전력에 의해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현 상태에 적합한 초기 시작 속도을 설정하며, 따라서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에 정상인을 기준으로 설정된 초기 속도, 보통 0.5km/h 내지 1Km/h의 속도를 사용자가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나 병약자들도 본인에 적절한 속도, 예를 들어 0.1km/h ~ 0.3 km/h 범위로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운동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우 건강한 사람들이 만족할 수 없는 초기 시작 속도를 예를 들어 1.0-~2.0Km/h 범위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운동 장치를 적용하는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즉, 트랙 벨트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 그리고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운동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3 단계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 사용자가 트랙 벨트의 시작 속도를 임의 선택하여 운동 장치의 제어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계
제2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트랙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작동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작 속도를 호출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시작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제3단계: 상기 제2단계 이후 사용자가 목적하는 운동 모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하는 단계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시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면서, 구동 모터의 공회전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실제 운동 과장은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운동 장치의 전원이 켜짐으로서 운동 장치의 작동이 시작되면(51) 먼저 운동 장치 제조회사에서 설정하거나, 그 후에 사용자가 조정하여 설정한 시작 속도를 메모리로부터 호출한다(52), 이 상태에서, 시작 속도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53)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작 속도 조절이 선택되지 않으면 운동 시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56)로 이동하며, 또는 시작 속도 조절이 선택되면 시작 속도 증감 버튼 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작 속도가 선택 하는 단계(54)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결정된 시작 속도는 메모리에 저장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선택된 시작 속도로 설정된다. 시작 속도 설정이 완료되면 운동 시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56)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스타트 버튼등에 의해 운동 시작이 결정되며 운동 종료가 선택되지 않는한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 운동이 지속된다. 그리고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운동 종료가 결정되는 운동 장치는 정지한다(59).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은 구동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하여 부하의 크기 및 이의 변동을 체크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운동 중에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가 없이 운동 장치가 혼자서 돌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 만약에 공회전 중에 있으며, 이것이 일정 시간 도과 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동 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도 5는 인버터부(140)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보인다.
도5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130)은 파워모듈(143)에 3 상 연결되어 있고, 파워모듈(143)에는 브리지 정류부 및 정류 커패시터를 가지는 정류부(144b)로부터의 DC 전력이 인가된다. 상기 DC 전력을 변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중앙제어부(141)로부터 인가된다. 중앙제어부(141)는 상기 콘솔부(12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파워모듈(143)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인버터(140)의 중앙처리부(141)는 상기 파워모듈(143)에 걸리는 직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통해 구동 모터(130)의 계속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41)는 상기 정류부(144b)의 출력 전압을 전압 검출부(145)로부터의 전압 신호와 전류 센서(144)로부터의 전류 신호를 입력 받아 구동 모터(130)의 동작상태, 특히 부하량 및 부하변동 등을 분석한다. 그 결과에 따라 구동 모터가 공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파워모듈(143)에 정지신호를 송출하여 구동 모터(130)을 정지시킨다.
공회전의 여부의 판단은 구동 전류가 임의 제1기준치를 기준으로 이 보다 높으면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이고, 그리고 그 이하인 경우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고, 이때에 제1기준치 이하의 부하 전류가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거나 제1기준치의 이하의 부하 전류의 변화율이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는 확실하게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공회전을 검출하고 적절한 시기에 운동 장치의 작동을 멈춤으로써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운동 장치가 작동 중인데, 이를 모르고 다른 사람이 트랙부에 올라 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한편, 구동 전류가 제1기준치를 넘고 또한 부하 변동율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운동 장치를 이용하는 상태가 되어 주어진 프로그램 등을 통해 운동 장치의 작동이 계속되는데, 이때에 어떠한 이유에 임계치 이상의 전류가 검출되어 과도한 부하가 확인되는 경우, 시스템 전제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운동 장치를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지금까지, 본원 다양한 모범적 실시 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는 단지 다양한 실시 예들의 일부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00: 운동 장치
110: 트랙부
120: 컨트롤부(콘솔부)
121: 컨트롤 디스플레이
122: 컨트롤 패널
125: 메모리
130: 구동 모터
140: 인버터(인버터부)
144: 전원부

Claims (9)

  1. 트랙 벨트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 그리고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운동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트랙 벨트의 시작 속도를 임의 선택하여 운동 장치의 제어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트랙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작동할 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작 속도를 호출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시작 속도를 제어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사용자가 목적하는 운동 모드를 선택하여 운동을 진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변동이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가 제1기준치 보다 높은 제2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전류가 제1기준치 보다 낮을 때 부하전류의 변동률을 검출하고, 변동률이 기설정된 임의 범위 내의 값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5. 트랙 벨트;
    상기 트랙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콘솔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 및 그 결과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시작 속도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시작 속도의 선택 또는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 작동 시 먼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작 속도를 이용해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운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가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가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제1기준치 보다 높은 제2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전류가 제1기준치 보다 낮을 때 부하전류의 변동률을 검출하고, 변동률이 기설정된 임의 범위 내의 값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
  9. 제5항 내지 제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는 트레드밀(Treadmi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치.
KR20130036445A 2013-04-03 2013-04-03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KR20140120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445A KR20140120545A (ko) 2013-04-03 2013-04-03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445A KR20140120545A (ko) 2013-04-03 2013-04-03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45A true KR20140120545A (ko) 2014-10-14

Family

ID=5199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6445A KR20140120545A (ko) 2013-04-03 2013-04-03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5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595A3 (ko) * 2019-04-12 2020-11-26 Cho Hyun Sang 트레드밀의 전력 소비 정보에 기초한 분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595A3 (ko) * 2019-04-12 2020-11-26 Cho Hyun Sang 트레드밀의 전력 소비 정보에 기초한 분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4612C (en) Method for lacing a shoe
US10045904B2 (en) Walking training system
KR101163895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101402337B1 (ko) 등 마사지부의 자동 위치 설정 기능이 구비된 안마 의자
CN107374916B (zh) 行走辅助装置和行走训练方法
KR20060122717A (ko) 마사지기
EP4368062A1 (en) Lifting table having smart adjustment function, and smart adjustment method for lifting table
EP3244284A1 (en) Computer power supply device having fan control circuit for cooling standby power source unit in state in which computer is turned off, and operating method
KR101290813B1 (ko) 토크와 시작 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트레이드밀
KR20140120545A (ko) 운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US9504823B2 (en) Micro-current therapy device using high electric potential
CN105324934B (zh) 双动力模式驱动器
JPWO2006082806A1 (ja) 電位治療装置
KR10195453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JP2016146887A (ja) 歩行訓練システム
KR20080028690A (ko) 온열 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10679A (ko) 전자유도 가열기의 구동회로
JP5155715B2 (ja) マッサージ機
CN108618943B (zh) 按摩机
KR101145384B1 (ko)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런닝머신
JPH08131487A (ja) 起床角度調節手段を有する床部起伏機構を備えたベッド
KR19980015556A (ko) 전자제품의 마이컴으로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JP2009055987A (ja) マッサージ椅子
KR20210038949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191298B1 (ko) 워킹 코일의 결속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