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092A -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092A
KR20140114092A KR1020130028403A KR20130028403A KR20140114092A KR 20140114092 A KR20140114092 A KR 20140114092A KR 1020130028403 A KR1020130028403 A KR 1020130028403A KR 20130028403 A KR20130028403 A KR 20130028403A KR 20140114092 A KR20140114092 A KR 2014011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losing
module
electric mo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067B1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2013002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고정되어 개방된 창문에 폐쇄력을 제공하여 창문의 전동 폐쇄를 도모하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of windows}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고정되어 개방된 창문에 폐쇄력을 제공하여 창문의 전동 폐쇄를 도모하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수조작을 통해 개폐가 구현되며, 최근 배연창 등지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진 이송으로 변환하여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밀거나 당겨 자동으로 폐쇄하는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체인로프를 진출입시키는 전동모터가 항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자동 개폐장치를 설치한 창문은, 정역모터의 제동 저항에 의해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즉, 정전이 발생되거나 정역모터의 이상이 발생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력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창문을 임의로 개폐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전동에 의한 창문의 개폐와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11-0069624호를 통해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체인로프를 포함하는 작동부 사이에 클러치 구조를 부가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구동부의 구동을 통한 창문의 개폐상태에서는 클러치부에 의해 구동부와 작동부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클러치부에 의해 구동부와 작동부가 해체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평상시에 제동저항 없이 창문을 수동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런데, 상기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체인로프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가하고, 또 구동부와 작동부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클러치부는 전류의 공급이 요구되는 솔레로이드가 구비되므로, 솔레로이드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설비의 증설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비 화재시에는 수조작을 통해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고, 화재 발생시 전동을 통해 창문에 폐쇄력을 제공하여 창문의 전동 폐쇄를 도모하도록 한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피스톤과 치합하여 연동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창문을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선회암, 및 상기 실린더의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피스톤을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스프링을 압축시켜 창문의 폐쇄력을 장전하는 장전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동 개폐모듈과;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켜 창문의 폐쇄력을 장전한 장전로드를 구속하는 스토핑 모듈; 및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스토핑 모듈에 의해 구속된 장전로드를 전방으로 밀어 스토핑 모듈에 의한 장전로드의 구속을 해제시켜서, 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창문의 폐쇄력을 피스톤에 제공하고 장전로드를 전방으로 가력하여 창문의 폐쇄에 따른 보조 폐쇄력을 제공하는 전동 가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 개폐모듈의 회동축과 피스톤은 랙과 피니언 구조로 치합되어, 피스톤의 진퇴에 의해 선회암을 통해 창문과 링크구조로 연결된 회동축은 정역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 가력모듈은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회전축이 회전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진퇴하는 진퇴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진퇴블럭 사이에는 랙과 피니언, 또는 스크루홈과 볼스크루로 이루어진 연결구조가 형성되어, 전동모터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진퇴블럭은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회암의 단부에는 안내롤러가 형성되고, 창문에는 선회하는 선회암의 단부를 슬라이딩 구조로 고정하는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선회암은 창문에 고정된 안내레일에 안내롤러를 진입시켜 안내레일을 따라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 가력모듈은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전로드에는 전동모터의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전동 가력모듈과 장전로드는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해 직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형성되어, 진퇴로드가 후퇴하는 과정에서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는 공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는,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압축시킨 장전로드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폐쇄력 없이 창문의 수동 개폐가 가능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폐쇄력에 의해 창문의 자동 폐쇄가 가능하다.
특히, 전동 가력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보조 폐쇄력에 의해 창문의 폐쇄에 따른 폐쇄력이 보조되므로 창문의 안정된 폐쇄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창문의 안정된 폐쇄를 통한 제연구역의 안정된 차압 상태의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는 고가의 체인로프나, 별도의 전류의 공급이 요구되는 솔레로이드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관계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고, 또 솔레로이드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설비의 증설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 수동 개폐모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와,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에 있어, 수동 개폐모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와,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1, 1', 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110)과 창틀(100) 사이에 링크구조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수 조작을 통한 창문(110)의 수동 개폐를 구현하고,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전동을 통해 창문(110)을 전동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문 개폐장치(1, 1', 1")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110)과 창틀(100) 사이에 링크구조로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창문(110)의 폐쇄에 따른 폐쇄력을 제공하는 수동 개폐모듈(10)과; 상기 수동 개폐모듈(10)을 구속하여 수동 개폐모듈(10)의 폐쇄력을 장전하는 스토핑 모듈(20); 및 상기 스토핑 모듈(20)에 의한 수동 개폐모듈(10)의 폐쇄력 장전상태를 해제하여 장전된 수동 개폐모듈(10)의 폐쇄력에 의해 창문(110)이 폐쇄되도록 하는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을 포함한다.
