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073A -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073A
KR20140117073A KR1020130031963A KR20130031963A KR20140117073A KR 20140117073 A KR20140117073 A KR 20140117073A KR 1020130031963 A KR1020130031963 A KR 1020130031963A KR 20130031963 A KR20130031963 A KR 20130031963A KR 20140117073 A KR20140117073 A KR 20140117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er
interest
call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924B1 (ko
Inventor
김용태
이효진
이창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3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924B1/ko
Priority to US14/224,491 priority patent/US9106757B2/en
Priority to JP2014064247A priority patent/JP2014192900A/ja
Publication of KR2014011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해야 할 목록)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 중 선택된 키워드를 기초로 인터넷/포털 사이트와 같은 검색 도구를 통해 해당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표시된 To-do list 정보 중 선택된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앱(APP)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반복되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To-do list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으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Terminal,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mmunication-based Interests}
본 발명은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이란 음성을 컴퓨터가 분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키보드 등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음성으로 빠르고 쉽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는 기술 중 하나다.
스마트폰에서 음성인식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응용되어 사용되고 왔다. 아이폰은 음성 명령 기능을 제공하여 앱 실행 등 간단한 명령을 음성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했고, 구글은 음성으로 웹 검색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다른 언어로 말해주는 번역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의 음정이 바른지 검사해주는 애플리케이션들도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예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시리'의 등장은 음성인식 기술의 새로운 도약을 제시했다. 시리(Siri: Speech Interpretation and Recognition Interface)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음성인식 서비스로 2011년 아이폰4S에 처음 등장했다. 원래는 군사용으로 개발된 CALO 프로젝트의 일부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개발된 것으로 아이폰 3GS에 애플리케이션으로 처음 제공되어 많은 인기를 누리다가 2010년 4월 애플에서 시리를 독점 인수하여 현재의 애플의 시리가 탄생하게 되었다. 시리의 특징은 단순히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모든 작업을 한 번의 음성 명령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학습인식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대화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센터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질의에 대한 답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시리가 유독 인기를 끌었던 이유는 사람과 대화하듯이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이었다. 기존의 음성인식 서비스들이 지정된 형태의 문장으로 말해야만 성공적으로 인식되었던 것에 비하면 가히 놀랄만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삼성전자의 S보이스, LG전자의 Q보이스, 펜텍의 스마트보이스 등 음성인식 서비스들이 등장하며,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전술한 기존의 음성인식 서비스들은 음성 명령에 따른 단말 제어(예를 들어, 음성 명령에 따른 통화연결, 알람, 일정 관리, 메일/문자 발송 등), 음성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궁금할 만한 사항에 대한 검색 지원(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연결 등)과 같은 기능에 특화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수동적 동작에 기반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8793호 (2008.07.2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은, 자신 및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예를 들어,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해야 할 목록)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를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 도구를 통해 해당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 및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앱(APP)을 실행시키기 위한 (To-do list) 실행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방 정보는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반복)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상 특징점(또는 발화상 특징이라 칭함)을 기초로 추출된 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To-do list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일 예로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예를 들어, 반복 횟수 등)을 기초로 해당 단어의 표시 순위를 조정하여 표시하거나, 다른 예로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예를 들어, 반복 횟수 등)을 기초로 해당 단어의 글자색, 글자 모양, 또는 글자 크기 등을 조정하거나 글자 주변 이미지의 크기, 모양, 색상 등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일 예로 통화 중에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갱신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에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되어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는, 가입자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예를 들어,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가입자의 해당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로그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방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반복)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 특징을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발화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을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To-do list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일 예로 통화 중에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에는 상기 정보 저장부에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자신 및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예를 들어,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해야 할 목록)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를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b)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중 