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440A -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440A
KR20140120440A KR1020130036089A KR20130036089A KR20140120440A KR 20140120440 A KR20140120440 A KR 20140120440A KR 1020130036089 A KR1020130036089 A KR 1020130036089A KR 20130036089 A KR20130036089 A KR 20130036089A KR 20140120440 A KR20140120440 A KR 2014012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arp
moving
warp cor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440A/ko
Publication of KR2014012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는,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인입된 기판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한 상기 기판의 좌우측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눌러 상기 기판의 워피지를 보정하는 워피지 보정부; 및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워피지 보정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SUBSTRATE IN SCREENPRINTER}
본 발명은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프린터의 마스크와 기판을 평행하게 맞닿게 할 수 있도록 휘어진 기판을 고정할 수 있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rinted Curcuit Board, PCB)이 생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전처리 작업을 위해 스크린프린터(Screen Printer)가 사용된다. 즉, 스크린프린터는 집적회로소자,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부품을 솔더링할 수 있도록 패턴회로의 박리 솔더면에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나 크림 솔더(cream solder) 등을 접합제로 이용하여 도포하는 자동화장비이다.
이러한 스크린프린터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랜드(land) 위치에 맞게 솔더 크림 등을 도포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있는 마스크, 마스크 위에 올린 크림 솔더 등을 밀어주는 스퀴지(squeegee) 등을 구비한다. 이때, 마스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퀴지가 좌우로 구동하여 인쇄를 진행한다. 즉, 스퀴지는 마스크(또는 스텐실이라고도 함) 위에 위치한 후, 왕복운동을 하여 마스크 등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솔더 크림 등을 기판에 도포하게 된다.
그런데, 마스크를 이용하여 솔더 크림 등을 기판(substrate)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마스크와 기판을 평행하게 맞닿아 밀착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평행하게 맞닿으려면 마스크, 기판 모두 단품 상태로 평면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기판은 제작상의 문제로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휜 상태로 존재한다. 특히, 표면실장(SMT) 후단공정인 리플로우(Reflow)를 거치면 더 많이 휘어진다. 그리하여, 기판을 측면에서 지지하여 고정하고, 기판의 상단을 눌러주기 위한 고정 장치가 필요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기판을 고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d는 종래의 기판을 고정하는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판을 고정하는 장치(10)는, 기판(5)이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스크린프린팅이 이루어지는 작업 위치로 이동되고(도 1a 참조), 탑 클램프(15)가 기판(5)의 상부로 이동하여 기판(5)의 상면을 덮어 기판(5)의 휘어진 부분을 누르게 된다(도 1b 참조). 그런 후에, 사이드 클램프(13)가 실린더(17)에 의해 이동하여 기판(5)의 측면을 고정하여 지지하게 된다(도 1c 참조).
그러나, 도 1d를 참조하면, 스크린프린터 장비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오류 또는 기판(5)의 자체 공차로 인해 기판(5)이 사이드 클램프(13)의 상면까지 올라오지 못할 경우, 간격(d)이 발생하여 탑 클램프(15)는 기판(5)의 휘어진 부분을 보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판을 고정하는 장치(10)는 기판(5)의 휨 부분이 사이드 클램프(13)의 상면보다 높이 올라가는 휨 부분만 보상을 하여 기판(5)의 워피지(warpage)를 제거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특1998-0013579호 (1998.04.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프린터의 마스크와 기판을 평행하게 맞닿게 할 수 있도록 휘어진 기판의 워피지(warpage)를 보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휘어진 기판의 워피지(warpage)를 보정하기 위한 엘리먼트(element)를 능동적으로 기판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는,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인입된 기판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한 상기 기판의 좌우측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눌러 상기 기판의 워피지를 보정하는 워피지 보정부; 및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워피지 보정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방법은,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컨베이어에 의해 기판이 인입되어 배치되는 단계; 사이드 고정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좌우 측면을 고정하는 단계; 및 워피지 보정부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좌우측 상면을 눌러 상기 기판의 워피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어진 기판의 워피지(warpage)를 보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크린프린터의 마스크와 기판을 평행하게 맞닿게 할 수 있고, 휘어진 기판의 워피지(warpage)를 보정하기 위한 엘리먼트(element)를 능동적으로 기판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휘어진 기판의 워피지(warpage)를 보정함으로써, 기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기판을 고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종래의 기판을 고정하는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는, 기판(5)의 사이드를 고정하는 사이드 고정부(120), 사이드 고정부(120)를 이동시키는 사이드 고정 구동부(130), 기판(5)의 상면을 눌러 워피지(warpage)를 제거하는 워피지 보정부(140), 및 워피지 보정부(140)를 이동시키는 워피지 보정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은 컨베이어(110)에 의해 마스크(미도시)의 개구부를 통해 솔더 크림 등을 도포하는 스크린프링팅의 작업 위치로 이송되며, 작업 위치에서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에 의해 고정된다.
