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477A -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477A
KR20140114477A KR1020130026667A KR20130026667A KR20140114477A KR 20140114477 A KR20140114477 A KR 20140114477A KR 1020130026667 A KR1020130026667 A KR 1020130026667A KR 20130026667 A KR20130026667 A KR 20130026667A KR 20140114477 A KR20140114477 A KR 2014011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server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924B1 (ko
Inventor
고건
손연주
안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2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M2M 단말이,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건강수치 측정치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긴급 응급 대처 방법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생성하여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하는 단계와, (b) 응급 대처 서버인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상기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treating emergency using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for treating emergency}
본 발명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사물 간 지능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TS 102 690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M2M); Functional architecture, V1.1.1’의 9장인 ‘M2M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dures’에서 M2M Resource 관리에 대해 Restful구조 하에 Resource들의 CRUD(CREATE, RETRIEVE, UPDATE, DELETE) 및 Announce 절차 등을 정의하고 있다. 9장에서 정의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Issuer: the actor performing a request. An issuer can either be an application or an SCL.
Hosting SCL: the SCL where the addressed (master/original) resource resides.
Local SCL: the SCL to which an application or a SCL will register. It is the first SCL that receives the request from the original issuer of the request (either an application or an SCL).
Announced resource: the content of this resource refers to a resource hosted by the hosting SCL.
Announced-to SCL: an SCL that contains the announced resource. A resource could be announced to multiple SCLs.
Receiver: the actor that receives a request from an issuer. A receiver is an SCL or an application.
즉, 실제 Resource가 저장되는 SCL은 Hosting SCL이며, Announced resource는 공지를 위해 필요한 해당 Resource의 링크와 같다. Announced-to-SCL은 이러한 Announced resource가 저장되는 SCL이다.
Announce(공지) 절차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sponse(응답) 시점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도 1은 M2M 통신의 immediate response Announce 절차를 설명하고, 도 2는 M2M 통신의 delayed response Announce 절차를 설명한다. 도 3은 M2M 통신의 De-Announce 절차를 설명한다.
도 1, 2, 및 도 3을 참조하면, Announce 및 De-Announce 절차는, 기본적으로 Issuer가 요청 시 Local/Hosting SCL에서 Local Processing(Resource CRUD 등) 후 List의 각 SCL 마다 Announced-to-SCL의 announced resource를 생성 혹은 삭제 과정을 반복한다.
응급 상황과 관련된 기존 기술의 예는 아래와 같다.
- 생체신호 측정기에 설정된 기준값과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여 응급 상황으로 인지 시, 관제센터로 응급구호 메시지 전달
- 단말의 측정 결과를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피드백 정보를 환자에게 전달
- AP(access point)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 중 하나의 단말에 긴급 상황 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AP에 접속한 다른 단말들에게 Broadcasting 방식으로 전달
병원 등의 의료기관 내 환자들의 응급 상황은 자체 시스템(응급 센터 등), 상시 대기 중인 의료인(예를 들어, 간호사 또는 의사 등),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신속히 대처가 가능하다.
실내에 설치하는 시스템으로는, 집안 내 각종 센서(sensor) 혹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부착해, 상시 측정된 데이터를 서버에서 모니터링하거나 영상을 관제하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강도가 들거나, 이상증후 측정 혹은 일정시간 이상 반응이 없으면 전문 업체가 출동하는 시스템이다.
ETSI TR 102 732 “M2M; Use cases of M2M applications for eHealth”의 내용을 살펴보면, M2M Use cases 중 eHealth 분야가 주요 응용 분야이며 관련 적용 분야와 Use case의 예를 제시하면서 기본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 예는 아래와 같다.
