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210A -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210A
KR20150006210A KR1020130079687A KR20130079687A KR20150006210A KR 20150006210 A KR20150006210 A KR 20150006210A KR 1020130079687 A KR1020130079687 A KR 1020130079687A KR 20130079687 A KR20130079687 A KR 20130079687A KR 20150006210 A KR20150006210 A KR 2015000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dragged
ic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400B1 (ko
Inventor
차순현
김양수
조재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00B1/ko
Priority to US14/322,170 priority patent/US10331329B2/en
Priority to EP14175884.7A priority patent/EP2824561B1/en
Publication of KR2015000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73Scroll tool, e.g. window scroll bar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과정;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CHANGING THE ORDER OR THE POSITION OF LIST IN AN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기능이 발전하면서, 전자 장치의 저장 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전자 장치에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음원, 동영상 및 전화 번호 등을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설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빠르고 손쉽게 컨텐츠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컨트롤함에 따라 컨텐츠가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옮길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과정;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상기 전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상기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두 영역은, 전체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1 영역 및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 다음부터 위치하는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 입력받는 과정;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시간 동안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아이콘이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고,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프로세서 모듈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상기 전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상기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두 영역은, 전체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1 영역 및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 다음부터 위치하는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고,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며,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시간 동안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며,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빠르고 손쉽게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컨트롤함에 따라 컨텐츠가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옮길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는 복수의 컨텐츠가 컨텐츠의 종류별로 각각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예를 들면, 음원과 관련된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A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고, 동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B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전화 번호는 전자 장치의 "C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사용자는 "A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음원과 관련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A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A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음원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 후,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 4"를 터치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1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 인터페이스(101)를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A 저장 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 4"를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컨텐츠 4"의 영역에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전체 컨텐츠 중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1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전체 컨텐츠 중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다는 의미는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에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선택받은 컨텐츠가 전체 컨텐츠 중에서 몇 번째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의 두 번째 칸의 우측 아래의 "200"이라는 숫자는 "A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과 관련된 컨텐츠의 전체 개수를 나타낸 것이고,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선택받은 "컨텐츠 4"는 전체 200개의 컨텐츠 중 4번째로 정렬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즉, 가이드 인터페이스(101)는 전체 컨텐츠의 개수와 전체 컨텐츠 개수 중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 및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의 설정된 영역에는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아이콘(102)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에는 아이콘(102)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어 있어, 전자 장치는 아이콘(102)의 컨트롤 됨을 감지함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의 컨트롤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에 포함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102)을 터치 입력받은 후,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에 포함된 아이콘(102)을 선택받은 후,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에 포함된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아이콘(102)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 4"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컨텐츠 200"까지의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의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c)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컨텐츠에는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에는 해당 컨텐츠의 음원의 명칭이 각각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명칭을 참고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도 1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었다고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아이콘(102)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아이콘(102)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가 "컨텐츠 56"과 "컨텐츠 57" 사이로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인 "컨텐츠 4"의 위치를 "컨텐츠 56"과 "컨텐츠 57" 사이로 변경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수동적으로 이동시켜야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의 간격이 큰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까지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터치 입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인터페이스(1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102)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만 하게 되면, 원하는 위치까지 손쉽게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옮길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는 복수의 컨텐츠가 컨텐츠의 종류별로 각각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예를 들면, 음원과 관련된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A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고, 동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B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전화 번호는 전자 장치의 "C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사용자는 "B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동영상과 관련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B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B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 후,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 103"을 터치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 인터페이스(201)를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B 저장 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 103"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컨텐츠 103"의 영역에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다는 