선택된 키워드를 기초로 인터넷/포털 사이트와 같은 검색 도구를 통해 해당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단계; 또는 (c)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To-do list 정보 중 선택된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앱(APP)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방 정보는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 발화상 특징점이 있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To-do list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일 예로 상기 단어의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어의 표시 순위를 조정하여 표시하거나, 다른 예로 상기 단어의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어의 글자색, 글자 모양, 글자 크기 또는 글자 주변 이미지의 크기, 모양, 색상 등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일 예로 통화 중에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갱신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에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되어 로그 저장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예를 들어,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를 추출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추출된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가입자의 해당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c)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로그 저장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방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일 예로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 특징이 있는 단어를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는 다른 예로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을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To-do list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일 예로 해당하는 단말들간에 통화 중에는 상기 단계 (a)에서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에는 상기 단계 (b)에서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가입자의 관심사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영상 통화 및 채팅 등과 같은 통신 시 능동적으로 동작한다는 점에서 기존 서비스들과의 차이가 있고, 또한 참여자들의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관심사를 자동으로 캐치하는 능동적 동작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발설할 경우 동작했던 기존 음성인식 서비스와는 차별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 솔루션과 상황인지 솔루션을 바탕으로, 대화 참여자간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기초로 주요 키워드 또는 관심분야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해주고 사용자는 대화 중 또는 대화 종료 후 해당 키워드를 활용하고 다시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통화/대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들이 포함된 경우 해당 문장을 텍스트(text)화 하여 To-do list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 내 연관된 앱(App)을 불러와 원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 정리할 필요가 없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통화 상대방과 통화 중 또는 통화 종료 후 키워드 기반 검색 결과를 공유하는 장을 제공하여 대화 참여자들간 의사결정을 조력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통화 내용 중 추출된 정보를 로그화 하여, 지난 통화 목록의 키워드 조회만으로 당시 통화 내용을 상기시키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즐거움까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통화/영상통화/채팅 종료 후 별도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검색하거나, 별도의 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던 절차를 간소화하여 통화 중 또는 종료 후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바(검색, 메모, 예약 과정 등)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결과를 라이프 로그(life log)화하여 컨텐츠로 이용함에 따라 또 다른 사회적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관심 목록 정보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To-do list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통화 중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통화 완료 후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 단말 A(20A), 단말 B(20B), 및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단말 A(20A), 단말 B(20B), 및 서버(3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단말 A(20A)와 단말 B(20B) 중 하나는 발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상대방 수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서버(30)는 단말 A(20A)와 단말 B(20B) 간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 정보, 해야 할 목록(이하, To-do list라 칭함)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화자(발신자 및/또는 수신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로그화 하여 저장(이하 로그 저장이라 통칭 함)하며, 그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 또는 로그 저장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 중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솔루션, 상황 인지 솔루션, 관심 키워드 추출 로직, 및 통화/채팅 결과 정리 기능 등을 가진 서비스 서버, 및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된 통화/채팅 결과 정리 정보로서의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 즉,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을 로그 저장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그 저장이라 함은 해당 통화자, 실시간 통화 내용 중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 및 통화 일시 등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 검색부(23), 및 To-do list 실행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A(20A)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부(21)는 가입자인 자신의 단말 A(20A)와 상대방 단말 B(20B) 간의 통화 내용에서 자신 및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서버(30)로부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해야 할 목록)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lk! 톡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통화 내용 기반의 주요 키워드 정보(ex. 강남역, 맛집, 예매 등)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목록 메뉴가 선택되면 통화 내용 기반의 관심 목록 정보(ex. 강남역, 맛집, 영화 예매 등)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o-do 메뉴가 선택되면 통화 내용 기반의 To-do list 정보(ex. 토요일 날 볼 영화 예매해 등)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30)는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가입자 단말 A(20A)에게 제공하며, 이때 가입자 단말 A(20A)의 표시부(21)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통화 상대방의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한다.