- 환자의 건강 및 체력 정보 원격 모니터링
- 임계 상황 감지시 경보 Triggering
- 의학적 치료 또는 파라미터의 원격 제어
- 질병 관리
- 고령인구 관찰
- 건강 및 체력 관리
즉, M2M 기반의 단순 원격 제어 혹은 정보 제공 수준의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있지만 신속한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에 적합하고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기존 기술들은 환자가 생체정보 측정을 통해 원격 진단 결과를 제공받아 자가 응급처치를 수행하거나 이상 발생 시 구조요청신호를 지정된 의료기관 등으로 전송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신호 정보만을 전달하므로 응급조치할 주체(관리 주체자)가 구체적으로 환자의 상태가 어떻게 되는지, 또는 무슨 조치가 급한지 알 수 없다. 또한 환자의 요청 혹은 의료진의 상황 판단 등 인간의 사고가 개입되므로 시간이 걸리거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관리 주체자가 특정 행위(구조)를 하도록 유도하는 과정의 경우, 기존 기술은 Broadcasting을 통해 다수의 단말 혹은 서버에 응급 신호를 전달하는 수준까지 구현되어 있어, 그 이후의 구조 행위는 자율에 맡기게 되어 중복 구조 행위가 발생할 수 있고 사람의 상황 판단이 개입되어 책임감이 부족해 구조 행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현재 119 구급 및 CCTV 보안 출동 시스템의 경우, 응급 상황 인지는 신속히 이뤄지지만 가까운 거리가 아닌 경우가 많아 당장 필요한 긴급 대처가 불가능하여 안타깝게 사망하는 환자가 많다. 그리고 폐쇄된 공간에서 응급 상황 발생 시, 가까운 거리에 사람이 있더라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반인들은 실제 응급 상황 앞에서도 환자의 이상 증상 원인 및 대처 방법 등을 알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인간이 판단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M2M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 대처와 관련된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근처에서 일어나는 응급 상황을 즉시 인지하고 대처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상태가 심각한 경우 119 구급차가 출동하게 된다면 도착 전까지 필요한 응급 처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Wearable PHD(Personal Health Device, 개인건강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응급 상황 여부를 체크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에 필요한 종합 정보를 생성하게 하며, 해당 응급 상황을 관련 서비스에 공지하고 가까운 거리의 모바일(mobile) 단말 소지자가 즉시 대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통신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고 개인정보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M2M 단말이,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건강수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긴급 응급 대처 방법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resource)를 생성하여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응급 대처 서버인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상기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가지는 제1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이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는 하나의 M2M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까지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는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에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거리값 및 두 번째로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M2M 이동 단말들 각각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M2M 단말은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 (d) 상기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상기 응급 대처 서버인 제2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d)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M2M 단말은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e)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f)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 (g)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사용자의 사망에 의해 중지될 때, 상기 M2M 단말이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2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장례식장에 관한 장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합 정보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d) 상기 M2M 단말이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상기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e) 상기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가 전달된 후, 상기 M2M 단말이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f)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g) 상기 응급 대처 서버인 제2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 (h)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건강수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긴급 응급대처 방법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생성하는 M2M 단말; 및 상기 M2M 단말에 의해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공지 받아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상기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제1 응급 대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가지는 제1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이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지 않을 때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는 하나의 M2M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까지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거리값 