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245A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245A
KR20140116245A KR1020130026002A KR20130026002A KR20140116245A KR 20140116245 A KR20140116245 A KR 20140116245A KR 1020130026002 A KR1020130026002 A KR 1020130026002A KR 20130026002 A KR20130026002 A KR 20130026002A KR 20140116245 A KR20140116245 A KR 2014011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unit
solar
amou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052B1 (ko
Inventor
박기주
권영복
최정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2013002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052B1/ko
Priority to PCT/KR2013/004484 priority patent/WO2014142388A1/ko
Publication of KR2014011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간(일, 월, 년) 설정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발전 시간과 발전율을 분석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 및 태양전지모듈 온도, 수평면 일사량 및 경사면 일사량, 발전시간 및 발전량을 측정하는 태양광 발전 측정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별 또는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태양광 발전 분석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에서 진단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발전현황, 감시, 진단, 분석, 보고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ANALYSIS APPARATUS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기간 설정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발전 시간과 발전율을 분석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고갈과 환경 보호라는 과제 달성을 위해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신 재생에너지 중 무공해이면서 무한정의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발전부와 제어부가 반도체 소자와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 신 재생에너지의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고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부하에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직류전력을 인버터를 통하여 상용 전원선에 실시간으로 공급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전력이 발생하지 않는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직류전력을 충전기를 통해서 축전지에 저장하였다가 직류 혹은 교류의 형태로 개별 부하에 공급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일으키는 최소 단위로서, 태양전지로는 적절한 전압과 전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적절한 전압과 전류를 얻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태양전지를 직,병렬로 연결한 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충진재, 유리 등과 함께 압축하여 모듈 형태로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하여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대전력 발전을 위해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직렬이나 병렬 연결한 태양전지 어레이를 이용한다.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를 구성하는 태양전지모듈은 자체의 오염이나 열화, 배선 불량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대단위 단지에서 고장난 태양전지모듈 하나를 찾기도 힘들거니와, 상기 고장난 태양전지모듈을 찾아 보수나 교체를 위해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어레이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또한, 태양전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중 1개가 고장 날 경우 그 원인을 실시간으로 찾기가 어려우며, 태양전지 어레이 전체를 점검해야 하는 비효율성은 사후처리 비용의 상승과 발전량 감소를 초래해 수익성 악화를 불러왔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한 지역에만 설치되지 않고 다수의 지역에 떨어져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기간(일, 월, 년) 설정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발전 시간과 발전율을 분석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 및 태양전지모듈 온도, 수평면 일사량 및 경사면 일사량, 발전시간 및 발전량을 측정하는 태양광 발전 측정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별 또는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태양광 발전 분석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에서 진단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발전현황, 감시, 진단, 분석, 보고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방법은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경사면 일사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각 수집된 일사량 데이터를 근거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의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과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발전되는 실제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교 분석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기간(일, 월, 년) 설정을 통해 태양광 발전의 발전 시간과 발전율을 분석하여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사량이 양호하지만 모듈의 오염이나 인버터 또는 접속반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전시간 및 발전율이 저하되는 것을 관리자의 시간 설정에 따라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태양광 발전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태양광 발전 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 분석부의 발전시간과 발전량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도 5는 도 1의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 현황을 보여주는 화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감시 화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진단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태양광 발전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태양광 발전 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 분석부의 발전시간과 발전량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전지모듈(1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광 발전부(110)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에 설치되어 대기온도 및 태양전지모듈 온도, 수평면 일사량 및 경사면 일사량, 발전시간 및 발전량을 측정하는 태양광 발전 측정부(120)와,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현장별 또는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와,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발전현황, 감시, 진단, 분석, 보고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는 동일 지역에 설치될 수 있지만, 지역이 다른 지역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는 고정형 또는 추적형, BIPV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수평면 일사량은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설치 장소에 입사되는 일사량을 의미 즉, 지면과 수평한 상태의 일사량을 측정하며, 그리고 경사면 일사량은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모듈(111)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의미 즉, 태양전지모듈(111)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때의 일사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이 수평면 일사량은 일반적인 일사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수평면 일사량은 수평면 일사량 센서를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 수평면 일사량 센서는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입광면의 각이 항상 그대로 유지된다. 