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602A -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 Google Patents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602A
KR20140118602A KR1020130034813A KR20130034813A KR20140118602A KR 20140118602 A KR20140118602 A KR 20140118602A KR 1020130034813 A KR1020130034813 A KR 1020130034813A KR 20130034813 A KR20130034813 A KR 20130034813A KR 20140118602 A KR20140118602 A KR 2014011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apacitor
main relay
power
pre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8416B1 (en
Inventor
김승현
안태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416B1/en
Publication of KR2014011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A power re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relay assembly installed between a battery and motor of an electric vehicle, which comprises a case and a Y capacitor module arranged inside the case, wherein the Y capacitor module comprises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supporting board and a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supporting board; a first capaci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with a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with a ground; and a second capaci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with the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with the ground.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0001]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0002]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등의 전력 계통에 배터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lay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relay assembly for stably supplying or disconnecting battery power to a power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함께 사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An electric vehicle is an automobile that is operated by electricity.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lassified into a pure electric vehicle (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 Here, a pure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uses electricity only,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uses electricity and fossil fuel together.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구비된다. Such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with a high voltage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for running and a motor driven by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a high voltage battery.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배터리와 상기 모터 사이에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Power Relay Assembly) 및 인버터가 구비된다. A power relay assembly (PRA) and an inverter are provided between the high voltage battery and the motor.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Power Relay Assembly)는 BDU(Battery Disconnect Unit)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고전압 배터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 혹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relay assembly (PRA) is also referred to as a BDU (Battery Disconnect Unit), and serves to stably supply or shut off high voltage battery power to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도1은 종래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Y-capacitor 부분만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일측은 고전압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인버터를 통해 모터 등의 차량 구동 장치에 연결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wer relay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only a Y-capacitor part separately. One side of the power relay assembl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high voltage battery,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vehicle drive device such as a motor through an inverter.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케이스(10)와, 메인 릴레이(20, main relay), 프리차지 릴레이(30, Pre charge relay), 프리차지 레지스터(40, Pre charge resistor), Y 커패시터(50, Y-capacitor) 등을 포함한다.1 and 2, a conventional power relay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case 10, a main relay 20, a precharge relay 30, a precharge resistor 40, A precharge resistor, a Y capacitor 50, and a Y-capacitor.

상기 메인 릴레이(20, main relay)는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리차지 릴레이(30) 및 프리차지 레지스터(40)는 초기 전류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relay 20 serves to supply or cut off power between the high voltage battery and the motor. In addition, the precharge relay 30 and the precharge register 40 prevent th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the initial current.

또한 Y 커패시터(50)는 차량 내부에 안정적인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 내부의 고전압 배터리에 의해 발생하는 리플 전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전력 라인(line)과 그라운드(ground)에 각각 연결된다.The Y capacitor 50 removes the noise included in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high-voltage battery so that a stable curren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at is, it serves to remove the ripple current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battery in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ground respectively.

이때, Y 커패시터(50)는 얇은 리드 와이어(51,lead wire)를 이용하여, 포크 타입 부스바(60, fork type busbar)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Y capacito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rk type busbar 60 by using a thin lead wire 51.

이러한, 종래의 Y 커패시터(50)는 조립 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수반하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므로, 얇은 리드 와이어(51, lead wire)가 진동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Such a conventional Y capacitor 50 is not only complicated to assemble but also mounted inside a vehicle accompanied by vibration, so that the thin lead wire 51 is vulnerable to vibration,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 durability.

또한, 종래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는 케이스(10)의 상부에 Y 커패시터(50)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만 하여,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지 못하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wer relay assembly mus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pace for mounting the Y capacitor 5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so that space utilization is not efficient.

또한, Y 커패시터의 접지를 위해 별도의 버스바(busbar)가 내부에 구비되어야만 하는데, 이때,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다수의 버스바가 필요하므로, 버스바의 숫자가 늘어나는 경우 그 배치가 난해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separate bus bar must be provided for grounding the Y capacitor.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bus bars are required in the power relay assembly, if the number of the bus bars is increased, the arrangement becomes difficult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Y 커패시터를 모듈화하되, Y커패시터 모듈이 인쇄회로기판(PCB) 및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파손 및 기능 상실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Y-capacitor which is modularized and includes a capacitor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o provide a power relay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improve durability and enable efficient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모터 사이에 구비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Y 커패시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Y 커패시터 모듈은,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일단이 전력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일단이 전력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relay assembly is provided between a battery and a motor of an electric vehicle, the power relay assembly comprising: a case; And a Y capacitor module provided inside the case, wherein the Y capacitor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support substrate and a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And a second capacitor which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그라운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그라운드 연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와 회로 패턴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lude a ground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ground, and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through a circuit pattern.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pin shape.

