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859A -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859A
KR20140112859A KR1020130027484A KR20130027484A KR20140112859A KR 20140112859 A KR20140112859 A KR 20140112859A KR 1020130027484 A KR1020130027484 A KR 1020130027484A KR 20130027484 A KR20130027484 A KR 20130027484A KR 20140112859 A KR20140112859 A KR 2014011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ase
opening
movable carri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완곤
Original Assignee
오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완곤 filed Critical 오완곤
Priority to KR102013002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859A/ko
Publication of KR2014011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물간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공구나 물품을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며 물건을 적재 또는 수용할 수 있는 이동캐리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storage apparatus of automobile and part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물간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공구나 물품을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일정부분이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화물칸이 구비되어 있는 소형 화물차량을 밴(van)형 자동차라고 하며, 그와 같은 밴형 자동차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좌석과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화물칸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일반 승용차로 사용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소형 화물차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밴형 자동차는 내부 앞쪽에 2개의 의자가 있는 운전실이 마련되어 있고, 그 운전실의 후방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운전실과 화물칸을 구획한다.
화물칸의 내부에는 공구나 기타 물품들이 수납되어 있는 공구함을 별도로 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밴형 자동차의 사용자는 사람이 탑승하고 이동하는 승용차의 용도로 사용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화물칸에 짐을 싣고 소형 화물차의 용도로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공구나 물품을 수납하는 공구함을 싣는 용도로 화물칸을 이용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67990호에는 밴형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수납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수납박스는 평상시에는 공구나 기타 물품의 수납용으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수납박스의 일정부분을 좌석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좌석 확장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수납박스는 자동차의 화물칸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물칸에 부피가 큰 화물을 적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덮개가 수납박스의 상부에서 열고 닫는 구조이므로 수납박스 위에 화물을 적재시 덮개를 열기 위해서는 화물을 치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밴형 자동차에 설치된 격벽은 실내에 고정설치되어 있어 좌석 조정이 어렵다. 또한, 격벽은 운전실과 화물칸을 구획하므로, 운전자는 차량에서 내려 차량 후방의 화물칸 도어를 열고 화물칸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공구나 물품을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가능한 수납장치를 운전실과 화물칸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격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며 물건을 적재 또는 수용할 수 있는 이동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캐리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서랍이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수납서랍을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캐리어는 상기 수납서랍을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개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캐리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이동캐리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캐리어가 장착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패널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이동캐리어가 장착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패널을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시켜 상기 회전패널의 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은 밴형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실과 화물칸을 구획하며, 운전실과 화물칸을 연결하는 개구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화물칸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건을 적재 또는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개구를 막는 이동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캐리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이동캐리어의 전후면에서 수납서랍을 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이동캐리어를 이용하여 운전실과 화물칸을 구획함으로써 격벽으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수납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다목적 승합차량(RV차량)과 같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다. 가령, 밴(van)형 자동차의 경우 화물칸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밴(van)형 자동차의 화물칸에 설치된 모습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물칸은 격벽(100)에 의해 운전실과 구획된다.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화물칸에서 전후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화물칸의 바닥(5)에는 레일(7)이 설치된다. 레일(7)은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레일(7)은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레일(7)은 바닥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화물칸 바닥(5)에 매설된다. 매설된 상태에서 레일(7)은 상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장치는 크게 슬라이더와, 이동캐리어(20)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화물칸 바닥에 설치된 레일(7)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슬라이더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7)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수용된 롤러(10)와, 롤러(10)와 결합되어 이동캐리어(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대(15)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5)는 볼트에 의해 이동캐리어(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동캐리어(2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슬라이더의 롤러(10)가 레일(7)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더를 레일(7)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장치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물체를 고정시키는 통상적인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장치는 공지의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캐리어(20)는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동캐리어(20)의 내부에는 공구나 물품 등이 수용된다.
이동캐리어(20)의 일 예로 내부에 수납서랍(23)이 설치된 케이스(21)와, 수납서랍(23)을 케이스(21)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21)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개폐부(30)와, 수납서랍(23)을 케이스(21)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21)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개폐부(40)를 구비한다.
케이스(21)는 사각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1)의 저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대(15)가 고정된다.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수납서랍(23)이 설치된다. 수납서랍(23)은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3개의 수납서랍(23)이 설치된다. 수납서랍(23)이 다수로 설치된 경우 각 수납서랍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에 2개의 수납서랍이 배치되고, 하부에 하나의 수납서랍이 배치된다. 상부에 배치된 수납서랍보다 하부에 설치된 수납서랍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각 수납서랍(23)의 측면에는 가이드프레임(25)이 설치된다. 가이드프레임(25)은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된 롤러(미도시)에 지지된다.