이 수평면 일사량 센서는 태양전지모듈(111)들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이 수평면 일사량 센서는 태양광 발전부(1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경사면 일사량은 태양전지모듈(111)의 입광면에 경사면 일사량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사면 일사량 센서는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모듈(111)에만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든 태양전지모듈(111)에 하나씩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이 태양전지모듈(111)들 각각은 이들의 입광면이 항상 태양의 방향을 추종하도록 이들의 극각 및 방위각이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이들 태양전지모듈(111)에 부착된 경사면 일사량 센서의 입광면 역시 항상 태양을 향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는 수평면 일사량 및 경사면 일사량, 외부 온도 및 모듈 온도에 따라 기준 발전량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기준 발전량을 근거로 분석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를 구성하는 태양전지모듈(111)의 스트링별, 인버터, 접속반의 상태까지 분석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140)는 현황, 감시, 진단, 분석, 보고서, 설정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각 목록을 클릭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대기온도 및 모듈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121)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에 설치되어 수평면 일사량과 경사면 일사량을 측정하는 일사량 측정부(122)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량을 측정하는 발전량 측정부(123)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태양전지모듈(111)위에 쌓여진 눈이나 낙엽과 함께 주위를 감시하는 카메라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 측정부(121)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를 구성하는 태양전지모듈(111)에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함과 더불어 상기 태양전지모듈(111) 주위 즉 대기온도를 함께 측정하여 송부한다.
상기 일사량 측정부(122)는 상기 태양전지모듈(111)의 각도에 따라 경사면 일사량과 함께 지면과 수평한 수평면 일사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송부한다.
상기 발전량 측정부(123)는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로부터 생산된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송부한다.
상기 카메라부(124)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지역에서 전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모듈(111)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현 상태를 감시함과 더불어 각종 도난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는 도 3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모니터링부(131), 기간 설정부(132), 발전시간 및 발전율 표시부(133), 설비별 비교 분석부(134), 종합 발전 표시부(135), 현장 목록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현장 모니터링부(131)는 도 2의 카메라부(124)와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데,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현장별로 설치되어 전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현장 모니터링부(131)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모듈 용량(KW), 인버터 용량(kW), 발전 시간/일수(h/D)를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한편, 상기 현장 모니터링부(131)는 외부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줌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태양전지모듈(111)의 현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고자 할 때는 필요한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간 설정부(132)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기간별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로 분석 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간 설정부(132)는 자료표시 단위부(132a), 분석기간 표시부(132b), 기간임의 설정부(132c) 및 선택부(132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료표시 단위부(132a)는 일, 월, 년 단위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분석기간 표시부(132b)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부분으로써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기간을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기간임의 설정부(132c)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하는 기간을 보다 상세하게 설정 즉, 1주, 2주, 1달, 2달, 3달, 전월, 금월과 같이 보다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부분이다. 이때 관리자는 도 4에서와 같이 기간을 임의로 설정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부(132d)는 상기 기간임의 설정부(132c)를 통해 기간 설정이 완료되면 선택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된 기간을 적용하는 부분이다.
상기 발전시간 및 발전량 표시부(133)는 상기 기간 설정부(132)를 통해 기간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과 발전율을 각각 표시한다. 이때 도 4a 및 도 4b에서 기간별 추이 분석-공촌 부분에서 곡선 부분은 경사면 일사량을 나타내고, 옆은 회색 부분은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나타내며, 하늘색 부분은 현재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량 및 발전시간은 상기 기간 설정부(132)를 통해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분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경사면 일사량이 풍분한 날과 부족한 날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비례하여 해당 날에는 태양광 발전량 및 발전시간이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는데, 아무런 이유도 없이 경사면 일사량이 좋은데도 발전시간 및 발전량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태양전지모듈(111)위에 낙엽이나 눈이 쌓여서 정상적인 발전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는 정상적인 발전이 되지 않았다고 분석하는 경우에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140)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상황에 대처하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비별 비교 분석부(134)는 인버터, 접속반, 스트링별로 발전시간과 발전량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서 설비별 비교분석의 인버터 부분에서 가로로 발전시간과 세로로 각 인버터별로 발전량을 기준 발전량에 근거하여 분석할 수가 있다. 이때 복수개의 인버터 중에서 현격하게 발전량이나 발전시간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인버터에 이상이 있음을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고장 수리하여 발전율 및 발전시간 저하를 미연에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버터의 분석과 동일하게 접속반도 발전시간과 발전율을 분석하고, 상기 접속반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111)의 스트링별로 발전시간과 발전율을 분석할 수가 있다.
