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461A -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461A
KR20140147461A KR1020130070772A KR20130070772A KR20140147461A KR 20140147461 A KR20140147461 A KR 20140147461A KR 1020130070772 A KR1020130070772 A KR 1020130070772A KR 20130070772 A KR20130070772 A KR 20130070772A KR 20140147461 A KR20140147461 A KR 2014014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lectronic device
area
contents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준
김현정
이다솜
이요한
조성대
이철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461A/ko
Publication of KR2014014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INSERTING OF A OWN CONTENS IN AN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기능이 발전하면서, 전자 장치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게임을 즐길 수도 있으며, 고화질의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는 저장된 이미지 및 동영상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이나 낙관 등을 삽입할 수 없어, 자신만의 작품에 서명을 남기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타인과 구별될 수 있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이나 낙관을 삽입 및 편집할 수 있으며, 타인이 사용자의 서명이 삽입된 이미지나 동영상을 도용할 수 없도록 하는 워터마크 기능이 도입된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저장된 컨텐츠에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등과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이 삽입된 컨텐츠에 워터마크 기능을 추가하여, 합성된 컨텐츠를 타인이 도용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이 삽입된 컨텐츠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손쉽게 편집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고유의 서명이 삽입된 컨텐츠를 사용자의 설정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는,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는, 워터마크 기능이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입력받는 동작; 및 상기 입력받은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은, 동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 및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분석하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변경 조건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1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에지 및 저장된 선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및 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설정된 필터 속성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필터 속성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과 다른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선택받은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됨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된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구별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가 합성된 컨텐츠를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확인된 정보가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컨텐츠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컨텐츠를 선택받는 동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는 동작; 및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프로세서 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 모듈에서 제어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는,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는, 워터마크 기능이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여, 상기 입력받은 제1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 및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변경 조건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1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에지 및 저장된 선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및 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설정된 필터 속성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필터 속성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과 다른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선택받은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된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로 축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가 합성된 컨텐츠를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확인된 정보가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컨텐츠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컨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저장된 컨텐츠에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등과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삽입된 컨텐츠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를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삽입된 제1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삽입된 컨텐츠가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이동된 컨텐츠가 설정된 크기로 자동 축소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텍스트 및 지문을 각각 설정된 낙관 형태 및 설정된 지문 형태 변경하여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합성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됨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합성된 컨텐츠를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다른 디바이스로 합성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합성 컨텐츠에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의 제1 컨텐츠는 워터마크(water mark) 기능이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배경이 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 직접 촬영한 컨텐츠를 호출하거나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제1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제1 컨텐츠의 종류로 텍스트를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텍스트의 내용을 입력받기 위하여 키 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제1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텍스트 형식의 이니셜(initial)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다른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는 이니셜인 "kim.s.s"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1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텍스트를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텍스트를 배경이 되는 이미지인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는 저장된 이미지 및 동영상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이나 낙관 등을 삽입할 수 없어, 자신만의 작품에 서명을 남기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배경이 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을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배경이 되는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에 워터마크 기능이 구비되기 때문에 합성된 컨텐츠가 제3 자에게 도용될 수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 직접 촬영한 컨텐츠를 호출하거나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제1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제1 컨텐츠의 종류로 손 글씨(handwriting)를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손 글씨의 내용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제1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손 글씨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다른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는 이니셜인 "kim.s.s"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손 글씨를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손 글씨를 배경이 되는 컨텐츠인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배경이 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에 사용자 고유의 손 글씨를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 직접 촬영한 컨텐츠를 호출하거나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제1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제1 컨텐츠의 종류로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제1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다른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는 이미지인 "새 모양"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도 3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새 모양"의 컨텐츠를 배경이 되는 컨텐츠인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배경이 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컨텐츠를 삽입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 직접 촬영한 컨텐츠를 호출하거나 전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제1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제1 컨텐츠의 종류로 저장된 음원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음원 파일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제1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음원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중 다른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는 음원인 "음원 D"의 파일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받은 음원 파일을 편집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받은 음원 파일의 특정 영역만이 재생되도록 편집할 수도 있고, 복수의 음원 파일 중 특정 영역들만이 재생되도록 편집할 수도 있다.