다른 예로, 서버(30)는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과 상대방 단말 B(20B) 사용자의 음성통화 내용을 동시에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가입자 단말 A(20A)에게 제공하며, 이때 가입자 단말 A(20A)의 표시부(21)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통화 상대방의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서버(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가입자 단말 B(20B)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가입자 단말 B(20B)에게도 제공할 수 있고, 이때 가입자 단말 B(20B)의 표시부(21)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 즉, 단말 A(20A)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1)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통화 상대방 정보는 해당 가입자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통화 상대방의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6과 같이 화면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도 7과 같이 화면 표시된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또는 발음 정확도 등과 같은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로 구성될 수 있는데, 표시부(21)는 일 예로 해당 단어의 발화상 특징을 기초로 해당 단어의 표시 순위를 조정하여 표시(ex. 도 6-7에서 1.강남역, 2.맛집, 3.예매, 4.치킨 등과 같이 발화상 특징의 가지 수가 많은 키워드 순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예로 해당 단어의 발화상 특징을 기초로 해당 단어의 글자색, 글자 모양, 또는 글자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글자 주변 이미지의 크기, 모양,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8과 같이 화면 표시된 To-do list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1)는, 일 예로 통화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서버(3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여 화면에 갱신 표시하거나(도 9 내지 19의 통화 중 실행 화면 참조),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되어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도 20 내지 도 26의 통화 완료 후 결과 화면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23)는 표시부(21)에 의해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관심 목록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키워드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 도구(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및 인터넷 포털)를 자동 실행하여 해당 상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5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To-do list 실행부(25)는 표시부(21)에 의해 표시된 To-do list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앱(APP)을 실행시켜 통화 내용에 포함된 사용자가 해야 할 일, 예를 들어 일정 정리, 메모, 주소록 정리, 예매 등을 실행할 수 있다(도 17 내지 도 19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서버(30)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추출부(31), 정보 저장부(33), 및 정보 제공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추출부(31)는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또는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기초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주요 관심 목록 정보는 해당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해당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에 따라 단말에서의 표시 순위를 정렬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31)는, 일 예로 발/수신 양측 통화자 중 일방의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만의 음성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과 상대방 가입자 단말 B(20B) 사용자의 음성통화 내용을 동시에 분석하여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 추출된 특정 키워드(단어)에 대한 발화상 특징의 가지 수와 종류(예를 들어,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또는 발음 정확도 중 몇 가지의 어떤 발화상 특징을 가졌나), 및/또는 발화상 특징의 정도(예를 들어, 반복 몇 회, 소리 크기 정도, 발음 정확도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저장부(33)는 정보 추출부(31)에서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등을 로그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35)는 정보 추출부(31)에서 실시간 추출되거나 정보 저장부(33)에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통화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에게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하거나,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 정보 저장부(33)에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주요 관심 목록 정보 중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에 적용되므로, 해당 단말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표시부(21)는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관심 목록 정보 중 어느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표시부(21)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Talk! 톡 검색 메뉴, To-do list 정보에 대응하는 To-do list 메뉴, 및 관심 목록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 목록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01), 단계 S401의 판단 결과 도 6과 같이 Talk! 톡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서버(30)로부터 주요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고, 도 7과 같이 관심목록 메뉴가 선택되면 서버(30)로부터 관심 목록 정보를 수신하여 통화 상대방 정보에 매칭하여 표시하며, 도 8과 같이 To-do list 메뉴가 선택되면 서버(30)로부터 To-do list 정보를 수신하여 통화 상대방 정보에 매칭하여 표시하는데, 일 예로 메뉴의 선택 시점이 통화 중이면 서버(30)로부터 실시간 추출되는 해당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약 10초)으로 수신하여 갱신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메뉴의 선택 시점이 통화 완료 후이면 서버(30)에 로그 저장된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S403).
이어, 단계 S403에서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관심 목록 정보에서 특정 단어가 선택되면(S405) 그 선택된 단어를 키워드로 검색을 실행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도 11-15 참조)(S407), 단계 S403에서 표시된 To-do list 정보에서 특정 정보 및 관련 앱(APP)이 선택되면(S409) 그 선택된 To-do list 정보의 내용에 따라 관련 앱이 구동하여 통화 내용 중에 포함된 해야 할 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S411)(도 17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3의 서버(30)에 적용되므로, 해당 서버(3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 A(20A)와 단말 B(20B)간의 통화가 시작되면(S501), 통화 내용으로부터 주요 키워드 정보, To-do list 정보, 및 관심 목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실시간 추출한다(S502).