즉, 수동 개폐모듈(10)은 평상시 스토핑 모듈(20)에 의한 구속에 의해 창문의 폐쇄에 따른 폐쇄력을 장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시 기동하는 전동 가력모듈(30, 30', 30")에 의해 스토핑 모듈(20)에 의한 폐쇄력의 장전상태가 해제되어 장전된 수동 개폐모듈(10)의 폐쇄력에 의해 창문(110)이 자동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은 수동 개폐모듈(10)에 보조 폐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수동 폐쇄모듈(10)을 통해 제공되는 폐쇄력과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의 기동에 따른 보조 폐쇄력에 의해 창문(110)의 안정된 폐쇄가 이룩되도록 한다.
상기 수동 개폐모듈(1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11a)이 형성된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에 형성된 수용공간(11a)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피스톤(12)과, 상기 실린더(11)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피스톤(12)과 치합하여 연동하는 회동축(13)과, 상기 회동축(13)과 창문(110)을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선회암(14)을 포함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피스톤(12)의 외벽면에는 랙기어(12a)가 형성되고 회동축(13)에는 피니언 기어(13a)가 형성되어서, 피스톤(12)의 진퇴에 의해 회동축(13)은 정역으로 회전하고 또 회동축(13)의 정역 회전에 의해 피스톤(12)이 진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암(14)의 선단부에는 안내롤러(14a)가 형성되고 창문(110)에는 선회하는 선회암(14)의 선단부를 슬라이딩 구조로 고정하는 안내레일(15)이 형성되어서, 선회암(14)은 창문에 고정된 안내레일(15)에 안내롤러(14a)를 진입시켜 안내레일(15)을 따라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창문(110)이 개방되면 도 6a와 같이 선회암(14) 및 회동축(13)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피스톤(12)은 후퇴하며, 도 5b와 같이 창문(110)이 폐쇄되면 도 6b와 같이 선회암(14) 및 회동축(13)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피스톤(12)은 전진한다.
이때, 상기 회동축(13)과 링크구조로 연결된 선회암(14)의 후단부에는 장공(14b)이 형성되어, 개폐되는 창문(110)과 회전축(13) 사이에 변화되는 간극을 보정하여 선회암(14)의 원활한 선회를 통한 창문(110)의 안정된 개폐를 구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동 개폐모듈(10)에, 화재 발생시 실린더(11)의 수용공간(11a)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피스톤(12)을 전방으로 밀어서, 창문의 자동 폐쇄를 도모하는 폐쇄력 제공구조를 부가하여 형성한다.
상기 폐쇄력 제공구조는, 후술되는 스토핑 모듈(20)과 전동 가력모듈(30, 30', 30")과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평상시에는 도 6a와 도 6b와 같이 피스톤(12)을 전방으로 밀어 창문(110)을 폐쇄하는 폐쇄력을 장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시 도 6c와 같이 장전된 폐쇄력을 통해 피스톤(110)을 전방으로 밀어 창문(110)의 자동 폐쇄를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12)이 내설된 실린더(11)의 수용공간(11a) 내에 피스톤(12)을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6)을 배치하고, 상기 실린더(11)에 스프링(16)을 견착하여 압축시키는 장전로드(17)를 진퇴구조로 설치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피스톤(12)에는 수용부(12a)가 형성되어 스프링(16)과 스프링(16)의 선단을 견착한 장전로드(17)의 선단이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소형화된 외관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16)의 전면을 견착한 장전로드(17)는 실린더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장전로드(17)가 후퇴하여 스프링(16)이 압축되면, 스프링(16)의 압축에 따른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12)을 전진시키는 힘 즉, 창문의 폐쇄력이 생성되고, 상기 후퇴를 통해 스프링(16)을 압축시킨 장전로드(17)는 스토핑 모듈(2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후퇴를 통해 스프링(16)을 압축시켜 창문의 폐쇄력을 생성한 장전로드(17)는 스토핑 모듈에 구속되어 폐쇄력의 장전상태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는 도 6a와 도 6b와 같이 피스톤(12)은 스프링(16)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지 아니하므로 수용공간(11a)을 따라 진퇴하여 창문(110)의 수동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스토핑 모듈(20)은 전동모터나 솔레로이드 등 전동을 통해 기동하여 장전로드를 구속하는 전동형이 채택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탄지부재(23)에 의해 탄지된 구속핀(22)이 스프링을 압축시켜 후퇴한 장전로드(17)를 구속하는 탄지형을 제시 및 채택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탄지형의 스토핑 모듈(20)은, 스토핑 본체(21)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구속핀(22)과 상기 구속핀(22)을 탄지하는 탄지부재(23)를 포함하며, 상기 장전로드(17)에는 구속핀(22)에 진입하여 고착되는 걸림턱(17a)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핑 모듈(20)의 구속핀(22)은 스프링(16)을 압축시켜 후퇴한 장전로드(17)의 걸림턱(17a)을 견착하여 구속하며, 이때 실린더(11)의 수용공간(11a)에 수용되어 선회암(14)을 통해 창문(110)과 링크구조를 형성한 피스톤(12)은 압축된 스프링(16)과 장전로드(17)의 간섭없이 수용공간을 따라 진퇴하므로, 후퇴한 장전로드(17)가 스토핑 모듈(2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는 수 조작을 통한 창문(110)의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창문 개폐장치(1, 1', 1")를 구현함에 있어, 화재 발생시 스토핑 모듈(12)에 의한 구속을 해체하는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을 부가하여, 화재 발생시 스프링(16)의 압축에 따른 폐쇄력에 의해 피스톤(12)이 전방으로 강제 이송하여 창문(110)의 자동 폐쇄가 이룩되도록 한다.
