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847A -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847A
KR20120026847A KR1020100089003A KR20100089003A KR20120026847A KR 20120026847 A KR20120026847 A KR 20120026847A KR 1020100089003 A KR1020100089003 A KR 1020100089003A KR 20100089003 A KR20100089003 A KR 20100089003A KR 20120026847 A KR20120026847 A KR 2012002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heel
spring
device bod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102010008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847A/ko
Publication of KR2012002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하면서 생산과 조립 및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하나의 장치로 도어의 개방방향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고, 설치시 노출이 심하지 않아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으로 구비하는 장치바디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클로저와 도어의 개방위치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장치바디의 중앙에 설치하는 암대와, 상기 암대 위치의 장치바디 내부에 암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의 개방상태를 지속시키도록 설치하는 개방유지수단과, 상기 장치바디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암대가 도어클로저의 힘을 전달받아 도어를 닫혀 지도록 개방유지수단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방화문 자동폐쇄장치{AUTOMATIC CLOSER FOR A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수의 절감으로 컴팩트한 사이즈 특히 두께가 얇으면서 도어의 완전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조립과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는 개방된 상태에 있는 방화문을 화재 발생시 연기 화염등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닫혀 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화문 자동개폐장치는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 건의 특허(제 567771, 567772, 567774, 567775, 567769, 574416, 656890 호)를 받은바 있다.
상기와 같은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의 대표적인 구성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방화문 자동폐쇄장치(1)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2)의 중앙부에 감지수단(3)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4)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5)를 장착한다.
상기 모터(5)의 일 측에는 방화문과 연결되는 암대(6)를 작동판(7)을 개재하여 본체(2)와 볼트(8)와 너트(9)로 고정하고, 상기 암대(6)의 고정위치에는 톱니(10)를 형성하여 작동판(7)에 형성되는 톱니(11)와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작동판(7)에는 위치결정홈(12)을 형성하여 모터(5) 하방에 형성되는 작동홀(13)에 스프링(14)을 개재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작동볼(15,15')의 어느 하나와 치합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른 하나의 작동볼(15')은 모터(5)의 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16)와 맞물리는 작동기어(17)의 내측 면에 방화문의 개방범위만큼 형성하는 볼홈(18)에 연접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의 축에 고정되는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작동기어와 연접되는 볼이 작동기어에 형성되는 볼홈에 삽입되지 않고 작동기어의 표면과 연접됨으로써, 반대 위치의 볼이 작동판에 형성된 위치결정홈에 삽입된 상태에 있으므로 통상의 도어클로저와 연결된 암대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므로 도어를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도어가 도어클로저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폐쇄상태는, 화재감지수단의 신호를 인가받아 모터가 작동하고, 모터에 의하여 작동기어가 회전하여 볼을 볼홈에 위치시킴으로써 대향 위치의 볼과 스프링이 후퇴하게 되므로 작동판의 위치결정홈에 해제상태로 전환하게 되므로 암대는 도어클로저에 의하여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작동판과 볼을 도어클로저가 도어를 닫고자 하는 힘 보다 큰 힘으로 암대를 잡아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볼을 밀고 스프링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대형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피가 비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피가 커짐으로써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하방으로 많이 돌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도어클로저를 연결하기 위한 위치가 도어의 상단에 위치하지 못하고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판을 필요로 하는 등 부수적인 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므로 장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모터의 힘이 구동기어와 작동기어를 통하여 볼과 스프링 및 볼로 전달되므로 동력손실이 발생하여 실제 현장에서 작동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단순하게 스프링이 미는 힘에 의해서만 유지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약간의 힘만 도어에 전도할 경우에는 쉽게 개방된 도어가 닫혀 지게 되므로 사용에 불편이 따른다.
도어의 개방위치(개방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개방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도어를 개방한 후 암대의 원판과 작동판을 연접시켜 연접위치에 형성하는 톱니가 맞물리도록 한 후 볼트로 원판과 작동판을 견고하게 고정하면 된다.