및 두 번째로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M2M 이동 단말들 각각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제2 응급 대처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사용자의 사망에 의해 중지될 때,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2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장례식장에 관한 장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합 정보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M2M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상기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가 전달된 후,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M2M 단말로부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의해 삭제되며,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에 가입한 환자들의 건강 상태를 Wearable PHD를 이용해 체크하고, 다양한 공간(보이지 않는 단독 공간 포함)에서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응급 상황 발생 시 M2M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근처 일반인들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19 구급차가 출동하여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 늦은 응급 대처로 인한 상태 심각화 혹은 사망을 방지하여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서비스 동의한 범위내의 정보에 한해 가까운 거리순대로 모바일(mobile) 단말(이동 단말)에게 응급상황에 관한 종합정보를 보여줄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nnounced Resource, 즉 링크(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므로 실제 정보가 누출되거나 수정되지 않으며, 실제 Resource보다 데이터 용량이 훨씬 작아 적은 네트워크 부하만으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응급 상황이 종료되면 De-Announce 과정을 통해 응급 상황 관련 정보 Resource와 Announced Resource를 자동적으로 삭제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 사망 시, M2M 통신을 통해 가족들에게 근처 병원 혹은 장례식장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여, 타지에서 사망하더라도 즉시 비교하여 장례식장을 선택하도록 하고 사망한 환자를 호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독거노인이 급속히 증가할 미래 사회에서 M2M 통신을 통해 저비용으로 응급 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으며, 통신사에서 상품으로 개발하거나 공익의 목적으로 보급하게 된다면 파급효과가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M2M 통신의 immediate response Announce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M2M 통신의 delayed response Announce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M2M 통신의 De-Announce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체크 및 공지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대처 및 환자 회복 시 개인정보와 PHR 보호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사망 시 가족들에게 장례 정보 전달 및 개인정보와 PHR 보호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에 포함되는 응급상황 대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에 포함되는 응급상황 종료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흐름도)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Wearable PHD(Personal Health Device)를 이용해 응급 상황을 체크하고 상황 발생 시 대처에 필요한 종합 정보를 생성하고 공지하는 방법, 근처 단말 소지자들이 신속히 응급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 1에 도시된 immediate response Announce 절차(또는 도 1의 immediate response Announce 절차 및 도 3의 De-Announce 절차)를 응용(이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도 4의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시스템(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또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장치)은 ETSI M2M 표준에 기반을 두어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자는 ‘응급 상황 대처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이며, 해당 서비스와 호환되는 Issuer(100)를 착용하고,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Hosting SCL(200)를 집안 혹은 회사에 설치하고 생활한다. 환자가 서비스 가입 시, 웹(web)(또는 웹사이트)이나 앱(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정보는 Hosting SCL(Service Capabilities Layer)(200) 및 응급 대처 Server(300a)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서비스 가입 시의 Issuer(100) 및 Hosting SCL(200) 등록 등의 절차는 ETSI M2M 표준을 준수한다. 사용자 정보는 환자의 개인정보 및 가족 연락처 등을 포함하며, 가족 연락처는 환자 사망 시 ‘장례 정보’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할 때 사용되고, 가족들은 주기적으로 ‘환자 건강 정보’를 SMS로 받아볼 수도 있다.
Issuer(요청자)(100)는 해당 서비스와 호환되는 Wearable PHD 혹은 체내 삽입형 센서 등과 같은 착용형(Wearable) 단말(착용형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착용형 단말은 환자(사용자)의 건강 수치(혈당 또는 혈압 등과 같은 건강수치 측정치)를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Issuer(100)는 알람(alarm) 기능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Issuer(100)에 별도의 저장 공간은 없으며, 측정치 등의 리소스(Resource)는 Hosting SCL(200)에 저장된다.
Hosting SCL(200)은 ETSI M2M 표준의 서비스 기능 모듈(Service Capabilities module)으로서, 해당 서비스와 호환되거나 전용으로 개발된 Device(M2M 단말) 혹은 게이트웨이(G/W, gateway)(M2M 게이트 단말)일 수 있다. Issuer(100)를 통해 측정된 모든 측정치 및 사용자 정보가 Hosting SCL(200)에 저장된다. 환자는 Hosting SCL(200)의 접근권한을 설정하여 개인정보 및 PHR(Personal Health Record, 개인건강기록)을 보호할 수 있다.