상기 종합 표시부(135)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평균 발전시간, 최대 발전시간, 평균 전력량, 최대 전력량, 전력량 합계를 숫자로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현장 목록부(136)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현장과 더불어 각 현장의 발전율과 발전시간을 확인함과 더불어 발전시간 및 발전량에 따는 각 현장별 랭킹을 확인한다.
한편, 상기 현장 목록부(136)의 화면에는 눈금이 아래 위로 업/다운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눈금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에 발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1의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140)는 도 5에서와 같이, 현장별 전일 발전전력 및 현재발전전력, 수평 및 경사 일사량, 대기 및 모듈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발전 현황부(141)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효율, 현재발전전력, 발전효율 추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발전효율 표시부(142)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현장별 발전효율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현장별 현황부(143)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의 시설용량, 발전량, 발전금액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발전 집계부(144)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량 및 유지 관리 상태를 근거로 랭킹을 표시하는 랭킹 표시부(145)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 시간, 최대 발전 시간, 일평균 전력량, 전력량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발전시간 추이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전 현황부(141)는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120) 및 태양광 발전 분석부(130)로부터 측정된 각종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전일 발전량과 현재 발전량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기상상황에 특별하게 차이가 없는데도 전일 발전량과 금일 발전량에 큰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를 구성하는 태양전지모듈(111)을 포함하여 접속반, 인버터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발전효율 표시부(142)는 매시간마다 발전량의 상태를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관리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숫자와 함께 눈금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현장별 현황부(143)는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지역의 현장별 발전량을 디스플레이하는데, 각 현장별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율(%)과 함께 발전시간(h)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분되어 있다.
상기 발전 집계부(144)는 각 현장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110)의 시설용량(KWh)을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발전량과 발전금액을 일, 월, 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한눈에 금일 및 누적 발전량과 발전금액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발전 집계부(144)는 금일 발전량, 금월 발전량, 금년 발전량, 금일 발전금액, 금월 발전금액, 금년 발전금액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가 보다 쉽게 총 발전량과 함께 발전 금액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랭킹 표시부(145)는 일주일 간격으로 발전시간, 긴급경보 경보수, 경보유지 시간을 산출하여 각 현장별로 금, 은, 동과 같이 랭킹을 부여함으로써 현장 관리자에게 보다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가 있다. 현장별 랭킹에 따라 분기별 또는 년별로 랭킹에 포함된 숫자를 파악하여 우수 포상을 진행함으로써 현장 관리자의 사기를 높여 줄 수 있다.
상기 발전시간 추이부(146)는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110)의 발전시간을 일간, 주간, 월간, 연간으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자료구분 부분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통합, 현장별 발전현황을 보여주는 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즉,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현황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관리자 또는 총 관리자가 화면을 통해 현장별로 발전현황을 포함하여 발전 집계량 및 랭킹, 발전시간 추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가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감시 화면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감시 화면에서 지도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장소를 지도나 위성에서 한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부를 통해 현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장별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110)의 태양전지모듈 용량, 인버터 용량, 발전시간/일수를 숫자로 확인할 수가 있고, 각 현장별로 현장 목록에서 랭킹을 확인할 수가 있다.
아울러 지도에는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장소가 표시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110)가 정상으로 동작할 때는 녹색, 통신 네트워크나 발전 이상이 있을 때 주황색의 주의 또는 적색의 경고가 깜박이게 된다.
또한, 상기 지도상에서 녹색, 주황색, 적색 부분을 각각 클릭하면 현재 운전상태, 발전전력, 경사일사량, 모듈온도를 확인할 수가 있다.
도 7b에서와 같이, 설비 부분을 클릭하면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모든 현장의 인버터, 수배전반, 메인 및 서브뱅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가 있고, 현재 심각, 경계, 주의, 관심 부분이 몇 개인지를 색상을 통해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가 있다.