의미는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에 전체 컨텐츠에서 선택받은 컨텐츠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컨텐츠의 숫자가 200개이고, 현재 위치를 변경하고자 선택받은 컨텐츠가 전체 200개의 컨텐츠에서 103번째의 위치로 정렬되어 있다고 하면, 전자 장치는 현재 선택받은 "컨텐츠 103"은 전체 영역 중 51%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가이드 인터페이스(201)는 전체 컨텐츠의 영역에서 현재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백분율로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 및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직관적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의 설정된 영역에는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아이콘(202)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에는 아이콘(202)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어 있어, 전자 장치는 아이콘(202)의 컨트롤 됨을 감지함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도 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의 컨트롤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에 포함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202)을 터치 입력받은 후,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에 포함된 아이콘(202)을 선택받은 후,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201)에 포함된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아이콘(202)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 103"으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컨텐츠 1"까지의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의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c)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컨텐츠에는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에는 해당 컨텐츠의 동영상의 명칭이 각각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명칭을 참고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었다고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아이콘(202)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아이콘(202)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가 "컨텐츠 10"과 "컨텐츠 11" 사이로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인 "컨텐츠 103"의 위치를 "컨텐츠 10"과 "컨텐츠 11" 사이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에는 복수의 컨텐츠가 컨텐츠의 종류별로 각각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예를 들면, 음원과 관련된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A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고, 동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는 전자 장치의 "B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전화 번호는 전자 장치의 "C 저장 영역"에 컨텐츠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사용자는 "C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자 번호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먼저, 전자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C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C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전화 번호를 컨텐츠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 후,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 58"을 터치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301, 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 인터페이스(301, 302)를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C 저장 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전화 번호 중 "컨텐츠 58"을 선택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컨텐츠 58"의 영역에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301, 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영역이란 전체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선택받은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1 영역(301) 및 선택받은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선택받은 컨텐츠 다음부터 위치하는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2 영역(302)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선택받은 컨텐츠보다 앞쪽으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제1 영역(301)에 포함된 아이콘(303)을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받은 컨텐츠보다 뒤쪽으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제2 영역(302)에 포함된 아이콘(303)을 선택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 앞쪽으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제1 영역(301)의 아이콘(303)을 선택할 수 있고,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변경하고자 하는 라스트 뒤쪽으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대, 제2 영역(302)의 아이콘(303)을 선택하여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도 3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301, 302)의 컨트롤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301, 302)에 포함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303)을 터치 입력받은 후,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301, 302)에 포함된 아이콘(303)을 선택받은 후,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301)에 포함된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아이콘(303)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 58"으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컨텐츠 1"까지의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각각의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c)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컨텐츠에는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에는 "012-345-6789"와 같은 전화 번호와 전화 번호의 사용자의 성명이 각각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에 포함된 전화 번호와 성명을 참고하여 전화 번호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었다고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아이콘(303)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아이콘(303)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가 "컨텐츠 11"과 "컨텐츠 12" 사이로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인 "컨텐츠 58"의 위치를 "컨텐츠 11"과 "컨텐츠 12" 사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전화 번호인 "컨텐츠 58"을 앞쪽으로 위치시켜, 통화를 시도할 때마다 매번 앞쪽에서 뒤쪽까지 컨텐츠를 이동할 필요없이 적은 인터랙션으로 "컨텐츠 58"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받은 후, 가이드 인터페이스(401)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콘(402)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컨텐츠가 스크롤될 수 있는 복수의 단위는 10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4의(a) 및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여 각각의 컨텐츠가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401)에 포함된 아이콘(402)이 좌측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여, 선택받은 컨텐츠인 "컨텐츠 200"을 기준으로 10이라는 컨텐츠 단위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컨텐츠 200"을 기준으로 "컨텐츠 190" 및 "컨텐츠 180" 등과 같은 순서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를 선택받기 위하여 10의 컨텐츠 단위로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아이콘(402)이 설정된 시간 동안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4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402)이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가 가이드 인터페이스(4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402)이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하는 이유는 스크롤하는 컨텐츠의 단위를 변경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이 3초라고 하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4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402)이 설정된 시간인 3초 동안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402)이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아이콘(402)의 드래그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스크롤하는 범위를 달리하여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인 3초 동안 아이콘(402)이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한 후, 다시 아이콘(402)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10의 단위로 스크롤하던 컨텐츠를 컨텐츠의 스크롤 범위를 감축하여 하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스크롤하는 범위를 차별화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최초 컨텐츠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컨텐츠의 스크롤 범위를 크게 한 후, 동작을 감지한 경우 세부적인 컨텐츠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롤 범위를 줄여 시간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받은 