이후, 도 4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음원을 제2 컨텐츠에 삽입하여, 제2 컨텐츠를 선택받은 경우 삽입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선택받은 음원을 배경이 되는 제2 컨텐츠에 삽입하여, 합성된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삽입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배경이 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특정 음원을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삽입된 컨텐츠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를 촬영할 때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고정된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저장된 제2 컨텐츠에 입력받은 제1 컨텐츠를 삽입하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축소(demagnify)됨을 확인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를 선택받은 후, 임의의 크기로 축소되는 스케일링(scaling) 동작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확대(magnify)됨을 확인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를 선택받은 후, 임의의 크기로 확대되는 스케일링(scaling) 동작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를 선택받은 후, 임의의 영역으로 드래그(drag) 되어 릴리즈(release) 된 경우, 릴리즈 된 영역으로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제1 컨텐츠를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를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준비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촬영된 컨텐츠에 삽입될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디폴트 컨텐츠로 설정된 "kim.s.s"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의 좌측 하단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미지를 촬영하라는 명령어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현재 터치 스크린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를 배경이 되는 제2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를 촬영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kim.s.s"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배경 이미지의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반 셔터 형식으로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준비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후,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미지를 촬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라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컨텐츠를 촬영한 후,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입력받아 촬영된 컨텐츠에 삽입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 고정하여, 컨텐츠가 촬영될 때 고정된 디폴트 컨텐츠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위치에 자동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촬영한 원본 컨텐츠에 "kim.s.s"와 같이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한 경우, 전자 장치는 합성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합성된 컨텐츠를 저장한 경우, 전자 장치는 합성된 컨텐츠를 컨텐츠 리스트 상에서 그룹으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구별하여 저장하지 않고, 합성된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하여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7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촬영한 원본 컨텐츠에 "kim.s.s"와 같이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한 경우, 전자 장치는 삽입한 컨텐츠를 제외한 원본 컨텐츠 차제만을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원본 컨텐츠 및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각각 구별하여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원본 컨텐츠 및 삽입된 컨텐츠를 각각 구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고, 합성된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저장 방법을 폭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에서 배경 컨텐츠인 제2 컨텐츠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 및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제1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에지(edge) 및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제2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및 에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삽입된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에지 및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 색상 등과 배경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및 에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이라함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가 삽입된 결과,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에 의하여 제1 컨텐츠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조건일 수 있다. 또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가 삽입된 결과, 제1 컨텐츠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지만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 색상 등에 의하여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조건일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될 경우, 전자 장치는 변경 조건에 부합되도록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한 결과, 제2 컨텐츠의 "바다" 색상이나 명암 등에 의하여 제1 컨텐츠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전자 장치는 "바다" 색상과 반대되는 보색으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한 후, 제1 컨텐츠가 "산"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산"의 색상, 명암 및 에지 분포도 등에 의하여 제1 컨텐츠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산"의 색상과 반대되는 보색이나 기타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 색상 등으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8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한 후, 제1 컨텐츠가 "하늘"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하늘"의 색상, 명암 및 투명도 등에 의하여 제1 컨텐츠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하늘"의 색상과 반대되는 보색이나 기타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 색상 등으로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삽입된 제1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준비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촬영된 컨텐츠에 삽입될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디폴트 컨텐츠로 설정된 "kim.s.s"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의 좌측 하단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영역 내의 디폴트 영역으로 제1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의 영역이 제2 컨텐츠의 중심을 기준으로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에서 좌측 상단의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좌측 하단에 위치하였던 사용자 고유의 서명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택받은 영역인 좌측 상단 내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2 컨텐츠의 영역이 제2 컨텐츠의 중심을 기준으로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었으며, 전자 장치는 네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던지 시계방향으로 제1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제1 컨텐츠는 최초 우측 상단의 디폴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도 9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지와 상관없이, 전자 장치는 우측 상단을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제1 컨텐츠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영역 중 우측 상단 영역을 선택받았지만, 전자 장치는 최초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있던 제1 컨텐츠를 좌측 상단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같은 의미로, 도 9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다시 구획된 네 개의 영역 중 우측 상단 영역을 다시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였던 제1 컨텐츠의 위치를 우측 하단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삽입된 컨텐츠가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이동된 컨텐츠가 설정된 크기로 자동 축소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 삽입하여 합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를 배경 컨텐츠의 중심을 기준으로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하여 합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KIM. SAMSUNG"과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10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배경 컨텐츠의 구분된 네 개의 영역 중 좌측 하단의 영역으로 이동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경 컨텐츠를 배경 컨텐츠의 중심을 기준으로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지만, 두 개의 영역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도 10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좌측 하단 영역으로 이동된 컨텐츠의 크기를 해당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축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좌측 하단의 영역을 벗어난 이동된 컨텐츠의 크기를 확인한 후, 좌측 하단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된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10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적절한 크기의 컨텐츠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받은 텍스트 및 지문을 각각 설정된 낙관 형태 및 설정된 지문 형태 