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025B1 -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025B1
KR102058025B1 KR1020130026908A KR20130026908A KR102058025B1 KR 102058025 B1 KR102058025 B1 KR 102058025B1 KR 1020130026908 A KR1020130026908 A KR 1020130026908A KR 20130026908 A KR20130026908 A KR 20130026908A KR 102058025 B1 KR102058025 B1 KR 10205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light
section
sound source
electronic device
feature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313A (ko
Inventor
현화경
송지태
김성환
박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0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설정된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EXTRACTING A HIGHLIGHT SECTION OF A SOUND SOUR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원 파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다양한 음원 파일을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든 해당 음원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파일을 재생시킨 경우, 사용자가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는 획일적으로 해당 음원 파일의 도입부부터 재생시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특정 음원 파일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을 빠른 속도로 추출하여,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의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빠르게 추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음원 파일을 분석하여 설정된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빠르게 추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설정된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상성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연속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피처 벡터 값(feature vector value)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피처 벡터 값으로,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추정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피처 벡터 값을 추출하는 과정은, 멀티 코어 솔루션(multi-core solution)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상기 피처 벡터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처 벡터값은 오디오 시그널의 파워 값으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1906769-pat00001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테이블은, 상기 추출된 피처 벡터 값의 크기 순서로 분류된 테이블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피처 벡터 값이 추출된 시간 순서로 분류된 테이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된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과정은, (1) 상기 추출된 각각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 및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상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2)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있고,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상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준이 되는 피처 벡터값이 추출된 시간에 해당하는 음원 파일 부분을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등록하는 과정; (3)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을 설정된 구간만큼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상기 (1) 과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4) 상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상기 (1)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1)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추정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과정은,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없거나,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상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상기 (1) 과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적어도 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1)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검색 구간을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1)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 구간을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한 후,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 이하에 속하는 구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구간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가장 큰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도출되는지 여부로 검색 방법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는,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설정된 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는,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피처 벡터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피처 벡터 값으로,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추정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하여 제어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상기 피처 벡터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처 벡터값은 오디오 시그널의 파워 값으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1906769-pat00002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테이블은, 상기 추출된 피처 벡터 값의 크기 순서로 분류된 테이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테이블은, 상기 피처 벡터 값이 추출된 시간 순서로 분류된 테이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추출된 각각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 및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상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을 설정된 구간만큼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상기 판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상기 판단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판단을 반복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있고,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상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 상기 기준이 되는 피처 벡터값이 추출된 시간에 해당하는 음원 파일 부분을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라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없거나, 상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상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지 않다고 확인되는 경우, 상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상기 판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적어도 둘 이상이라고 확인되는 경우,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판단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확인되는 경우, 상기 판단을 반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판단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경우, 검색 구간을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고, 상기 판단을 반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색 구간을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한 후, 상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 이하에 속하는 구간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구간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가장 큰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도출되는지 여부로 검색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빠르게 추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여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연속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재생하여 저장된 음원 파일을 검색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 피처 벡터값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음원 파일에 대하여 1차 검색 내지 제3 검색을 시도하여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9의(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여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받아,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음원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B 음원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시점 결정 모드란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생 시점 결정 모드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도입 구간부터 재생할지 또는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획일적으로 도입 구간부터 재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구비하여,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은 전자 장치는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을 도입 구간부터 재생할 수 있는 "도입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과 선택받은 음원을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할 수 있는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두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가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영역 중 "도입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도입 구간부터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영역 중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여,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할 수 있다.