케이스(21)의 전면 및 후면에는 수납서랍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홀이 형성된다.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홀과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된 출입홀은 마주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동일한 수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케이스(21)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홀을 개폐하기 위해 전면개폐부(30)가 마련되고, 케이스(21)의 후면에 형성된 출입홀을 개폐하기 위해 후면개폐부(40)가 마련된다. 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된 수납서랍(23)은 케이스(21)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홀을 통해 외부로 꺼내거나, 케이스(21) 후면에 형성된 출입홀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면개폐부(30)와 후면개폐부(40)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20)의 전면 또는 후면 어디에서라도 수납서랍을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전면개폐부(30)는 수납서랍(23)을 케이스(21)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21)의 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후면개폐부(40)는 수납서랍(23)을 케이스(21)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21)의 후면에 설치된다. 후면개폐부(40)는 전면개폐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설명의 편의상 후면개폐부(40)를 먼저 설명한다. 후면개폐부(40)는 도어(41)와, 도어(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케이스(21) 후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3)와, 도어(41)에 마련된 파지부(45)를 구비한다.
도어(41)는 케이스(21)의 후면에 설치된 사각의 출입홀에 설치된다. 도어(41)는 출입홀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도어(41)는 케이스(21)와 힌지결합된다. 힌지결합부(43)는 일예로 경첩이 적용된다. 경첩 외에도 도어(41)를 상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다양한 힌지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41)는 닫힌 상태에서 열리게 되면 하단이 케이스(21)의 후면에 접촉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열린 상태로 고정된다. 도어(41)를 닫는 경우 도어(41)가 케이스(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수단으로 케이스(21)에 형성된 고정홈(28)과, 도어(41)의 내측에 형성되어 고정홈(2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29)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29)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금속판을 마름모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고정홈(28)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도어(41)의 내측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금속 소재의 케이스(21)와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45)는 도어(41)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파지부(45)는 도어(41)의 내측으로 형성된 손잡이용 홈으로 이루어지나, 도어의 바깥으로 돌출된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면개폐부(30)는 후면개폐부(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어(31)와, 도어(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케이스(21)의 전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도어(31)에 마련된 파지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 이동캐리어에 전면개폐부와 후면개폐부가 모두 구비된 상태를 설명하였지만, 후면개폐부가 생략되고 전면개폐부만이 이동캐리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수납장치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이동캐리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이동캐리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시된 회전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캐리어가 장착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패널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이동캐리어가 장착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패널을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시켜 상기 회전패널의 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레일(7)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수용된 롤러(미도시)와, 롤러와 결합되는 지지대(15)와,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베이스패널(50)로 이루어진다.
회전패널(60)은 베이스패널(50)의 상부에 설치된다. 회전패널(60)에는 이동캐리어(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63)이 마련된다. 장착홈(63)에 장착되는 이동캐리어(20)는 회전패널(60)에 고정된다.
회전패널(60)은 회전축(80)에 의해 베이스패널(50)과 결합된다. 회전축(80)은 베이스패널(50)의 일측에 설치된다. 회전패널(60)은 회전축(8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축(80)은 이동캐리어(20)가 장착되는 영역인 장착홈(63)을 벗어난 위치에서 회전패널(60)과 결합한다.
고정부재(70)는 회전패널(60)의 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회전패널(60)을 베이스패널(5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재(70)의 일 예로 베이스패널(50)과 회전패널(60)에 각각 형성된 제 1고정홀(61)을 통과하는 걸쇠일 수 있다. 고정부재(70)가 제 1고정홀(61)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패널이 회전할 수 없다. 회전패널(6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부재를 제 1고정홀(61)로부터 분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패널(60)을 베이스패널(50)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이동캐리어(20)의 위치를 화물칸의 측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화물칸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회전패널(60)을 회전시킨 상태로 회전패널(6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70)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부재(70)를 베이스패널(50) 및 회전패널(60)에 형성된 제 2고정홀(69)로 삽입하게 되면 회전패널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레일(7)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며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이동캐리어(120)를 구비한다. 레일(7)과 슬라이더 구조는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된 이동캐리어(120)는 슬라이더의 지지대(15)에 고정결합되는 사각의 베이스프레임(121)과, 베이스프레임(121)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바(12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이동캐리어(120)에는 물건을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동캐리어(12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캐리어(120) 위에 간단한 구조의 적재박스(130)를 설치한 다음 물건을 적재박스(130) 안에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적재박스(130) 외에도 이동캐리어(120)에 야외 활동에 사용되는 각종 장비나 물품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수납장치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격벽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실(1)과 화물칸(3)을 구획한다. 격벽은 운전실(1)의 좌석(2) 뒤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밴형 자동차의 격벽은 고정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00)에 형성된 개구(20)를 막는 수납장치로 이루어진다. 수납장치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가 적용된다.
고정프레임(100)은 운전실(1)과 화물칸(3)을 구획할 수 있도록 운전실(1)과 화물칸(3)의 경계에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00)에는 운전실(1)과 화물칸(3)을 연결할 수 있는 사각의 개구(110)가 형성된다. 개구(110)는 사각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프레임(100)은 자동차의 차체 내측에 브라켓트와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측에는 투명창(115)이 설치된다. 투명창(115)을 통해 운전자는 화물칸의 상태를 운전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의 룸미러를 통해 뒤따라오는 자동차들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과 함께 격벽을 구성하는 수납장치는 슬라이더와, 이동캐리어(20)를 포함한다.
레일(7)은 화물칸의 바닥(5)에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더는 화물칸 바닥(5)에 설치된 레일(7)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이동캐리어(20)는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건을 적재 또는 수용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의 개구(110)를 막는다. 도시된 레일(7), 슬라이더, 이동캐리어(20)는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동캐리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이동캐리어는 레일(7)을 따라 화물칸(3)의 전후를 왕복 이동하면서 고정프레임(100)에 형성된 개구(110)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수납장치의 이동캐리어(20)를 고정프레임(100)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시켜 고정프레임(100)의 개구(110)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동캐리어(20)를 이동시켜 고정프레임의 개구(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이동캐리어(20)를 화물칸(3)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킨 후에 고정부재(70)를 분리하여 이동캐리어(20)가 장착된 회전패널(60)을 베이스패널(5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이동캐리어(20)의 위치를 화물칸(3)의 측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캐리어를 화물칸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운전실 3: 화물칸
7: 레일 10: 롤러
20: 이동캐리어 21: 케이스
23: 수납서랍 41: 도어
50: 베이스패널 60: 회전패널
110: 개구

