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571A -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 Google Patents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571A
KR20140118571A KR1020130034736A KR20130034736A KR20140118571A KR 20140118571 A KR20140118571 A KR 20140118571A KR 1020130034736 A KR1020130034736 A KR 1020130034736A KR 20130034736 A KR20130034736 A KR 20130034736A KR 20140118571 A KR20140118571 A KR 20140118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nozzle
mold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mol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3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571A/ko
Publication of KR2014011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22D11/002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005Manufacture of stainless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이 구비된 몰드 내로 몰드파우더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으로, 상기 몰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제1 면과 제2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몰드파우더는 침지노즐을 통하여 투입되되 상기 침지노즐을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침지노즐의 폭 (b)은 하기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되는 표면품질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 b < a1 + a2
여기에서, 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침지노즐의 폭이고, a1은 상기 제1 면과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며, a2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Description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Continuous casting method using the mold powder}
본 발명은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주조에서 몰드파우더를 이용하여 강의 디프레션 및 블랙라인 (black line) 결함을 저감시키고 표면품질이 향상시키는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304강은 범용 및 일반강으로 생산되어 내식성, 내열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주방용품, 가정용품, 건축자재 등에 사용된다. 이때, 상기 304강을 연속주조로 제조하는 경우, 상기 연속주조에서 사용되는 몰드파우더 중의 탄소의 함량이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코일에서 블랙라인 등과 같은 블랙벤드성 결함이 냉연코일에서 발생이 다발하여 문제가 된다. 이때, 상기 블랙벤드성 결합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공정에서 추가로 코일 정정 또는 코일 연삭 등의 CG (Coil Grinding) 처리를 필요로 하는 등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한다.
통상,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에서 304강용 몰드파우더는 상기 몰드파우더의 염기도를 높이고, 탄소를 첨가하여 발열 반응에 의해서 몰드파우더 용융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사용되었다. 이때, 상기 몰드파우터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δ-Fe(델타-페라이트)에서 γ-Fe(감마-페라이트)로의 변환되는 포정반응으로 인하여 수축되고, 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디프레션 (depression)을 저감한다는 보고가 있다. 반면, 상기 몰드파우더 중에 첨가된 탄소는 주편에 혼입되고 이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코일에서 블랙라인 결합을 유발하며, 이는 대부분 주조초기에 발생한다. 이와 같은, 블랙라인 결합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공정에서는 추가의 CG처리 공정을 필료로 하고, 이는 고비용이 소요되며, 실수율이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추가의 CG처리 공정 등을 생략함과 동시 디프레션 및 블랙라인 결함 저감시킬 수 있는 몰드파우더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플레션 및 블랙라인 등의 표면결함을 저감시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주조로 제조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코일에 나타나는 블랙라인 저감을 위한 몰드 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이 구비된 몰드 내로 몰드파우더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으로, 상기 몰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제1 면과 제2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몰드파우더는 침지노즐을 통하여 투입되되 상기 침지노즐을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침지노즐의 폭 (b)은 하기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되는 표면품질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 b < a1 + a2
여기에서, 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침지노즐의 폭이고, a1은 상기 제1 면과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며, a2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몰드의 중심선은 상기 침지노즐의 중심선과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침지노즐을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몰드의 중심부는 상기 침지노즐의 중심부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침지노즐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서 수직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몰드파우더는 중량%로, SiO2 : 30.89~34.29%, CaO : 31.09~34.56%, F : 6.12~8.50%를 포함하고, 염기도는 0.92 내지 1.08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플레션 및 블랙라인 등의 표면결함을 저감시킨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연속주조로 제조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코일에 나타나는 블랙라인 저감을 위한 몰드 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파우더의 투입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몰드파우더의 투입 위치에 따른 디프레션 발생 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디프레션 결함이 표면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블랙라인 결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파우더의 투입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이 구비된 몰드 내로 몰드파우더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으로, 상기 몰드 (200)는 제1 방향 (y)으로 서로 대면하는 제1 면 (210)과 제2 면 (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몰드파우더는 침지노즐 (100)을 통하여 투입되되 상기 침지노즐 (100)을 상기 제1 면 (210) 및 제2 면 (220) 사이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침지노즐 (100)의 폭 (b)은 하기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되는 표면품질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 b < a1 + a2
여기에서, 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침지노즐의 폭이고, a1은 상기 제1 면과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며, a2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상기 몰드파우더는 중량%로, SiO2 : 30.89~34.29%, CaO : 31.09~34.56%, F : 6.12~8.50%를 포함하고, 염기도 : 0.92~1.08일 수 있다. 이하, %는 중량%를 의미한다.