만약,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영역 중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설정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도 1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기능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벨소리, 컬러링 및 알람음 등과 같은 기능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은 후, 선택받은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중 알람음 기능을 선택받은 후, 선택받은 알람음 기능을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알람음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도 1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B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알람음이 설정되었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빠르게 추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연속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받아,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음원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A 음원 파일", "B 음원 파일" 및 "C 음원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도 2의(a) 및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아,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영역 중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설정 모드를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설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기능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연속 재생 및 벨소리 등과 같은 기능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은 후, 선택받은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설정 모드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중 연속 재생 기능을 선택받은 후, 선택받은 연속 재생 기능을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연속 재생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 음원 파일", "B 음원 파일" 및 "C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연속 재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적어도 둘 이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여, 연속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재생하여 저장된 음원 파일을 검색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아,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영역 중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영역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음원 파일 검색 모드를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음원 파일 검색 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파일 검색 모드란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 도입 구간부터 재생하거나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하여 사용자가 음원 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음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음원 파일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음원 파일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음원 파일 중 "A 음원 파일"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 음원 파일"에 대하여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재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자 장치가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이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았기 때문에,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 음원 파일"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재생할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가 음원 파일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음원 파일 중 각각 "B 음원 파일" 및 "C 음원 파일"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각각 선택받은 "B 음원 파일" 및 "C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 피처 벡터값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설정된 개수만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A 음원 파일"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서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분할하는 개수는 M개로 설정되어 있고, 제1 프로세서 내지 제4 프로세서의 4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A 음원 파일"을 M개의 개수로 분할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프로세서가 분할된 파일을 동일한 개수만큼 할당받아 피처 벡터 값(feature vector value)을 추출하는 멀티 코어 솔루션(multi-core solu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에는 제1 프로세서 내지 제4 프로세서의 4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프로세서는 M개의 분할된 파일을 동일한 개수(N개)만큼 할당받아 피처 벡터값을 추출하는 멀티 코어 솔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멀티 코어 솔루션을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 장치와 비교하여 빠른 속도로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피처 벡터값이란 오디오 시그널의 파워 값으로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1906769-pat00003
여기서, x는 샘플 값(sample value)의 진폭(amplitude)을 나타낸 것이고, N은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샘플 값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에 4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지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의 수에 따라서 멀티 코어 솔루션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추출된 피처 벡터값을 이용하여 제1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테이블이란 추출된 피처 벡터값을 크기 순서로 분류한 테이블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가 80, 78, 76 등의 순서로 추출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 순서인 80, 78, 76 등의 순서로 좌측 공간부터 분류한 제1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테이블을 생성한 전자 장치는 생성된 제1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테이블이란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시간 순서로 분류된 테이블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t1의 시간에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가 0, t2의 시간에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가 3, t3의 시간에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가 4, tx의 시간에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가 80, ty의 시간에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가 78 등이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t1, t2, t3, tx 및 ty 등의 시간 순서로 각각의 시간에 해당하는 피처 벡터값을 분류한 제2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생성된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된 음원 파일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음원 파일에 대하여 1차 검색 내지 제3 검색을 시도하여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은 1/2이고, 설정된 이전 구간은 5개 구간이고,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인 설정된 값은 45이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구간은 4개이며,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는 5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제2 테이블의 1/2구간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좌측 첫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검색을 시작하여, 설정된 이전 구간인 5개 구간의 피처 벡터값과 차이가 45 이상이 되며,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인 4개 구간 이내에서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인 5 이내에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80의 피처 벡터값을 가지는 구간 이전에 상술한 조건이 만족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제1 검색의 기준이 되는 피처 벡터값으로 80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이전 5개 구간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45 이상이 되며, 80의 피처 벡터값 이후의 4개의 구간에서 5 이내의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80의 피처 벡터값을 가지는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서는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제2 테이블의 설정된 구간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음원 파일은 1/2 구간이전에 하이라이트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음원 파일 전체를 검색하지 않더라도 1/2 구간만을 빠르게 검색하여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 방향을 좌측 방향에서 시작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원 파일의 1/2 구간의 우측 방향에서 검색을 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1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뒷부분부터 상술한 1차 검색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가장 빠르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할 수 있는 1차 검색을 시도한 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보다 세부적으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할 수 있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2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다시 변경하는 3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 이하에 속하는 구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구간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가장 큰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도출되는지 여부로 검색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6의(c)에 도시된 제2 테이블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겠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을 3으로 설정하였고,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는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개수는 3개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제2 테이블의 좌측 구간부터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인 4 이하의 피처 벡터값을 검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좌측 구간부터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인 3 이하의 피처 벡터값을 검색하다가 검색된 3의 피처 벡터값(601)을 기준으로, 설정된 3개의 피처 벡터 값(602)과 피처 벡터값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3개의 피처 벡터 값(602)의 평균 피처 벡터값인 78.33과 3의 차이인 75.33의 피처 벡터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상술한 3차 검색을 계속 수행한 결과, 검색된 4의 피처 벡터값(603)을 기준으로, 설정된 3개의 피처 벡터 값(604)과 피처 벡터값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3개의 피처 벡터 값(604)의 평균 피처 벡터값인 66과 4의 차이인 62의 피처 벡터값을 계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자 장치는 앞서 계산된 피처 벡터값인 75.33과 62 중 가장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큰 75.33을 확인하여, 80의 피처 벡터값(605)에 해당하는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기준으로 하이라이트 구간이 시작되기 전의 피처 벡터값은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하의 값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701).