이어,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 주요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Talk! 톡 검색 메뉴, To-do list 정보에 대응하는 To-do list 메뉴, 및 관심 목록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 목록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503),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실시간 추출 정보(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일정 시간 간격(약 10초)으로 해당 단말에게 실시간 전송하여 제공한다(S505).
한편, 단계 S502에서 실시간 추출된 정보는 로그 저장되고(S511), 해당 통화 완료 후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 로그 조회 요청되어 주요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Talk! 톡 검색 메뉴, To-do list 정보에 대응하는 To-do list 메뉴, 및 관심 목록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 목록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S513),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단말에게 제공한다(S51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된 서버(30)의 모든 구성(31,33,35)은 도 2의 사용자 단말(20A 또는 20B)내에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30) 없이 서버(30)의 기능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20A 또는 20B)의 단독 구성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 방법을 모두 실행할 수 있다.
이후, 도 6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일명 마인드톡(Mindtalk)이라 칭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A,20B)에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의 (a)는 통화 중 Talk! 톡 검색 메뉴의 선택 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통화 종료 후 Talk! 톡 검색 메뉴의 선택 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마인드톡은 도 6의 (a)와 같이 통화 중 실행이 가능하고, 도 6의 (b)와 같이 마인드톡은 통화 종료 후에도 마인드톡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마인드톡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단, 통화 종료 후에는 관심목록, 통화 주요 키워드, To-do list는 주고받은 음성이 부재하므로 데이터 갱신되지 않는다. 통화 종료 후 다시 통화하기를 누르면 상대방에게 통화가 가고, 현재 마인드톡 로그에 신규 통화 로그가 추가 된다(별도 로그 생성 아님).
도 6에서 B 영역은 타이틀 바 영역을 나타내는데, OOO(이름)님과의 Mindtalk으로 구성되며 이름은 통화상대자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한다. 마인드톡 닫기 버튼을 우측에 배치한다. 마인드톡 닫기 버튼은 마인드톡 실행을 종료한다는 의미이며, 선택한다고 해서 통화 종료되지는 않는다.
도 6의 C 영역은 액션 바 영역을 나타내는데, 관심목록, Talk! 톡 검색, To-do와 같은 메뉴로 구성되며 Talk! 톡 검색이 메인이다. 특정 메뉴 선택 시 선택된 메뉴의 아래에 하단 윤곽선이 나타나 실행 중임을 보여준다.
도 6의 D 영역은 통화 주요 키워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일정 기간 10초를 주기로 키워드가 Display 갱신(생성, 삭제, 순서, 크기 등 테마 별 다름)될 수 있고, 태그클라우드, 실시간랭킹형, 뇌 구조 테마 등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키워드 클릭 시 웹 검색으로 연결될 수 있고, 롱탭 시 키워드 삭제 가능하며, 키워드는 마인드톡 앱 > 설정 > 대표 키워드 단어 필터에서 노출 제한 단어를 추가/수정/삭제할 수 있다. 키워드는 예를 들어 총 30개까지 노출할 수 있다.
도 6의 E 영역은 키워드 조합 검색창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통화 주요 키워드에서 키워드를 검색창으로 드레그/드롭(Drag&Drop)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조합/정렬하여 검색할 수 있다. 키워드 조합 빈 칸을 길게 클릭하면 신규 키워드 입력창을 생성할 수 있다. 키워드 창에 있는 키워드는 삭제 또는 편집/수정 가능하다.
도 6의 F 영역은 통화 메뉴를 나타낸 영역으로, 도 6의 (a)와 같이 통화 중에는 스피커폰, 화면전환, 통화종료 등의 메뉴가 표시되고, (b)와 같이 통화 종료 후에는 VoLTE 통화, 영상 통화 등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관심 목록 정보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C 영역은 액션 바 영역으로, 관심목록 메뉴 선택 시 바 해당 메뉴 아래에 하단 윤곽선이 나타나 실행 중임을 보여준다.