SiO2 : 30.89~34.29%
상기 SiO2는 본 발명에서 염기도를 결정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30.89% 미만이거나 34.29%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CaO 함량에 따른 염기도를 만족할 수 없으므로, 그 함량을 30.89~34.29%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O : 31.09~34.56%
상기 CaO도 본 발명에서 염기도를 결정하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31.09% 미만이거나 34.56%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SiO2함량에 따른 염기도를 만족할 수 없으므로, 그 함량을 31.09~34.56%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2O3: 5.23~7.36%
상기 Al2O3는 통상적으로 점도를 증가시키나 결정화온도 및 응고온도를 낮추는 성분이기도 하다. 그 함량이 5.23% 미만이면 점도가 낮아져서 몰드파우더의 유동성은 좋아지나 소모량이 늘어나고, 7.36%를 초과하면 몰드파우더내 점도는 증가하나 브레이크 아웃의 위험성이 커진다. 따라서, 그 함량을 5.23~7.36%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2O: 8.12~10.50%
상기 Na2O는 몰드파우더의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8.12%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50%를 초과하면 Al2O3를 과도하게 흡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8.12~10.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 6.12~8.50%
상기 F는 점도를 저하시키고 몰드파우더의 결정화온도 및 용융온도를 저하시키는 성분으로, 그 함량이 6.12% 미만이면 점도, 결정화온도 및 용융온도가 높아지고, 8.50%를 초과하면 몰드파우더의 소모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그 함량을 6.12~8.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 C: 2.0~3.0%
상기 프리 C (C-free)는 몰드파우더의 용융속도를 감소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2.0%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0%를 초과하면 몰드파우더내 탄소가 용강중으로 침탄하여 표면크랙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2.0~3.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 이외에 나머지는 연소손실 (loss of ignition, LoI)이며, 기타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로는 예를 들면 MgO, MnO, P2O5, K2O, Fe2O3 및 수분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파우더는 상기한 성분 조성을 만족함과 아울러 0.92~1.08 범위의 염기도(CaO/SiO2)를 갖을 수 있다. 염기도에 따라 용강열에 의한 몰드 파우더의 용융, 몰드 슬래그 풀 형성 및 몰드와 주편사이로의 몰드 파우더의 윤활 특성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한 염기도 범위는 고점도 조건에서 몰드 파우더의 소모가 적어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몰드파우더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몰드 (200) 내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이 구비되고, 상기 몰드 (200)의 상부측에는 침지노즐 (100)이 구비되어 상기 침지노즐 (100)을 통하여 투입되는 몰드파우더는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을 향하여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몰드 (200)의 중심선 (점선)은 상기 침지노즐 (100)의 중심선과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드 (200)의 상부측으로 구비되는 침지노즐 (100)은 상기 침지노즐 (100)의 중심선이 몰드 (200)의 중심선 (점선)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몰드 (200)는 대략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침지노즐 (100)을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몰드 (200)의 중심부 (230)는 상기 침지노즐 (100)의 중심부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 (200)의 중심부 (230)와 침지노즐 (100)의 중심부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에는, 하기 식과 같이 몰들 (200)와 침지노즐 (100)의 폭 (d)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식 : b < a1 + a2
여기에서, 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침지노즐 (100)의 폭이고, a1은 상기 제1 면 (210)과 침지노즐 (100)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며, a2는 상기 제2 면 (220)과 상기 침지노즐 (100)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또한, 상기 침지노즐 (100)은 상기 제1 면 (210)과 제2 면 (220)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수직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침지노즐 (100)의 폭 (b)과, 상기 제1 및 제2 면 (210, 22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경우에는, 상기 침지노즐 (100)의 외면과 제1 면 (210) 사이의 최단거리 (a1)가 증가하면, 상기 침지노즐 (100)의 외면과 제2 면 (210) 사이의 최단거리 (a2)가 그에 해당하는 만큼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04강)의 용강이 구비된 몰드 내로 침지노즐을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몰드파우더를 투입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를 실시하여 슬라브로 제작하였다. 이때, 침지노즐은 몰드의 제1 면 및 제2 면 사이를 향하며, 침지노즐의 폭 (b)과, 상기 침지노즐의 외면과 몰드의 제1 면 사이의 최단거리 (a1) 및 침지노즐의 외면과 몰드의 제2 면 사이의 최단거리 (a2)를 달리하면서 몰드파우더를 투입하고, 이 후 슬라브로 제작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04강)에서의 디프레션 및 블랙라인 결함을 확인하였다.