또한,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기준으로 하이라이트 구간이 시작될 때는 피처 벡터값이 갑자기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702).
또한,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기준으로 하이라이트 구간에는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 내에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703).
또한,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는 기준으로 하이라이트 구간은 해당 음원 파일 전체에서 일반적으로 1절 및 2절의 종료 직전에 나타내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704).
전자 장치는 상술한 특징들(701 내지 704)을 참조하여,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할 수 있지만,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8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 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시점 결정 모드란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생 시점 결정 모드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도입 구간부터 재생할지 또는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할 수 있다(802). 여기서, 전자 장치가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는 이유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프로세서가 분할된 파일을 동일한 개수만큼 할당받아 피처 벡터값을 추출하는 멀티 코어 솔루션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후, 전자 장치는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피처 벡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803). 즉, 전자 장치가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피처 벡터값을 추출하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 장치와 비교하여 빠른 속도로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804).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추출된 피처 벡터값을 크기 순서로 분류한 테이블인 제1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제1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시간 순서로 분류된 제2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제2 테이블은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0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은 1/2이고, 설정된 이전 구간은 3개 구간이고,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인 설정된 값은 70이며,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구간은 6개이며,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는 4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제2 테이블의 1/2구간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좌측 첫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검색을 시작하여, 설정된 이전 구간인 3개 구간의 피처 벡터값과 차이가 70 이상이 되며,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인 6개 구간 이내에서 설정된 피처 벡터값의 범위인 4 이내에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5)에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해당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등록할 수 있다(806).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제2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술한 1차 검색을 수행한 결과, 80의 피처 벡터값을 가지는 구간에서 상술한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80의 피처 벡터값을 가지는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검색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07).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차 검색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7)에서, 전자 장치에서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검색을 완료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08).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하나의 음원 파일에서 하이라이트 구간은 동일하기 때문에 또 다른 검색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8)에서, 전자 장치에서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라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809).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음원 파일에서 하이라이트 구간은 동일하기 때문에 또 다른 검색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5)에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 아니거나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검색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10).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차 검색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11)에서,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1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차 검색을 완료한 결과,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11)에서, 전자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검색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81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1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2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다시 변경하는 3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 이하에 속하는 구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구간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가장 큰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도출되는지 여부로 검색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과정(811)을 첫 번째 수행하게 되면, 전자 장치는 검색 구간을 변경하여 2차 검색을 수행하고, 상술한 과정(811)을 두 번째로 수행하게 되면, 전자 장치는 검색 구간을 변경하여 3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판단과정(811)에서, 전자 장치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808)을 반복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8)에서, 전자 장치에서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적어도 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813). 여기서,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이란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첫 번째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이전의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피처 벡터값은 이후의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벡터값보다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두 번째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은 하이라이트 구간의 평균 피처 벡터값은 기준 피처 벡터값 이상의 값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세 번째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시작 피처 벡터값에서 설정된 시간 이후의 구간 내의 피처 벡터값이 줄어드는 구간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서 배제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네 번째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이전의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피처 벡터값이 기준 피처 벡터값에 가까울수록 하이라이트 구간의 시작 시점일 확률이 높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다섯 번째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시작 시점보다 설정된 시간 이후의 피처 벡터값이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시작 시점의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값 이하로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서 제외된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여섯 번째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은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시작 시점 이후의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피처 벡터값과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시작 시점 이전의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하이라이트 시작 시점일 확률이 높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도 9의(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선택한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9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 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902).