상기 케이스에는 인버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버터 커넥팅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인버터 커넥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n inverter connecting part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inverter is coupled to the case, and the circuit patter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er connecting part.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메인 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메인 릴레이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와, 메인 릴레이로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는 회로 패턴에 의해 상기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And a main relay signal input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main relay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relay through a terminal of the main relay, And the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relay signal input part and the ground connection part by a circuit pattern.

케이스에 결합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와, 프리 차지 릴레이로 신호를 전달하는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프리 차지 단자 결합부는 회로 패턴에 의해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A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ed to the case,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to which a terminal of the pre-charge relay is inser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precharge terminal coupl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precharge relay signal input portion and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by a circuit pattern.

본 발명에 의하면 Y 커패시터가 모듈화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 capacitor is modularized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and the durability against vibration is improved.

또한, 상기 Y 커패시터 모듈이 인쇄회로기판(PCB)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버스바(busbar)에 의해 이루어지던 각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부품 수 및 작업 공수가 줄어들게 되며, 그로 인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조립 신뢰성이 높아 진다.In addition, since the Y capacitor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capaci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which is made by a plurality of bus bars,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number of workings can be reduced,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reliability is improved.

또한, Y 커패시터 모듈이 케이스 내측에 내장되므로, 공간 활용성이 높아져,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Y capacitor module is embedded inside the case, the space utilization i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can be increased.

또한, 커패시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방출할 수 있게 되어, 방열 성능이 향상된다.
Further, the heat generated in the capacito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improving the heat radiation performance.

도1은 종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서 Y 커패시터 부분만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Y 커패시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Y 커패시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wer relay assembly;
2 is a view showing only the Y capacitor portion separately in the conventional power relay assembly.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re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Y capaci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Y capaci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ower relay assembly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Power Relay Assembly)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내부에 구비되는 Y 커패시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고, 도5는 Y커패시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relay assembly (P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Y capacitor module included in the power relay assembly of FIG. 3,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Y capacitor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는 케이스(1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A power re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including an upper case 110 and a lower case 1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do.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may be plastic extrusions.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릴레이 및 레지서트(저항) 등이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소켓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메인 릴레이(200, Main Relay)가 결합될 수 있는 메인 릴레이 소켓(131)과, 프리 차지 릴레이(300, Pre-Charge Relay)가 결합될 수 있는 프리 차지 릴레이 소켓(132)과, 프리 차지 레지스터(400, Pre-Charge Registor)가 결합될 수 있는 프리차지 레지스터 소켓(133)이 구비된다. A plurality of sockets for coupling relays, resistors, and the like are provided on the upper case 110. A main relay socket 131 to which a main relay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and a precharge relay socket 132 to which a precharge relay 300 can be coupled, And a precharge register socket 133 to which a precharge register 400 can be coupled.

그러나, Y 커패시터의 결합을 위한 소켓은 구비되지 않는다. Y 커패시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던 Y 커패시터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만큼,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소켓(131, 132, 133) 각각은 상부로 돌출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owever, a socket for coupling Y capacitors is not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Y capacitor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ide the case as described later. Therefore, since the Y capacitor, which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is located inside the case, more efficient space utilization is possible. Each of the sockets 131, 132, and 133 includes a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

한편, 각각의 소켓(131, 132, 133)에는, 메인 릴레이(200), 프리 차지 릴레이(300) 및 프리 차리 레지스터(400)가 결합된다. The main relay 200, the precharge relay 300, and the precharge register 400 are coupled to the sockets 131, 132, and 133, respectively.

여기서, 메인 릴레이(200, main relay)는 고전압 배터리(미도시)와 모터(미도시)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main relay 200 serves to supply or cut off power between a high-voltage battery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또한, 프리 차지 릴레이(300) 및 프리 차지 레지스터(400)는 초기 전류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precharge relay 300 and the precharge register 400 prevent th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the initial current.