변경하여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키 패드 등과 같은 입력도구로부터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kim.s.s"와 같은 텍스트를 키 패드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1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텍스트 문구를 설정된 낙관 형태로 변형하여 배경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kim.s.s"와 같은 텍스트를 설정된 원형의 낙관 형태로 변경하여, 배경 컨텐츠의 좌측 하단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1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열 손 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지문 입력 기능이 구비된 지문 판독기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 중 설정된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11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설정된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배경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설정된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배경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그대로 삽입하였지만, 입력받은 설정된 사용자의 지문을 별 모양,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배경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서명 및 지문 등을 입력받은 후, 설정된 형태로 변경하여 배경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만의 개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합성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가 삽입된 합성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합성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하여, 합성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 영역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합성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받은 합성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합성된 컨텐츠 중 배경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합성 컨텐츠 중 삽입된 제1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배경 컨텐츠의 색상 및 명암을 편집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삽입된 "새 모양"의 이미지를 삭제한 후, 배경 컨텐츠의 색상 및 명암을 편집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배경 컨텐츠의 편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던 제1 컨텐츠를 다시 최초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배경 컨텐츠의 색상 및 명암을 편집하도록 하는 편집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던 "새 모양"의 이미지를 최초 설정된 영역인 좌측 하단의 영역에 다시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2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합성된 세 개의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합성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세 개의 합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세 개의 배경 컨텐츠에 각각 "새 모양"의 컨텐츠가 삽입된 합성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세 개의 합성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세 개의 합성 컨텐츠에 삽입된 제1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세 개의 합성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합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삽입된 "새 모양"의 이미지를 삭제한 후, 세 개의 배경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합성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컨텐츠의 편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던 제1 컨텐츠를 다시 최초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 개의 컨텐츠를 하나의 컨텐츠로 합성하도록 하는 편집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던 "새 모양"의 이미지를 최초 설정된 영역인 좌측 하단의 영역에 다시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됨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촬영된 컨텐츠 또는 저장된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배경이 되는 컨텐츠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하기 위하여, 배경이 되는 촬영된 컨텐츠 또는 저장된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인 배경이 되는 컨텐츠에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제1 컨텐츠를 삽입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속성이란 제1 컨텐츠가 삽입됨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필터 효과, 밝기 및 채도 등을 변경시키는 속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 효과로 세피아(sepia), 빈티지(vintage), 카툰(cartoon) 및 피쉬 아이(fisheye) 등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제2 컨텐츠의 필터 효과로 카툰을 설정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를 재미있는 만화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확인된 필터 속성에 따라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필터 속성을 세피아 필터 효과로 설정하였으며, 밝기는 105, 채도는 50, 액자는 없음으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필터 효과를 확인한 후, 설정된 필터 효과에 따라 필터 효과, 105의 밝기, 50의 채도로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촬영된 동영상 컨텐츠 또는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하단의 설정된 영역에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처음 시작하는 두 개의 프레임과 마지막 두 개의 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제1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선택받은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처음 두 개의 프레임과 마지막 두 개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kim.s.s"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합성된 컨텐츠를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를 제2 컨텐츠에 삽입한 합성 컨텐츠를 하나의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도 7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구별하여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제1 컨텐츠를 제2 컨텐츠에 삽입한 합성 컨텐츠를 분류 및 저장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전자 장치는 합성 컨텐츠에 포함된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tag informatoin) 및 메타데이터 정보(meta data informatoin)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합성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가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복수의 합성 컨텐츠 중에서 합성 컨텐츠에 포함된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등이 동일한 컨텐츠를 각각 동일한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합성 컨텐츠 중 "새 모양"의 이미지로 구성된 제1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 별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같은 의미로, 도 1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합성 컨텐츠 중 "kim.s.s"의 이미지로 구성된 제1 컨텐츠가 포함된 컨텐츠 별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합성 컨텐츠에 포함된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등을 확인하여,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별로 자동으로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다른 디바이스로 합성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함께 다른 세 개의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세 개의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와 합성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는 세 개의 디바이스 중 제1 디바이스로 제1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제1 컨텐츠, 배경 컨텐츠인 제2 컨텐츠 및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된 합성 컨텐츠 등을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설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제1 컨텐츠인 "새 모양"의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후, 제1 디바이스로 공유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소유의 설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로부터 "새 모양"의 제1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 및 합성 컨텐츠는 각각 워터마크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각각의 컨텐츠를 전송받은 경우, 다른 사용자는 전송받은 컨텐츠를 활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구비한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받은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합성 컨텐츠에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기 위하여 합성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하여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된 합성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배경 컨텐츠에 "새 모양"과 같은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가 삽입된 합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합성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사용자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하여 키 패드를 디스플레이한 후, "on Hong Island with her. 2013.06.13"과 같은 추가적인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컨텐츠를 제1 컨텐츠와 함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할 영역은 제1 컨텐츠 아래쪽이고, 추가적인 컨텐츠는 제2 컨텐츠를 촬영할 당시의 상태를 나타낸 텍스트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추가적으로 입력받은 "on Hong Island with her. 2013.06.13"와 같은 텍스트를 "새 모양"의 컨텐츠 아래쪽에 제1 컨텐츠와 함께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새롭게 삽입된 컨텐츠를 다시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삽입된 제1 컨텐츠도 추후 다른 컨텐츠로 편집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8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배경이 되는 컨텐츠인 제2 컨텐츠에 삽입될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디폴트 컨텐츠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1801)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8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배경이 되는 컨텐츠인 제2 컨텐츠에 삽입될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1802)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될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입력받아 확인할 수 있다(18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배경이 되는 컨텐츠인 제2 컨텐츠에 삽입될 사용자 고유의 서명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인 제1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입력받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로 사용자의 이니셜을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손 글씨,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된 음원, 사용자의 이름을 설정된 형태로 변경한 낙관 이미지 및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등을 입력받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1804).