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892A -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892A
KR20140113892A KR1020140114238A KR20140114238A KR20140113892A KR 20140113892 A KR20140113892 A KR 20140113892A KR 1020140114238 A KR1020140114238 A KR 1020140114238A KR 20140114238 A KR20140114238 A KR 20140114238A KR 20140113892 A KR20140113892 A KR 2014011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ceiving apparatus
amount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지현
백승재
백승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왕지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4011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3892A/ko
Publication of KR2014011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함에 있어서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가 설정한 양만큼의 전력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는 구비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력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상기 송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및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함에 있어서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가 설정한 양만큼의 전력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단말기에 부착된 배터리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데,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충전용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한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내부 회로의 보호 또는 배터리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특정 전력량을 설정해 놓고 있으며, 만일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설정된 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내부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이렇게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사용자는 더 이상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할 수 없으며, 심지어 긴급 통화까지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업체 또는 일부 사설 업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장소 또는 기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버스 또는 지하철을 통하여 이동 중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긴급하게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그러한 시설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 중인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833호 (2013.01.08)
본 발명은 장치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함에 있어서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가 설정한 양만큼의 전력이 송수신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는 구비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력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상기 송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량 및 상기 전력이 송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는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 수신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상기 수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송신 장치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및 상기 전력 송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력이 수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력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방법은 구비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력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상기 송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량 및 상기 전력이 송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신 방법은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력으로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상기 수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송신 장치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상기 전력 송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력이 수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력의 수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장치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함에 있어서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가 설정한 양만큼의 전력이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전력이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에서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의 후면이 서로 접촉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및 전력 이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대중 교통 등을 이용하여 이동 중인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그 양이 얼마 남지 않아 단말기를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을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호간에 전력을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공급 받고자 하는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력 송신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전력 송신 장치(100)가 유도 코일을 이용하여 교류 전기로 자기장을 생성하면, 생성된 자기장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력 수신 장치(200)가 해당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자신의 배터리 충전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전력 송신 장치(100)와 전력 수신 장치(200)간의 전력 송신은 무선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터리 자체인 경우 유선으로 전력이 송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터리 및 전력 송신 수단(또는 전력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무선으로 전력이 송수신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전력 송신 장치(100)는 일정 크기만의 전력만을 전력 수신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장치(100)의 사용자는 배터리의 잔량 중 특정 비율만큼 송신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전력 송신 장치(100)측에서 특정 전력량이 설정되면 해당 전력량만큼 전력이 송신된 이후에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한 전력 송신은 중단된다.
또한, 전력 수신 장치(200)측에서 전력량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 해당 전력량만큼 전력이 수신된 이후에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한 전력 수신은 중단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상대방이 요청한 전력량만큼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한 이후에 전력 송수신 처리를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요청되는 전력량이 있는 경우 만일 그만큼의 전력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 전력 수신 장치(200)뿐만 아니라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한 전력 공급 처리가 중단되어야 하는 것이다. 