응급 대처 서버(Server)(300a)는 M2M 표준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계층(NSCL, Network Service Capabilities Layer)인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로서, 응급 상황 발생 시 Issuer(100) 근처 모바일 단말들(500)의 소지자들(사용자들)에게 종합 정보를 제공하여 응급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응급대처 Server(300a)는 Announced Resource를 생성 및 저장하므로, Announced-to-SCL(300b)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응급 대처 Server(300a)는 병원 또는 장례식장의 최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환자 사망 시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Announced-to-SCL(300b)는 M2M 표준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계층(NSCL)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서, 응급 상황 발생 시 관련 서비스들에게 공지하기 위해 Announced Resource를 생성 및 저장하여 1:1로 매핑(mapping)되어 있는 각 NA(M2M Network Application 또는 M2M Network Application 서버)(600)들에게 전달한다. 관련 서비스는 119 구급 시스템 또는 의료기관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ore Network(코어망)(400)은 응급 대처 Server(300a)에서 근처 단말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정보를 Response(응답)한다.
M2M 이동 단말인 근처 모바일 단말(500)은 M2M 표준의 단말 애플리케이션(DA, device application) 및 단말 서비스 계층(DSCL, device Service Capabilities Layer)으로서, Core Network(400)을 통해 선별되고, 응급 대처 Server(300a)를 통해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해당 단말 소지자들은 응급 대처를 수행하도록 유도된다.
NA(600)는 M2M 표준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Network Application)으로서, Announced-to-SCL(300b)과 1:1로 매핑되어 있으며, 관련 서비스들의 웹 및 앱 혹은 시스템을 포함한다. NA(600)는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119 구급 시스템 혹은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일 수 있다.
Hosting SCL(200)부터 각 Announced-to-SCL(300b)과 NA(600)까지의 통신은 ETSI M2M 표준에 명시된 바와 같이 1:1 Coupling 통신으로 수행되지만, 필요 시 Broadcasting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응급 상황 체크 및 대처 절차에 대한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그 절차의 실시예는 도 5, 6, 및 7의 플로우(flow)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체크 및 공지 절차에 대한 플로우(flow)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착용형 센서인 Issuer(100)에서 측정한 측정치는 Hosting SCL(200)으로 전달된다(S100). Hosting SCL(200)에서 측정치 리소스(Resource)를 생성하며 저장한다(S101).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다면 Hosting SCL(200)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음을 Issuer(100)에게 응답(Response)한다(S102). 그리고 Hosting SCL(200)은 전달된 측정치를 기반으로 환자의 응급 상황 여부를 체크(check)(검사)한다(S103). Hosting SCL(200)에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측정치를 비교하여 응급 상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응급 상황 발생 시까지 S100~S103 과정이 반복된다.
응급 상황 여부 판단 결과,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Hosting SCL(200)에서 Issuer(100)에게 GPS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 및 알람을 요청한다(S104). Issuer(100)는 즉시 알람을 작동시키고(S105), GPS 정보를 전달하고 응급 상황의 Announce(공지)를 요청한다(S106). Hosting SCL(200)은 전달받은 GPS 정보, 기존 사용자 정보 및 최근 측정치, 측정치에 따른 증세 정보, 및 추가도움요청 정보가 포함된 긴급 응급 대처 방법 등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Resource)를 생성한다(S107).