그러나,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최대 개방위치)에는 도어를 벽면과 밀착시킨 후 원판과 작동판을 결합시켜 톱니가 서로 맞물리게 한 후 고정하면되나, 톱니가 5°각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힌지에서의 5°는 미세하나 도어 끝단부에서의 5°는 상당한 갭을 가지게 되므로 결국에는 도어가 완전하게 벽면에까지 밀착되지 못한 상태로 최대개방위치를 유지하므로 이용자들의 이용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클로저와 연결하기 위한 암대가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어느 한 방향과만 연결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위치에 따라 오른쪽개방용 또는 왼쪽개방용으로 별도 제작하여야 하므로 생산과 조립의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물론,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으로 구비하는 장치바디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클로저와 도어의 개방위치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장치바디의 중앙에 설치하는 암대와, 상기 암대 위치의 장치바디 내부에 암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의 개방상태를 지속시키도록 설치하는 개방유지수단과, 상기 장치바디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암대가 도어클로저의 힘을 전달받아 도어를 닫혀 지도록 개방유지수단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성하여, 소형화하면서 생산과 조립 및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하나의 장치로 도어의 개방방향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고, 설치시 노출이 심하지 않아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박형의 기어드모터를 이용하여 암대의 위치결정과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설치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전체 부피(특히 높이)가 작아지게 되므로 이와 연결되는 도어클로저와의 결합위치가 도어 상단과 맞게 되므로 별도의 보강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도어클로저의 재설치가 필요 없어 장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피가 작으면서도 도어프레임과 밀착되어 설치될 때 전선의 배선을 위한 필요공간을 확보하여 화재감지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암대가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도어의 개방 방향에 제한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100)는, 직사각형상으로 장치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바디(101)의 중앙부 전방으로는 도어(102)에 장착되는 통상의 도어클로저(103)와 연결하기 위한 암대(110)를 설치하여 도어(102)의 개방위치에 관계없이 연결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암대(110) 위치의 장치바디(101) 내부에는 암대(11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102)의 개방상태를 지속시키도록 하기 위한 개방유지수단(130)을 설치하고, 상기 개방유지수단(130)은 장치바디(101)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해제수단(150)에 의하여 암대(110)가 도어클로저(103)의 힘을 전달받아 도어(102)를 닫혀 지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암대(110)는 도어클로저(103)와 연결할 수 있도록 길게 돌출되는 연결판(111)과 상기 연결판(111)의 내측에 연결휠(11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휠(112)은 장치바디(101)에 베어링(113)으로 축(114) 유지되어 회전 자유롭게 결합 되는 작동휠(115)과 고정수단(116)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휠(115)의 하방에는 연결휠(112)을 수용할 수 있는 휠수용공간(117)을 형성하고, 연결휠(112)과 연결판(111)의 연접위치에는 휠수용공간(117)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절곡부(118)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휠수용공간(117)의 내벽(119)과 연결휠(112)의 외면(120)은 경사면(121)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휠수용공간(117)의 내벽(119) 다수 곳에는 치형돌기(122)를 형성하여 연결휠(112)을 고정수단(116)으로 단속할 때 치형돌기(122)가 연결휠(112)을 파고들어 유동하거나 헛돌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도어(102)의 개방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휠수용공간(117)이 형성되는 작동휠(115)은 열처리에 의하여 고강도를 가지고 연결휠(112)은 작동휠(115)보다 연성이기 때문에 고정수단(116)으로 견고하게 단속할 때 연결휠(112)이 치형돌기(122)를 파고들게 되므로 위치결정과 동시에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휠(115)의 외면 어느 한 방향에는 개방유지수단(130)을 구성하는 위치결정핀에 의하여 단속되어 도어(102)의 개방위치를 실제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홈(125)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개방유지수단(130)은 작동휠(115)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125)에 출입하여 단속과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장치바디(101)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131)로 유지되는 위치결정핀(132)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결정핀(132)의 후방에는 어느 일측은 장치바디(101)와 축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다른 측은 장치바디(10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3)을 따라 위치결정핀(132)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단(134)을 가지는 판스프링(135)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135)의 중앙부 큰처 후방에는 복귀스프링(136)을 개재하여 해제된 판스프링(135)이 단속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동단(134)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스프링(135)을 단속하기 위한 스프링유지구(137)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유지구(137)는 상단은 장치바디(101)와 힌지핀(138)으로 결합하여 움직임 자유롭도록 판상의 유지구바디(140)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핀(138)에는 해제 후 복귀를 위한 리턴스프링(141)을 개재한다.
상기 유지구바디(140)의 중도에는 판스프링(135)의 자유단(134)을 걸림시켜위치결정핀(132)을 단속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42)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135) 또는 스프링유지구(137)가 후퇴하는 위치의 장치바디(101)에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완충재질의 댐퍼(143)를 개재하여 구성한다.