만일,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한 전력 공급 처리가 중단되지 않고,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한 전력 수신 처리만 중단된다면, 전력 송신 장치(100)의 전력이 쓸데 없이 낭비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송수신뿐만 아니라 전력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장치에 설치된 전력 송수신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면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면서 상호간에 알리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특정 전력량이 설정되고 해당 전력량의 수신이 완료되면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전력 송신 장치(100)에게 통지할 수 있고, 통지를 받은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전력 송신 장치(100)와 전력 수신 장치(20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메시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메시지에는 요청 메시지, 응답 메시지 및 정보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상대 장치에게 전력의 송신 또는 수신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의 수신을 요청하는 전력 수신 요청 메시지를 전력 수신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의 송신을 요청하는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를 전력 송신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수신을 위하여 구비된 전력 수신 수단이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이 배터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 송신을 위하여 전력 송신 수단으로 배터리를 연결하고, 전력 송신 수단으로 하여금 전력을 송신하도록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 및 전력 수신 요청 메시지에는 각 장치가 송신하거나 수신하고자 하는 전력의 양이 명시될 수 있다. 즉,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에는 전력 송신의 기준 단위에 대한 일정 값이 명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준 단위는 퍼센트, 와트시 또는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준 단위가 퍼센트인 경우 이는 전력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 중 송신 대상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에 "40"이라는 값이 명시되면 이는 배터리의 잔량 중 40%의 전력이 송신 예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 단위가 와트시(Wh)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에 "4"라는 값이 명시되면 이는 4와트시만큼의 전력량이 송신 예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준 단위가 시간(시, 분 또는 초)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에 "2"이라는 값이 명시되면 이는 2분만큼 전력량이 송신 예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은 기준 단위로서 퍼센트, 와트시 및 시간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단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단위가 본 발명의 기준 단위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그 의미도 변형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기준 단위가 퍼센트이고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에 "30"이라는 값이 명시된 경우 이는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30%가 될 때까지 전력이 송신 예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 또는 전력 수신 요청 메시지에는 기준 단위 및 전력 송신 예정 값(또는 전력 수신 요청 값)이 명시될 수 있으며, 기준 단위가 사전에 결정된 경우에는 전력 송신 예정 값 또는 전력 수신 요청 값만이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 또는 전력 수신 요청 메시지에 명시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는지를 알리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간에는 전력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개시되거나, 전력의 송신 또는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 등이 송수신될 수 있는데, 응답 메시지는 이러한 통지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는지를 알리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요청 메시지에는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정보 메시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메시지는 각 장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전력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른 장치에게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요청 메시지의 송수신 없이도 자동으로 송수신될 수 있다.
정보 메시지는 해당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 해당 장치에서 송신되거나 수신된 전력의 양 및 해당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가 충전된 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전력 송수신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인 전력 송신 장치(100)가 배터리의 형태인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형태인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인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양만큼 상대 장치인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터리 자체인 경우 전력 송신 장치(100)와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전력 전달은 유선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 휴대용 단말기 형태의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중 하나는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에서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형태의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후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후면을 통하여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고, 전면에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데, 강한 자기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디스플레이 수단의 사이에 자기장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막(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단말기의 전면을 통한 자기장의 전달은 미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전력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후면을 서로 접촉시켜 전력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후면을 접촉시킴으로써 각 장치의 화면이 외부로 향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전력의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화면을 통한 전력 이동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 송신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시지 생성부(120), 입력부(130), 배터리(140), 제어부(150), 센서부(160), 확인부(170), 전력 송신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전력 수신 장치(200)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력 수신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통신부(110)와 전력 수신 장치(200)간의 통신이 반드시 무선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유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시지 생성부(120)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에는 송신 예정인 전력량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기준 단위에 대한 일정 값이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으로서, 기준 단위가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9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0)가 입력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배터리(140)는 전력을 축적하고 있다가 전력 송신 장치(100)의 각 회로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력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140)의 전력은 전력 수신 장치(200)로 송신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데, 전력의 송신은 전력 송신부(180)를 통하여 수행된다.
센서부(160)는 전력 송신 장치(100)의 자세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후면이 접촉한 상태로 2개의 장치를 지면에 내려놓게 되면 둘 중 하나의 장치에 의한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하나의 장치에 의한 화면은 지면에 맞닿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지면에 맞닿은 장치의 화면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160)는 전력 송신 장치(100)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만일 화면이 상부를 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0)를 동작시키고, 만일 화면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전력 송신부(180)는 구비된 배터리(140)의 전력을 전력 수신 장치(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 송신부(180)는 전술한 자기장을 이용한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도 있다.