여기서 메인 릴레이(200) 및 프리 차지 릴레이(300)는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예컨대,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릴레이(200) 및 프리 차지 릴레이(300)는 종래의 릴레이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한 것이므로, 메인 릴레이(200) 및 프리 차지 릴레이(300) 자체의 세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main relay 200 and the precharge relay 300 enable or disable the power supply. For example, the main relay 200 and the precharge relay 300 may include a coil, for example, and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signal . ≪ / RTI > Since the main relay 200 and the precharge relay 300 can employ any one of the conventional relay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relay 200 and the precharge relay 300 itself will be omitted .

한편, 상기 메인 릴레이(200)는 제1 메인 릴레이(201)와 제2 메인 릴레이(202)의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인 릴레이(201)는 플러스(+) 메인 릴레이 일 수 있으며, 제2 메인 릴레이(202)는 마이너스(-) 메인 릴레이 일 수 있다. 한편 메인 릴레이(200)가 제1 메인 릴레이(201)와 제2 메인 릴레이(202)를 포함함에 따라, 메인 릴레이 소켓(131)도 제1 메인 릴레이가 결합되는 제1 메인 릴레이 소켓(1311)과 제2 메인 릴레이가 결합되는 제2 메인 릴레이 소켓(1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relay 200 may include a first main relay 201 and a second main relay 202. For example, the first main relay 201 may be a positive main relay, and the second main relay 202 may be a negative main relay. The main relay 200 includes the first main relay 201 and the second main relay 202. The main relay socket 131 also includes a first main relay socket 1311 to which the first main relay is coupled, And a second main relay socket 1312 to which the second main relay is coupled.

상기 메인 릴레이(200), 프리 차지 릴레이(300) 및 프리 차지 레지스터(400)는 각각 도3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단자(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단자는 후술하는 Y 커패시터 모듈(600, 도4 및 도5 참조)의 인쇄회로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main relay 200, the precharge relay 300, and the precharge register 400 each have a terminal (not shown) protruding downward in FIG. This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10 of the Y capacitor module 600 (see FIGS. 4 and 5)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각각의 소켓에는 메인 릴레이(200, Main relay), 프리차지 릴레이(300, Pre charge relay), 프리차지 레지스터(400, Pre charge resistor) 등의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관통부(미도시)가 상하로 천공되어 구비된다. 즉, 상부 케이스(110)의 일부가 상하로 천공된다. To this end, each socket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not shown) into which a terminal such as a main relay 200, a precharge relay 300, a precharge resistor 400, Is vertically perforated. That is, a part of the upper case 110 is perforated up and down.

따라서, 이 단자 관통부에 삽입되는 메인 릴레이(200, Main relay), 프리차지 릴레이(300, Pre charge relay), 프리차지 레지스터(400, Pre charge resistor), Y 커패시터(500, Y-capacitor) 등의 단자는, 상부 케이스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Y 커패시터 모듈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a main relay 200, a pre-charge relay 300, a pre-charge resistor 400, a Y-capacitor 500, a Y-capacitor, etc. inserted into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f the Y capacitor module located inside the case, through the upper case downwardly.

한편, 상기 케이스(100)에는 외부의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부가 복수개 구비된다. 예컨대, 고전압 배터리와의 연결을 위한 배터리 커넥팅부(510), 인버터와의 연결을 위한 인버터 커넥팅부(520), 및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 등이 구비된다. Meanwhile,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 device. For example, a battery connecting portion 510 for connection with a high voltage battery, an inverter connecting portion 520 for connecting with the inverter, and a relay coil connecting portion 650 are provided.

상기 배터리 커넥팅부(510)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attery connecting part 5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high-voltage battery (not shown).

또한, 상기 인버터 커텍팅부(520)는 상기 배터리 커넥팅부가 구비되는 반대쪽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를 인버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inverter connecting part 520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ttery connecting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relay assembly PRA to an inverter (not shown).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는 본 실시예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와 모터의 사이에 구비되며, 고전압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모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An inverter not show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ower relay assembly PR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relay assembly and the motor, and converts AC current delivered from a high-voltage battery (not shown) into DC current and controls the motor.