도 7c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부분을 클릭하면 태양광 발전부(110)의 각종 센서와 동작 상태와 접속반의 이상 유무를 포함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고, 현재 심각, 경계, 주의, 관심 부분이 몇 개인지를 색상을 통해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감시 부분은 GIS 기반 정보, 설비별 계측정보, 네트워크 상태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현장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진단 화면이다.
도 8a에서와 같이, 진단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태양광 발전부(110)가 설치된 장소를 지도나 위성에서 한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부를 통해 현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장별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110)의 태양전지모듈 용량, 인버터 용량, 발전시간/일수를 숫자로 확인할 수가 있고, 각 현장별로 현장 목록에서 랭킹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일간 발전량 추기, 경사일사량, 발전전력, 모듈온도, 발전전력, 변환효율, 일 발전량, 일 발전금액, 일 발전시간, 월 발전시간을 확인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부를 구성하는 스트링별로 발전현황을 확인할 수가 있고, 각 인버터 발전현황 및 접속반 발전현황을 확인할 수가 있다.
도 8b에서와 같이, 인버터 발전현황은 인버터의 종류, 설비용량, 운전상태, AC/DC전력, 계측일시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접속반 발전현황은 접속반의 종류, 설비용량, 현재전력, 부하율, HS온도, 내부온도, 계측일시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스트링별 발전현황은 각 스트링의 설비용량, 현재전력, 부하율, 계측일시를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분석 화면을 통해 현장 별 발전 상태를 분석함과 더불어 인버터와 접속반 및 스트링별 발전 현황을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발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현장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신속한 처리를 통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경사면 일사량 정보를 수집한다(S110).
여기서, 상기 경사면 일사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수평면 일사량과 모듈 온도 및 주변 온도 정보를 포함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각 수집된 경사면 일사량 데이터를 근거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의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설정한다(S120).
여기서, 상기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은 경사면 일사량들, 다수의 모듈 온도들에 대한 예측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예측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상기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과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발전되는 실제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비교 분석한다(S130).
그리고, 상기 비교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를 구성하는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접속반 및 스트링별의 발전율과 발전시간을 전달한다(S14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및 방법은 일사량과 온도가 태양광 발전을 하기에 최적의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데도 발전량이 원하는 만큼 올라가지 않을 때 태양광 발전부, 인버터, 접속반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분석하여 보다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태양광 발전부 120 : 태양광 발전 측정부
130 : 태양광 발전 분석부 140 :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

Claims (7)

  1.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 및 태양전지모듈 온도, 수평면 일사량 및 경사면 일사량, 발전시간 및 발전량을 측정하는 태양광 발전 측정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별 또는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태양광 발전 분석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에서 진단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발전현황, 감시, 진단, 분석, 보고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측정부는
    대기온도 및 모듈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 설치되어 수평 일사량과 경사 일사량을 측정하는 일사량 측정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량을 측정하는 발전량 측정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태양전지모듈위에 쌓여진 눈이나 낙엽과 함께 주위를 감시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분석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별로 설치되어 전체를 감지하는 현장 모니터링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기간별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로 분석 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부와,
    상기 기간 설정부를 통해 기간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과 발전율을 각각 표시하는 발전시간 및 발전량 표시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인버터, 접속반, 스트링별로 발전시간과 발전량을 분석하는 설비별 비교 분석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평균 발전시간, 최대 발전시간, 평균 전력량, 최대 전력량, 전력량 합계를 숫자로 디스플레이하는 종합 표시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과 각 현장의 발전율과 발전시간을 확인함과 함께 발전시간 및 발전량에 따른 각 현장별 랭킹을 확인하는 현장 목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설정부는
    일, 월, 년 단위로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분석하도록 설정하는 자료표시 단위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진단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분석기간 표시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시간 및 발전율을 진단하는 기간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기간임의 설정부와,
    상기 기간임의 설정부를 통해 기간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기간을 적용하는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는 발전현황, 발전감시, 발전진단, 분석, 보고서, 설정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각 목록을 클릭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별 전일 발전전력 및 현재발전전력, 수평 및 경사 일사량, 대기 및 모듈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발전 현황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효율, 현재발전전력, 발전효율 추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발전효율 표시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현장별 발전효율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현장별 현황부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의 시설용량, 발전량, 발전금액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발전 집계부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량 및 유지 관리 상태를 근거로 랭킹을 표시하는 랭킹 표시부와,
    상기 각 태양광 발전부의 발전 시간, 최대 발전 시간, 일평균 전력량, 전력량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발전시간 추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7. 태양광 발전부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경사면 일사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각 수집된 일사량 데이터를 근거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부의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발전량 및 발전시간과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발전되는 실제 발전량 및 발전시간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교 분석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방법.