Hosting SCL(200)은 상기 종합 정보 Resource를 Announce하여(S108) 제2 응급 대처 서버인 Announced-to-SCL(300b) 혹은 제1 응급 대처 서버인 응급 대처 Server(300a)에서 Announced(공지된) 종합 정보 Resource를 생성한다(S109).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Announced-to-SCL(300b) 또는 응급 대처 Server(300a)는 정상적으로 Announce되었음을 Hosting SCL(200)에게 응답(Response)한다(S110). 응급 대처 Server(300a)는 Response(S110) 이후 Core Network(400)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도 6의 S200)로 넘어가며, Announced-to-SCL(30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로 매핑되어 있는 NA(600)에 공지 등록을 요청하고(S111), NA(600)에서는 해당 공지를 등록한다(S112). NA(600)는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다면 정상적으로 공지되었음을 응답(Response)한다(S113). 관련된 모든 서비스의 Announced-to-SCL(300b)과 NA(600)에 공지되도록 S108~S113과정이 반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600)가 ‘119 구급 시스템’인 경우, 공지된 내용이 일정 조건에 해당하면, 즉시 119 구급차가 출동한다(S114~S115-1). 이로써 응급 상황을 체크하고 관련 서비스에 공지하는 절차가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대처 및 환자 회복 시 개인정보와 PHR 보호 절차에 대한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응급 대처 Server(300a)는 Response(도 5의 S110) 이후 Core Network(400)(예를 들어, 코어망(400)에 포함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 또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홈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Issuer(100) 반경 일정거리 내 모바일 단말(500)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및 GPS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200). 일정거리는 서비스에서 결정하게 되며, 100m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Issuer(100) 반경의 일정거리 내 모바일 단말(500)은, 착용형 단말인 Issuer(100)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M2M 이동 단말을 지시(indication)할 수 있다. 상기 GPS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500)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Core Network(400)은 Issuer(100)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응급 대처 Server(300a)가 요청한 정보를 찾아서 해당 정보를 응급 대처 Server(300a)에 전달한다(S201). 응급 대처 Server(300a)는 전달받은 모바일 단말(500) 리스트(list)를 거리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202). 이후, 응급 대처 Server(300a)는 각 단말(500)과 연결할 최적의 Network를 선택하여 우선순위 1순위 단말(500-1)부터 Announced 종합정보 Resource(링크(URI 링크))를 통해 종합정보를 View(출력 또는 제공)하도록 한다(S203). 즉, 응급 대처 Server(300a)는 코어망(400)으로부터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 및 GPS 정보를 근거로 하여 Issuer(100)와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가지는 제1 M2M 이동 단말로 상기 공지된(announced) 종합정보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1순위 단말(500-1) 소지자가 대처 가능 Yes 혹은 No를 결정하여 입력하면, 단말(500-1)에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생성한다(S204). 생성된 정보는 응급 대처 Server(300a)로 전달된다. 이 때 정보에 따라 절차가 나뉜다.
(1) 대처 가능 Yes: 이후 순위(2순위~) 단말(500-2,…)에게 더 이상 종합정보를 View(S203)하지 않는다.
(2) 대처 가능 No: 대처 가능 Yes 하는 단말(500)이 나올 때까지 이후 순위(2순위~)에게 종합정보 View 및 대처 가능 여부를 체크(check)한다(S203~S205 반복).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이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응급 대처 서버(300a)로 전달하지 않을 때, 응급 대처 서버(300a)가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응급 대처 서버(300a)로 전달하는 하나의 M2M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까지 Issuer(100)와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해당 단말(500)이 일정 시간 이상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생성하지 않으면, (2)와 같이 다음 순위로 넘어간다. 또한 환자 대처에 1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단말(500)에 ‘추가 도움 요청’을 통해 다음 순위의 단말(500) 소지자에게 (2)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응급 대처 서버(300a)는 코어망(400)으로부터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 및 GPS 정보를 수신하여(근거로 하여) Issuer(100)와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 거리값 및 두 번째로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M2M 이동 단말들 각각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응급 대처하기로 결정한 단말(500) 소지자는 환자의 종합 정보를 보고 달려가서 응급 대처를 수행한다(S206).
환자는 스스로 회복할 수도 있고 단말(500) 소지자 혹은 출동한 119 구급대원에 의해 회복될 수 있다. 알람은 환자가 회복하여 Issuer(100)에서 정상치가 측정되면 자동 중지된다(S207-1). 환자가 사망하게 되어도 Issuer(100)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사망으로 인지하여 알람이 자동 중지된다(도 7의 S207-2).