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폴트 컨텐츠로 저장되어 있는 제1 컨텐츠,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제1 컨텐츠 및 입력받은 제1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확인된 컨텐츠를 배경이 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구별하여 저장하던지 또는 합성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180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구별하여 별도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고, 합성된 컨텐츠를 하나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1801)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에 삽입될 제1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1806).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1802)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1807).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19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폴트 컨텐츠로 저장되어 있는 제1 컨텐츠,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제1 컨텐츠 및 입력받은 제1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19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폴트 컨텐츠로 저장되어 있는 제1 컨텐츠, 터치 스크린의 설정된 영역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제1 컨텐츠 및 입력받은 제1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확인된 컨텐츠를 배경이 되는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20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2000)는 메모리(2010), 프로세서 모듈(processor module)(20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20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2031), 외부 포트(2060),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 스피커(2051), 마이크로폰(20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2070), 터치스크린(20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2090)를 포함한다. 메모리(2010)와 외부 포트(20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20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0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20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20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모듈(20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 모듈(2020)은,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여,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여, 입력받은 제1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확인된 제1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 및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분석하고,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변경 조건에 부합되도록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설정된 필터 속성을 확인하여, 확인된 필터 속성에 따라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선택받은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된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컨텐츠의 크기가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 컨텐츠의 크기를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합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020)은, 입력받은 컨텐츠를 제1 컨텐츠와 함께 제2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20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2022)는 메모리(20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2022)는 메모리(20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0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023)는 전자 장치(20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20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2022) 및 메모리(20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20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20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20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2091) 및 제1 광 센서(20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2091) 및 광 센서(20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20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20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2030, 20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2030, 20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20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2031)은 전자 장치(20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20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20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이 스피커(2051) 및 마이크로폰(20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은 스피커(speaker)(2051) 및 마이크로폰(20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은 프로세서 모듈(20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0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2051)로 전달된다. 스피커(20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20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은 마이크로폰(20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20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20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20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20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20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2071)는 터치 스크린(20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20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20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20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20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20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2080)은 전자 장치(20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20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20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20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20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20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터치 스크린(2080)은, 제2 컨텐츠에 삽입될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080)은, 동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08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과 다른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08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080)은, 제2 컨텐츠에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컨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080)은,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고,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메모리(20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0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20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2011), 통신 모듈(2012), 그래픽 모듈(20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014) 및 MPEG 모듈(2015), 카메라 모듈(20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20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20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메모리(2010)는,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10)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합성된 컨텐츠를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10)는, 합성된 컨텐츠를 확인된 정보가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2030, 2031)이나 외부 포트(20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신 모듈(2012)은,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선택받은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2013)은 터치스크린(20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0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20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2015)은 본 개시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20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20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20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개시는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개시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0: 전자장치 2010: 메모리
