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887A -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887A
KR20140112887A KR1020130027541A KR20130027541A KR20140112887A KR 20140112887 A KR20140112887 A KR 20140112887A KR 1020130027541 A KR1020130027541 A KR 1020130027541A KR 20130027541 A KR20130027541 A KR 20130027541A KR 20140112887 A KR20140112887 A KR 2014011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sized
image
moving
images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284B1 (ko
Inventor
손재식
이기혁
윤영권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84B1/ko
Priority to US14/209,037 priority patent/US9870619B2/en
Publication of KR2014011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COMPOSING A IMAGE OF CONTINUOUS SHOOTING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개발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둘 이상인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의 크기가 큰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는 경우 및 전자 장치가 흔들리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 사용자에게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합성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합성된 이미지가 가능한지 여부를 피드백해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다시 촬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밖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복수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 중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포함하는 면적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면적이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면적이 상기 설정된 면적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미만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상기 설정된 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과정; 및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서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과정; 및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 중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포함하는 면적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면적이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면적이 상기 설정된 면적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미만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상기 설정된 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받으며,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서 삭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복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를 삭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된 이미지에 피사체를 추가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의(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0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합성 명령어란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합성 명령어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아 연속 촬영을 수행한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이미지 합성에 유효한 피사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이는 피사체가 이미지 합성에 유효한 피사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은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피사체가 복수의 피사체인지 여부,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크기보다 큰 피사체인지 여부, 움직이는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았는지 여부 및 전자 장치의 위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이미지 합성에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가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검출한 결과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은 후,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하여,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배경화면이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화면일 수도 있고,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의 배경화면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명한 이미지 합성을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의 배경화면이 설정된 배경화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피사체가 복수의 피사체로 판단된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크기보다 큰 피사체인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및 전자 장치의 위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등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합성이 될 수 없다는 피드백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하나의 이미지에 포함시킬 수 있었지만,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지 않아 복수의 이미지가 겹쳐서 디스플레이되는 등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사전에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어, 유효성이 인정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시킬 수 있어 보다 화질이 뛰어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에서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할 수 없다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연속 촬영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임의의 사람이 농구공을 드리블하는 장면을 연속 촬영하였고,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3개의 이미지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시작하는 경우라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연속 촬영된 3개의 이미지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3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사람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의 사람(201)의 설정된 제1 영역(머리, 가슴, 다리)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의 사람(202)의 설정된 제2 영역(머리, 가슴, 다리)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3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사람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두 번째 이미지의 사람(202)의 설정된 제1 영역(머리, 가슴, 다리)을 시작점으로 세 번째 이미지의 사람(203)의 설정된 제2 영역(머리, 가슴, 다리)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검출된 3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농구공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204)의 설정된 제1 영역(농구공의 중심점)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205)의 설정된 제2 영역(농구공의 중심점)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3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농구공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두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205)의 설정된 제1 영역(농구공의 중심점)을 시작점으로 세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206)의 설정된 제2 영역(농구공의 중심점)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사람의 모션 벡터(207, 208, 209)와 농구공의 모션 벡터(210)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사람의 모션 벡터(207, 208, 209)와 농구공의 모션 벡터(210)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211)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모션 벡터(207, 208, 209)는 설정된 범위(211)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농구공의 모션 벡터(210)는 설정된 범위(211) 밖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사람과 농구공을 동일한 피사체로 판단하지 않고, 서로 다른 피사체로 판단하여,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는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어 중복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둘이므로 합성할 수 없습니다. 