KR20130026002A 2013-03-12 2013-03-1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KR10148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002A KR101485052B1 (ko) 2013-03-12 2013-03-1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PCT/KR2013/004484 WO2014142388A1 (ko) 2013-03-12 2013-05-2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002A KR101485052B1 (ko) 2013-03-12 2013-03-1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45A true KR20140116245A (ko) 2014-10-02
KR101485052B1 KR101485052B1 (ko) 2015-01-22

Family

ID=5153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002A KR101485052B1 (ko) 2013-03-12 2013-03-1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5052B1 (ko)
WO (1) WO201414238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345B1 (ko) * 2016-03-15 2016-08-10 ㈜코리아에너텍 모니터링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60116370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키스톤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 및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
CN107357798A (zh) * 2016-05-09 2017-11-17 Ls 产电株式会社 用于管理本地监视数据的装置
EP3796550A1 (en) * 2019-09-20 2021-03-24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system monitoring and analys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6082A (zh) * 2015-04-22 2015-07-22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光伏发电系统在线故障诊断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55B1 (ko) * 2006-11-17 2007-06-08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장치
KR20090002295A (ko) * 2007-06-26 2009-01-09 대한전선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의 통합 운용과 사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524769B2 (ja) * 2010-09-01 2014-06-18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太陽光発電診断装置
KR101026139B1 (ko) * 2010-09-01 2011-04-05 (주)케이디티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pv 모듈의 개별적인 진단이 가능한 pv 진단 장치
JP5638918B2 (ja) * 2010-11-12 2014-12-10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太陽光発電診断装置
JP5617695B2 (ja) * 2011-03-04 2014-1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ユニットの診断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370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키스톤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 및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
KR101647345B1 (ko) * 2016-03-15 2016-08-10 ㈜코리아에너텍 모니터링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CN107357798A (zh) * 2016-05-09 2017-11-17 Ls 产电株式会社 用于管理本地监视数据的装置
US10606836B2 (en) 2016-05-09 2020-03-31 Lsis Co., Ltd. Apparatus for managing local monitoring data
EP3796550A1 (en) * 2019-09-20 2021-03-24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system monitoring and analysis
EP4164117A1 (en) * 2019-09-20 2023-04-12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system monitoring and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2388A1 (ko) 2014-09-18
KR101485052B1 (ko) 2015-01-22
WO2014142388A9 (ko)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051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JP5856294B2 (ja) 太陽光発電監視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太陽光発電監視システム
KR101742598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원격 감시 장치
KR101390405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US8471408B2 (en) Photovoltaic arra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with bidirectional converter
KR101245827B1 (ko) 마이크로 인버터 컨버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의 음영 및 고장을 감지하는 장치
KR101578675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 랭킹 산출 장치
KR101485052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분석 장치
KR101415163B1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95529B1 (ko) 태양전지판의 고장진단 원격감시 시스템
KR101297078B1 (ko) 태양광 전지모듈별 고장 진단 가능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KR20190038091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CN108599724A (zh) 一种光伏组件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101516603B1 (ko)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의 상황인지 기반 태양광 설비 통합 감시 시스템
JP6448946B2 (ja) 太陽電池パネル異常検出システム
JP7289995B2 (ja) 太陽光発電ストリングの動作状態を認識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記憶媒体
KR20210115432A (ko) 태양광 발전소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495B1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모니터링 장치
KR101669847B1 (ko) 태양 광 발전모듈의 원격 진단시스템
KR102137775B1 (ko) 원격기능을 포함한 태양광발전 데이터 감시 및 판단 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65573B1 (ko) 태양광 발전 다기능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8014B1 (ko) 이기종 채널 통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Zahraoui et al. System‐Level Condition Monitoring Approach for Fault Detection in Photovoltaic Systems
KR100984678B1 (ko) 이상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4119822A1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