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309A -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 Google Patents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309A
KR20140118309A KR1020130033944A KR20130033944A KR20140118309A KR 20140118309 A KR20140118309 A KR 20140118309A KR 1020130033944 A KR1020130033944 A KR 1020130033944A KR 20130033944 A KR20130033944 A KR 20130033944A KR 20140118309 A KR20140118309 A KR 20140118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present
part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087B1 (ko
Inventor
이동열
고형열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16Special arrangements of articles in storage spaces
    • B65G1/20Articles arranged in layers with spaces betwe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베이스 부와; 상기 베이스 부 상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수평 회전 가능한 다수의 회전부; 및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에 설치되며, 차체 부품의 곡률이 형성된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체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TRANSFER JIG FOR PARTS OF A CAR BODY}
본 발명은 차체 운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판의 차체 부품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에는 다양한 형상의 부품이 사용된다.
이 중, 곡률이 형성되고 박판을 이루는 부품은 이송시 자체 하중으로 인해 하방으로 처지지 않도록 적재 및 운반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체 조립시 외형 변화가 없어야 조립 불량 및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00986호(공개일 : 2004년 01월 07일)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체 부품을 이송하는 로봇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판으로 형성되는 차체 부품을 안정적으로 적재함과 아울러 이동 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곡률을 갖는 차체 부품을 부품 별로 안정적으로 적재 및 이동할 수 있는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와; 상기 베이스 부 상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수평 회전 가능한 다수의 회전부; 및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에 설치되며, 차체 부품의 곡률이 형성된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체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돌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유닛 각각은,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차체 부품의 저면 곡률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 부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블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지지 블록 각각은,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 부품 운반 장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는,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베이스와, 상기 서브 베이스를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구동기를 구비하는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부들 중 설정된 개수 이상이 회전 동작되면, 상기 구동기를 사용하여 상기 서브 베이스를 상기 메인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박판으로 형성되는 차체 부품을 안정적으로 적재함과 아울러 이동 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곡률을 갖는 차체 부품을 부품 별로 안정적으로 적재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부품 자체의 자중에 의해 곡률이 큰 부위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에 부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블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의 다른 작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에 부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는 크게 베이스 부(100)와, 다수의 회전부(200)와, 지지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100)는 수평으로 돌출 및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100)는 메인 베이스(110)와, 상기 메인 베이스(1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 및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서브 베이스(1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100)는 구동기(130)를 구비하고, 이 구동기(130)는 외부에서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서브 베이스(120)를 메인 베이스(110)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130)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고, 상기 메인 베이스(110)와 서브 베이스(120)는 레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전부(200)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전부(200)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 동작 가능하고, 메인 베이스(110)의 일측부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적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각각의 회전부(200)의 일측부에 설치되도록 다수의 지지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 유닛 각각은 지지 플레이트(310)와, 다수의 지지 블록(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는 해당 회전부(200)의 측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310)는 해당 회전부(200)의 일측부에서 탈착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지지 블록(320)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단 다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 블록(320)의 상단은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곡률은 차체 부품(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곡률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지지 블록(320) 역시 지지 프레임(310)의 상단에서 끼움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곡률이 다른 부품을 지지하는 경우, 다른 지지 볼록으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지지 블록(320)의 상단부에는 다층의 탄성층이 형성된다.
다층의 탄성층은 서로 탄성 계수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외곽층이 손상되더라도 다음층의 탄성층이 부품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지지 유닛은 다수의 지지 블록들(320)에 의해 박판 형상의 차체 부품(10)의 저면의 곡률에 밀착되도록 부품(10)을 지지한다.
따라서, 박판의 차체 부품(10)의 처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200회전부()는 소정 위치에 위치되는 부품(10)을 다른 위치로 회전 위치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는 서브 베이스(120)는 메인 베이스(110)로부터 돌출되어, 어느 하나이상의 지지 유닛이 회전됨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블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각각의 지지 블록(320')은 탄성체(32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블록(320')은 곡률이 형성된 상단 블록(321)과, 지지 프레임(310)에 고정되는 하단 블록(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323)는 다수의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 블록(321)과 하단 블록(322)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곡률이 형성된 부품(10)이 다수의 지지 블록(320')의 상단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경우, 탄성체(323)의 탄성력으로 인해 부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10)이 회전되는 경우, 회전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이 부품(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10)의 지지 상태의 틀어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의 다른 작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는 지지 프레임(310)의 회전되는 개수에 따라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다수의 회전부(200)와 구동기(130)는 제어 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 유닛(400)에는 무게 중심이 변경됨에 따르는 서브 베이스(120)의 돌출 길이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수의 지지 유닛에 부품(10)이 안착되고, 소정의 위치에 있는 지지 플레이트(310)가 회전되면, 제어 유닛(400)은 회전부(200)의 작동을 체크하여 회전부(200)의 구동 개수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400)은 회전부(200)의 구동 개수에 따라 설정된 무게 중심에 해당되는 돌출 길이를 이루도록 구동기(130)를 제어한다.
따라서, 서브 베이스(120)는 구동기(130)의 구동으로 인해, 해당 돌출 길이를 이루도록 돌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부(100) 자체의 무게 중심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지지 프레임들(310)이 회전됨으로 인해 베이스 부의 중심이 틀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체 부품 운반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체 부품 100 : 베이스 부
110 : 메인 베이스 120 : 서브 베이스
130 : 구동기 200 : 회전부
300 : 지지 유닛 310 : 지지 프레임
320 : 지지 블록 321 : 상단 블록
322 : 하단 블록 323 : 탄성체
400 ; 제어 유닛