다시 촬영해 주세요"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술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을 연속 촬영하였고,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시작하는 경우라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연속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2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301)의 설정된 제1 영역(머리)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302)의 설정된 제2 영역(머리)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2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301)의 설정된 제3 영역(안장)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302)의 설정된 제4 영역(안장)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2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인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301)의 설정된 제5 영역(바퀴의 중심점)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302)의 설정된 제6 영역(바퀴의 중심점)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301, 302)의 모센 벡터(303, 304, 305)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모션 벡터(303, 304, 305) 중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306, 307, 308) 내에 있는 모션 벡터(303, 304, 305)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설정된 범위(306, 307, 308) 내에 있는 모션 벡터(303, 304, 305)를 포함하는 면적(309)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추출된 설정된 범위(306, 307, 308) 내에 있는 모션 벡터(303, 304, 305)를 포함하는 면적(309)이 설정된 면적(310) 이상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을 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추출된 설정된 범위(306, 307, 308) 내에 있는 모션 벡터(303, 304, 305)를 포함하는 면적(309)이 설정된 면적(310) 미만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설정된 범위(306, 307, 308) 내에 있는 모션 벡터(303, 304, 305)를 포함하는 면적(309)이 설정된 면적(310) 이상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301, 302)를 합성할 수 없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301, 302)를 합성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이미지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의 크기가 커서 합성할 수 없습니다. 다시 촬영해 주세요"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술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사람을 연속 촬영하였고,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시작하는 경우라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연속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2개의 피사체인 사람의 연속된 두 개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401)의 설정된 제1 영역(머리)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402)의 설정된 제2 영역(머리)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2개의 피사체인 연속된 두 개의 사람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401)의 설정된 제3 영역(가슴)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402)의 설정된 제4 영역(가슴)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2개의 피사체인 연속된 두 개의 사람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401)의 설정된 제5 영역(다리)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402)의 설정된 제6 영역(다리)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401, 402)의 모센 벡터(403, 404, 405)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모션 벡터(403, 404, 405)가 설정된 크기(406, 407, 408) 미만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을 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추출된 모션 벡터(403, 404, 405)가 설정된 크기(406, 407, 408) 이상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모션 벡터(403, 404, 405)가 설정된 크기(406, 407, 408) 미만이기 때문에,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401, 402)를 합성할 수 없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401, 402)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하여, 이미지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어 합성할 수 없습니다. 다시 촬영해 주세요"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술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임의의 움직이는 피사체와 고정된 피사체가 포함된 배경을 연속 촬영하였고,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시작하는 경우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서 판단해 볼 때, 고정된 피사체의 위치가 급격히 변화되었음을 감지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연속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501)의 설정된 제1 영역(503)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502)의 설정된 제2 영역(504)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501)의 설정된 제3 영역(505)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502)의 설정된 제4 영역(506)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501)의 설정된 제5 영역(507)을 시작점으로 두 번째 이미지(502)의 설정된 제6 영역(508)을 끝점으로 하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501, 502)의 모션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추출된 모션 벡터(509, 510, 511)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512, 513, 514)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추출된 모션 벡터(509, 510, 511)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512, 513, 514)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모션 벡터(509, 510, 511)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512, 513, 514) 밖에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두 개의 피사체를 합성할 수 없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흔들려 이미지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흔들림이 감지되어 합성할 수 없습니다. 다시 촬영해 주세요"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술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흔들림을 전자 장치에 구비되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 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의 흔들림이 없다고 판단하여,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복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을 연속 촬영하였고,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10개의 이미지가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만족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만족하는 10개의 이미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만족하는 10개의 이미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의 전자 장치는 3개의 이미지를 선택받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후, 도 6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인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의 선택받은 이미지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3개의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자동으로 이미지 합성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직접 이미지 합성에 사용될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확대시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를 삭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의(a) 내지 (c)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합성된 이미지를 열람하던 중, 편집하고 싶은 피사체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합성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도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만족하는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에 이용된 이미지는 특정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에 이용된 이미지에 특정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합성에 이용된 이미지라는 것을 쉽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합성된 이미지 중 특정 피사체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해당 피사체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합성된 이미지 중 두 번째로 디스플레이된 피사체(701)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이미지 중 두 번째로 특정 표시가 된 이미지(7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도 7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이미지(702)에 해당하는 피사체(701)를 합성된 이미지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이미지(702)를 점선, 테두리 표시 및 특정 색상 등으로 표시하여, 선택받은 이미지라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된 이미지에 피사체를 추가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의(a) 내지 (c)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합성된 이미지를 열람하던 중, 편집하고 싶은 피사체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합성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만족하는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에 이용된 이미지는 특정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이미지 합성에 이용된 이미지에 특정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합성에 이용된 이미지라는 것을 쉽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합성된 이미지 중 특정 피사체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추가하고 싶은 피사체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합성된 이미지 중 첫 번째로 디스플레이된 피사체(801) 앞에 새로운 피사체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이미지 중 첫 번째로 특정 표시가 된 이미지(8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도 8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이미지(802)에 해당하는 피사체(803)를 합성된 이미지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이미지(804)를 점선, 테두리 표시 및 특정 색상 등으로 표시하여, 선택받은 이미지라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9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902). 