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시점 결정 모드란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생 시점 결정 모드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도입 구간부터 재생할지 또는 하이라이트 구간부터 재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할 수 있다(9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1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2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다시 변경하는 3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선택한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904).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받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선택한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할 수 있다(90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도록 선택받은 음원 파일에 대하여 구분된 음원 파일 구간 내에서 설정된 이전 구간과의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상이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1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1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에서 2차 검색을 수행하였지만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검색 구간을 다시 변경하는 3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1), 외부 포트(1060),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 스피커(1051), 마이크로폰(10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070), 터치스크린(10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09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0)와 외부 포트(10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0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0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선택한 음원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만을 추출하고, 선택한 음원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음원 파일에서 피처 벡터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피처 벡터값으로, 추출된 피처 벡터값의 크기 순서로 분류된 제1 테이블과 피처 벡터값이 추출된 시간 순서로 분류된 제2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생성된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추출하며, 추출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추정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추출된 각각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 및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한 음원 파일을 설정된 구간만큼 구분하여,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판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판단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경우, 판단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하나라고 결정되는 경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없거나,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지 않다고 확인되는 경우, 구분된 음원 파일의 구간 내에서 판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등록된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적어도 둘 이상이라고 확인되는 경우, 하이라이트 패턴의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판단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확인되는 경우, 판단을 반복하고, 판단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검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경우, 검색 구간을 선택한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하고, 판단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검색 구간을 선택한 음원 파일 전체로 변경한 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이 검색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선택한 음원 파일 내에서 설정된 하위 피처 벡터값 이하에 속하는 구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구간의 피처 벡터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이후 피처 벡터값과 비교하여, 가장 큰 피처 벡터값의 차이가 도출되는지 여부로 검색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0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는 전자 장치(10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10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022) 및 메모리(10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10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10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1091) 및 제1 광 센서(10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1091) 및 광 센서(10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10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10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1031)은 전자 장치(10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이 스피커(1051) 및 마이크로폰(10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스피커(speaker)(1051) 및 마이크로폰(10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프로세서 유닛(10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1051)로 전달된다. 스피커(10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10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마이크로폰(10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10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10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0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071)는 터치 스크린(10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10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0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1080)은 전자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0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10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0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080)은 선택한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재생 시점 결정 모드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80)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 중 어느 하나의 음원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음원 파일의 재생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재생 시점 결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1011), 통신 모듈(1012), 그래픽 모듈(10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 및 MPEG 모듈(1015), 카메라 모듈(10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1010)는 설정된 피처 벡터값 이상의 차이가 있고, 설정된 피처 벡터값 범위 내에서 피처 벡터값이 유지되고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 기준이 되는 피처 벡터값이 추출된 시간에 해당하는 음원 파일 부분을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으로 등록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이나 외부 포트(10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013)은 터치스크린(10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10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10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601: 검색된 3의 피처 벡터값 602: 설정된 3개의 피처 벡터값
603: 검색된 4의 피처 벡터값 604: 설정된 3개의 피처 벡터값
605: 80의 피처 벡터값 1000: 전자장치
1010: 메모리 1011: 운영체제 모듈
1012: 통신모듈 1013: 그래픽 모듈
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015: CODEC 모듈
1016: 카메라 모듈 1017: 애플리케이션
1020: 프로세서 유닛 1021: 메모리 인터페이스
1022: 프로세서 10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10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1051: 스피커
1052: 마이크로폰 1060: 외부 포트
1070: 입출력 시스템 10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1072: 기타 입력 제어기 1080: 터치 스크린
10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1091: 움직임 센서