Claims (6)

  1.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며 물건을 적재 또는 수용할 수 있는 이동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캐리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서랍이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수납서랍을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캐리어는 상기 수납서랍을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개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캐리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이동캐리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캐리어가 장착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패널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이동캐리어가 장착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패널을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시켜 상기 회전패널의 회전을 차단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
  6. 밴형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실과 화물칸을 구획하며, 운전실과 화물칸을 연결하는 개구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화물칸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건을 적재 또는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개구를 막는 이동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형 자동차의 격벽.

KR1020130027484A 2013-03-14 2013-03-14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KR20140112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84A KR20140112859A (ko) 2013-03-14 2013-03-14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84A KR20140112859A (ko) 2013-03-14 2013-03-14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59A true KR20140112859A (ko) 2014-09-24

Family

ID=5175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484A KR20140112859A (ko) 2013-03-14 2013-03-14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8335A (zh) * 2021-11-05 2022-01-28 上海前晨汽车科技有限公司 货物移动装置及具有该货物移动装置的厢式货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8335A (zh) * 2021-11-05 2022-01-28 上海前晨汽车科技有限公司 货物移动装置及具有该货物移动装置的厢式货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962A (en) Security trunk for sport utility vehicles
US6106044A (en) Structural member for creating an accessible underseat storage enclosure
US6481773B1 (en) Remov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7258381B2 (en) Modular vehicle interior component system and release latch mechanism for use with the system
US20040105744A1 (en) Moveable load floor convenience center in automotive applications
US6811196B2 (en) Vehicle cargo management apparatus having movable cargo support arm
US5957521A (en) Underseat storage enclosure
US20020014505A1 (en) Storage unit slidably mounted to vehicle
KR20070104930A (ko) 콘솔 저장 인클로저
US20080145172A1 (en) Vehicle cargo retainer
US10023125B2 (en) Console for vehicle interior
US10427612B2 (en) Vehicle door
US6749241B1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CN111278682A (zh) 具有可扩展的座椅下部储存室的机动车辆
KR20010034751A (ko)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
US6732895B2 (en) Integrated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US20070069541A1 (en) Modular floor console
US20070187969A1 (en) Cargo Storage Compartment and Access Thereto
US6006971A (en) Truckbed toolbox system
KR20140112859A (ko)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US20230202398A1 (en) Secure storage systems for vehicles
US11511676B2 (en) Vehicle storage system
US20030156421A1 (en) Overhead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s
EP3486118A1 (en) An in-cabin overhead console
JP2005186848A (ja) デッキフロ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