전자 장치에서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설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9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해당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 중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한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04).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피사체가 복수의 피사체로 판단되는지 여부,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크기보다 큰 피사체인지 여부, 움직이는 피사체가 검출되었는지 여부 및 전자 장치의 위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 등의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904)에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을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출할 수 있다(905).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70개의 이미지를 검출하였고, 각각의 이미지에는 움직이는 피사체가 각각 하나씩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70개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70개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할 수 있다(906). 여기서, 설정된 배경화면이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화면일 수도 있고,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의 배경화면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명한 이미지 합성을 위하여 첫 번째 이미지의 배경화면이 설정된 배경화면이 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합성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판단과정(904)에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합성될 수 없다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907).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에 대하여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 합성을 할 수 없다는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상술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하나의 이미지에 포함시킬 수 있었지만,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하지 않아 복수의 이미지가 겹쳐서 디스플레이되는 등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사전에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어, 유효성이 인정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시킬 수 있어 보다 화질이 뛰어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에서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할 수 없다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연속 촬영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의(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10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해당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 중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움직이는 피사체와 고정된 피사체 중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피사체가 복수의 피사체로 판단되는지 여부,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크기보다 큰 피사체인지 여부, 움직이는 피사체가 검출되었는지 여부 및 전자 장치의 위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 등의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10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된 경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 합성을 할 수 없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4). 즉,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1005). 만약,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합성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이미지 합성을 수행할 수 없다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1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100)는 메모리(1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1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1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131), 외부 포트(1160),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 스피커(1151), 마이크로폰(11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170), 터치스크린(11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190)를 포함한다. 메모리(1110)와 외부 포트(11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1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1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1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 유닛(1120)은,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하나로 판단하여,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모션 벡터 중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포함하는 면적을 추출하며, 추출된 면적이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추출된 면적이 설정된 면적 미만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미만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하여,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합성된 이미지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120)은,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합성된 이미지에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122)는 메모리(11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122)는 메모리(1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123)는 전자 장치(10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11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122) 및 메모리(11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1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11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10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1191) 및 제1 광 센서(11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1191) 및 광 센서(11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11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11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130, 11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130, 11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11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1131)은 전자 장치(11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1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1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이 스피커(1151) 및 마이크로폰(11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은 스피커(speaker)(1151) 및 마이크로폰(11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은 프로세서 유닛(11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1151)로 전달된다. 