환자의 회복과 사망 시의 종료 시나리오의 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사망 시의 장례 정보 전달 절차는 도 7에서 다룬다. 환자 회복 시, Issuer(100)에서 Hosting SCL(200)으로 종합 정보 De-Announce를 요청한다(S208). Hosting SCL(200)에서는 종합 정보 Resource를 삭제하고(S209), 정상적으로 삭제되었음을 Issuer(100)에게 응답(Response)한다(S210). 그리고 Hosting SCL(200)은 종합 정보 Resource를 De-Announce하여(S211) Announced-to-SCL(300b) 혹은 응급 대처 Server(300a)에서 Announced 종합 정보 Resource를 삭제한다(S212). Announced-to-SCL(300b) 혹은 응급 대처 Server(300a)는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다면 정상적으로 De-Announce되었음을 Hosting SCL(200)에게 응답(Response)한다(S213). Announced-to-SCL(30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로 매핑되어 있는 NA(600)에 공지 삭제를 요청하고(S214), NA(600)에서는 해당 공지를 삭제한다(S215). NA(600)는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다면 정상적으로 삭제되었음을 응답(Response)한다(S216). 응급 대처 Server(300a) 및 관련된 모든 서비스의 Announced-to-SCL(300b)과 NA(600)에서 공지가 삭제되도록 S211~S216 과정을 반복한다. 이로써 응급 상황 발생 시 근처 일반인이 빠르게 대처하여 해결하거나, 119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에 필요한 대처를 근처 일반인이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절차가 완성된다. 또한 환자의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회복하여 상황 종료 시 공지된 정보를 삭제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절차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사망 시 가족들에게 장례 정보 전달 및 개인정보와 PHR 보호 절차에 대한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알람은 환자가 사망하여 Issuer(100)에서 생체신호가 측정되지 않으면 자동 중지된다(S207-2). Issuer(100)에서 Hosting SCL(200)으로 종합정보(종합정보 리소스)를 장례 정보로 업데이트(Update) 요청한다(S301). 그러면 종합정보의 GPS 정보를 이용해 Hosting SCL(200)에서 응급 대처 Server(300a)로 근처 병원 또는 장례식장에 관한 장례 정보를 요청한다(S302). 근처의 범위는 서비스에서 반경 거리로 정의하며 Issuer(100)로부터 제2 기준 거리값(예를 들어, 1000(m)) 이하에 해당하는 거리일 수 있으며, 상기 장례 정보는 근처 병원 또는 장례식장의 위치 및 가격, 및 현재 공석이 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한다. 이후 응급 대처 Server(300a)에서는 해당 정보를 생성하고(S303), Hosting SCL(200)으로 전달한다(S304). 그러면 Hosting SCL(200)은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종합 정보를 장례 정보로 업데이트(Update)한다(S305). 그렇게 생성된 장례 정보는 저장되어 있던 가족 연락처를 기반으로 Issuer(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족의 M2M 이동 단말인 가족 모바일 단말(700)로 SMS 등의 방법을 통해 전달된다(S306).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다면 Hosting SCL(200)은 Issuer(100)에게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음을 응답(Response)하고(S307), Issuer(100)는 즉시 종합 정보의 De-Announce를 요청한다(S308). Hosting SCL(200)에서는 장례 정보 Resource를 삭제하고(S309), 정상적으로 삭제되었음을 Issuer(100)에게 응답(Response)한다(S310). 그리고 Hosting SCL(200)은 종합 정보 Resource를 De-Announce하여(S311) Announced-to-SCL(300b) 혹은 응급 대처 Server(300a)에서 공지된(Announced) 종합 정보 리소스(Resource)를 삭제한다(S312). 상기 공지된 종합 정보 리소스는 상기 장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nnounced-to-SCL(300b) 혹은 응급 대처 Server(300a)는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다면 정상적으로 De-Announce되었음을 Hosting SCL(200)에게 응답(Response)한다(S313). Announced-to-SCL(300b)는 도 6과 마찬가지로 1:1로 매핑되어 있는 NA(600)에 공지 삭제를 요청하고(S314), NA(600)에서는 해당 공지(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한다(S315). NA(600)는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다면 정상적으로 삭제되었음을 응답(Response)한다(S316). 응급 대처 Server(300a) 및 관련된 모든 서비스의 Announced-to-SCL(300b)과 NA(600)에서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가 삭제되도록 S311~S316 과정이 반복된다. 이로써 환자 사망 시 가족들에게 장례 정보를 전달하는 절차가 완성된다. 또한 환자의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사망하여 상황 종료 시 공지된 정보를 삭제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절차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4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M2M 단말(200) 및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를 포함한다.