후,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콘(502)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컨텐츠가 스크롤될 수 있는 복수의 단위는 10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5의(a) 및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여 각각의 컨텐츠가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된 아이콘(502)이 좌측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여, 선택받은 컨텐츠인 "컨텐츠 200"을 기준으로 10이라는 컨텐츠 단위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컨텐츠 200"을 기준으로 "컨텐츠 190" 및 "컨텐츠 180" 등과 같은 순서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를 선택받기 위하여 10의 컨텐츠 단위로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아이콘(502)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된 아이콘(502)이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된 아이콘(502)이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설정된 제3 방향인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가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502)이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는 이유는 스크롤하는 컨텐츠의 단위를 변경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제3 방향이 시계방향이라고 하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502)이 설정된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드래그 됨을 감지하여 스크롤하는 컨텐츠의 단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502)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가이드 인터페이스(501)에 포함된 아이콘(502)이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스크롤하는 범위를 달리하여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502)이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설정된 제3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10의 단위로 스크롤하던 컨텐츠를 컨텐츠의 스크롤 범위를 감축하여 하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스크롤하는 범위를 차별화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최초 컨텐츠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컨텐츠의 스크롤 범위를 크게 한 후, 동작을 감지한 경우 세부적인 컨텐츠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롤 범위를 줄여 시간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601).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와 관련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A 저장 영역"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A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후,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602).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A 저장 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가 자주 선택하여 열람하는 제1 이미지를 앞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전자 장치는 "A 저장 영역"의 앞쪽으로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1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6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전체 컨텐츠 중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영역이란 전체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선택받은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1 영역 및 선택받은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선택받은 컨텐츠 다음부터 위치하는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다라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604).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아이콘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701).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A 저장 영역"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가 거의 선택하지 않은 제1 이미지를 뒤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전자 장치는 "A 저장 영역"의 뒤쪽으로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1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7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 및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인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다라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7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아이콘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만 하게 되면, 원하는 위치까지 손쉽게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옮길 수 있어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8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800)는 메모리(810), 프로세서 모듈(processor module)(8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8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831), 외부 포트(860), 오디오 서브시스템(850), 스피커(851), 마이크로폰(8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870), 터치스크린(8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890)를 포함한다. 메모리(810)와 외부 포트(8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8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8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8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8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모듈(8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 모듈(820)은,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820)은,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고,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선택받은 컨텐츠를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820)은, 아이콘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며, 아이콘이 설정된 시간 동안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820)은, 아이콘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며, 아이콘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820)은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8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822)는 메모리(8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822)는 메모리(8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8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823)는 전자 장치(8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8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822) 및 메모리(8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8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8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8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891) 및 제1 광 센서(8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891) 및 광 센서(8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8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8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830, 8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830, 8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8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831)은 전자 장치(8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8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8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850)이 스피커(851) 및 마이크로폰(8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850)은 스피커(speaker)(851) 및 마이크로폰(8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850)은 프로세서 모듈(8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851)로 전달된다. 