2011: 운영체제 모듈 2012: 통신모듈
2013: 그래픽 모듈 2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2015: CODEC 모듈 2016: 카메라 모듈
2017: 애플리케이션 2020: 프로세서 모듈
2021: 메모리 인터페이스 2022: 프로세서
20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20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20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20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2051: 스피커 2052: 마이크로폰
2060: 외부 포트 2070: 입출력 시스템
20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2072: 기타 입력 제어기
2080: 터치 스크린 20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2091: 움직임 센서 2092: 제1 광 센서
20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Claims (4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워터마크(water mark) 기능이 포함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입력받는 동작; 및
    상기 입력받은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동작은,
    동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 및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분석하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변경 조건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1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에지(edge) 및 저장된 선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및 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설정된 필터 속성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필터 속성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과 다른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선택받은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됨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된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구별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가 합성된 컨텐츠를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tag informatoin) 및 메타데이터 정보(meta data informatoin)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확인된 정보가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컨텐츠를 선택받는 동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받는 동작; 및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동작;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는 동작; 및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컨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설정된 제1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프로세서 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 모듈에서 제어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워터마크 기능이 포함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고유의 텍스트, 손 글씨, 이미지, 음원, 낙관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여, 상기 입력받은 제1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될 디폴트 컨텐츠인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설정된 영역에 상기 확인된 제1 컨텐츠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 및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할 변경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변경 조건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1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에지 및 저장된 선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의 비주얼 속성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색상, 명암, 투명도 및 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의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필터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설정된 필터 속성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필터 속성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영역과 다른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선택받은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이동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제2 컨텐츠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제2 컨텐츠의 설정된 영역에 삽입된 제1 컨텐츠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3항 또는 제3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디폴트 영역으로 이동된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가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의 크기를 상기 각각의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구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가 합성된 컨텐츠를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의 태그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확인된 정보가 동일한 컨텐츠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에 상기 제1 컨텐츠가 삽입된 컨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적인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추가할 컨텐츠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를 상기 제1 컨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컨텐츠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70772A 2013-06-20 2013-06-20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47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72A KR20140147461A (ko) 2013-06-20 2013-06-20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72A KR20140147461A (ko) 2013-06-20 2013-06-20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61A true KR20140147461A (ko) 2014-12-30

Family

ID=5267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72A KR20140147461A (ko) 2013-06-20 2013-06-20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11A1 (ko) * 2018-05-15 2019-11-21 Ko Hyun Sung 컨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WO2020032348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딥핑소스 데이터를 식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11A1 (ko) * 2018-05-15 2019-11-21 Ko Hyun Sung 컨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WO2020032348A1 (ko) * 2018-08-10 2020-02-13 주식회사 딥핑소스 데이터를 식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329B1 (ko) 전화 통화 동안의 실시간 공유 기법
KR102064973B1 (ko) 듀얼 이미지를 편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92021B (zh) 生成視頻的方法、裝置及終端
CN106575361B (zh) 提供视觉声像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EP3547218B1 (en) Fil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EP3693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KR20140143725A (ko) 이미지 상관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45741A (ko)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43080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30142310A (ko)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130115694A (ko)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06210A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848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US20150143530A1 (en) Method for sharing 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4052915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31284B1 (ko)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50112997A1 (en) Method for content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012537A1 (en) Electronic device for integrating and search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140147461A (ko) 고유의 컨텐츠를 삽입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111242A (ko) 채색 가능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P304089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102124601B1 (ko) 피사체의 거리를 추출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89293B1 (ko) 전자장치에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2165339B1 (ko) 전자장치에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N116048349A (zh) 一种图片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