상기 해제수단(150)은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발생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소형의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의 동력으로 스프링유지구(137)의 하단을 당겨 판스프링(135)의 자유단(134)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견인자(152)로 구성한다.
상기 모터(151)는 가로와 세로가 1㎝와 1.5㎝이하의 소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어드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견인자(152)는 모터(151)의 축에 캠(153)을 고정하고 상기 캠(153)에는 스프링유지구(137)의 하단부를 걸어서 당길 수 있는 당김턱(154)을 가지는 커넥팅로드(154)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견인자(152)의 구성을 캠과 커넥팅로드로 구성하고 있으나, 랙과 피니언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도 가능할 것이므로, 본원의 기술내용을 토대로 단순한 설계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기술적인 내용을 본원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해제수단(150)의 대향 위치에는 도어(102)의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160), 배터리(161) 또는 작동제어를 위한 단자(162)를 구비하는 단자홀(163)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홀(163)은 전선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저면에 홀커버(165)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한다.
상기 단자홀(163)에는 화재감지기로부터 인출되는 배선연결을 위한 배선공(166)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공(166)은 장치바디(101)에 수납된 개방유지수단(130)과 해제수단(150)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하는 커버(170)의 상면과 장치바디(101)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통하여 연통 되도록 함으로서 도어프레임을 통하여 연결되는 배선 처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화문 자동폐쇄장치(100)는 도어프레임에 설치한 후 도어(102)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저(103)와 암대(110)를 구성하는 연결판(111)으로 연결함으로써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화문 자동폐쇄장치(100)를 설치할 때에는 먼저 도어(102)의 개방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는 암대(110)를 구성하는 작동휠(115)과 연결휠(112)을 단속하는 고정수단(116)을 풀어서 연결휠(112)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102)를 개방시켜 개방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후 고정수단(116)을 이용하여 연결휠(112)을 작동휠(115)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완료되는 데, 고정수단(116)으로 연결휠(112)을 단속하면 작동휠(115)의 저면에 형성되는 휠수용공간(117)의 내벽(119) 다수 곳에 형성된 치형돌기(122)가 연결휠(112)의 외면(120)을 파고들어가는 형태가 되므로 결합 된 후 유동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휠수용공간(117)과 연결휠(112)은 경사면(121)을 형성하고 있고, 작동휠(115)을 열처리하여 연결휠(112)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고정과정에서 치형돌기(122)가 연결휠(112)을 쉽게 파고들어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어(102)의 개방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102)를 최대개방위치로 유지하는 것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102)의 개방위치 결정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102)를 닫은 후 도어를 개방할 때 설정된 개방위치까지 도어(102)를 개방하지 않으면, 작동휠(115)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25)과 개방유지수단(130)을 구성하는 위치결정핀(132)이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이용자가 도어(102)를 잡고 있거나 도어(102) 하단에 구비되는 도어스토퍼를 작동시키면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해제하게 되면 도어클로저(103)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닫혀 지게 된다.
도어(102)를 개방시켜 개방된 상태를 지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도어(102)를 설정된 개방위치까지 도어를 개방시키면 작동휠(115)이 도어(102)의 개방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위치결정홈(125)이 위치결정핀(132)과 만나게 되면 판스프링(135)이 미는 힘에 의하여 위치결정핀(132)이 위치결정홈(125)에 들어가게 되므로 개방된 도어가 닫혀 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는 판스프링(135)은 일측이 장치바디(101)와 축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대행측의 가동단(134)은 리턴스프링(141)에 의하여 복귀상태에 있는 스프링유지구(137)에 형성되는 걸림턱(142)에 안치되어 판스프링(135)의 탄반력에 의하여 위치결정핀(132)을 위치결정홈(125)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가능하게 되고, 판스프링(135)의 탄반력은 도어클러저(103)가 도어(102)를 닫고자 하는 힘 보다 큼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102)의 개방상태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화재발생이 있을 경우에는,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인가받은 해제수단(150)이 작동하여 스프링유지구(137)를 개방위치로 전환함으로써 판스프링(135)의 가동단(134)이 해제되므로 판스프링(135)의 탄력에 의하여 후퇴하게 되므로 위치결정핀(132)도 위치결정홈(125)을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도어클러저(103)에 저항하던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닫혀 지게 되므로 방화도어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대피를 위하여 피난 시 이용자들이 도어(102)를 개방하는 동작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개방된 도어는 역시 도어클로저(103)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닫혀 질 것은 당연하다.