도 7의 D 영역은 관심 목록 정보로서의 키워드 및 연관 검색어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7의 (a)와 같이 키워드는 Talk! 톡 검색 내 노출된 키워드이고, 키워드를 선택하면 해당 키워드와 연관된 검색어 리스트가 제공되고, 연관 검색어 문장을 선택하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며 해당 연관검색어의 검색 결과가 도 7의 (b)와 같이 화면 제공된다. 키워드는 삭제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To-do list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D 영역은 액션 버튼이 나타난 영역으로, To-do list 정보와 연관된 다양한 앱(App.) 버튼이 정렬되어 있으며, 플릭(Flick)을 통해 우측에 가려진 다른 버튼 확인이 가능하다. +를 눌러 다른 액션 버튼을 추가/삭제할 수 있다. 액션 버튼을 drop&drag로 통화 내용 기반 To-do list로 내려 특정한 하나 위로 올리면, +버튼위로 액션 버튼 이미지가 입혀지고, 해당 액션 버튼의 기능이 실행된다. 일 예로, 메모 버튼을 '강남역 맛집 예약해' 위로 drop&drag하면 OEM 메모가 실행되고 '강남역 맛집 예약해'가 자동입력된다. 다른 예로, 주소록 버튼을 '010-8080-4038' 위로 drop&drag하면 OEM 주소록이 실행되고, 해당 번호가 저장된다. 또 다른 예로, 티켓플래닛 버튼(App)을 '토요일날 볼 영화 예매해' 위로 drop&drag하면 티켓플래닛이 실행된다.
도 8의 E 영역은 통화 내용 기반 To do list 정보가 표시된 영역으로, 예를 들어, 체크박스, 할일 문장,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화내용 음성에서 추출한 할일 리스트로 대화 내용 중 명령형/청유형/특정 단어(예: ~할일, ~해야 한다, ~하자, 준비, 공유 등) 등의 언급 시 문장을 텍스트(text)로 변환하여 보여준다. 특정단어는 키워드를 추가/수정/삭제 가능하다. text 앞 체크박스 선택 시, 할일 text 가 list에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통화 중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통화 중 Talk! 톡 검색 메뉴의 선택 시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시작 시에는 주요 키워드 정보 표시 영역이 공란으로 있다가(1), 10초 동안 통화 내용을 분석 후 주요 키워드를 노출한다.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발음 정확도 등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키워드로 추출한다(음성인식 솔루션). 또한, 발화상 특징의 발생 빈도 및/또는 가지 수 등, 예를 들어 단어 사용(반복) 빈도 등에 따라 랭킹(ranking)화 한다(2~5).
도 10에서, 도 9의 과정에 따라 키워드가 실시간 랭킹 순으로 기본 10개 표시되고(1), 키워드 화면의 좌/우로 Flick을 통해 실시간 랭킹 리스트를 이동할 수 있다(2).
도 11은 키워드 조합 검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 중 하나의 키워드가 선택되면(1),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가 자동 실행되어 선택 키워드를 검색어로 검색된 포탈 검색 결과 화면이 제공된다(2). 또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를 원하는 키워드를 롱 탭(long tap)하면 해당 키워드가 삭제되고, 공란을 다음 순위의 키워드가 순차적으로 채운다.
도 12는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드래그/드롭으로 검색창에 끌어오고, 검색(돋보기)을 선택하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2개의 키워드의 조합어를 검색어로 검색된 포탈 검색 결과 화면이 제공된다(1-5).
도 13은 검색창의 키워드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3의 (a)와 같이 검색창의 키워드를 롱 탭하면 해당 키워드가 삭제되고, 도 13의 (b)와 같이 빈 검색창을 1회 탭하면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고, 도 3의 (c)와 같이 검색창의 키워드를 1회 탭하면 해당 키워드의 내용에 추가 수정할 수 있다.