사이드 고정부(120)는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5)의 좌우 측면을 고정한다. 즉, 스크린프링팅의 작업 위치로 이송된 기판(5)의 좌우 양 측면에서 사이드 고정부(120)가 사이드 고정 구동부(130)에 의해 이동되어 기판(5)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사이드 고정 구동부(130)는 사이드 고정부(120)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기판(5)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고정부(120)를 각각 기판 측으로 이동시켜 기판(5)의 양 측면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고정 구동부(130)로 유압 실린더, 모터, LM 가이드 등의 구동 수단을 채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워피지 보정부(140)는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인입된 기판(5)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한 상기 기판(5)의 좌우측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눌러 상기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한다. 즉, 워피지 보정부(140)는 기판(5)의 좌우측 상면을 기판(5)의 이동방향인 길이방향으로 눌러 가압하게 되며, 이를 통해 기판(5)의 워피지(warpage)를 보정한다.
워피지 보정 구동부(150)는 워피지 보정부(140)를 기판(5)의 상부로 이동시켜 기판(5)의 상면을 누르기 위해, 상기 기판(5)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킨다. 워피지 보정 구동부(150)에 의해 워피지 보정부(140)가 2차원 평면 상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워피지 보정부(140)는 기판(5)이 스크린프린팅의 작업 위치로 인입되기 전에, 사이드 고정부(120)의 내부에 위치하여 대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드 고정부(120)는 기판(5)의 인입 전에 워피지 보정부(140)가 위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기판(5) 쪽에 위치한 사이드 고정부(120)의 영역에 워피지 보정부(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기판(5)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워피지 보정부(140)는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누름 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 부재(142)는 기판(5)이 사이드 고정부(120)의 상면과 동일한 위치까지 올라오지 못할 경우에도, 기판(5)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 및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에서 워피지 보정 구동부(150)는 워피지 보정부(14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상기 워피지 보정부(14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기판(5)의 인입 전에, 워피지 보정부(140)가 사이드 고정부(120)의 내부에 위치하여 대기하고 있으며, 기판(5)이 고정 위치로 이송되면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해 워피지 보정부(140)가 상하, 좌우로 움직여 기판(5)의 상면을 눌러 기판(5)의 휘어진 부분을 보정한다. 그리고, 기판(5)의 좌우 양 측면에서 사이드 고정부(120)가 사이드 고정 구동부(130)에 의해 이동되어 기판(5)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기판(5)의 고정이 완료된 후, 워피지 보정부(140)는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해 다시 사이드 고정부(120)의 내부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기판(5)의 좌우 양 측면에서 사이드 고정부(120)가 사이드 고정 구동부(130)에 의해 이동되어 기판(5)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하고,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해 워피지 보정부(140)가 상하, 좌우로 움직여 기판(5)의 상면을 눌러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한 후, 다시 사이드 고정부(120)의 내부로 복귀할 수도 있다. 즉, 기판(5)의 고정 시에, 워피지 보정부(140)와 사이드 고정부(120)의 동작 순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는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의 작동에 의해 워피지 보정부(140)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 또는 공압 등을 제공하는 압력 제공관(153)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는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와 워피지 보정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154, 155), 제1 및 제2 연결 샤프트(156, 157) 등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154, 155), 제1 및 제2 연결 샤프트(156, 157) 등을 통해 상하 구동용 실린더(151) 및 좌우 구동용 실린더(152)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이 워피지 보정부(140)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피지 보정부(140) 및 사이드 고정부(120)는 기판(5)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며, 워피지 보정부(140)는 사이드 고정부(12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가, 기판(5)이 작업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기판(5)의 상부로 이동하여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한 후, 다시 사이드 고정부(120)의 내부 수용 공간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피지 보정부(140)의 일단에는 하측으로 누름 부재(142)가 구비되어 있어, 스크린프린터 장비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오류 또는 기판(5)의 자체 공차로 인해 기판(5)이 사이드 고정부(120)의 상면까지 올라오지 못할 경우에도, 상기 누름 부재(142)로 기판(5)의 휘어진 부분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비 사용자가 기판(5)의 두께를 잘못 입력하는 등 장비 사용자의 사용상 오류 또는 장비 이상으로 기판(5)이 사이드 고정부(120)와 동일한 평면까지 올라오지 못하고 사이드 고정부(120)의 하면에 위치할 경우에도 휨 형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아래로 돌출된 누름 부재(142)로 기판(5)의 휨 형상을 보정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에서 워피지 보정 구동부(150)는 워피지 보정부(140)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162) 및 상기 링크 부재(162)를 이동시켜 상기 워피지 보정부(140)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링크 연결 모터(미도시) 또는 링크 연결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링크 부재(162)는 양단에 연결축(164, 165)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164, 165) 중 적어도 하나가 링크 연결 모터 또는 링크 연결 실린더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링크 부재(162)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링크 부재(162)의 회전 이동에 따라 링크 부재(162)에 연결된 워피지 보정부(140)도 소정 범위 내에서 링크 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링크 부재(162)의 이동에 따라 워피지 보정부(140)도 함께 이동함으로써, 워피지 보정부(140)가 기판(5)의 상부로 이동하여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링크 부재(162)를 사용하는 경우, 1개의 구동 수단으로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100)에서 워피지 보정 구동부(150)는 워피지 보정부(140)에 연결되는 캠 부재(172) 및 상기 캠 부재(172)를 회전시켜 상기 