성분(wt.%) SiO2 CaO MgO Al2O3 Fe2O3 Na2O F Li2O C-free 연소손실 염기도
몰드
파우더
32.54 32.56 0.96 6.70 0.94 9.42 6.34 1.40 2.50 6.64 1.00
도 2는 몰드파우더의 투입 위치에 따른 디프레션 발생 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는 디프레션 결함이 표면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침지노즐의 폭 (b)을 변화시키고, 또는 몰드의 제1 및 제2 면 사이에서 상기 침지노즐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제1 면과 침지노즐의 외면사이의 최단거리 (a1) 및 제2 면과 침지노즐의 외면 사이의 최단거리 (a2)의 합을 변화시켜 상기 침지노즐을 통하여 표 1의 몰드파우더를 투입하였다. 이때, 상기 침지노즐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변화시켰다 (도 1 참조). (a1+a2)에 대한 침지노즐의 폭 (b)을 변화시키면서 디프레션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2에서 디프레션이 5 이하는 양호한 표면품질을 갖음을 의미하고, 디프레션이 5 초과인 경우에는 표면품질이 불량함을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a1+a2)가 침지노즐의 폭 (b)보다 작은 경우에는 디프레션이 5 초과로, 표면품질이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a1+a2)가 침지노즐의 폭 (b)보다 큰 경우에는, 그 이후부터는 디프레션이 5 이하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연속주조함에 있어서, 침지노즐 부근의 높은 온도로 인하여 몰드파우더가 불완전하게 혼입되고,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표면에 몰드파우더가 불균일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주편으로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센터부근에서 주로 디프레션이 발생한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a1+a2)가 침지노즐의 폭 (b)보다 크게 한 후, 상기 침지노즐을 통하여 몰드 내로 몰드파우더를 투입한 경우에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 표면 상으로 몰드파우더가 균일하게 분배되었으며, 따라서 디프레션 결함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도 2에서 디프레션 결함이 10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디프레션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상면 중심부에서 1 내지 2줄로 발생하는 표면불량으로, 대략 깊이는 0.5mm 내지 1mm이고, 폭은 2mm 내지 5mm 정도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디프레션이 발생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G처리, 예컨대 코일 정정, 코일 연삭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더 필요로하므로, 공정효율을 감소시키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생산비를 증가시킨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라 몰드파우더를 투입한 경우에는, 즉 침지노즐의 폭 (b)을 (a1+a2)보다 작게 구비시킨 경우에는 디프레션 결합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미미하여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블랙라인 결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 1에 기재된 몰드파우더를 상기 침지노즐을 이용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이 구비된 몰드 내에 투입하여 연속주조한 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코일로 제조하였다. 도 4에 기재된 비교예는 (a1+a2)를 침지노즐의 폭 (b)보다 더 크게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값을 나타낸 결과이고, 도 4에 기재된 실시예는 (a1+a2)를 침지노즐의 폭 (b)보다 더 작게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값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에서, 블랙라인 결합이 6 이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품질이 양호하므로 별도의 CG처리 등을 생략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6 초과, 예컨대 12 초과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품질이 불량하여 별도의 CG처리를 추가해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파우더를 추가한 경우인 실시예는 평균적으로 블랙라인 결함이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교예의 경우에는 실시예에 비하여 대략 블랙라인 결합이 2배 이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MLAC 적중율이 비교예에 비해 향상된 결과 블랙라인 결함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a의 경우에는 블랙라인 결함이 나타나지 않고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 5b의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서 상면 및 하면에 모두 블랙라인 결함이 나타났다. 블랙라인 결함은 표면에 매끄럽고 검은 색상의 띠 또는 V자 형태로 나타났으며, 대락 10mm 정도의 폭과 200mm 정도의 길이로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블랙라인은 대부분은 몰드파우더에 첨가된 탄소의 주편혼입으로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중량%로, SiO2 : 30.89~34.29%, CaO : 31.09~34.56%, F : 6.12~8.50%를 포함하고, 염기도 : 0.92~1.08인 몰드파우더를 투입한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코일에서의 블랙라인 발생률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몰드파우더를 투입한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표면에서의 디프레션 결함 및 블랙라인 결함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CG처리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표면처리 공정이 없이도 표면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생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침지노즐 200 : 몰드