도 14는 통화 중 관심목록 메뉴의 선택 시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시작 시에는 관심목록 정보 표시 영역이 공란으로 있다가, 도 9의 키워드 생성 주기(10초)에 맞추어 좌측에 키워드를 노출한다.
도 15에서, 관심목록의 키워드가 선택되면 해당 키워드와 연관된 검색어 리스트가 우측에 나타나고, 연관 검색어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연관 검색어를 기초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도 16은 관심목록의 키워드를 삭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원하는 키워드를 롱 탭하고, 키워드 우측 상단 x버튼 탭하면, 해당 키워드 및 연관 검색어가 삭제되고, 키워드 공란은 아래 키워드가 순차적으로 채워진다.
도 17은 To-do list 액션버튼(앱)을 실행하는 각종 예을 나타낸 도면으로, 예를 들어, 도 17의 (a)에서와 같이 일정 버튼을 To-do list 정보의 '강남역에서 만날까?'의 +위로 드래그/드롭하면 일정 앱이 구동하고 구동된 일정 앱의 제목 영역에 해당 To-do list 정보가 자동 입력된다. 도 17의 (b) 내지 (d)도 (a)와 같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a)와 같이 액션 버튼 영역을 플릭(Flick)하면 액션 버튼 리스트를 이동할 수 있고, 도 18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액션버튼 즉, 앱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a)와 같이 액션 버튼의 표시 순서를 변경할 수 있고, 도 19의 (b)와 같이 액션 버튼을 삭제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통화 완료 후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결과 화면 불러오기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예를 들어, 도 20의 (a)와 같이 통화 목록이 선택되면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에 추가로(예를 들어,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에 매칭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가 표시되고, 이와 같이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 영역을 탭하여 선택하면 서버(30)에 해당 통화 목록에 대응하여 로그 저장된 Talk! 톡 검색 메뉴 선택에 대응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도 6의 (b))가 기본으로 수신 및 표시된다. 도 20 (a)의 2번 결과 화면에서 관심 목록 메뉴 또는 To-do list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관심 목록 정보(도 7의 (a)) 또는 To-do list 정보(도 8)를 서버(30)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20의 (b)와 같이 친구 사진/이름 선택 시 침구 페이지로 이동하여 해당 친구의 누적 키워드를 보여 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목록이 선택되고 삭제하기 메뉴가 선택되면 표시된 통화 목록 중 원하는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을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목록 화면에서 주요 키워드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탭하면(1), 해당 통화 목록에 대응하여 로그 저장된 Talk! 톡 검색 메뉴 선택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되고(2), 여기에서 원하는 키워드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공란은 다음 순위 키워드가 순차적으로 채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통신망
20A, 20B: 사용자 단말
21: 표시부
23: 검색부
25 To-do list 실행부
30: 서버
31: 정보 추출부
33: 정보 저장부
35: 정보 제공부

Claims (41)

  1. 자신 및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는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앱(APP)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상 특징은 단어의 언급 횟수, 소리 크기, 발음 속도, 및 발음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어의 표시 순위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8. 제6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어의 글자색, 글자 모양, 또는 글자 크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글자 주변 이미지의 크기, 모양, 색상을 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갱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되어 로그 저장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12. 가입자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해당 통화 내용 중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상 특징은 단어의 언급 횟수, 소리 크기, 발음 속도, 및 발음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는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을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에게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로그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정보 저장부에 로그 저장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서버.