스피커(8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8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850)은 마이크로폰(8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8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8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8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8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8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8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871)는 터치 스크린(8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8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8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8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8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8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8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880)은 전자 장치(8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8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8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8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8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개시에 따른 터치 스크린(880)은,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고,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880)은,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880)은,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880)은, 아이콘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880)은, 아이콘이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880)은,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8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8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8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811), 통신 모듈(812), 그래픽 모듈(8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14) 및 MPEG 모듈(815), 카메라 모듈(8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8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8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830, 81)이나 외부 포트(8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813)은 터치스크린(8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8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815)은 본 개시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8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8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컨텐츠(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8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자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받은 후,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콘(902)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컨텐츠가 스크롤될 수 있는 복수의 단위는 10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도 9의(a) 및 도 9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여 각각의 컨텐츠가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된 아이콘(902)이 좌측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여, 선택받은 컨텐츠인 "컨텐츠 200"을 기준으로 10이라는 컨텐츠 단위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컨텐츠를 스크롤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컨텐츠 200"을 기준으로 "컨텐츠 190" 및 "컨텐츠 180" 등과 같은 순서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를 선택받기 위하여 10의 컨텐츠 단위로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아이콘(902)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된 아이콘(902)이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된 아이콘(902)이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설정된 제3 방향인 아랫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가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902)이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는 이유는 스크롤하는 컨텐츠의 단위를 변경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도 9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제3 방향이 아랫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902)이 설정된 방향인 아랫 방향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드래그 됨을 감지하여 스크롤하는 컨텐츠의 단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902)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세부적인 컨텐츠 단위를 디스플레이 한 후, 드래그 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된 아이콘(902)이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세부적인 컨텐츠 단위를 디스플레이 한 후,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아이콘(902)이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설정된 제3 방향인 아랫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10의 단위로 스크롤하던 컨텐츠를 컨텐츠의 스크롤 범위를 감축하여 세부적인 컨텐츠 단위를 디스플레이 한 후, 하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제3 방향이 윗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는 가이드 인터페이스(90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902)이 설정된 방향인 윗 방향으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 드래그 됨을 감지하여 스크롤하는 컨텐츠의 단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스크롤하는 범위를 차별화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최초 컨텐츠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컨텐츠의 스크롤 범위를 크게 한 후, 동작을 감지한 경우 세부적인 컨텐츠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롤 범위를 줄여 시간과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소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개시는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개시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가이드 인터페이스 102: 아이콘
201: 가이드 인터페이스 202: 아이콘
301: 가이드 인터페이스 302: 가이드 인터페이스
303: 아이콘 401; 가이드 인터페이스
402: 아이콘 501; 가이드 인터페이스
502: 아이콘 800: 전자장치
810: 메모리 811: 운영체제 모듈
812: 통신모듈 813: 그래픽 모듈
8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815: CODEC 모듈
816: 카메라 모듈 817: 애플리케이션
820: 프로세서 모듈 821: 메모리 인터페이스
822: 프로세서 8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8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8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8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851: 스피커
852: 마이크로폰 860: 외부 포트
870: 입출력 시스템 8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872: 기타 입력 제어기 880: 터치 스크린
8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891: 움직임 센서
892: 제1 광센서 8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901: 가이드 인터페이스 902: 아이콘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는 과정;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는 과정;
    상기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상기 전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상기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영역은,
    전체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1 영역 및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 다음부터 위치하는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 입력받는 과정;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시간 동안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아이콘이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고, 설정된 영역에 컨텐츠 전체 영역 중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하는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저장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저장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정렬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의 개수 및 상기 전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상기 전체 컨텐츠의 개수 범위 내에서 표시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전체 컨텐츠 영역에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전체 컨텐츠를 두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영역은,
    전체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1 영역 및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부터 시작하여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 다음부터 위치하는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시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의 현 위치가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하고,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 된 방향 및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를 상기 아이콘의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로 컨텐츠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에 따라 컨텐츠의 명칭이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를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스크롤되는 범위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며,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시간 동안 드래그 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각각의 컨텐츠가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단위로 스크롤됨을 확인하며, 상기 아이콘이 설정된 제3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드래그 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79687A 2013-07-08 2013-07-08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3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687A KR102234400B1 (ko) 2013-07-08 2013-07-08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322,170 US10331329B2 (en) 2013-07-08 2014-07-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order or location of content