특히, 해제수단(150)은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므로 화재해제 신호를 받기 전까지는 항상 스프링유지구(137)를 해제 위치에 잡아두기 때문에 방화도어 기능을 수행하고, 이용자들의 대피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제어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짐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상기 해제수단(150)이 스프링유지구(137)를 해제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화재감지를 인가받은 모터(151)가 작동하여 캠(153)을 회전시키고, 캠(153)과 연결된 커넥팅로드(154)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당김턱(154)이 스프링유지구(137)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에 있으므로 커넥팅로드(154)가 스프링유지구(137)를 당겨서 걸림턱(142)에 안치된 판스프링(135)의 가동단(134)을 해제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동단(134)이 해제되면 판스프링(135)의 탄반력에 의하여 장치바디(101)에 형성된 가이드홈(13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결정핀(132)을 밀고 있던 힘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상판 판스프링(135)과 스프링유지구(137)는 순간적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장치바디(101)와 연접시 상당한 충격과 소음을 유발할 수 있으나, 판스프링(135) 또는 스프링유지구(137)가 움직이는 위치의 장치바디(101)에 더 구비되는 댐퍼(143)에 의하여 흡수되어 완충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해제 신호를 인가받으면, 판스프링(135)은 후방에 구비되는 복귀스프링(136)이 미는 힘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모터(151)는 다시 작동하여 커넥팅로드(154)의 당김턱(154)이 스프링유지구(137)의 하단을 벗어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서, 스프링유지구(137)는 리턴스프링(141)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판스프링(135)의 가동단(134)을 걸림턱(142)에 위치시키게 되므로 초기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암대(110)가 장치바디(10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102)의 개방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능하므로 단일의 종류만 생산하여 모든 도어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과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어의 개방위치 결정이 자유롭고 특히 최대개방위치 결정시 도어가 외부 벽면과 완전 밀착되는 90°개방을 실현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판스프링의 탄반력을 해제하는 작은 힘만 있으면 되므로 해제수단의 모터를 최소형으로 할 수 있어 전체 장치의 크기(두께)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 후 외관을 수려하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클로저의 설치위치 변경이 필요 없어 장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바디 상면에 요입된 형상의 공간(S)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장치바디 저면의 단자홀과 배선 연결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도어프레임을 통하여 연결되는 전선의 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100;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101; 장치바디
110; 암대 112; 연결휠
115; 작동휠 117; 휠수용공간
122; 치형돌기 125; 위치결정홈
130; 개방유지수단 132; 위치결정핀
134; 가동단 135; 판스프링
136; 복귀스프링 137; 스프링유지구
142; 걸림턱 143; 댐퍼
150; 해제수단 151; 모터
152; 견인자

Claims (6)

  1. 직사각형상으로 구비하는 장치바디(101)와;
    도어(102)에 장착되는 도어클로저(103)와 도어(102)의 개방위치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장치바디(101)의 중앙에 설치하는 암대(110)와;
    상기 암대(110) 위치의 장치바디(101) 내부에 암대(11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도어(102)의 개방상태를 지속시키도록 설치하는 개방유지수단(130)과;
    상기 장치바디(101)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암대(110)가 도어클로저(103)의 힘을 전달받아 도어(102)를 닫혀 지도록 개방유지수단(130)을 해제하는 해제수단(15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대(110)는 도어클로저(103)와 연결할 수 있도록 길게 돌출되는 연결판(111)과;
    상기 연결판(111)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휠(112)과;
    상기 장치바디(101)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 되어 고정수단(116)으로 연결휠(112)과 결합하는 작동휠(115)과;
    상기 작동휠(115)의 하방에 연결휠(112)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하는 휠수용공간(117)과;
    상기 휠수용공간(117)의 내벽(119)에는 고정수단(116)으로 연결휠(112) 단속시 연결휠(112)을 파고들어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102)의 개방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다수 개 형성하는 치형돌기(122)와;
    상기 작동휠(115)의 외면 어느 한 방향에 형성하는 위치결정홈(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지수단(130)은 작동휠(115)의 위치결정홈(125)에 출입하도록 가이드(131)로 유지되는 위치결정핀(132)과;
    상기 장치바디(101)와 일측은 축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다른 측은 장치바디(10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단(134)을 가지고 위치결정핀(132)을 제어하는 판스프링(135)과;
    상기 판스프링(135)의 복귀를 도울 수 있도록 판스프링(135)의 후방에 개재하는 복귀스프링(136)과;
    상기 가동단(134) 위치에 구비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스프링(135)을 단속하는 스프링유지구(137)로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유지구(137)는 장치바디(101)와 상단이 힌지핀(138)으로 결합하여 움직임 자유롭게 구비하는 유지구바디(140)와;
    상기 힌지핀(138)에 개재하여 복귀를 돕는 리턴스프링(141)과;