또한,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는 상기 배터리 커넥팅부(510)와 인버터 커넥팅부(5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는 저전압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를 통해 메인 릴레이(200) 및 프리 차지 릴레이(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는 후술하는 Y 커패시터 모듈(600)의 일 부분이므로, Y 커패시터 모듈(600)을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lso, the relay coil connecting portion 6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connecting portion 510 and the inverter connecting portion 520. The relay coil connecting part 650 may be connected to a low voltage battery (not shown).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in relay 200 and the precharge relay 30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lay coil connecting unit 650. [ Since the relay coil connecting portion 650 is a part of the Y capacitor module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Y capacitor module 6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고전압 배터리는 자동차의 주행을 위해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말하며, 저전압 배터리는 모터 이외에 전장 부품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말한다.
In the meantime,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voltage battery i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for driving a motor for driving a motor, and a low-voltage battery i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for operating electric components in addition to a motor It says.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Y 커패시터 모듈(600)가 구비된다. 도4 및 도5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Y 커패시터 모듈(60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A Y capacitor module 60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FIGS. 4 and 5 illustrate the Y capacitor module 600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FIG.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Y 커패시터 모듈(600)는 인쇄회로기판(610,Printed Circuit Board)과, 상기 인쇄회로기판(6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결합부(620, 630, 640)와,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610)에 실장되는 Y 커패시터(660)를 포함한다.4 and 5, the Y capacitor module 60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6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 coupling parts 620, 630, and 640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10 A relay coil connecting part 650, and a Y capacitor 660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10. The Y-

먼저 인쇄회로기판(610)은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패턴은 후술하는 단자 결합부(620, 630, 640),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 및 Y 커패시터(6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printed circuit board 610 includes a support substrate and a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The circuit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 coupling parts 620, 630, and 640, the relay coil connecting part 650, and the Y capacitor 660.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300)의 단자가 결합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640)와, 메인 릴레이(200)의 단자가 결합되는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20, 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는 상기 메인 릴레이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제1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20)와 제2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30)의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20), 제2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30) 및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640) 각각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The terminal coupling unit includes a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unit 640 to which terminals of the precharge relay 300 are coupled and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units 620 and 630 to which the terminals of the main relay 200 are coupled . Here, the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two first relay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s 620 and a second main relay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3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ain relays. The first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20, the second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30, and the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40 are formed as a pair.

상기 단자 결합부(620, 630, 640)는, 상기 단자 결합부(620, 630, 640)에 결합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300) 또는 메인 릴레이 등(200)의 단자가 회로 패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회로 패턴 상에 위치하거나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 결합부(620, 630, 640)는 각각 케이스(100) 내부에서 대응되는 소켓의 하방에 구비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에 구비되는 단자 관통부(미도시)의 하부에 구비된다.
The terminal fittings 620, 630 and 640 may be formed so that terminals of the precharge relay 300 or the main relay 200 coupled to the terminal fittings 620, 630 and 640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And is located on the circuit pattern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The terminal fittings 620, 630, and 640 are provided below the corresponding socket in the case 100, and more specifically, below the terminal fittings (not shown) provided in the socket.

따라서, 제1 메인 릴레이(201)가 제1 메인 릴레이 소켓(1311)에 결합되면, 제1 메인 릴레이(201)의 단자는 단자 관통부를 통과하여 제1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20)에 삽입되며,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When the first main relay 201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relay socket 1311, the terminal of the first main relay 201 is inserted into the first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20 through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또한, 제2 메인 릴레이(202)가 제2 메인 릴레이 소켓(1312)에 결합되면, 제2 메인 릴레이(202)의 단자는 단자 관통부를 통과하여 제2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30)에 삽입되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When the second main relay 202 is coupled to the second main relay socket 1312, the terminal of the second main relay 202 passes through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3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그리고, 프리 차지 릴레이(300)가 프리 차지 릴레이 소켓(132)에 결합되면, 프리 차지 릴레이(300)의 단자는 단자 관통부를 통과하여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640)에 삽입되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When the precharge relay 300 is coupled to the precharge relay socket 132, the terminal of the precharge relay 300 passes through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650)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그라운드 연결부(651)와, 메인 릴레이로 신호가 전달되는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2, 653)와, 프리 차지 릴레이로 신호가 전달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6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2, 653)은 제1 메인 릴레이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2)와, 제2 메인 릴레이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3)를 포함한다.The relay coil connecting portion 650 includes a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connected to the ground, main relay signal input portions 652 and 653 to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main relay, a precharge relay And a signal input unit 654. The main relay signal input units 652 and 653 include a first main relay signal input unit 652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first main relay and a second main relay signal input unit 653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second main relay, .