워피지 보정부(140)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캠 연결 모터(미도시) 또는 캠 연결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캠 부재(172)의 회전 이동에 따라 캠 부재(172)에 연결된 워피지 보정부(140)도 소정 범위 내에서 캠 부재(172)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링크 부재(162)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캠 부재(172)의 이동에 따라 워피지 보정부(140)도 함께 이동함으로써, 워피지 보정부(140)가 기판(5)의 상부로 이동하여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캠 부재(172)를 사용하는 경우, 1개의 구동 수단으로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방법은,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컨베이어(110)에 의해 기판이 인입되어 배치되며(S10), 사이드 고정부(120)를 좌우로 이동시켜 작업 위치에 배치된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5)의 좌우 측면을 고정하고(S20), 워피지 보정부(140)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기판(5)의 상부에서 상기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5)의 좌우측 상면을 눌러 상기 기판의 워피지를 보정한다(S30).
이때,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방법은,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컨베이어(110)에 의해 기판이 인입되어 배치되며, 워피지 보정부(140)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작업 위치에 배치된 기판(5)의 상부에서 상기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5)의 좌우측 상면을 눌러 상기 기판(5)의 워피지를 보정하고, 사이드 고정부(120)를 좌우로 이동시켜 워피지가 보정된 기판(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5)의 좌우 측면을 고정할 수도 있다. 즉, 기판(5)의 고정 시에, 워피지 보정부(140)와 사이드 고정부(120)의 동작 순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110: 컨베이어 120: 사이드 고정부
130: 사이드 고정 구동부 140: 워피지 보정부
150: 워피지 보정 구동부

Claims (9)

  1.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인입된 기판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한 상기 기판의 좌우측 상면을 길이방향으로 눌러 상기 기판의 워피지를 보정하는 워피지 보정부; 및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워피지 보정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피지 보정부는,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누름 부재를 구비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좌우 측면을 고정하는 사이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고정부는, 상기 기판의 인입 전에 상기 워피지 보정부가 위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고정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사이드 고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피지 보정 구동부는,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용 실린더 및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구동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피지 보정 구동부는, 상기 워피지 보정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링크 연결 모터를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피지 보정 구동부는, 상기 워피지 보정부에 연결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워피지 보정부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캠 연결 모터를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9. 스크린프린팅을 위해 컨베이어에 의해 기판이 인입되어 배치되는 단계;
    워피지 보정부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좌우측 상면을 눌러 상기 기판의 워피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사이드 고정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좌우 측면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방법.
KR1020130036089A 2013-04-03 2013-04-03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KR20140120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89A KR20140120440A (ko) 2013-04-03 2013-04-03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89A KR20140120440A (ko) 2013-04-03 2013-04-03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40A true KR20140120440A (ko) 2014-10-14

Family

ID=5199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089A KR20140120440A (ko) 2013-04-03 2013-04-03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4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1076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screen printing method
JP6142290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部品実装ライン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EP1757176B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CN109803829B (zh) 丝网印刷机
WO2014122926A1 (ja) ペースト供給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ペースト供給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381830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マスク設置方法
JP2015100943A (ja) スクリーン印刷機、部品実装ライン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15098088A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部品実装ライン
US7617587B2 (en) Apparatus for supports a printer circuit board substrate
JP2009154354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ならびに基板保持装置および基板保持方法
JP201319340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229244B2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よる作業方法
CN112004682B (zh) 丝网印刷装置
JP2016092019A (ja) 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6892560B2 (ja) クランプレールユニット
WO2014091603A1 (ja) 粘性流体印刷装置
JP4378896B2 (ja) 基板の下受け方法
KR20140120440A (ko) 스크린프린터의 기판 지지 장치 및 방법
JP5487982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の異物検出方法
JP2011143548A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146473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110097054A (ko)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장치
KR200404272Y1 (ko) 스크린 프린트기용 스텐실마스크 클리너
JP201315902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WO2016185569A1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