1092: 제1 광 센서 10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Claims (3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운드 소스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들의 복수의 출력 파워 값들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 기반하여 검색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검색 구간 중에서, 지정된 조건들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지정된 조건들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출력 파워 값과, 적어도 하나의 직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파워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출력 파워 값과, 적어도 하나의 직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파워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이며, 상기 제1 기준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 이상이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소스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소스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멀티 코어 솔루션(multi-core solution)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각각의 사운드 소스 파일에서 피처 벡터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 벡터값은 오디오 시그널의 파워 값으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Figure 112019060562171-pat00004

    여기서, x는 샘플 값(sample value)의 진폭(amplitude)을 나타낸 것이고, N은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샘플 값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구간 중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들을 만족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구간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검색 구간 내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들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가 하나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직후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가 둘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검색 구간은 상기 사운드 소스 파일 전체에 대응하는 구간인 동작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사운드 소스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구간들의 복수의 출력 파워 값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 기반하여 검색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검색 구간 중에서, 지정된 조건들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확인하고; 여기서 상기 지정된 조건들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출력 파워 값과, 적어도 하나의 직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파워 값의 차이가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출력 파워 값과, 적어도 하나의 직후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파워 값의 차이가 제2 기준 값 이하이며, 상기 제1 기준 값은 상기 제2 기준 값 이상이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소스 파일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사운드 소스 파일을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멀티 코어 솔루션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각각의 사운드 소스 파일에서 피처 벡터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 벡터값은 오디오 시그널의 파워 값으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Figure 112019504033087-pat00005

    여기서, x는 샘플 값의 진폭을 나타낸 것이고, N은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샘플 값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25. 삭제
  26. 삭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색 구간 중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들을 만족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구간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검색 구간 내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들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을 더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가 하나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적어도 하나의 직후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9. 삭제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의 개수가 둘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하이라이트 패턴 기준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하이라이트 추정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1. 삭제
  32. 삭제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검색 구간은 상기 사운드 소스 파일 전체에 대응하는 구간인 전자 장치.
  34. 삭제
KR1020130026908A 2013-03-13 2013-03-13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5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08A KR102058025B1 (ko) 2013-03-13 2013-03-13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08A KR102058025B1 (ko) 2013-03-13 2013-03-13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13A KR20140112313A (ko) 2014-09-23
KR102058025B1 true KR102058025B1 (ko) 2020-01-22

Family

ID=5175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908A KR102058025B1 (ko) 2013-03-13 2013-03-13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78B1 (ko) * 2017-04-07 2018-08-24 네이버 주식회사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33720B1 (ko) * 2017-11-27 2019-10-17 네이버 주식회사 분위기 컨트롤이 가능한 음원 믹싱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574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하이라이트 정보 기록/재생 장치 및방법
KR20070043113A (ko) * 2005-10-20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라이트 오디오 구간 선별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70081369A (ko)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파일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파일네비게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13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682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udio playing based on playing environment
CN107209781B (zh) 使用自然语言的上下文搜索
KR20140045741A (ko)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28179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based on color values of an image
US96611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incoming/outgoing information and managing contacts
US201603068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udio information
KR20130108745A (ko)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20172B2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20515124A (ja) マルチメディアリソース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40112915A (ko)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685113B2 (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binary executables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798512B1 (en) Context-based volume adjustment
KR101709427B1 (ko)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40047887A (ko) 메모 기능 수행 시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115694A (ko)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19167A (ko) 음성 안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17021A (ko) 메시지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58025B1 (ko)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3127B1 (ko)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31284B1 (ko)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25646A (ko)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012537A1 (en) Electronic device for integrating and search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US201700131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US9202447B2 (en) Persistent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