상기 전동 가력모듈(30)은 전동모터(31)에서 생성된 회전력에 의해 스토핑 모듈(20)에 의해 구속된 장전로드(17)를 전진시켜 스토핑 모듈(20)에 의한 장전로드(17)의 구속을 해제하는 한편, 장전로드(17)를 전방으로 전진시켜 피스톤(12)의 전진에 따른 보조 폐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은 기동전류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기에서는 상기 스토핑 모듈(20)에 의해 구속된 장전로드(17)의 구속을 해제하고 장전로드(17)를 전방으로 밀어 창문의 폐쇄에 따른 보조 폐쇄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을 상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서는 전동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해 진퇴하는 진퇴블럭(34)을 형성하여 전진하는 진퇴블럭(34)에 의해 스토핑 모듈(20)에 의해 구속된 장전로드(17)가 전진하도록 한 진퇴블럭(34)을 포함하는 전동 가력모듈(30, 30')을 제안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진퇴블럭(34)과 전동모터(31)의 회전축(31a)에 볼스크루(33)와 스크루홈(34a)으로 이루어진 볼 스크루 구조를 형성하여 전동모터(31)의 정회전에 의해 진퇴블럭(34)이 전진하도록 한 전동 가력모듈(30)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진퇴블럭(34)과 전동모터(31) 사이에 랙기어(34b)와 피니언 기어(32)로 이루어진 치합구조를 형성하여, 전동모터(31)의 정회전에 의해 진퇴블럭(34)이 전진하도록 구성한 전동 가력모듈(30')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전동모터(31)와 장전로드(17)를 랙기어(12b)와 피니언 기어(32)를 치합시킨 직결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전동모터(31)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장전로드(17)는 전진하여 스토핑 모듈(20)에 의해 구속된 장전로드(17)의 구속을 해제하고 장전로드(17)를 전방으로 밀어 창문(110)의 폐쇄에 따른 보조 폐쇄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동 가력모듈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전동모터(31)의 회전축(31a)과 피니언 기어(32)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b)을 형성하여서, 상기 장전로드(17)가 후퇴하는 과정에 피니언 기어(32)는 공회전하고, 회전축(31)이 정회전하면 정회전하여 장전로드(17)를 전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장전로드(17)의 후퇴시 전동모터(31)에 의한 제동부하가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관리자는 전동모터(31)에 의한 제동부하 없이 장전로드(17)를 후퇴시켜 스토핑 모듈(2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6a와 도 6b와 같이 스프링(16)을 압축시켜 후퇴한 장전로드(17)가 스토핑 모듈(20)의 구속핀(22)에 견착하여 고정되면 장전로드(17)에 의한 피스톤(12)의 전방 탄지가 해체되므로 사용자는 창문을 당기거나 밀어서 창문을 수동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6)의 압축을 위한 장전로드(17)의 후퇴는 관리자가 장전로드(17)를 강제적으로 당겨서 구현할 수도 있고, 창문(110)의 개방에 따른 피스톤(12)의 후퇴에 의해 스프링(16)의 압축 및 장전로드(17)의 후퇴를 도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재 신호가 인가되어 전동 가력모듈(30, 30', 30")이 기동하면, 장전로드(17)는 도 6c와 같이 전동 가력모듈(30, 30', 30")에서 제공되는 보조 폐쇄력에 의해 전진하여 스토핑 모듈(2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고, 이후 스프링(16)의 압축에 따른 폐쇄력과 전동 가력모듈(30, 30', 3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보조 폐쇄력에 의해 창문(110)의 안정된 폐쇄가 이룩되고,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시 창문의 안정된 폐쇄를 통해 제연구역의 안정된 차압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 1". 창문 개폐장치
10. 수동 폐쇄모듈 11. 실린더
11a. 수용공간 12. 피스톤
12a. 랙기어 12a. 수용부
13. 회동축 13a. 피니언 기어
14. 스프링 14a. 안내롤러
14b. 장공
15. 안내 가이드 16. 스프링
17. 장전로드
17a. 걸림턱 17b. 랙기어
20. 스토핑 모듈 21. 스토퍼 본체
22. 구속핀 23. 탄지부재
30, 30', 30". 전동 가력모듈 31. 전동모터
31a. 회전축 31b.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32. 피니언 기어 33. 볼 스크루
34. 진퇴블럭 34a. 스크루홈
34b. 랙기어
100. 창틀 110. 창문

Claims (7)

  1. 수용공간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에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피스톤과 치합하여 연동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창문을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선회암, 및 상기 실린더의 수용공간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피스톤을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스프링을 압축시켜 창문의 폐쇄력을 장전하는 장전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동 개폐모듈과;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켜 창문의 폐쇄력을 장전한 장전로드를 구속하는 스토핑 모듈; 및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스토핑 모듈에 의해 구속된 장전로드를 전방으로 밀어 스토핑 모듈에 의한 장전로드의 구속을 해제시켜서, 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창문의 폐쇄력을 피스톤에 제공하고 장전로드를 전방으로 가력하여 창문의 폐쇄에 따른 보조 폐쇄력을 제공하는 전동 