210 : 제1 면 220 : 제2 면

Claims (5)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이 구비된 몰드 내로 몰드파우더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으로,
    상기 몰드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제1 면과 제2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몰드파우더는 침지노즐을 통하여 투입되되 상기 침지노즐을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침지노즐의 폭 (b)은 하기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되는 표면품질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
    식 : b < a1 + a2
    여기에서, 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침지노즐의 폭이고, a1은 상기 제1 면과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며, a2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침지노즐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몰드의 중심선은 상기 침지노즐의 중심선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침지노즐을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몰드의 중심부는 상기 침지노즐의 중심부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노즐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서 수직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파우더는 중량%로, SiO2 : 30.89~34.29%, CaO : 31.09~34.56%, F : 6.12~8.50%를 포함하고, 염기도는 0.92 내지 1.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속주조방법.
KR1020130034736A 2013-03-29 2013-03-29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20140118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736A KR20140118571A (ko) 2013-03-29 2013-03-29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736A KR20140118571A (ko) 2013-03-29 2013-03-29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571A true KR20140118571A (ko) 2014-10-08

Family

ID=5199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736A KR20140118571A (ko) 2013-03-29 2013-03-29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030A1 (ko) * 2015-09-24 2017-03-30 (주)포스코 주편의 연속 주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030A1 (ko) * 2015-09-24 2017-03-30 (주)포스코 주편의 연속 주조 방법
KR20170036973A (ko)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의 연속 주조 방법
CN107206476A (zh) * 2015-09-24 2017-09-26 株式会社Posco 连续的板坯铸造方法
JP2018501962A (ja) * 2015-09-24 2018-01-25 ポスコPosco 鋳片の連続鋳造方法
EP3354371A4 (en) * 2015-09-24 2018-08-08 Posco Continuous slab casting method
CN107206476B (zh) * 2015-09-24 2019-08-13 株式会社Posco 连续的板坯铸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3668B (zh) 玻璃组合物、化学强化用玻璃组合物、强化玻璃物品、以及显示器用保护玻璃
CN102658452A (zh) 一种铜钢覆合用铜带加工工艺方法
KR20160105854A (ko) 고탄소 강선재 및 그 제조 방법
TW201307235A (zh) 具高壓縮應力的離子可交換玻璃
TW201632632A (zh) 無方向性電磁鋼板及其製造方法
CN101760701A (zh) 一种合金塑料模具钢板及其生产方法
JP5083143B2 (ja) 高Al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フラックス及び鋳片の製造方法
KR20140118571A (ko) 몰드파우더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JP2013091082A (ja) 低温用鋼の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
KR20130009472A (ko) 연속주조용 몰드파우더
KR101727803B1 (ko) 고탄소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KR10065077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CN107671250A (zh) 一种海洋平台用中锰钢连铸保护渣
CN106624449A (zh) 一种海洋工程大厚板热处理用药芯焊丝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39536B1 (ko) 래들 단열 보온재 및 이를 이용한 용강 보온 방법
KR101372958B1 (ko) 전기로용 내화물
KR101253901B1 (ko) 디스케일링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N114054698B (zh) 一种超高铝钢用无氟环保型连铸保护渣
KR101185275B1 (ko) 청정강 제조방법
KR101340448B1 (ko)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용 소결형 플럭스
KR101353097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용 강의 제조 방법
KR100650779B1 (ko) 저탄소계 스테인레스 불룸용 몰드 파우더
KR101458202B1 (ko) 전기로 제강조업 중 턴디쉬 플럭스 투입방법
KR101515028B1 (ko) 청정강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턴디쉬 플럭스
KR101505407B1 (ko) 워크롤 제조용 플럭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