Claims (6)

  1. 베이스 부;
    상기 베이스 부 상에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수평 회전 가능한 다수의 회전부; 및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에 설치되며, 차체 부품의 곡률이 형성된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차체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돌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 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 유닛 각각은,
    상기 다수의 회전부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차체 부품의 저면 곡률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 부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블록 각각은,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품 운반 장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는,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베이스와, 상기 서브 베이스를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구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부들 중 설정된 개수 이상이 회전 동작되면, 상기 구동기를 사용하여 상기 서브 베이스를 상기 메인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부품 운반 장치.

KR1020130033944A 2013-03-28 2013-03-28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KR10146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44A KR101467087B1 (ko) 2013-03-28 2013-03-28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44A KR101467087B1 (ko) 2013-03-28 2013-03-28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309A true KR20140118309A (ko) 2014-10-08
KR101467087B1 KR101467087B1 (ko) 2014-12-01

Family

ID=5199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944A KR101467087B1 (ko) 2013-03-28 2013-03-28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0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4021A (zh) * 2015-12-17 2016-05-11 东莞市秦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设有收纳装置的导光板降温设备
CN107901973A (zh) * 2017-12-19 2018-04-13 福建志坤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功能的废弃线路板搬运车
WO2019208871A1 (ko) * 2018-04-25 2019-10-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물류이송 케이블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0987A (ja) * 1985-11-21 1987-06-02 岡 泰夫 砥石収納装置
KR19980020082U (ko) * 1996-10-07 1998-07-15 최상만 중량체의 위치가 변하는 지게차
KR200153672Y1 (ko) * 1997-07-31 1999-08-02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패널 적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4021A (zh) * 2015-12-17 2016-05-11 东莞市秦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设有收纳装置的导光板降温设备
CN105564021B (zh) * 2015-12-17 2017-12-15 江苏实为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设有收纳装置的导光板降温设备
CN107901973A (zh) * 2017-12-19 2018-04-13 福建志坤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功能的废弃线路板搬运车
WO2019208871A1 (ko) * 2018-04-25 2019-10-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물류이송 케이블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087B1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8153B2 (ja) バッテリユニット装着装置、及び、バッテリユニット装着構造
US9731949B2 (en) Elevating apparatus
KR101467087B1 (ko) 차체 부품 운반용 지그
KR20130036307A (ko) 판형 부재 이재 설비
US20170001531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vehicle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EP3659755A2 (en) Omnidirectional platform and omnidirectional transporter
WO2011013338A1 (ja) 搬送システム及びその設定方法
US20230294919A1 (en) Shuttle vehicle level-switching hoist for stereoscopic warehouse and shuttle vehicle conveying device
JP2020505288A (ja) 保管システム車両
JP6769336B2 (ja) 物品搬送車
US20190198370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CN112309929B (zh) 具备行驶及引导功能的滚轮单元及利用其的托盘移送系统
US20170282313A1 (en) Seat frame assembl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at frame
KR20180065300A (ko) 어태치먼트,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장치
JP6927506B2 (ja) 走行及びガイド機能を備えるレールターンモジュール並びにそれを利用するパレット移送システム
CN102992642B (zh) 基板供给装置
US20150210519A1 (en) Stacker crane
JP7400775B2 (ja) 天井搬送車
US20230142253A1 (en) Container handling vehicle comprising a container carrying position, associated system and methods
JP2008133115A (ja) ワーク取り出し方法及びワーク取り出し装置
KR102337179B1 (ko) 물품 반송 장치
KR101118063B1 (ko) 자기부상식 이송시스템
KR20110079182A (ko) 발광 소자 장착 장치 및 방법
JP6927505B2 (ja) 走行及びガイド機能を備える走行レール並びにそれを利用するパレット移送システム
KR102484200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