가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개폐모듈의 회동축과 피스톤은 랙과 피니언 구조로 치합되어, 피스톤의 진퇴에 의해 선회암을 통해 창문과 링크구조로 연결된 회동축은 정역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가력모듈은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회전축이 회전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진퇴하는 진퇴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진퇴블럭 사이에는 랙과 피니언, 또는 스크루홈과 볼스크루로 이루어진 연결구조가 형성되어, 전동모터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진퇴블럭은 전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암의 단부에는 안내롤러가 형성되고, 창문에는 선회하는 선회암의 단부를 슬라이딩 구조로 고정하는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선회암은 창문에 고정된 안내레일에 안내롤러를 진입시켜 안내레일을 따라 선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가력모듈은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전로드에는 전동모터의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전동 가력모듈과 장전로드는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해 직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형성되어, 진퇴로드가 후퇴하는 과정에서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는 공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KR20130028403A 2013-03-18 2013-03-18 창문 개폐장치 KR10150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403A KR101509067B1 (ko) 2013-03-18 2013-03-18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403A KR101509067B1 (ko) 2013-03-18 2013-03-18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092A true KR20140114092A (ko) 2014-09-26
KR101509067B1 KR101509067B1 (ko) 2015-04-06

Family

ID=5175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8403A KR101509067B1 (ko) 2013-03-18 2013-03-18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770A (zh) * 2018-02-09 2019-08-16 宁波欧适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钢轨窗结构
CN110344698A (zh) * 2018-10-31 2019-10-18 浙江德毅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温爆防火风撑的安装结构及具有它的门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191Y1 (ko) * 2006-07-20 2006-11-23 류운형 도어의 자동 폐쇄장치
KR100816767B1 (ko) * 2007-02-21 2008-03-25 최호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0961229B1 (ko) 2009-08-26 2010-06-03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방화용 도어 잠금장치
KR101316099B1 (ko) * 2012-01-25 2013-10-11 (주) 금강씨에스 창문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770A (zh) * 2018-02-09 2019-08-16 宁波欧适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钢轨窗结构
CN110344698A (zh) * 2018-10-31 2019-10-18 浙江德毅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温爆防火风撑的安装结构及具有它的门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067B1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838B2 (en) Clutch mechanism for power device
US8764075B2 (en) Double pawl vehicle latch
JP5938463B2 (ja) プラグドアロック装置及びプラグドアシステム
KR101486167B1 (ko)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EP2868854B1 (en) Drive arrangement for a window or door
CN105927057B (zh) 一种触发式锁具
KR101273056B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509067B1 (ko) 창문 개폐장치
KR20120132250A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101534935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CN112459623A (zh) 电动锁体
KR101758323B1 (ko) 제동장치를 구비한 도어클로저
KR20120026847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256450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CN209908112U (zh) 一种离合式门锁
JP200905777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2124723B1 (ko) 창호용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KR102124724B1 (ko) 창호용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CN215443545U (zh) 电动锁体
KR101557669B1 (ko) 창문 개폐장치
CN114080483B (zh) 用于窗、门等的锁扣件
KR101778975B1 (ko) 옥상용 도어의 개폐장치
KR100969259B1 (ko) 자동개폐식 창호
JP2008280671A (ja) ロック装置
CN111868349B (zh) 功能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