  2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자신 및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는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b)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초로 검색 도구를 통해 해당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c)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앱(APP)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상 특징은 단어의 언급 횟수, 소리 크기, 발음 속도, 및 발음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어의 표시 순위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어의 글자색, 글자 모양, 또는 글자 크기를 조정하거나 글자 주변 이미지의 크기, 모양, 색상을 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실시간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갱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되어 로그 저장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2.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해당 통화 내용 중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상 특징은 단어의 언급 횟수, 소리 크기, 발음 속도, 및 발음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는 상기 단어의 발화상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해당 통화 내용 중 청유형, 명령형, 또는 행위를 수반해야 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구문을 기초로 상기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실시간 통화 중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39. 제32항에 있어서,
    (c) 상기 단계 (a)에서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로그 저장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c)에서 로그 저장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
  41. 제2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31963A 2013-03-26 2013-03-26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45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63A KR101455924B1 (ko) 2013-03-26 2013-03-26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US14/224,491 US9106757B2 (en) 2013-03-26 2014-03-25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tents
JP2014064247A JP2014192900A (ja) 2013-03-26 2014-03-26 通信内容基盤の能動的情報提供のための端末、サーバー、方法、及び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63A KR101455924B1 (ko) 2013-03-26 2013-03-26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073A true KR20140117073A (ko) 2014-10-07
KR101455924B1 KR101455924B1 (ko) 2014-11-03

Family

ID=5199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963A KR101455924B1 (ko) 2013-03-26 2013-03-26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9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999A (ko)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상대 단말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20160055645A (ko) *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7092696A (zh) * 2017-04-27 2017-08-25 长沙军鸽软件有限公司 一种主动发起会话的方法
CN112163808A (zh) * 2020-09-23 2021-01-01 贵州工程应用技术学院 一种基于对立学习的自适应鲸鱼算法求解物流中心选址问题的方法
KR20210019272A (ko) * 2019-08-12 2021-02-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음성 기반 추천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54768B1 (ko) * 2021-03-29 2022-01-24 이영준 지능형 매칭을 기반으로 외국어 학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77B1 (ko) 2015-10-08 2022-01-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중 통화 내용 기반 키워드 분석 서비스를 위한 단말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0607B2 (ja) 1999-09-03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220151B2 (ja) * 2001-11-26 2009-02-0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音声対話装置
JP2005215726A (ja) * 2004-01-27 2005-08-11 Advanced Media Inc 話者に対する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80109322A (ko) * 2007-06-12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직관적 의도 파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및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999A (ko)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상대 단말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20160055645A (ko) *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6076512A1 (ko) * 2014-11-1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7092696A (zh) * 2017-04-27 2017-08-25 长沙军鸽软件有限公司 一种主动发起会话的方法
CN107092696B (zh) * 2017-04-27 2023-06-02 长沙军鸽软件有限公司 一种主动发起会话的方法
KR20210019272A (ko) * 2019-08-12 2021-02-22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음성 기반 추천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163808A (zh) * 2020-09-23 2021-01-01 贵州工程应用技术学院 一种基于对立学习的自适应鲸鱼算法求解物流中心选址问题的方法
CN112163808B (zh) * 2020-09-23 2022-04-01 贵州工程应用技术学院 一种基于对立学习的自适应鲸鱼算法求解物流中心选址问题的方法
KR102354768B1 (ko) * 2021-03-29 2022-01-24 이영준 지능형 매칭을 기반으로 외국어 학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924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6757B2 (en)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tents
KR101455924B1 (ko)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379529B2 (en) Composing rich content messages
CN10707077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10521189B1 (en) Voice assistant with user data context
CN107612814A (zh) 用于生成候选回复信息的方法和装置
US1092899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WO2017088245A1 (zh) 参考文档的推荐方法及装置
US200903272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Multiple Data Types
KR20170048964A (ko) 메시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4836720A (zh) 交互式通信中进行信息推荐的方法及装置
KR102144868B1 (ko) 통화 기록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135862A (ko) 입력 인식 및 완성 기술
KR101437812B1 (ko) 통신 내용 기반 능동적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907316B2 (e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compu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invoking a search
US92584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by conversation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conversation recognition during meeting
KR20110066173A (ko) 대화와 관련된 서비스들의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2013016152A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いて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60012965A (ko)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CN105635444A (zh) 一种联系人信息分享方法及终端
KR101470753B1 (ko) 통신 내용 기반 자동 스케줄링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25520B1 (ko) 문자입력횟수 적응 다중 입력창을 이용한 검색방법 및 그장치
KR101630069B1 (ko)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74796B1 (ko) 가상친구 대화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US11789696B2 (en) Voice assistant-enabled client application with user view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