스피커(11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11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은 마이크로폰(11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11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1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11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1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1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171)는 터치 스크린(11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1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11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1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1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1180)은 전자 장치(11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1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1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11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11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1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180)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8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고,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80)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8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80)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받으며,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80)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80)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메모리(11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1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1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1111), 통신 모듈(1112), 그래픽 모듈(11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14) 및 MPEG 모듈(1115), 카메라 모듈(11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1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11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130, 1131)이나 외부 포트(11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113)은 터치스크린(11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11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11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1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201: 첫 번째 이미지의 사람 202: 두 번째 이미지의 사람
203: 세 번째 이미지의 사람 204: 첫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
205: 두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 206: 세 번째 이미지의 농구공
207: 사람의 모션 벡터 208: 사람의 모션 벡터
209: 사람의 모션 벡터 210: 농구공의 모션 벡터
211: 설정된 범위 301: 첫 번째 이미지
302: 두 번째 이미지 303: 모션 벡터
304: 모션 벡터 305: 모션 벡터
306: 설정된 범위 307: 설정된 범위
308: 설정된 범위 309: 모션 벡터를 포함하는 면적
310: 설정된 면적 401: 첫 번째 이미지
402: 두 번째 이미지 403: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
404: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 405: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
406: 설정된 크기 407: 설정된 크기
408: 설정된 크기 501: 첫 번째 이미지
502: 두 번째 이미지 503: 설정된 제1 영역
504: 설정된 제2 영역 505: 설정된 제3 영역
506: 설정된 제4 영역 507: 설정된 제5 영역
508: 설정된 제6 영역 509: 추출된 모션 벡터
510: 추출된 모션 벡터 511: 추출된 모션 벡터
512: 설정된 범위 513: 설정된 범위
514: 설정된 범위 701: 두 번째로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702: 두 번째로 특정 표시가 된 이미지
801: 첫 번째로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802: 선택받은 이미지
803: 선택받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피사체
804: 선택받은 이미지 1100: 전자장치
1110: 메모리 1111: 운영체제 모듈
1112: 통신모듈 1113: 그래픽 모듈
11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115: CODEC 모듈
1116: 카메라 모듈 1117: 애플리케이션
1120: 프로세서 유닛 1121: 메모리 인터페이스
1122: 프로세서 11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11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1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1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1151: 스피커
1152: 마이크로폰 1160: 외부 포트
1170: 입출력 시스템 11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1172: 기타 입력 제어기 1180: 터치 스크린
11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1191: 움직임 센서
1192: 제1 광 센서 11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Claims (24)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motion object)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밖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복수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 중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포함하는 면적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면적이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면적이 상기 설정된 면적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미만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상기 설정된 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과정; 및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서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과정; 및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촬영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에서 각각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합성 명령어를 입력받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속 촬영의 명령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가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 중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션 벡터를 포함하는 면적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면적이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면적이 상기 설정된 면적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 중 연속된 두 개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미만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가 상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제외한 연속된 두 개의 고정된 피사체의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설정된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 상기 연속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연속 촬영이 종료된 시점의 위치 변화가 상기 설정된 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합성이 불가능 하다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를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이는 피사체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받으며, 추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피사체를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움직이는 피사체를 각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1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2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설정된 배경화면에 합성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피사체를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27541A 2013-03-14 2013-03-14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31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541A KR102031284B1 (ko) 2013-03-14 2013-03-14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209,037 US9870619B2 (en) 2013-03-14 2014-03-1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ontinuously taken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541A KR102031284B1 (ko) 2013-03-14 2013-03-14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87A true KR20140112887A (ko) 2014-09-24
KR102031284B1 KR102031284B1 (ko) 2019-11-08

Family

ID=5152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541A KR102031284B1 (ko) 2013-03-14 2013-03-14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70619B2 (ko)
KR (1) KR102031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396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속된 촬영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284B1 (ko) * 2013-03-14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32568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이는 물체를 하나의 이미지에 합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610292B (zh) * 2015-11-19 2018-01-0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驅動電路及其運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1382A1 (en) * 2008-02-13 2009-08-13 Casio Computer Co., Ltd. Imaging apparatus for generating stroboscopic image
US20090262218A1 (en) * 2008-04-07 2009-10-22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0161607A (ja) * 2009-01-08 2010-07-22 Casio Computer Co Ltd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50722A1 (en) * 2009-08-27 2011-03-03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non-transitory medium