확인부(170)는 배터리(140)의 잔량, 송신된 전력량,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 및 전력이 송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송신된 전력량 및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은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인하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무선으로 전력이 송수신되는 경우 그 차이는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은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메시지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터리 자체인 경우 전력 송신부(180)와 전력 수신 장치(200)는 유선으로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은 전력 송신부(180)가 송신한 전력량과 동일하므로 이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도 직접 접속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터리(240) 및 전력 수신부(280)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전력 송신부(180)는 전력 수신부(280)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으며,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은 확인되지 못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확인부(170)에 의하여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50)는 확인부(170)에 의하여 확인된 전력량 또는 누적 시간을 지속적으로 전달받는데, 이렇게 전달받은 전력량 또는 누적 시간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값, 사전에 저장된 값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값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값은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전력 송신 예정 값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전에 저장된 값은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값이거나 제조 시에 설정되어 저장된 값일 수 있는데, 이 값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값은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요청된 전력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전력 수신 요청 값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요청 값은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메시지 생성부(120), 입력부(130), 배터리(140), 센서부(160), 확인부(170), 전력 송신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전력 송수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비된 배터리(140)의 잔량, 송신된 전력량,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 상기 전력이 송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및 임계치에 대한 확인된 결과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배터리(140)의 잔량, 송신된 전력량,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량,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 및 전력이 송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은 확인부(170)에 의하여 확인된 것일 수 있다.
임계치에 대한 확인된 결과의 비율은 확인부(170)에 의하여 확인된 결과가 임계치에 다다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어부(150)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비율이 60%인 경우 이는 임계치를 100으로 보았을 때 60만큼의 전력 송수신이 진행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전력 송수신에 대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 수신 장치(200)는 통신부(210), 메시지 생성부(220), 입력부(230), 배터리(240), 제어부(250), 센서부(260), 확인부(270), 전력 수신부(280) 및 디스플레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전력 송신 장치(100)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전력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통신부(110)와 동일한 통신 방식으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220)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2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에는 요청하는 전력량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기준 단위에 대한 일정 값이 입력부(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으로서, 기준 단위가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9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90)가 입력부(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배터리(240)는 전력을 축적하고 있다가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각 회로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력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배터리(240)는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이용되어 충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배터리(240)는 충전지(rechargeable battery)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Ni-Cd) 전지,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전지, 밀폐형 납산(SLA) 전지, 리튬 이온(Li-ion) 전지 및 리튬 폴리머(Li-polymer) 전지 등이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240)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의 수신은 전력 수신부(280)를 통하여 수행된다.
센서부(260)는 전력 수신 장치(200)의 자세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260)의 기능은 전력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부(160)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력 수신부(280)는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구비된 배터리(240)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 송신 장치(100)가 자기장의 형태로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 전력 수신부(280)는 내부에 구비된 코일(미도시)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2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송수신되는 전력의 형태는 자기장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전력이 송수신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확인부(270)는 배터리(240)의 잔량, 수신된 전력량,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및 전력이 수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된 전력량 및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은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인하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무선으로 전력이 송수신되는 경우 그 차이는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및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은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메시지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신 장치(100)가 배터리 자체인 경우 전력 수신부(280)와 전력 송신 장치(100)는 유선으로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은 전력 수신부(280)가 수신한 전력량과 동일하므로 이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고,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도 직접 접속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력 송신 장치(100)가 배터리(140) 및 전력 송신부(180)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전력 수신부(280)는 전력 송신부(18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및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은 확인되지 못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확인부(270)에 의하여 확인된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전력의 수신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50)는 확인부(270)에 의하여 확인된 전력량 또는 누적 시간을 지속적으로 전달받는데, 이렇게 전달받은 전력량 또는 누적 시간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값, 사전에 저장된 값 또는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값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값은 입력부(230)를 통하여 입력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전력 수신 요청 값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전에 저장된 값은 입력부(230)를 통하여 입력된 값이거나 제조 시에 설정되어 저장된 값일 수 있는데, 이 값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값은 전력 송신 장치(100)가 송신하고자 하는 전력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전력 송신 예정 값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예정 값은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통신부(210), 메시지 생성부(220), 입력부(230), 배터리(240), 센서부(260), 확인부(270), 전력 수신부(280) 및 디스플레이부(29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290)는 전력 송수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비된 배터리(240)의 잔량, 수신된 전력량,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상기 전력이 수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 및 임계치에 대한 확인된 결과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배터리(240)의 잔량, 수신된 전력량,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송신된 전력량,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및 전력이 수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은 확인부(270)에 의하여 확인된 것일 수 있다.