M2M 단말(200)은, 착용형 단말(100)의 사용자에 관한 건강수치 측정치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착용형 단말(100)로부터 GPS 정보와 같은 착용형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긴급 응급대처 방법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M2M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공지 받아 착용형 단말(100)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예를 들어, 100(m)) 이하에 위치하는 상기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M2M 이동 단말(500)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한다.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코어망(400)으로부터 전달되는 M2M 이동 단말(500)의 정보를 수신하여(M2M 이동 단말(500)의 정보에 응답하여) 착용형 단말(100)과 M2M 이동 단말(500)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가지는 제1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한다. M2M 이동 단말(500)의 정보는 M2M 이동 단말(500)의 GPS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이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로 전달하지 않을 때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로 전달하는 하나의 M2M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까지 착용형 단말(100)과 M2M 이동 단말(500) 사이의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M2M 이동 단말(500)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코어망(400)으로부터 전달되는 M2M 이동 단말(500)의 정보에 응답하여 착용형 단말(100)과 M2M 이동 단말(500) 사이의 거리 중 최소거리값 및 두 번째로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M2M 이동 단말들(500) 각각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M2M 이동 단말(500)의 정보는 M2M 이동 단말(500)의 GPS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2M 단말(200)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착용형 단말(100)의 알람이 중지될 때, 착용형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M2M 단말(200)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M2M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600)에 등록하는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M2M 단말(200)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착용형 단말(100)의 알람이 중지될 때, 착용형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M2M 단말(200)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M2M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는, M2M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600)는,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의 요청에 의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600)에 등록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할 수 있다.
M2M 단말(200)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착용형 단말(100)의 알람이 사용자의 사망에 의해 중지될 때, 착용형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착용형 단말(100)로부터 제2 기준 거리값(예를 들어, 1000(m)) 이하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장례식장에 관한 장례 정보를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로부터 수신하여 M2M 단말(200)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합 정보 리소스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M2M 단말(200)은,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착용형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족의 M2M 이동 단말(700)로 전달한다.
M2M 단말(200)은, 가족의 M2M 이동 단말(700)로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가 전달된 후, 착용형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M2M 단말(200)에 생성된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는, M2M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제1 응급 대처 서버(300a)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M2M 단말(200)로부터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는, M2M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에 의해 삭제되며,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600)는,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에 의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600)에 등록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2 응급 대처 서버(300b)의 요청에 의해 삭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unit)” 또는 블록 또는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 등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착용형 단말
200: M2M 단말
300a: 제1 응급 대처 서버
300b: 제2 응급 대처 서버
400: 코어망
500: M2M 이동 단말
600: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
700: 가족의 M2M 이동 단말

Claims (18)

  1.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M2M 단말이,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건강수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긴급 응급대처 방법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생성하여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응급 대처 서버인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상기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가지는 제1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이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는 하나의 M2M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까지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는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에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제공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거리값 및 두 번째로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M2M 이동 단말들 각각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M2M 단말은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
    (d) 상기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상기 응급 대처 서버인 제2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은,
    (d)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M2M 단말은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e)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f)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
    (g)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사용자의 사망에 의해 중지될 때, 상기 M2M 단말이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2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장례식장에 관한 장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합 정보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d) 상기 M2M 단말이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상기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e) 상기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가 전달된 후, 상기 M2M 단말이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f)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g) 상기 응급 대처 서버인 제2 응급 대처 서버가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 및