US20130208164A1 (en) * 2010-11-11 2013-08-15 Robb P. Cazier Blemish detection and notification in an image capt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4563A (ja) * 2002-09-26 2004-06-10 Toshiba Corp 画像解析方法、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プログラム
US7466356B2 (en) * 2003-07-25 2008-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marker on an object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US20060244917A1 (en) * 2004-05-17 2006-11-02 Weisgerber Robert C Method for exhibiting motion picture films at a higher frame rate than that in which they were originally produced
JP4757113B2 (ja) * 2006-06-26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印刷装置、印刷データ生成方法
KR101008917B1 (ko) * 2006-09-14 2011-01-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방법 및 장치와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10515170A (ja) * 2006-12-29 2010-05-06 ジェスチャー 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機能強化した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を用いた仮想オブジェクトの操作
US8103134B2 (en) * 2008-02-20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 handheld device for capturing motion
US8233722B2 (en) * 2008-06-27 2012-07-3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a document image in a document collection using localized two-dimensional visual fingerprints
JP4591576B2 (ja) * 2008-08-18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735742B2 (ja) * 2008-12-18 2011-07-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ストロボ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14476B2 (ja) * 2009-01-15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95380B1 (ko) 2009-05-07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683851B2 (ja) * 2009-08-20 2015-03-11 株式会社ザクティ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20120068024A (ko) * 2009-09-07 2012-06-26 노키아 코포레이션 장치
JP5293587B2 (ja) * 2009-12-16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1139282A (ja) * 2009-12-28 2011-07-1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41743B2 (ja) * 2010-02-02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110304636A1 (en) * 2010-06-14 2011-12-15 Acer Incorporated Wallpaper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ortable electric device thereof
US20120002112A1 (en) * 2010-07-02 2012-01-05 Sony Corporation Tail the motion method of generating simulated strobe motion videos and pictures using image cloning
JP2012099876A (ja) * 2010-10-29 2012-05-24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576812B2 (ja) * 2011-02-16 2014-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JP2012191486A (ja) * 2011-03-11 2012-10-04 Sony Corp 画像合成装置と画像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36704B2 (en) * 2011-03-25 2014-05-27 Apple Inc. Digital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sequence
US20120243802A1 (en) * 2011-03-25 2012-09-27 William Vernon Fintel Composite image formed from an image sequence
US8736697B2 (en) * 2011-03-25 2014-05-27 Apple Inc. Digital camera having burst image capture mode
US8587635B2 (en) * 2011-07-15 2013-1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rvices with telepresence
TWI472224B (zh) * 2011-07-15 2015-02-01 Altek Corp 影像處理裝置及其影像處理方法
JP5821625B2 (ja) * 2011-08-29 2015-1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3467B2 (ja) * 2011-09-14 2015-11-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
JP5821571B2 (ja) * 2011-11-28 2015-11-2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KR102031284B1 (ko) * 2013-03-14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40325439A1 (en) * 2013-04-24 2014-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utpu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132568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이는 물체를 하나의 이미지에 합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24617B1 (ko) * 2013-09-03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합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03631B2 (en) * 2014-02-12 2016-11-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displaying image cluster differently in an image gallery mode
US9213898B2 (en) * 2014-04-30 2015-12-15 Sony Corporation Object detection and extraction from image sequences
JP6418879B2 (ja) * 2014-10-06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JP6452414B2 (ja) * 2014-12-03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1382A1 (en) * 2008-02-13 2009-08-13 Casio Computer Co., Ltd. Imaging apparatus for generating stroboscopic image
JP2009194530A (ja) * 2008-02-13 2009-08-27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ストロボ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262218A1 (en) * 2008-04-07 2009-10-22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0161607A (ja) * 2009-01-08 2010-07-22 Casio Computer Co Ltd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50722A1 (en) * 2009-08-27 2011-03-03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non-transitory medium
KR20110022534A (ko) * 2009-08-27 2011-03-07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30208164A1 (en) * 2010-11-11 2013-08-15 Robb P. Cazier Blemish detection and notification in an image captur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396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속된 촬영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84B1 (ko) 2019-11-08
US9870619B2 (en) 2018-01-16
US20140270373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38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прямой трансляции по игре
KR102023179B1 (ko)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서 듀얼 리코딩 촬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76773B1 (ko) 영상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064973B1 (ko) 듀얼 이미지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18887B1 (ko) 신체 부위 검출을 이용한 이미지 프리뷰
EP2843916A2 (en) Method for voice record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104748A (ko) 다수의 이미지 동시 포착
KR20140045741A (ko)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419852B1 (ko)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북마크 기능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346111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5823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JP614986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6076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KR20140112906A (ko)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1284B1 (ko)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25940A (ko) 터치 시간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7707A (ko) 파일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9033100B (zh) 提供页面内容的方法及装置
KR20150001873A (ko)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682842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084816A (ko) 공간적 움직임을 반영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58025B1 (ko)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4601B1 (ko) 피사체의 거리를 추출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47461A (ko)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