한편,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651), 제1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2), 제2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3), 및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654)는 각각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the first main relay signal input portion 652, the second main relay signal input portion 653, and the precharge relay signal input portion 654 may each have a pin shape.

Y 커패시터는(660) 제1 커패시터(661)와 제2 커패시터(6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패시터(661) 및 제2 커패시터(662)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610)에 실장되며,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Y capacitor includes a first capacitor 661 and a second capacitor 662 (660). The first capacitor 661 and the second capacitor 662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1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상기 제1 커패시터(661)는 일단이 전력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662)는 일단이 전력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The first capacitor 66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capacitor 66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커패시터(661)의 일단(도5에서 우측단)은 인버터(미도시)의 플러스(+)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도5에서 좌측단)은 회로 패턴에 의해 그라운드 연결부(6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5) of the first capacitor 66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 terminal of the inverter (not shown), and the other end (the left end in FIG. 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by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또한, 제2 커패시터(662) 역시, 일단(도5에서 우측단)은 인버터(미도시)의 플러스(-)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도5에서 좌측단)은 회로 패턴에 의해 그라운드 연결부(6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 terminal of the inverter (not shown), and the other end (left end in FIG. 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651.

이때, 상기 제1 커패시터(661) 및 제2 커패시터(662)의 일단이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함은, 제1 커패시터(661) 및 제2 커패시터(662)의 일단에 연결된 회로 패턴이, 도시되지 않은 버스바(busbar) 또는 전선 등 기타 통전 가능한 물질에 의해 인버터 커넥팅부(520)와 연결되고, 이 인버터 커넥팅부(520)가 파워 릴에이 어셈블리(PRA)의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66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66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er. The circuit patter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661 and the second capacitor 662, The inverter connecting part 520 is connected to the inverter connecting part 520 by a bus bar or an electric wire such as an electric wire and the inverter connecting part 5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er separately from the power re- Lt; / RTI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Y 커패시터(660)는 차량 내부에 안정적인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 내부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리플 전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Y capacitor 660 removes noise included in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battery so that a stable curren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at is, it serves to remove the ripple current generated in the battery inside the vehicle.

한편, 제1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20)를 이루는 한 쌍의 단자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단자 결합부(621)는 회로 패턴에 의해 제1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2)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단자 결합부(622)는 회로 패턴에 의해 그라운드 연결부(651)에 연결된다.One of the pair of terminal coupling parts constituting the first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art 6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ain relay signal input part 652 by a circuit pattern, The terminal fitting portion 622 of the terminal block 621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by a circuit pattern.

또한, 제2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630)를 이루는 한 쌍의 단자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단자 결합부(631)는 회로 패턴에 의해 그라운드 연결부(651)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단자 결합부(632)는 회로 패턴에 의해 제2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652)에 연결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s 631 constituting the second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30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by a circuit pattern, (6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lay signal input part (652) by a circuit pattern.

또한,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640)를 이루는 한 쌍의 단자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단자 결합부(641)는 회로 패턴에 의해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654)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단자 결합부(642)는 회로 패턴에 의해 그라운드 연결부(651)에 연결된다.One of the pair of terminal coupling portions 641 constituting the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40 is connected to the precharge relay signal input portion 654 by a circuit pattern, The engaging portion 642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651 by a circuit pattern.

상기와 같이 Y 커패시터 모듈이 인쇄회로기판(6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610)에 실장되는 Y 커패시터(660)및 단자 결합부(620, 630, 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므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전체의 부피를 줄일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Y capacitor modul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610 and a Y capacitor 660 and terminal connectors 620, 630 and 640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10, and the case 100 The volume of the entire power relay assembly can be reduc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space utilization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케이스 110: 상부 케이스
120: 하부 케이스 131: 메인 릴레이 소켓
1311: 제1 메인 릴레이 소켓 1312: 제2 메인 릴레이 소켓
132: 프리 차지 릴레이 소켓 133: 프리 차지 레지스터 소켓
200: 메인 릴레이 201: 제1 메인 릴레이
202: 제2 메인 릴레이 300: 프리 차지 릴레이
400: 프리 차지 레지스터 510: 배터리 커넥팅부
520: 인버터 커넥팅부 600: Y 커패시터 모듈
610: 인쇄회로기판(PCB) 620: 제1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
630: 제2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 640: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
650: 릴레이 코일 커넥팅부 651: 그라운드 연결부
652: 제1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 653: 제2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
654: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
100: Case 110: Upper case
120: Lower case 131: Main relay socket
1311: first main relay socket 1312: second main relay socket
132: Precharge relay socket 133: Precharge register socket
200: main relay 201: first main relay
202: Second main relay 300: Precharge relay
400: precharge register 510: battery connecting portion
520: inverter connecting part 600: Y capacitor module
610: printed circuit board (PCB) 620: first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30: second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40: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650: Relay coil connecting part 651: Ground connection part
652: first main relay signal input section 653: second main relay signal input section
654: Precharge relay signal input part