임계치에 대한 확인된 결과의 비율은 확인부(270)에 의하여 확인된 결과가 임계치에 다다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어부(250)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비율이 60%인 경우 이는 임계치를 100으로 보았을 때 60만큼의 전력 송수신이 진행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전력 송수신에 대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전력 송신 장치(100)와 전력 수신 장치(200)의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그 역할을 구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기능이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전력 송신 장치(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력 수신 장치(2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데, 반드시 2개의 장치 모두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 나머지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정보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도 반드시 송수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송신 여부가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정보 메시지를 통하여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만일 전력 수신 장치(200)의 사용자가 이의 통지가 제한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정보 메시지가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및 전력 이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의 화면을 통하여 전력 송수신 상태(610, 62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장치(100)는 자신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잔량(610)은 전력 송신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 전력 이동 상태(620)는 전술한 임계치에 대한 확인부(270)에 의한 확인 결과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전력의 이동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 송신 장치(100) 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의 화면을 통하여 각 장치의 배터리 잔량(710, 72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각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전력 이동의 계속적인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610, 710, 720) 및 전력 이동 상태(620)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장치(100) 및 전력 수신 장치(200)는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전력량 및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하여 충전된 충전량 등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종류도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210: 통신부 120, 220: 메시지 생성부
130, 230: 입력부 140, 240: 배터리
150, 250: 제어부 160, 260: 센서부
170, 270: 확인부 180: 전력 송신부
280: 전력 수신부 190, 290: 디스플레이부

Claims (1)

  1. 구비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력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상기 전력이 송신되고 있는 누적 시간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누적 시간을 상기 확인이 수행되기 이전에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송신 장치.
KR1020140114238A 2014-08-29 2014-08-29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3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38A KR20140113892A (ko) 2014-08-29 2014-08-29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38A KR20140113892A (ko) 2014-08-29 2014-08-29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393A Division KR101457889B1 (ko) 2013-01-31 2013-01-31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92A true KR20140113892A (ko) 2014-09-25

Family

ID=5175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38A KR20140113892A (ko) 2014-08-29 2014-08-29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389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33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77695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70022115A (ko) * 2015-08-19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20170001258U (ko) * 2014-09-29 2017-04-11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유도 충전
KR20200135912A (ko) * 2015-08-19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20220029628A (ko) * 2020-11-24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WO2023013848A1 (ko) * 2021-08-03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58U (ko) * 2014-09-29 2017-04-11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유도 충전
US10886771B2 (en) 2014-09-29 2021-01-05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10886769B2 (en) 2014-09-29 2021-01-05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20160052233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77695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70022115A (ko) * 2015-08-19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20200135912A (ko) * 2015-08-19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US11258303B2 (en) 2015-08-19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d and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US11626748B2 (en) 2015-08-19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d and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20220029628A (ko) * 2020-11-24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WO2023013848A1 (ko) * 2021-08-03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889B1 (ko)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3892A (ko)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10559985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3296705B (zh) 终端的充放电方法以及充放电终端
US9318913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transfer system and power transfer system
TWI506913B (zh) 無線電能傳輸的方法、裝置和系統
TWI607615B (zh) 無線充電方法及其充電控制器
JP2007528186A (ja) 無線バッテリチャージャ検知および通知
KR20140023409A (ko) 무선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50881A1 (en) Wireless power charger
JP6185396B2 (ja) ウエアラブル型の小形電気機器
CN103928725B (zh) 一种移动终端及其充电方法和装置
CN104426186B (zh) 一种充电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160028269A1 (en) System for wireless exchange of power between mobile devices
JP2015033318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6045518B2 (ja) 電池残量監視システム、電池残量監視方法、電池残量監視対象装置、電池残量監視プログラム
WO2017064968A1 (ja) 受電装置、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20200091770A1 (en) Power feeding unit, power receiving unit, and feed system
JP2014217115A (ja) 電子機器及び充電器
CN104917227B (zh) 一种控制充电的方法、充电设备及终端设备
WO2011118673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TWM525019U (zh) 無線充電系統中的供電裝置及受電裝置及其充電控制器
JP6312202B2 (ja) 中継装置、給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356913A (zh) 一种电子设备的充电控制方法及装置
US1075656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non contact power-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