EP14175884.7A EP2824561B1 (en) 2013-07-08 2014-07-0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order or location of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687A KR102234400B1 (ko) 2013-07-08 2013-07-08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10A true KR20150006210A (ko) 2015-01-16
KR102234400B1 KR102234400B1 (ko) 2021-03-31

Family

ID=5129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687A KR102234400B1 (ko) 2013-07-08 2013-07-08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1329B2 (ko)
EP (1) EP2824561B1 (ko)
KR (1) KR102234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133A3 (ko) * 2016-03-18 2018-08-02 강용직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5074A1 (en) * 2015-06-29 2019-03-28 Orang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a program configurable into a disabled state and enabled state
CN105657163B (zh) * 2015-12-29 2020-09-29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功能键位置的动态设定方法
JP6723749B2 (ja) * 2016-01-25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015721A (zh) 2016-10-20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的管理方法和装置
KR20180083482A (ko) * 2017-01-13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3755B1 (ko) * 2017-06-07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471610A (zh) * 2019-08-16 2019-11-19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54A (ko) * 2006-08-01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파일검색방법
KR20090077480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20110093097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20137753A (ko) * 2011-06-13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5079A (en) * 1997-04-04 1999-11-30 Avid Technology,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variable of a dialog box with cursor movement
US20050262451A1 (en) * 2003-10-09 2005-11-24 Jesse Remignanti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hanging parameters
US7958456B2 (en) * 2005-12-23 2011-06-07 Apple Inc. Scrolling list with floating adjacent index symbols
KR101277256B1 (ko) * 2006-06-16 201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033695A (ja) * 2006-07-29 2008-02-14 Sony Corp 表示内容のスクロール方法、スクロール装置およびスクロールプログラム
US7865817B2 (en) * 2006-12-29 2011-01-04 Amazon Technologies, Inc. Invariant referencing in digital works
US8091045B2 (en) * 2007-01-07 2012-01-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ists
US8519964B2 (en) *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KR101496451B1 (ko) * 2007-01-19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롤 바의 표시방법
JP2011501289A (ja) * 2007-10-16 2011-01-06 ヒルクレスト・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ンクライアント上で動作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の高速で円滑なスクロール
KR101453914B1 (ko) * 2008-01-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320919B1 (ko) * 2008-01-29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통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101470543B1 (ko)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7934167B2 (en) * 2008-09-30 2011-04-26 Nokia Corporation Scrolling device content
JP4752900B2 (ja) * 2008-11-19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100079502A (ko) * 2008-12-31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크롤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TWI412963B (zh) * 2009-07-01 2013-10-21 Htc Corp 資料顯示與移動方法及系統,及其電腦程式產品
EP3855297A3 (en) * 2009-09-22 2021-10-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799826B2 (en) * 2009-09-25 2014-08-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alendar entry in a calendar application
KR20110037298A (ko) 2009-10-06 201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0352A (ko) * 2009-10-14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US8624925B2 (en) * 2009-10-1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boundary signaling techniques
KR101722616B1 (ko) * 2009-12-24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US8510677B2 (en) * 2010-01-06 2013-08-1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range of values
KR101651926B1 (ko) * 2010-01-07 2016-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150413A (ja) * 2010-01-19 2011-08-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方法及び操作入力プログラム
US8423911B2 (en) * 2010-04-07 2013-04-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JP5241038B2 (ja) * 2010-07-01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29515B2 (en) * 2011-04-19 2016-12-27 Google Inc. Zoom acceleration widgets
US9454303B2 (en) * 2012-05-16 2016-09-27 Google Inc. Gesture touch inputs for controlling video on a touchscreen
SE537754C2 (sv) * 2012-08-03 2015-10-13 Crunchfish Ab Datoranordning för spårning av objekt i bildström
SE537553C2 (sv) * 2012-08-03 2015-06-09 Crunchfish Ab Förbättrad identifiering av en gest
US9047356B2 (en) * 2012-09-05 2015-06-02 Google Inc. Synchronizing multiple reading positions in electronic books
US9158765B1 (en) * 2012-10-08 2015-10-13 Audible, Inc. Managing content vers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54A (ko) * 2006-08-01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파일검색방법
KR20090077480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20110093097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20137753A (ko) * 2011-06-13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133A3 (ko) * 2016-03-18 2018-08-02 강용직 게시물 랭킹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4561A1 (en) 2015-01-14
KR102234400B1 (ko) 2021-03-31
EP2824561B1 (en) 2018-10-24
US10331329B2 (en) 2019-06-25
US20150012860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272B1 (ko) 전자장치에서 복사/붙여넣기 방법 및 장치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60155B1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57327B1 (ko) 이미지 형식의 객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108745A (ko)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701153B1 (en) Electronic device for merging and shar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US9420172B2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140045741A (ko)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419852B1 (ko)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북마크 기능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47887A (ko) 메모 기능 수행 시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91302A (ko)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25940A (ko) 터치 시간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1292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0476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KR102045282B1 (ko) 통화 중인 상대방의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07889A (ko)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15694A (ko)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3804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warding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remaining battery capacity
KR20140082434A (ko)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42699B1 (ko)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01873A (ko)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25232A (ko) 터치 오 입력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112197A (ko) 객체의 상태 변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426791B1 (ko)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84816A (ko) 공간적 움직임을 반영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