Claims (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모터 사이에 구비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Y 커패시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Y 커패시터 모듈은,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일단이 전력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일단이 전력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A power relay assembly provided between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motor,
A case;
And a Y capacitor module provided inside the case,
Wherein the Y capacitor module comprises: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support substrate and a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A first capaci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capaci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relay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그라운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그라운드 연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와 회로 패턴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round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ground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art through a circuit pattern
Power relay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핀 형상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has a fin-
Power relay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인버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버터 커넥팅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인버터 커넥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 inverter connecting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inverter is coupled to the case,
The circuit patter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er connecting portion
Power relay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메인 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메인 릴레이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와, 메인 릴레이로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메인 릴레이 단자 결합부는 회로 패턴에 의해 상기 메인 릴레이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ain relay coupled to the case,
A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terminal of the main relay is inserted an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ain relay signal input por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main relay,
The main relay terminal coupling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relay signal input part and the ground connection part by a circuit pattern
Power relay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s.
제5항에 있어서,
케이스에 결합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프리 차지 릴레이 단자 결합부와, 프리 차지 릴레이로 신호를 전달하는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프리 차지 단자 결합부는 회로 패턴에 의해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recharge relay coupled to the case,
Wherein the pre-charge relay terminal coupling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e-charge relay terminal by inserting a terminal of the pre-charge relay and a pre-charge relay signal input part for transferring a signal to the pre-
The precharge terminal coupl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recharge relay signal input portion and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by a circuit pattern
Power relay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s.
KR1020130034813A 2013-03-29 2013-03-29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KR101758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13A KR101758416B1 (en) 2013-03-29 2013-03-29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13A KR101758416B1 (en) 2013-03-29 2013-03-29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602A true KR20140118602A (en) 2014-10-08
KR101758416B1 KR101758416B1 (en) 2017-07-26

Family

ID=5199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813A KR101758416B1 (en) 2013-03-29 2013-03-29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4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13A (en) * 2016-12-27 2018-07-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Matrix apparatus for aircraft
WO2024090838A1 (en) * 2022-10-25 2024-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otor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7001B2 (en) * 2006-12-19 2010-04-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ower control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13A (en) * 2016-12-27 2018-07-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Matrix apparatus for aircraft
WO2024090838A1 (en) * 2022-10-25 2024-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oto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416B1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623B1 (en)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assembly
KR101758415B1 (en)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KR102085344B1 (en) Battery pack for a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13099499A1 (en) Power supply apparatus, circuit board, vehicle provided with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 storage apparatus
JP6162369B2 (en) Power supply
CN103444032A (en) High-voltage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420293B2 (en) Connector structure and electric vehicle
JP2009059663A (en) Storage battery unit
CN103826925B (en) For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box of motor vehicle driven by mixed power
CN212148434U (en) Power distribution assembly and vehicle-mounted power distribution device
JP6392814B2 (en) Power distributor device
CN113241884A (en) Three-phase wire holder of electric drive system and vehicle
CN105375178B (en) Connection system for protection panels of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and rack comprising such a system
CN210839411U (en) Filter module, motor controller and motor controller assembly
KR101758416B1 (en)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KR101491323B1 (en) Safety connector for high voltage battery
CN102098874A (en) Central electrical appliance box printed wiring board of vehicle
CN210133022U (en) Vehicle-mounted charger internal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mounted charger
CN112531428A (en) Battery package coupling assembling, battery package module and battery package
CN217730373U (en) High-voltage distribution box
CN219498215U (en) High-voltage input wiring module for automobile driving motor controller
CN109068525A (en) A kind of standard PC case structure of DC-DC power module
CN221043572U (en) Charging gun control box and charging gun
CN210379245U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motor vehicle with same
CN210852333U (en) Device for ensuring reliable connection of external plug-in of high-voltage distribution box to enable high voltage to be conduc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