    (h)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
  10.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건강수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긴급 응급대처 방법을 포함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생성하는 M2M 단말; 및
    상기 M2M 단말에 의해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공지 받아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1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상기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제1 응급 대처 서버
    를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가지는 제1 M2M 이동 단말에게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이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지 않을 때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가능 여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 전달하는 하나의 M2M 이동 단말이 존재할 때까지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M2M 이동 단말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상기 제1 M2M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코어망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M2M 이동 단말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착용형 단말과 상기 M2M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 중 최소거리값 및 두 번째로 작은 거리값을 가지는 M2M 이동 단말들 각각에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제2 응급 대처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중지될 때,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검사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황일 때 작동되는 상기 착용형 단말의 알람이 사용자의 사망에 의해 중지될 때,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착용형 단말로부터 제2 기준 거리값 이하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장례식장에 관한 장례 정보를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종합정보 리소스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합 정보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M2M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상기 착용형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전달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2M 단말은, 상기 가족의 M2M 이동 단말로 상기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가 전달된 후, 상기 착용형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M2M 단말에 생성된 업데이트된 종합 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삭제하며,
    상기 M2M 단말로부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는, 상기 M2M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의해 삭제되며,
    상기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된 상기 공지된 종합정보 리소스를 상기 제2 응급 대처 서버의 요청에 의해 삭제하는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30026667A 2013-03-13 2013-03-13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4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67A KR102047924B1 (ko) 2013-03-13 2013-03-13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67A KR102047924B1 (ko) 2013-03-13 2013-03-13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477A true KR20140114477A (ko) 2014-09-29
KR102047924B1 KR102047924B1 (ko) 2019-11-26

Family

ID=5175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67A KR102047924B1 (ko) 2013-03-13 2013-03-13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0491A1 (en) 2017-12-19 2019-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50A (ko) * 2007-04-25 2009-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So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5746A (ko) * 2008-11-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응급 상황 긴급 대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12085906A (ja) * 2010-10-21 2012-05-10 Sharp Corp 生体監視装置、生体監視方法、生体監視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50A (ko) * 2007-04-25 2009-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So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5746A (ko) * 2008-11-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응급 상황 긴급 대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12085906A (ja) * 2010-10-21 2012-05-10 Sharp Corp 生体監視装置、生体監視方法、生体監視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0491A1 (en) 2017-12-19 2019-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US11557014B2 (en) 2017-12-19 2023-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924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4975725B2 (ja) 医療監視ネットワーク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4328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CN1964666A (zh) 生理事件处理系统、方法及设备;监控设备以及程序产品
KR101980263B1 (ko) 의료 센서의 핸드오버에 따른 의료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50328A (ko)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CN111192435A (zh) 一种手术紧急报警的方法及设备
US20150186829A1 (en) Coordinating a multi-step task among one or more individuals
US9507915B2 (en) Managing the delivery of alert messages by an intelligent event notification system
KR10190833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버세대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47924B1 (ko)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Gusev et al. Resilient IoT eHealth solutions in case of disasters
BasheeruddinAsdaq et al. Wireless Networking‐Driven Healthcare Approaches in Combating COVID‐19
JP2003091790A (ja) 老年精神病患者の継続監視用医療システム
KR102303288B1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CN205083475U (zh) 一种重症监护报警系统
KR101539743B1 (ko)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Dolui et al. ReTiHA: Real time health advice and action using smart devices
KR20110054382A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7708A (ko)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5460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관심 대상의 안전 관리 시스템 및안전 관리 방법
KR20170136468A (ko) Aal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홈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8478B1 (ko) 영유아용 긴급 구조시스템 및 영유아용 긴급 구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