    상기 유지구바디(140)의 중도에 형성하여 자유단(134)을 걸림 시키는 걸림턱(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150)은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발생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소형의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의 동력으로 스프링유지구(137)의 하단을 당겨 판스프링(135)의 자유단(134)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견인자(15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150)의 대향 위치에 도어(102)의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160), 배터리(161) 또는 작동제어를 위한 단자(162)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단자홀(163)과;
    상기 단자홀(163)의 저면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는 홀커버(165)와;
    상기 단자홀(163)과 장치바디(101) 상면과 연통시켜 배선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배선공(166)과;
    상기 장치바디(101)에 수납된 개방유지수단(130)과 해제수단(150)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마감하는 커버(170)의 상면과 장치바디(101)의 상단부 사이에 도어프레임을 통하여 연결되는 배선처리를 위한 공간(S)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스프링(135) 또는 스프링유지구(137)가 후퇴하는 위치의 장치바디(101)에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143)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20100089003A 2010-09-10 2010-09-10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120026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03A KR20120026847A (ko) 2010-09-10 2010-09-10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03A KR20120026847A (ko) 2010-09-10 2010-09-10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558A Division KR101273056B1 (ko) 2012-11-12 2012-11-12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47A true KR20120026847A (ko) 2012-03-20

Family

ID=4613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003A KR20120026847A (ko) 2010-09-10 2010-09-10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84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44B1 (ko) * 2016-07-07 2016-11-21 주식회사 화창기업 듀얼 슬라이딩부를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484451Y1 (ko) * 2016-06-28 2017-09-07 김동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180054405A (ko) 2016-11-15 2018-05-24 윤정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895157B1 (ko) 2017-03-20 2018-10-18 윤정식 방화도어 걸림장치
KR101895156B1 (ko) 2017-03-20 2018-10-18 윤정식 방화도어 걸림장치
CN110984809A (zh) * 2019-12-05 2020-04-10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避难功能的防火窗
CN113445857A (zh) * 2021-07-17 2021-09-28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推拉关闭的防火窗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51Y1 (ko) * 2016-06-28 2017-09-07 김동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678144B1 (ko) * 2016-07-07 2016-11-21 주식회사 화창기업 듀얼 슬라이딩부를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180054405A (ko) 2016-11-15 2018-05-24 윤정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895157B1 (ko) 2017-03-20 2018-10-18 윤정식 방화도어 걸림장치
KR101895156B1 (ko) 2017-03-20 2018-10-18 윤정식 방화도어 걸림장치
CN110984809A (zh) * 2019-12-05 2020-04-10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避难功能的防火窗
CN113445857A (zh) * 2021-07-17 2021-09-28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推拉关闭的防火窗
CN113445857B (zh) * 2021-07-17 2022-07-29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推拉关闭的防火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056B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120026847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US7866003B2 (en) Damping device
JP5139265B2 (ja) 家具
KR10167333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US20120036781A1 (en) Window with Opening Control Mechanism
US7422094B2 (en) Clutch mechanism for power device
US10006237B1 (en) Automatic door stopping-closing device and door
KR20060135470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CN213573551U (zh) 车辆的侧门开闭装置
JP6415214B2 (ja) トイレブースにおけるドアの開閉装置
CN108915426B (zh) 汽车自吸门锁
JP5131899B2 (ja) 自閉式引戸の閉じ停止装置
KR101509067B1 (ko) 창문 개폐장치
JP3398650B2 (ja) 引戸の自閉装置
JPH08240062A (ja) 引戸の振れ止め装置
KR200488680Y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JP3725881B2 (ja) 防災用引戸自動閉鎖装置
JP2009215799A (ja) 引戸の引込み装置
CN110998051B (zh) 用于对用于家具件等的门翼的打开/闭合进行控制的设备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JP3682290B2 (ja) 防災用引戸自動閉鎖装置
CN209874810U (zh) 一种可调节速度和方位的阻尼器铰链装置
GB2074644A (en) Door operating mechanism
JPH09303038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開閉用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